KR101504179B1 -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179B1
KR101504179B1 KR1020130045820A KR20130045820A KR101504179B1 KR 101504179 B1 KR101504179 B1 KR 101504179B1 KR 1020130045820 A KR1020130045820 A KR 1020130045820A KR 20130045820 A KR20130045820 A KR 20130045820A KR 101504179 B1 KR101504179 B1 KR 10150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indicator
case
lock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477A (ko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13004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17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을 자물쇠 유닛에 의해 잠금 경우의 로킹상태와, 잠금을 해제한 언로킹상태의 전환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핸들의 이면에 케이스와 핸들의 표면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보호패킹을 구비하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더케이터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고 표시창의 연결상태가 복잡하여 불편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자물쇠유닛(40)의 후단에 편심 돌출된 캠돌기(66)와, 상기 캠돌기(66)와 결합하여 승강운동하는 로킹플레이트(440)와, 상기 로킹플레이트(44)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쇠유닛(40)의 상부에 설치된 인디케이터본체(70)와, 상기 인디케이터본체(70)의 전면에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를 전환표시하는 표시부재(76)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로크핸들장치{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본 발명은, 배분전반(電盤), 제어반, 큐비클, 캐비넷, 랙 등의 격납용 케이스체에 채용되는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을 자물쇠 유닛에 의해 잠금 경우의 로킹상태와, 잠금을 해제한 언로킹상태의 전환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핸들장치는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도어용 유닛과, 케이스체 틀에 설치하기 위한 훅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체 틀용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핸들장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핸들의 회전운동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핸들장치는 자물쇠 유닛이 핸들 또는 케이스에 편입되어,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잠금 부재를 케이스측 또는 핸들측의 받이부에 걸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 유닛의 잠금 부재가 케이스측 또는 핸들측의 받이부에 걸어맞춰져 있는지 또는 이탈되어 있는지가 핸들 장치의 밖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핸들이 케이스에 잠겨 있는지 또는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지를 바로 알 수 없게 되었다. 이 때문에, 자물쇠 유닛에 열쇠를 잠근줄 알았으나 잊어버리고 안 잠궜거나, 열쇠가 잠겨 있는 것을 모르고 핸들을 조작하거나, 열쇠가 잠겨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쇠를 준비하지 않는 등, 도어의 개폐시에 편리성을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장치를 가지는 기술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고 표시창의 연결상태가 복잡하여 불편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핸들장치는 피고정 도어패널에 케이스를 고정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서 케이스를 피고정 도어패널에 밀착한 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스를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227호 일본 공개특허 제10-2011-047159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47160호 일본 특허공보 제412642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핸들이 자물쇠유닛에 의해 잠겨 있는지 또는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실현하여 개폐를 확실하게 하여서 제품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리함을 이룰 수 있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도어패널에 고정할 때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이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을 이룸과 동시에 케이스의 설치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등 작업환경의 개선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에 장착되어 케이스와 연관하여 설치되는 자물쇠유닛과, 상기 자물쇠유닛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핸들을 개폐가능하면서 잠금과 해제상태를 전환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유닛의 후단에 편심 돌출된 캠돌기와, 상기 캠돌기와 결합하여 승강운동하는 로킹플레이트와,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쇠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인디케이터본체와, 상기 인디케이터본체의 전면에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를 전환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는 핸들을 자물쇠유닛에 의해 잠금 상태와, 해제한 상태로 전환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핸들 내에 설치하고, 자물쇠유닛과 작동 연결되는 인디케이터는 열쇠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핸들이 잠겨 있는지 또는 해제되어 있는지를 외관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들의 불량 잠금과 착오동작이 없이 안전하고 편리한 핸들개폐를 이루어 편리성과 안정성을 이루게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상하 둘레면에 탄성을 갖는 간이브라켓트를 설치하여 핸들을 도어패널에 설치시 간이브라켓트의 탄성력으로 간편하고 용이한 케이스고정작업을 이룰 수 있어서 작업자가 핸들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의 요부정면도이고,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 작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본체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핸들을 종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를 요부사시도와 배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를 요부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장치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를 작용도로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요부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8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로크핸들장치(100)는 케이스(10)와, 핸들(20)과, 걸이구(30)와, 자물쇠유닛(40) 및 