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45B1 - 도어록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045B1
KR101216045B1 KR1020110060153A KR20110060153A KR101216045B1 KR 101216045 B1 KR101216045 B1 KR 101216045B1 KR 1020110060153 A KR1020110060153 A KR 1020110060153A KR 20110060153 A KR20110060153 A KR 20110060153A KR 101216045 B1 KR101216045 B1 KR 10121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dead bolt
le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숙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박경숙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1006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도어나 강화유리도어와 같은 대형도어에 주로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토록 한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뭉치의 작동캠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의 상단부가 데드볼트와 직접 연결되어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도어록 케이스와 잠금레버에 제공된 가이드공의 배치만으로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데드볼트와 잠금레버의 사이에 불필요한 링크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조작이 신속,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시키고 그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서, 도어록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14)와, 도어록 케이스(12)의 일측 조립구멍(12b)으로 조립된 키뭉치(11)의 작동캠(11a)과 연계되어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서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2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캠(11a)의 회전에 의한 잠금레버(21)의 각운동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14)가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을 통하여 출몰되도록 한 도어록(10)의 잠금장치(2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상부측에는 수평가이드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데드볼트(14)에는 수평가이드공(12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핀(14a)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중앙부에는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지지하는 힌지핀(16)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16)은 도어록 케이스(12)의 사이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부측에는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의 상단 후방측에는 도어의 잠금조작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걸리는 걸림홈(23a)이 가이드공(23)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단부에는 토션스프링(25)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레버핀(22)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25)의 타측단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측 상단에 고정된 스프링핀(26)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하단부에는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의 양방향 회전시 작동캠(11a)에 걸려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캠핀(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록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a door-lock}
본 발명은 현관도어나 강화유리도어와 같은 대형도어에 주로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토록 한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뭉치의 작동캠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의 상단부가 데드볼트와 직접 연결되어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도어록 케이스와 잠금레버에 제공된 가이드공의 배치만으로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시키고 그 조립과정을 단순화시켜 도어록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도어나 강화유리도어와 같은 대형도어에는 평상시 도어를 통한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필요시에 도어를 통한 사람의 출입을 방지하도록 도어를 잠금상태로 세팅하는 도어록이 설치된다.
도 1에 강화유리도어(1)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나타내었는 바, 바닥체(4)와 천정(7)의 사이에 2개의 세로문틀(5)을 설치하고, 상기 세로문틀(5)의 상단측 벽체(8)를 따라 가로문틀(6)을 설치하여 사각 형태의 도어틀을 이루도록 한 다음, 상기 도어틀의 내부에 상,하부프레임(2a)(2b) 및 도어핸들(3)이 장착된 강화유리(2)를 힌지장치(4a)(6a)와 함께 설치하는 한편, 강화유리(2)와 세로문틀(5)의 사이에 먼지와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9)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1)에 있어 도어록(10)의 경우는, 강화유리(2)의 상부프레임(2a)이나 하부프레임(2b) 또는 강화유리(2) 자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문틀과 함께 잠금상태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도어록(10)에는 열쇠를 이용하여 실외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키뭉치(11)가 설치되는 한편, 키뭉치(11)의 반대편에는 실내에서 도어를 잠그도록 하는 미도시된 잠금레버가 도어록(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현관도어나 강화유리도어(1)와 같은 대형도어에 주로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토록 한 종래의 도어록(10)은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도어록 케이스(12)와,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도면상 좌측면)에 설치되어 도어록(10)을 도어상에 장착시키도록 하는 장착대(13)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하는 잠금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장치(20)는, 도어록 케이스(12)에 형성된 수평가이드공(12a)에 