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148Y1 - 도어용 자물쇠 - Google Patents

도어용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148Y1
KR200331148Y1 KR20-2003-0025745U KR20030025745U KR200331148Y1 KR 200331148 Y1 KR200331148 Y1 KR 200331148Y1 KR 20030025745 U KR20030025745 U KR 20030025745U KR 200331148 Y1 KR200331148 Y1 KR 20033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lock
rotating bod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20-2003-0025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문틀에 닫을 때 문틀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이동되는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문틀의 상·하부 및 측벽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제 2작동로드 및 걸림봉이 자동으로 작동됨에 따라 도어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물쇠의 잠금시 도어의 측벽 및 상·하부를 문틀에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실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자물쇠{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용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폐쇄시 자물쇠의 잠금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도어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물쇠의 잠금시 도어의 측벽 및 상·하부를 문틀에 고정시킴으로써 도어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도어용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의 출입구를 이루는 문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도어(Door)를 필요에 따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도어의 내부에 자물쇠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용 자물쇠는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통상의 도어용 자물쇠의 구조를 보면, 문틀의 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봉을 갖는 몸체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 몸체의 걸림봉을 사용자가 도어의 실내측 방향에서 인위적으로 문틀의 홈에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푸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의 홈에 결합된 걸림봉을 사용자가 도어의 실외측 방향에서 별도의 키(Key)를 이용하여 문틀의 홈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키실린더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키가 끼워진 상태로 키실린더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키실린더와 도어의 실내측에 마련된 푸시 버튼이 상호 연동하면서 푸시 버튼을 해제시킴에 따라 문틀의 홈에 결합된 걸림봉이 최초 상태로 복귀되면서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자물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문틀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문틀에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1차 동작으로 도어의 실내측에 마련된 자물쇠의 푸시 버튼을 눌러 도어의 실외측에 마련된 자물쇠의 키실린더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시킨 다음, 2차 동작으로 도어를 회전시켜 자물쇠의 걸림봉을 문틀의 홈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를 폐쇄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자물쇠의 푸시 버튼을 누르지 않고 도어를 문틀에 위치시킨다거나 푸시 버튼을 누르는 힘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푸시 버튼과 키실린더의 연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져 실내에 구비된 중요한 서류, 물품 등을 도난 당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도어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자물쇠의 걸림봉은 문틀의 측벽에 형성된 홈에만 결합하고 있으므로 인해 외부 침입자가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을 벌려 자물쇠의 걸림봉을 문틀의 홈에서 분리할 경우, 도어를 손쉽게 개방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종래의 도어용 자물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수의 잠금장치를 도어의 임의 개소에 추가로 더 장작하였으나, 이는 다수의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가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곤란함과 아울러, 사용자는 도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잠금장치를 일일이 작동시켜서 도어를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틀에 도어가 닫힐 경우, 자물쇠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용 자물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용 자물쇠의 고정시 도어의 측벽 및 상·하부를 문틀에 고정함으로써 도어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의 내부에 개재되는 것으로, 그 상·하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제 1, 제 2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제 3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주축을 갖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주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외주연부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높이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연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체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체를 중심으로 전·후 이동되는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에 일단이 제 1 및 제 2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제 1 및 제 2통공을 통해 문틀의 상·하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 1 및 제 2작동로드; 상기 몸체의 후방 내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 및 이 지지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하부에 상기 제 1 및 제 2힌지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장방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제 3작동바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몸체의 제 3통공을 통해 문틀의 측벽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도록 다수의 걸림봉이 마련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문틀에 대해 해제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작동부재의 걸림봉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작동부재를 문틀에 대해 잠금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 및 상기 복귀수단에 의해 문틀의 잠금위치로 이동된 작동부재를 실외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 중앙에 키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키홈을 가지며, 이 키홈의 일단에 상기 회전체의 걸림돌기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마련된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용 자물쇠에 따른 고정부와 가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용 자물쇠에 따른 복귀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용 자물쇠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10 : 몸체