인디케이터(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정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의 외주에는 플랜지(14)가 형성되어 도어패널(140)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핸들(20)은 핸들축(22) 및 스프링수단(24)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0) 내에 기복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30)는 케이스(10)의 배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됨과 아울러 핸들(20)에 작동 연결되고,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박스 본체 등의 고정 프레임에 대응하면서 걸림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유닛(40)은 상기 핸들(20)에 내장되고, 케이스(10) 측의 고정홈(42)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로킹플레이트(44)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50)는 핸들(20)에 내장되어, 자물쇠유닛(40)의 로킹플레이트(44)에 대응하여 승강 작동이 가능하고, 열쇠(60)의 회전조작에 연동에 의하여 핸들(20)을 자물쇠유닛(40)에 의해 잠금 경우의 로킹 상태와, 잠금을 해제한 경우의 언로킹 상태를 전환 표시하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정면에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정면의 외주에는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핸들(20)의 핸들축(22)을 부착하기 위한 축본체(28)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방향 하부에는 상기 자물쇠유닛(40) 및 인디케이터(50)를 끼워 맞추기 위한 통 형상의 오목부(16)가 케이스(10)의 배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핸들(12)은 케이스(10) 정면의 공간부(12) 내부에 끼워 맞춤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핸들축(22)을 통하여 케이스(10)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축(22)은 케이스(10)의 축본체(28) 내에 끼워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되고, 정면측의 단부 하부 중앙에는, 그 축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 직각으로 회동축(22)을 삽입되어 통과하기 위한 축삽입통과부(21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핸들(20)에는 회동측 단부에 자물쇠유닛수용부(52)와 인디케이터유동부(54)가 아울러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유닛수용부(52)는 핸들(20)의 하부 배면측에 수납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심 위에는 핸들(20)의 정면부에서 자물쇠유닛(40)의 열쇠구멍(62)을 향하는 구멍(46)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유닛수용부(52)의 배면 측에는, 케이스(10) 측에 형성된 수용부(56)에 대하여, 자물쇠유닛(40)의 로킹플레이트(44)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디케이터유동부(54)는 자물쇠유닛수용부(52)의 상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자물쇠유닛수용부(52)의 구멍(46) 바로 위의 위치에 해당하는 핸들(20)의 정면 하부 중앙에 인디케이터(50)의 표시창(58)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22)이 케이스(10)의 축본체(28)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끼워 삽입되고, 핸들(20)이 케이스(10)의 공간부(12)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상기 핸들축(22)의 축삽입통과부(210)가 핸들(20)과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10)에 삽입된 핸들축(22)을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핸들축(26)의 축삽입통과부(210) 사이의 회동축(22) 위에는 스프링수단(24)이 둘러 감기고, 핸들(20)은 케이스(10) 내에 공간부(12)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회동 가압되어 부착된다.
상기 핸들(20)은 스프링수단(24)에 의하여 케이스(10)의 공간부(12)로부터 소정의 기립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핸들(20)을 케이스(10) 내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핸들(20)을 스프링순단(24)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으로 핸들(20)의 밀어올리는 준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a,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이구(3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축(2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유닛(40)은 정면의 열쇠구멍(62)에 열쇠(60)를 꽂아 넣고 돌림으로써 로터(64)를 회전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로킹플레이트(44)를 왕복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로터(64)의 후단 면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구동용 캠돌기(66)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킹플레이트(44)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의 가로방향에는 수동용의 가이드구멍(4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물쇠유닛(40)은 핸들(20)에 형성된 자물쇠유닛수용부(52)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로킹플레이트(44)가 자물쇠유닛수용부(52)의 상,하부 배면에 승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유닛(40)의 로터(64)를 돌림으로써, 상기 로터(64)의 캠돌기(66)가 로킹플레이트(44)의 가이드구멍(440)의 내측 면을 밀어, 로킹플레이트(44)를 케이스(10) 측의 수용부(56)에 대하여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50)는 핸들(20)의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58)과, 케이스(10)측의 수용부(18)와 표시창(58) 사이에, 수용부(18)에 완충가능하게 수용하는 스프링(72)이 설치된 인디케이터본체(70)와, 상기 스프링(72)은 평상시에 인디케이터본체(70)을 인장하여 탠션 가압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창(58)은 자물쇠유닛(40)의 열쇠구멍(62)에 근접하여 핸들(20)에 설치되어 있고, 인디케이터수용부(54)의 정면 중심에 상당하는 핸들(20)면의 하부 중앙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본체(70)는 케이스(10)의 수용부(18)를 향하여 상부에 마련되고 스프링(72)이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돌기(74)를 형성하고, 전면에 핸들(20)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로킹상태표시부(80) 및 핸들(20)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언로킹상태표시부(82)를 갖는 표시부재(76)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재(76)는 표면의 상반부에 핸들(20)의 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적색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로킹상태표시부(80)가 형성되고, 하반부에 핸들(20)의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청색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언로킹 상태표시부(82)가 형성된다.
