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422B1 - 다이얼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422B1
KR100924422B1 KR1020070138948A KR20070138948A KR100924422B1 KR 100924422 B1 KR100924422 B1 KR 100924422B1 KR 1020070138948 A KR1020070138948 A KR 1020070138948A KR 20070138948 A KR20070138948 A KR 20070138948A KR 100924422 B1 KR100924422 B1 KR 10092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locking
lock
main body
dial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815A (ko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늘푸름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늘푸름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늘푸름가구
Priority to KR102007013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4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얼뭉치의 번호조합에 따라 출몰되는 단속로드와, 상기 다이얼뭉치의 설정번호 변경시 출몰 조작되는 리셋버튼이 설치된 다이얼기구; 상기 다이얼기구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내부 벽면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기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단속로드와의 걸림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과, 상기 리셋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다이얼기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가 장착된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을 단속하는 단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잠금장치 자체적으로 손잡이의 기능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도어 또는 서랍 등에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다이얼기구의 회전만으로 잠금과, 열림 및, 변경의 기능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다이얼, 잠금장치, 잠금, 열림, 변경, 걸림홈,

Description

다이얼 잠금장치{DIAL LOCK}
본 발명은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금장치만으로 각종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의 단속기능은 물론, 개폐손잡이의 역할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설정된 번호의 변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는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장착된다.
그리고, 각종 물품의 수납 및 보관수단으로 이용되는 사물함, 책상의 서랍 등에도 수납 및 보관된 물품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장착된다.
잠금장치의 종류를 살펴보면, 원통형 쉘내에 록킹핀을 배열 구성하여, 이를 별도로 구비되는 열쇠에 의해 괘정 및 해정 단속되도록 한 키실린더형 잠금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키실린더형 잠금장치는 별도로 구비되는 열쇠를 사용하여 괘정 및 해정을 단속하기 때문에 상기 잠금장치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항상 열쇠를 휴대해야만 하는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게 되며, 더욱이 부주의로 인해 열쇠를 분실하는 경우, 더 이상의 괘정 및 해정이 불가하며 설치된 잠금장치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등 상당한 구조상의 폐단과 함께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별도로 열쇠를 구비할 필요 없이 다이얼 잠금뭉치의 번호조합에 따라 괘정 및 해정 이 단속되도록 한 다이얼 잠금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즉, 다수개의 다이얼 번호판을 설정된 번호로 조합함으로써, 상기 단속로드의 잠금을 단속하는 방식이며, 상기 단속로드의 타측에는 비밀번호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리셋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리셋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된 번호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얼 잠금장치 역시 단순히 잠금이라는 단일의 목적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도어 또는 서랍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손잡이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 또는 서랍의 외관이 저하되고, 설치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얼 잠금장치의 비밀번호 리셋시 단속로드의 타측에 돌출된 리셋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설정된 번호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과정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얼 잠금장치만으로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의 단속기능은 물론, 개폐손잡이의 역할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장치의 설정된 번호를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이얼뭉치의 번호조합에 따라 출몰되는 단속로드와, 상기 다이얼뭉치의 설 정번호 변경시 출몰 조작되는 리셋버튼이 설치된 다이얼기구; 상기 다이얼기구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내부 벽면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기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단속로드와의 걸림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과, 상기 리셋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다이얼기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가 장착된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을 단속하는 단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잠금장치에 의하면, 잠금장치 자체적으로 손잡이의 기능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도어 또는 서랍 등에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또는 서랍 등의 외관이 향상됨은 물론, 손잡이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다이얼기구의 회전만으로 잠금과, 열림 및, 변경의 기능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A)는 크게 다이얼기구(10)와, 상기 다이얼기구(10)의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후방에서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단속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이얼기구(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케이스(11)와, 상호 연계된 배열 구조로 상기 케이스(11)에 설치되며 외주면 둘레에 번호가 형성된 다이얼뭉치(12)와,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얼뭉치(12)의 번호조합에 따라 출몰 가능한 구조를 갖는 단속로드(13) 및, 상기 케이스(11)의 타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이얼뭉치(12)의 설정된 번호 변경시 사용되는 리셋버튼(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다이얼기구(10)는 이미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로 그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후방, 즉 다이얼뭉치(12)의 반대측에는 일정 부분이 돌출되어 후술될 단속기구(30) 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5)가 형성되어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체(20)는 원통형의 구조로 전면 중앙에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삽입을 위한 삽입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을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의 내부 벽면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기구(10)에 설치된 단속로드(13)와의 걸림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22)과,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시 리셋버튼(1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걸림홈(22)은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조작에 따라 연동하는 단속기구(30)의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및, 상기 다이얼기구(10)의 번호 변경시 해당되는 변경위치로 구분하여 상기 삽입부(21)의 내부 벽면 둘레에 적절하게 배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23)은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셋버튼(14)이 임의적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홈(23)이 없는 경우 상기 리셋버튼(14)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 벽면에 항시 눌려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과정에서 번호의 변경이 임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간의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상기 리셋버튼(14)의 접촉면 일부가 절개된 안내홈(23)을 형성하여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간의 이동 중에는 상기 리셋버튼(14)이 눌리지 않고, 변경위치에서만 눌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걸림홈(22)에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에 따른 단속 로드(13)의 걸림 없이 원활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홈(22)의 양단이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23)은 상기 단속로드(13)가 열림위치에서 변경위치로의 변경시 걸림 없이 원활한 눌림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홈(23)의 중단에서 말단으로 점차 없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는 일정 부분이 관통된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얼기구(10)의 연결부(15)가 상기 본체(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속기구(30)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조작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실질적으로 도어 또는 서랍을 괘정시키거나 해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길이의 판체로 구성되며, 끝단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3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속기구(30)가 판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이 기능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조작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이 가능한 구조 등이 이에 해당 될 수 있으며, 특정한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A)에는 상기 잠금장치(A)의 외관을 다양한 형태로 연출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마감하기 위하여 장식데코(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장식데코(40)는 중앙에 상기 본체(20)의 삽입부(21)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공(41)이 구비된 원판형으로, 상기 삽입부(21)를 통해 노출되는 단속로드(13)와, 걸림홈(22) 및, 안내홈(23)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장식데코(40)에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잠금, 열림, 및 변경의 각 해당위치를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무늬 및 모양 등을 형성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사물함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a의 도시와 같이 다이얼기구(10)의 단속로드(13)가 잠금위치에 형성된 걸림홈(22)에 걸림된 상태로 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다이얼기구(10)의 회전은 불가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 또는 서랍 등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다이얼기구(10)에 구비된 다이얼뭉치(12)를 설정된 번호로 조합하게 되고, 상기 번호조합에 의한 통상의 작동관계에 따라 단속로드(13)는 출몰가능한 구조로 바뀌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기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3b의 도시와 같은 열림위치의 걸림홈에 걸림된 상태로 다이얼기구(10)를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단속기구(30)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도어 및 서랍의 개폐를 단속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열림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기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앞으로 당겨 도어 또는 서랍을 별도의 손잡이 필요 없이 단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이얼뭉치(12)의 설정된 번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림위치에서 동일한 과정으로 상기 다이얼기구(10)를 변경위치의 걸림홈(22)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리셋버튼(14)은 상기 안내홈(23)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되는 과정에서 점차 눌려지면서 상기 변경위치의 걸림홈(22)까지 이동되면 상기 변경위치의 걸림홈(22)의 반대측에는 안내홈(23)이 연장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상기 리셋버튼(14)은 도 3c의 도시와 같이 삽입부(21)의 내부 벽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번호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사물함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잠금장치 10 - 다이얼기구
11 - 케이스 12 - 다이얼뭉치
13 - 단속로드 14 - 리셋버튼
20 - 본체 21 - 삽입부
22 - 걸림홈 23 - 안내홈
24 - 관통홀 30 - 단속기구
40 - 데코 41 - 노출공