20 : 손잡이부 30 : 회전체
40 : 제 1작동바 41 : 제 2작동바
42 : 제 3작동바 50 : 제 1작동로드
60 : 지지판 70 : 작동부재
80 : 고정부 90 : 가압부
100 : 복귀수단 110 : 실린더 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는 도어(1)를 문틀(2)에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도어(1)의 내부에 몸체(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상·하면에는 제 1 및 제 2통공(11)(12)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문틀(2)의 내측면과 접하는 측면에는 다수의 제 3통공(13)이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후면에는 후술할 손잡이부(20)와 실린더 하우징(1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관통공(14)(15)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제 2관통공(15)에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손잡이부(20)는 몸체(10)의 제 2관통공(15)을 수용하면서 몸체(10)의 후면에 고정되는 플랜지(21) 및 이 플랜지(21)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주축(22)을 갖는다. 물론 상기 주축(22)의 일단은 상기 제 2관통공(15)을 통과하여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20)에 마련된 주축(22)의 일단에는 주축(2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체(30)가 체결볼트(3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30)의 소정 위치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걸림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0)의 외주연에는 일정한 길이의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의 일단은 힌지축(40a)(41a)(42a)에 의해 회전체(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의 타단은 상기 회전체(30)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체(30)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 중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40)(41)의 타단에는 상기 문틀(2)의 상·하부에 대해 도어(1)의 상·하부를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일단이 제 1 및 제 2힌지축(50a)(5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타단은 상기 몸체(10)의 제 1 및 제 2통공(11)(12)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문틀(2)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2)의 상·하부에는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타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결속홈(2a)(2b)이 각각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결속홈(2a)(2b)은 상기 회전체(30)를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작동바(40)(41)의 직선 이동거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일단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 1 및 제 2연결바(50b)(51b)를 추가로 더 장착한 후, 제 1 및 제 2연결바(50b)(51b)의 타단을 문틀(2)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속홈(2a)(2b)으로 결합되도록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 몸체(10)의 후면에서 전방측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축(61)이 설치되고, 이 지지축(61)의 일측 선단에는 체결볼트(62)에 의해 지지판(6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0)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힌지축(50a)(51a)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공(63)(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작동바(42)의 타단에는 상기 문틀(2)의 측벽에 대해 도어(1)의 측벽을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봉(71)을 갖는 작동부재(70)의 일측이 힌지축(7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70)에 마련된 다수의 걸림봉(71)은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제 3통공(13)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2)의 측벽에는 다수의 걸림봉(7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결속홈(2c)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결속홈(2c)은 상기 회전체(30)를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 제 3작동바(42)의 직선 이동거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다.
상기 작동부재(70)의 소정 위치에는 제 3작동바(42)의 이동에 의한 작동부재(70)의 좌·우 이동시 작동부재(70)가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제 3가이드공(73)이 형성되고, 이 제 3가이드공(73)은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핀(74)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부재(70)를 문틀(2)에 대해 해제상태로 고정시켜 도어(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고정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80)는 작동부재(7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문틀(2)에서 해제되는 걸림봉(71)의 작동거리에 대응되도록 걸림턱(7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75)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는 몸체(10)의 후면에 고정축(8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81)에는 브라켓(82)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82)의 일단에는 문틀(2)에서 해제된 작동부재(70)의 걸림턱(75)에 끼워지도록 제 1걸림편(83)을 가지며, 브라켓(82)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봉(71)의 후단과 면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제 2걸림편(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70)의 걸림턱(75)으로 브라켓(82)의 제 1걸림편(83)을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코일스프링(85)이 개재되는데, 이 제 1코일스프링(85)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82)의 제 2걸림편(84)에 고정되고, 제 1코일스프링(85)의 타단은 상기 고정축(81)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80)에 마련된 브라켓(82)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작동부재(70)를 문틀(2)에 대해 잠금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재(70)의 걸림봉(71)에 가압부(90)를 갖는다.