상기 자물쇠유닛(40)의 열쇠구멍(62)에 삽입한 열쇠(60)를 소정의 폐쇄 방향으로 돌리면, 로킹플레이트(44)가 인디케이터본체(70) 하부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스프링(72)이 수용부(18)에서 압축되고 스프링돌기(72)가 수용부(18)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인디케이터본체(70)가 스프링(72)의 탄성력으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열쇠(60)로 소정의 폐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스프링(72)은 압축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본체(70)가 상승되므로 타단에서 표시부재(76)의 로킹상태표시부(80)가 표시창(58)에 표출하여, 자물쇠유닛(40)의 로킹상태(적색)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자물쇠유닛(40)의 열쇠(60)를 반대 방향인 개방 방향으로 돌리면, 로킹플레이트(44)가 하강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본체(70)도 함께 하강하게 되고, 걸어 맞춤을 해제함과 아울러 표시부재(76)의 언로킹상태표시부(82)가 표시창(58)에 대하여 언로킹상태(청색)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핸들(20)의 배면에 설치한 코팅보호부재(200)가 케이스(10)의 표면과의 마찰 또는 접촉으로부터 코팅된 코팅면을 보호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보호부재(200)는 연질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판체이며, 체결수단으로 핸들(20)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상하 둘레 면에는 핸들장치(100)가 도어패널(14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간이브라켓트(90a)(90b)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브라켓트(90a)(90b)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과 “┙”형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케이스(10)의 상하 둘레 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92a)(92b)에 끼워져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이브라켓트(90a)(90b)의 직각 외측면은 외부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장치(100)는 핸들(20)을 자물쇠유닛(40)에 의해 잠금으로 로킹 상태를 이루고, 잠금을 해제하여 언로킹 상태를 전환 표시하는 인디케이터(50)를 핸들(20)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50)는 자물쇠유닛(40)의 로킹플레이트(44)에 작동에 대응하여, 열쇠(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연동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50)에 의해, 핸들(20)이 자물쇠유닛(40)에 의해 잠겨 있는지 또는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지를 육안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므로 도어의 개폐시에 편리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자물쇠유닛(40)의 열쇠(60)를 잠근상태 또는 열림상태의 식별이 가능하여 항상 잊거나 착각하지 않고 안전하게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식별할 수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안정된 핸들 조작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특히, 인디케이터(50)는 핸들(20)의 로킹 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58)과, 케이스(10)측의 수용부(18)와 표시창(58) 사이에 로킹플레이트(44)의 상하 승강 운동으로 승강 작동하는 인디케이터본체(70)와, 인디케이터본체(70)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돌기(74)에 스프링(72)을 개재하여 평상시에 인디케이터본체(70)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표시창(58)은 자물쇠유닛(40)의 열쇠구멍(62)에 근접하여 핸들(20)에 노출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본체(70)는 상부에 스프링(72)이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돌기(74)가 케이스(10) 측의 수용부(18)에 출입 자유롭게 배치되고, 수용부(18)에서 스프링(72)의 압축과 이완됨에 따라 인디케이터본체(70)가 승강 작동이 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본체(70)는 공간부(12)에 설치되어 있는 로터(64)의 상부에서 로킹플레이트(44)에 의하여 표시부재(76)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상태표시부(80)와 언로킹상태표시부(82)에 의한 표시창(58)을 통하여 표출됨으로 인식이 용이하므로 작업의 편리함과 신뢰성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자물쇠유닛(40)의 열쇠구멍(62)에 삽입한 열쇠(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로킹플레이트(44)가 인디케이터본체(70)를 하부에서 들어 올림으로 인디케이터본체(70)가 상승함과 동시에 스프링(72)이 수용부(18)에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어서 표시창(58)에는 언로킹상태표시부(82)가 표출되므로 핸들(20)이 케이스(10)로 부터 자유롭게 기립할 수 있는 해제상태를 표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쇠(60)의 반대 방향의 회전 조작에 의해, 로킹플레이트(44)가 하강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본체(70)은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하여 자동 하강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44)의 하부가 케이스(10)와 걸어맞춤을 이루게 되므로 잠금 상태가 되어 표시부재(76)의 로킹상패표시부(80)가 표시창(58)에 노출되어 로킹된 상태로 표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인디케이터(50)를 구성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인디케이터(50)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수단(2)으로 핸들(20)의 기립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하 둘레면에는 직각 외측면의 외부가 점차 높아지고 일체로 성형되어 “┓”과 “┙”형태로 이루어진 간이브라켓트(90a)(90b)가 케이스(10)의 상하 둘레면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92a)(92b)에 끼워져 고정설치 된다.