가이드핀(14a)이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식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14)와, 도어록 케이스(12)의 일측 조립구멍(12b)으로 조립된 키뭉치(11)의 작동캠(11a)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21)와, 상기 데드볼트(14)를 잠금레버(21)와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링크판(31)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링크판(31)은 도어록 케이스(12)에 고정된 회전축(18)이 관통되는 원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회전링크판(31)의 하부측에는 잠금레버(21)의 상단 레버핀(22)이 삽입되는 링크구멍(31b)이 형성되는 한편, 회전링크판(31)의 상부측에는 데드볼트(14)의 후단부(도면상 우측단부)에 고정된 연결대(19)의 수직가이드공(19a)으로 삽입되는 링크핀(31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잠금레버(21)의 중앙부에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에는 스토퍼(30)가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스토퍼(30)는 도어록 케이스(12)에 형성된 원호가이드공(17)을 따라 잠금레버(21)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원호가이드공(17)의 양측단 하부에 제공된 스토퍼홈(17a)으로 삽입되어 도어의 세팅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스토퍼(30)에는 토션스프링(25)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토션스프링(25)의 타측단은 잠금레버(21)에 고정된 스프링핀(26)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30)의 양측부에는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이 양방향으로 회전될 시에, 작동캠(11a)에 걸려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캠핀(24)이 잠금레버(21)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잠금레버(21)의 하단부에는 힌지핀(16)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16)은 도어록 케이스(12)에 고정 설치되며, 장착대(13)의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지지하는 보강브라켓(15)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브라켓(15)에는 데드볼트(14)용 출몰구멍(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대(13)의 상부측은 데드볼트(14)와 회전링크판(31)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13a)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어록(10)을 사용하여 도어를 잠금상태로 세팅하기 위해서는, 도 2의 (가)에 도시된 초기(잠금해제) 상태에서 키뭉치(11)로 열쇠를 삽입하여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이 도 2의 (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캠(11a)이 스토퍼(30)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원호가이드공(17)의 스토퍼홈(17a)으로부터 스토퍼(30)가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작동캠(11a)을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캠(11a)이 후방측(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캠핀(24)을 밀어내는 동시에, 잠금레버(21)가 힌지핀(1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30)는 도어록 케이스(12)의 원호가이드공(17)을 따라 잠금레버(2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레버(21)가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지면서 회전링크판(31)을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링크판(31)이 데드볼트(14)의 연결대(19)를 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냄으로서, 상기 데드볼트(14)가 보강브라켓(15)을 관통하여 도어록(10)의 전방측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브라켓(15)을 관통하여 도어록(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데드볼트(14)가 도어용 문틀에 설치된 미도시된 잠금구멍으로 삽입됨으로서, 도어를 문틀과 함께 잠금상태로 세팅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스토퍼(30)는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가이드공(17)의 후방측(도면상 우측) 스토퍼홈(17a)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도어를 열기 위하여 데드볼트(14)를 후방측으로 밀어내게 되면, 데드볼트(14)를 밀어내는 힘이 회전링크판(31)을 거쳐 잠금레버(21)를 각운동시켜야 하지만, 잠금레버(21)와 연결된 스토퍼(30)가 스토퍼홈(17a)에 삽입되어 원호가이드공(17)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서, 데드볼트(14)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도어의 잠금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세팅된 도어의 잠금상태는, 키뭉치(11)로 열쇠를 삽입하여 작동캠(11a)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작동캠(11a)이 스토퍼(30)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스토퍼(30)가 스토퍼홈(17a)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는 경우에만 해제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열쇠를 사용한 도어의 개방작업은 도 3의 (나)와 (가) 및 도 2의 (나)와 (가) 순으로 하여 잠금상태의 세팅과는 역순(逆順)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록(10)의 잠금장치(20)는, 잠금레버(21)에 의한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데드볼트(14)와 잠금레버(21)의 사이에 회전링크판(31) 및 연결대(19)와 같은 링크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30) 기구를 도어록 케이스(12) 및 잠금레버(21)와 연계시켜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도어록(10)의 제조에 따른 부품의 개수가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한편, 그 조립과정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도어록(10) 제품의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되어 소형화와 경량화를 추구하는 도어록(10) 제품의 최근 동향에 부합하지 못함은 물론, 도어록(10)의 까다로운 조립작업으로 말미암아 제품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불량률 또한 높게 됨으로서 도어록(10) 제품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잠금장치는, 키뭉치의 작동캠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의 상단부가 데드볼트와 직접 