상기 가압부(90)는 작동부재(70)에 설치된 다수의 걸림봉(71)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봉(71)의 내부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9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91)을 가압할 수 있도록 걸림봉(71)의 내부에 가압핀(92)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가압핀(92)의 일측에는 스프링(91)의 일단에 밀착되어 스프링(91)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턱(93)을 가지며, 이 가압턱(93)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문틀(2)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소정의 경사부(9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핀(92)의 후단이 상기 브라켓(82)의 제 2걸림편(84)과 접촉되도록 상기 작동부재(70)에 연통공(76)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76)을 통과하는 가압핀(92)의 후단에는 연통공(76)보다 직경이 큰 와셔(95)가 별도의 체결볼트(9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90)의 가압핀(92)에 의해 고정부(80)의 브라켓(82)이 해제되면서 작동부재(70)를 문틀(2)에 대해 잠금상태로 복귀시켜 도어(1)를 폐쇄시키기 위한 복귀수단(1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복귀수단(100)은 상기 회전체(30)의 소정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20)에 설치된 주축(22)의 외주연부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플랜지(21)에 고정되도록 제 2코일스프링(102)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 2코일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위치로 회전된 손잡이부(20)의 회전체(30)를 실외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하우징(110)이 설치되는데, 이 실린더 하우징(110)은 상기 몸체(10)의 제 1관통공(14)을 통해 상기 지지판(6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내부 중앙에는 별도로 마련된 키(112)의 결합에 의해 회전을 이루도록 키홈(114)이 설치되고, 이 키홈(114)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회전체(30)의 걸림돌기(32)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압돌기(116)가 형성되어 문틀(2)에 대해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1)를 회전시켜 문틀(2)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도어(1)의 측벽에서 문틀(2)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핀(92)의 경사부(94)가 문틀(2)의 측벽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도어(1)는 문틀(2)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회전을 이룸에 따라 가압핀(92)의 경사부(94)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돌출된 길이만큼 도어(1)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핀(92)이 걸림봉(71)의 내부에서 이동될 경우, 가압핀(92)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턱(93)이 걸림봉(71)의 내부에 개재된 스프링(91)의 팽창력을 이기면서 스프링(91)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핀(92)의 후단이 작동부재(70)의 연통공(76)을 통해 이동되는데, 이때 가압핀(92)의 후단에 마련된 와셔(95) 및 체결부재(96)는 고정부(80)의 브라켓(82)에 형성된 제 2걸림편(84)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핀(92)의 가압에 의해 브라켓(82)의 제 2걸림편(84)이 가압될 경우, 브라켓(82)은 고정축(8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브라켓(82)은 브라켓(82)의 제 2걸림편(8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제 1코일스프링(85)의 팽창력을 이기면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상기 브라켓(82)이 가압핀(92)의 가압에 의해 회전이 완료될 경우, 브라켓(82)의 일단에 형성된 제 1걸림편(83)도 함께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제 1걸림편(83)은 상기 작동부재(70)의 걸림턱(75)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작동부재(70)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70)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코일스프링(102)의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작동부재(70)를 잠금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는 제 2코일스프링(102)의 양단 중에서 플랜지(2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정·역 회전되는 회전체(30)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체(30)를 처음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코일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30)가 처음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회전될 경우, 회전체(30)의 외주연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가 동시에 방사형태로 펼쳐지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 3작동바(42)는 작동부재(7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70)를 문틀(2)의 결속홈(2c)으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5참조).
즉, 상기 제 3작동바(42)의 이동에 의해 작동부재(70)의 타측에 마련된 다수의 걸림봉(71)은 몸체(10)의 제 3통공(13)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문틀(2)의 측벽에 형성된 결속홈(2c)으로 끼워져 도어(1)의 측벽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동부재(70)의 이동시 작동부재(70)에 형성된 제 3가이드공(73)이 몸체(10)에 고정된 고정핀(74)에 끼워져 안내됨에 따라 작동부재(7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40)(41)는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를 문틀(2)의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40)(41)의 이동에 의한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타측은 몸체(10)의 제 1 및 제 2통공(11)(12)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문틀(2)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속홈(2a)(2b)으로 각각 끼워져 도어(1)의 상·하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40)(4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의 제 1 및 제 2힌지축(50a)(51a)이 상기 지지판(6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장방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공(63)(64)에 끼워져 안내됨에 따라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1)를 회전시켜 문틀(2)에 고정시킨 후, 사용자가 실외 또는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몸체(10)의 후면에 마련된 손잡이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20)의 주축(22) 일단에 결합된 회전체(30)는 제 2코일스프링(102)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으면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시 회전체(30)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40)(41)(42)는 회전체(30)를 중심으로 반경이 작아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제 1 및 제 2작동바(40)(41)는 문틀(2)의 상·하부측 결속홈(2a)(2b)에서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를 이탈시키게 되고, 제 3작동바(42)는 문틀(2)의 측벽에 형성된 결속홈(2c)에서 작동부재(70)의 걸림봉(71)을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70)의 이동시 작동부재(7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75)이 브라켓(82)의 제 1걸림편(83)에 도달되면, 브라켓(82)에 설치된 제 1코일스프링(85)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발생되어 제 1걸림편(83)을 작동부재(70)의 걸림턱(75)에 안차시키게 된다. 즉 제 1코일스프링(85)의 일단이 몸체(1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 1코일스프링(85)의 타단이 브라켓(82)의 제 2걸림편(84)을 가압함에 따라 브라켓(82)은 고정축(8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걸림편(83)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라켓(82)의 제 1걸림편(83)이 작동부재(70)의 걸림턱(75)에 안착이 완료되면, 도어(1)의 상·하부 및 측벽을 고정하고 있던 제 1 및 제 2작동로드(50)(51)와 작동부재(70)의 걸림봉(71)을 해제시켜 도어(1)를 문틀(2)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는 개방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실린더 하우징(110)의 키홈(114)으로 별도의 키(112)를 삽입한 다음, 실내에서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해 앞에서 기술한 손잡이부(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키(112)를 회전시킨다.