이러한 로크핸들장치(100)를 도어패널(140)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에 유입되는 간이브라켓트(90a)(90b)가 소정의 탄성을 갖으면서 압축됨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이르면 복원력으로 원상태로 복원되어 도어패널(14)의 내측면에 결속되므로 안전한 간이설치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을 이루게 되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과 “┙”형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케이스(10)의 상하 둘레 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92a)(92b)에 끼워져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로크핸들장치(100)를 도어패널(140)에 설치를 이루게 되므로 작업환경이 좋아 작업의 편리성으로 보다 안정되고 편리한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케이스 12; 공간부
14; 플랜지 16; 오목부
18; 수용부 20; 핸들
22; 핸들축 24; 스프링수단
28; 축본체 30; 걸이구
40; 자물쇠유닛 42; 고정홈
44; 로킹플레이트 46; 구멍
50; 인디케이터 52; 자물쇠유닛수용부
54; 인디케이터유동부 56; 수용부
58; 표시창 60; 열쇠
62; 열쇠구멍 64; 로터
66; 캠돌기 70; 인디케이터본체
72; 스프링 74; 스프링돌기
76; 표시부재 80; 로킹상패표시부
82; 언로킹상태표시부 90a,90b; 간이브라켓트
92a,92b; 고정돌기 200; 코팅보호부재
210; 삽입통과부 440; 가이드구멍

Claims (6)

  1.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기복 회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에 장착되어 케이스와 연관하여 설치되는 자물쇠유닛과, 상기 자물쇠유닛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핸들을 개폐가능하면서 잠금과 해제상태를 전환표시하는 인디케이터본체와, 상기 인디케이터본체의 전면에 로킹상태와 언로킹 상태를 전환표시하는 표시부재와, 상기 자물쇠유닛의 후단에 편심 돌출된 캠돌기로 이루어지는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본체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표시부재가 핸들의 표시창으로 보호되고, 후방 상부에 돌출된 스프링돌기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케이스에 형성된 수용부에 배치하여 로킹플레이트의 왕복운동에 따라 핸들의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 상태로 승강운동을 이루게 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하 둘레면에 설치된 간이브라켓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플레이트는 자물쇠유닛에 마련된 캠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캠돌기의 유동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인디케이터와 대응하고,
    상기 간이브라켓트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으며 직각 외측면은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하 둘레 면에 케이스 후면부 상하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45820A 2013-04-25 2013-04-25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150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20A KR101504179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20A KR101504179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77A KR20140127477A (ko) 2014-11-04
KR101504179B1 true KR101504179B1 (ko) 2015-03-19

Family

ID=5245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20A KR101504179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07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770B1 (ko) * 2014-11-27 2016-12-13 주식회사 공진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6425B2 (ja) * 2002-01-10 2008-07-30 株式会社ニッコー 自転車錠の取付け金具
KR20110047160A (ko) * 2009-10-29 2011-05-0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핸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6425B2 (ja) * 2002-01-10 2008-07-30 株式会社ニッコー 自転車錠の取付け金具
KR20110047160A (ko) * 2009-10-29 2011-05-0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핸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07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2332929B1 (ko) * 2019-12-20 2021-11-30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77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179B1 (ko)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TWI435973B (zh) 把手裝置
JP5919119B2 (ja) ドア装置
KR200475425Y1 (ko) 래치식 평면핸들장치
TWI390100B (zh) 把手裝置
US7159909B1 (en) Cabinet enclosure handle
KR101689788B1 (ko)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의 잠금장치
KR200475251Y1 (ko)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20130003512U (ko)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CN211704433U (zh) 吸尘器
CN110409133B (zh) 用于盖体的锁闭装置、洗衣设备的上盖结构及洗衣设备
KR20100130807A (ko) 도어록 안전손잡이
CN211397033U (zh) 包扣
JP6262594B2 (ja) 引戸用鎌錠
KR101502779B1 (ko) 도어 로크핸들용 인디케이터장치
KR20110005319U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CN108301171B (zh) 安全门锁旋钮装置及家用电器
CN109667120B (zh) 洗衣机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CN220580794U (zh) 一种锁具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100924422B1 (ko) 다이얼 잠금장치
EP2784888B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JP7057136B2 (ja) 宅配ボックス用ラッチ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