연결되어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도어록 케이스와 잠금레버에 제공된 가이드공의 배치만으로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데드볼트와 잠금레버의 사이에 불필요한 링크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조작이 신속,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시키고 그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서, 도어록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어록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와, 도어록 케이스의 일측 조립구멍으로 조립된 키뭉치의 작동캠과 연계되어 도어록 케이스의 내부에서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캠의 회전에 의한 잠금레버의 각운동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가 도어록 케이스의 전방면을 통하여 출몰되도록 한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케이스의 상부측에는 수평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데드볼트에는 수평가이드공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의 중앙부에는 잠금레버의 각운동을 지지하는 힌지핀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은 도어록 케이스의 사이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의 상부측에는 데드볼트의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 후방측에는 도어의 잠금조작시 데드볼트의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가이드공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의 상단부에는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레버핀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측단은 도어록 케이스의 내측 상단에 고정된 스프링핀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의 하단부에는 키뭉치용 작동캠의 양방향 회전시 작동캠에 걸려 잠금레버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캠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어록 케이스의 전방면에는 데드볼트의 출몰작동을 지지하는 보강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브라켓에는 데드볼트용 가이드부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데드볼트와 잠금레버의 사이에 불필요한 링크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조작이 신속,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시키고 그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서, 도어록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강화유리도어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2의 (가) 및 (나)와 도 3의 (가) 및 (나)는 종래 도어록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잠금장치(20)가 설치되는 도어록(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가)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20)가 내부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록 케이스(12)와,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도면상 좌측면)에 설치되어 도어록(10)을 도어상에 장착시키도록 하는 장착대(13)와,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일측 조립구멍(12b)으로 조립 설치되는 키뭉치(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도면상 상기 도어록 케이스(12)가 2개의 사각판이 되고, 그 전방측에 상기 장착대(13)가 설치됨에 따라, 장착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개구된 사각 케이스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어록 케이스(12)는 밀폐형 사각 케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장착대(13)에는 도어와의 조립을 위한 볼트체결공이 상,하단측에 제공되는 한편, 데드볼트(14)의 출몰을 위한 개구부(13a)가 상부측에 제공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키뭉치(11)에는 열쇠를 이용하여 실외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키레버(11b)가 설치되고, 상기 키레버(11b)의 후단부측에 도어의 잠금조작을 위한 작동캠(11a)이 연결 설치되며, 키뭉치(11)의 맞은 편에 해당하는 도어록 케이스(12)의 조립구멍(12b)에는 실내에서 도어를 잠그도록 하는 미도시된 잠금레버가 조립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잠금장치(20)는, 도어록 케이스(12)의 상부측에 형성된 수평가이드공(12a)에 가이드핀(14a)이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식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14)와, 도어록 케이스(12)의 일측 조립구멍(12b)으로 조립된 키뭉치(11)의 작동캠(11a)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21)와, 상기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레버(21)의 중앙부에는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지지하는 힌지핀(16)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16)은 도어록 케이스(12)의 사이에서 고정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와 잠금레버(21)에는 힌지핀(16)의 삽입을 위한 핀공(12c)(21a)이 대응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16)은 해당 핀공(12c)(21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나사(T)에 의하여 도어록 케이스(12)의 사이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부측에는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의 상단 후방측(도면상 우측)에는 도어의 잠금조작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3a)이 가이드공(23)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공(23)이 개략 "Γ"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단부에는 토션스프링(25)의 일측단이 결속되는 레버핀(22)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25)의 타측단 걸고리(25a)는 도어록 케이스(12)의 내측 상단에 고정된 스프링핀(26)의 요홈부(26a)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하단부에는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이 양방향으로 회전될 시에, 작동캠(11a)에 걸려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캠핀(24)이 잠금레버(21)상에 고정 설치된다.