상기 키(112)의 삽입에 의해 키홈(114)이 회전될 경우, 키홈(114)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돌기(116)가 회전체(3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2)를 일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 2코일스프링(10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전체(30)를 회전시켜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1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30)가 회전되면서 연동되는 작동은 앞에서 기술한 손잡이부(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30)가 회전되면서 도어(1)를 개방시키는 작동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이하에 대한 작동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킬 필요 없이 사용자가 도어를 문틀에 닫을 때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자물쇠의 잠금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물쇠의 잠금시 도어의 측벽 및 상·하부를 문틀에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실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자물쇠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각종 구조물의 출입구를 이루고 있는 문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시키기 위한 도어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 개재되는 것으로, 그 상·하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제 1, 제 2통공이 형성되 고, 측면에 다수의 제 3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주축을 갖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주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외주연부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높이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연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체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체를 중심으로 전·후 이동되는 제 1, 제 2 및 제 3작동바;
    상기 제 1 및 제 2작동바에 일단이 제 1 및 제 2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제 1 및 제 2통공을 통해 문틀의 상·하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 1 및 제 2작동로드;
    상기 몸체의 후방 내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 및 이 지지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하부에 상기 제 1 및 제 2힌지축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장방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제 3작동바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몸체의 제 3통공을 통해 문틀의 측벽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도록 다수의 걸림봉이 마련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문틀에 대해 해제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작동부재의 걸림봉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 작동부재를 문틀에 대해 잠금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 및
    상기 복귀수단에 의해 문틀의 잠금위치로 이동된 작동부재를 실외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 중앙에 키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키홈을 가지며, 이 키홈의 일단에 상기 회전체의 걸림돌기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마련된 실린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에서 해제되는 걸림봉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작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몸체 후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제 1걸림편을 가지며, 상기 걸림봉의 후단과 면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타단에 제 2걸림편이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제 2걸림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 1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자물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일측에 가압턱이 마련되고, 이 가압턱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문틀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소정의 경사부를 갖는 가압핀; 및
    상기 가압핀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작동부재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을 통과한 가압핀의 후단을 연통공보다 큰 직경의 체결부재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자물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주축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 2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자물쇠.
KR20-2003-0025745U 2003-08-09 2003-08-09 도어용 자물쇠 KR200331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45U KR200331148Y1 (ko) 2003-08-09 2003-08-09 도어용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45U KR200331148Y1 (ko) 2003-08-09 2003-08-09 도어용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148Y1 true KR200331148Y1 (ko) 2003-10-30

Family

ID=4941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745U KR200331148Y1 (ko) 2003-08-09 2003-08-09 도어용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1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180133273A (ko) * 2017-06-05 2018-12-1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180133273A (ko) * 2017-06-05 2018-12-1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101958640B1 (ko) * 2017-06-05 2019-03-1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188995B1 (ko) 도어락
WO2010095831A2 (ko) 도어락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JP455511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0854298B1 (ko) 도어락 장치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JP400595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0482418Y1 (ko)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JPH07166743A (ja) 電子錠における非常用開錠装置
KR100715507B1 (ko) 도어 잠금장치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KR200225309Y1 (ko) 매립형 보조 자물쇠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JP3544194B2 (ja) 引き違い戸用プッシュロック装置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JP2007120139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