Claims (4)

  1. 다이얼뭉치(12)의 번호조합에 따라 출몰되는 단속로드(13)와, 상기 다이얼뭉치(12)의 설정번호 변경시 출몰 조작되는 리셋버튼(14)과, 상기 다이얼뭉치(12)의 반대측에 돌출된 연결부(15)가 형성된 다이얼기구(10);
    상기 다이얼기구(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내부 벽면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단속로드(13)와의 걸림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22)과, 상기 리셋버튼(14)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3)이 구비된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후방에서 상기 다이얼기구(10)의 연결부(15)에 조립되어 상기 다이얼기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본체(20)가 장착된 도어 또는 서랍의 괘정 및 해정을 단속하는 단속기구(30)
    를 포함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단속기구(30)의 잠금과 열림 및, 설정번호 변경모드가 되도록 상기 다이얼기구(10)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단속로드(13)가 위치되는 지점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기구(30)를 잠금에서 열림으로 변환하거나 열림에서 잠금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이 있을 때 상기 리셋버튼(14)은 상기 안내홈(23)을 따라 이동하며, 설정번호 변경하기 위해 상기 다이얼기구(10)의 회전이 있을 때 상기 리셋버튼(14)은 상기 안내홈(23)을 벗어나 상기 본체(20)의 내부 벽면에 눌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홈(22)과 안내홈(2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걸림홈(22)의 해당 위치에 표시부(42)가 형성된 장식데코(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KR1020070138948A 2007-12-27 2007-12-27 다이얼 잠금장치 KR10092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948A KR1009244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이얼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948A KR1009244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이얼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815A KR20090070815A (ko) 2009-07-01
KR100924422B1 true KR100924422B1 (ko) 2009-10-29

Family

ID=4132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948A KR1009244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이얼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86B1 (ko) * 2010-12-31 2013-01-25 김판중 리셋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KR101453416B1 (ko) * 2014-05-12 2014-10-22 주식회사 동양기업 다이얼 키를 구비한 수납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50A (ja) * 1995-07-12 1997-01-28 Clover:Kk ダイヤル錠装置
JP2000145216A (ja) 1998-11-06 2000-05-26 Clover:Kk 符号錠装置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KR20060100502A (ko) * 2005-03-17 2006-09-21 김재식 다이얼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50A (ja) * 1995-07-12 1997-01-28 Clover:Kk ダイヤル錠装置
JP2000145216A (ja) 1998-11-06 2000-05-26 Clover:Kk 符号錠装置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KR20060100502A (ko) * 2005-03-17 2006-09-21 김재식 다이얼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815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US7866713B2 (en) Locker structure
US20080141745A1 (en) Keyway cover for a lock
GB2390111A (en) Compound locking device
US6851289B2 (en) Lever lock
KR100924422B1 (ko) 다이얼 잠금장치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JP4446553B2 (ja) 磁石利用のロック装置
JP4773554B2 (ja) プッシュ錠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2474427B1 (ko) 차량용 수납형 키 유닛
JP2009024335A (ja) 錠装置
KR100619600B1 (ko) 서랍용 자물쇠의 잠금구조
KR100993057B1 (ko) 다이얼 잠금장치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JP372018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223410Y1 (ko) 도어록 장치
KR200172706Y1 (ko) 중앙관리식 보관함의 잠금장치
JP3097596U (ja) 両用式のスーツケース用センターロック
TWI596269B (zh) 撥號鎖
KR200173329Y1 (ko)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0397395Y1 (ko) 디지털 도어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