도면상 상기 잠금레버(21)는 2개의 얇은 금속판이 레버핀(22)과 캠핀(24)으로 연결되는 한편, 후방측(도면상 우측)에 보강판이 덧대어져 설치됨으로서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잠금레버(21)의 전방측(도면상 좌측) 및 후방측(도면상 우측)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잠금레버(21)가 "□"자 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2개의 얇은 금속판만을 사용하여 "II"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단부(21b)와 지지홈부(21c)는, 잠금레버(21)가 도 5의 (가)에 도시된 잠금해제상태 또는 도 5의 (나)에 도시된 잠금상태에 위치할 경우, 잠금레버(21)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홈부(21c)는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도어록 케이스(12)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핀(28)과 밀착되는 절개홈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단부(21b)는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장착대(13)의 후방면과 밀착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였는 바, 도어록 케이스(12)의 구조나 지지수단의 형태에 맞추어 잠금레버(21)의 지지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멈춤핀(28)은 도 5의 (가)에서와 같은 도어의 잠금해제 상태시, 가이드공(23)에 형성된 걸림홈(23a)의 내측으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도어록 케이스(12)의 하단측에는 도어록 케이스(12)의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핀(29)이 고정나사(T)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지지하는 보강브라켓(15)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브라켓(15)에는 데드볼트(14)용 가이드부시(27)가 설치되는 바, 상기 보강브라켓(15)은 데드볼트(14)의 정확한 출몰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데드볼트(14)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견고히 지지토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서,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의 잠금조작시 도어록(10)의 외부로 돌출된 데드볼트(14)가 보강브라켓(15) 및 장착대(13)에 의하여 2점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에서 대형도어에 가해지는 각종 충격 등으로부터 데드볼트(14)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부시(27)에 의하여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이 보다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강브라켓(15)이 적용된 경우는, 데드볼트(14)의 선단부가 장착대(13)를 거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잠금장치(20)의 작동에 따라 보강브라켓(15)을 관통하여 도어록(10)의 외부로 출몰되고, 보강브라켓(15)이 적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데드볼트(14)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에서, 장착대(13)를 관통하여 도어록(10)의 외부로 출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5의 (가) 및 (나)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가)에 도시된 초기(잠금해제) 상태에서 키뭉치(11)로 열쇠를 삽입하여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이 도 5의 (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작동캠(11a)이 후방측(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캠핀(24)을 밀어내는 동시에, 잠금레버(21)가 힌지핀(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이유는,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잠금레버(21)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과 도어록 케이스(12)에 형성된 수평가이드공(12a)을 거쳐 삽입되어 있으므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수평가이드공(12a)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레버(21)가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에 의하여 가이드핀(14a)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레버(21)의 상단에 연결된 토션스프링(25)의 위치가 전환되는 동시에, 잠금레버(21)가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지면서 상기 데드볼트(14)가 보강브라켓(15)을 관통하여 도어록(10)의 전방측 외부로 돌출되는 한편,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은 잠금레버(21)의 가이드공(23)에 형성된 걸림홈(23a)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서, 본 발명의 잠금장치(20)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도어를 열기 위하여 데드볼트(14)를 후방측으로 밀어내게 되면, 데드볼트(14)를 밀어내는 힘이 잠금레버(21)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각운동시켜야 하지만,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가이드공(23)의 걸림홈(23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레버(21)가 가이드공(23)에 의하여 가이드핀(14a)을 따라 상방향으로 밀려나지 못하게 됨으로서, 데드볼트(14)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도어의 잠금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세팅된 도어의 잠금상태는, 키뭉치(11)로 열쇠를 삽입하여 작동캠(11a)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작동캠(11a)이 전방측(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캠핀(24)을 밀어내어 잠금레버(21)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걸림홈(23a)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는 경우에만 해제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열쇠를 사용한 도어의 개방작업은 도 5의 (나)와 (가) 순으로 하여 잠금상태의 세팅과는 역순(逆順)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10)의 잠금장치(20)는, 키뭉치(11)의 작동캠(11a)과 연계되어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21)의 상단부가 데드볼트(14)와 직접 연결되어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도어록 케이스(12)와 잠금레버(21)에 제공된 수평 및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12a)(23)과 걸림홈(23a)의 배치만으로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처럼 잠금레버(21)에 의한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데드볼트(14)와 잠금레버(21)의 사이에 회전링크판(31) 및 연결대(19)와 같은 링크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30) 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조작을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도어의 잠금상태 또한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록(10)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시켜 도어록(10)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어록(10)의 조립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도어록(10)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시켜, 도어록(10)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도어록 11 : 키뭉치 11a : 작동캠
11b : 키레버 12 : 도어록 케이스 12a : 수평가이드공
12b : 조립구멍 12c,21a : 핀공 13 : 장착대
13a : 개구부 14 : 데드볼트 14a : 가이드핀
15 : 보강브라켓 16 : 힌지핀 20 : 잠금장치
21 : 잠금레버 21b : 지지단부 21c : 지지홈부
22 : 레버핀 23 : 가이드공 23a : 걸림홈
24 : 캠핀 25 : 토션스프링 25a : 걸고리
26 : 스프링핀 26a : 요홈부 27 : 가이드부시
28 : 멈춤핀 29 : 보강핀 T : 고정나사

Claims (2)

  1.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14)와, 도어록 케이스(12)의 일측 조립구멍(12b)으로 조립된 키뭉치(11)의 작동캠(11a)과 연계되어 도어록 케이스(12)의 내부에서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2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캠(11a)의 회전에 의한 잠금레버(21)의 각운동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14)가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을 통하여 출몰되도록 한 도어록(10)의 잠금장치(2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상부측에는 수평가이드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데드볼트(14)에는 수평가이드공(12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핀(14a)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중앙부에는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지지하는 힌지핀(16)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힌지핀(16)은 도어록 케이스(12)의 사이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부측에는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는 수직 방향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3)의 상단 후방측에는 도어의 잠금조작시 데드볼트(14)의 가이드핀(14a)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3a)이 가이드공(23)과 연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상단부에는 토션스프링(25)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레버핀(22)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25)의 타측단은 도어록 케이스(12)의 내측 상단에 고정된 스프링핀(26)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21)의 하단부에는 키뭉치(11)용 작동캠(11a)의 양방향 회전시 작동캠(11a)에 걸려 잠금레버(21)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캠핀(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케이스(12)의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4)의 출몰작동을 지지하는 보강브라켓(15)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브라켓(15)에는 데드볼트(14)용 가이드부시(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20110060153A 2011-06-21 2011-06-21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21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53A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1-06-21 도어록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53A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1-06-21 도어록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045B1 true KR101216045B1 (ko) 2012-12-27

Family

ID=4790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53A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1-06-21 도어록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40A (ko) 2015-07-27 2017-02-06 이석범 도어 록킹장치
KR101887640B1 (ko) * 2016-07-04 2018-08-13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2149269B1 (ko) * 2019-12-10 2020-08-28 (주)동광명품도어 도어 결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31Y1 (ko) 2002-01-28 2002-05-17 장용운 도어잠금장치
KR200288734Y1 (ko) 2002-06-24 2002-09-11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0331148Y1 (ko) 2003-08-09 2003-10-30 김종열 도어용 자물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31Y1 (ko) 2002-01-28 2002-05-17 장용운 도어잠금장치
KR200288734Y1 (ko) 2002-06-24 2002-09-11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0331148Y1 (ko) 2003-08-09 2003-10-30 김종열 도어용 자물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40A (ko) 2015-07-27 2017-02-06 이석범 도어 록킹장치
KR101713100B1 (ko) * 2015-07-27 2017-03-07 이석범 도어 록킹장치
KR101887640B1 (ko) * 2016-07-04 2018-08-13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2149269B1 (ko) * 2019-12-10 2020-08-28 (주)동광명품도어 도어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933B2 (en) Multipoint door lock
US7837241B2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KR101216045B1 (ko) 도어록의 잠금장치
CA2045238C (en) Panic exit door mechanism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10124519A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JP4601453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090091480A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US20080256992A1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US20110126468A1 (en) Mullion Assembly for Double Door
KR101333324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JP2002038857A (ja) 仮設門扉用のくぐり戸
US20200224468A1 (en) Lock assembly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1969897B1 (ko) 튜블라 도어록
GB2284445A (en) Panic exit door mechanism
KR200275231Y1 (ko) 도어잠금장치
CN113431452B (zh) 锁装置及门窗
KR102026443B1 (ko)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US20200032562A1 (en) Lock assembly
JPH038762Y2 (ko)
KR102486267B1 (ko) 방화문용 멀티 포인트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