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734Y1 -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 Google Patents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734Y1
KR200288734Y1 KR2020020019077U KR20020019077U KR200288734Y1 KR 200288734 Y1 KR200288734 Y1 KR 200288734Y1 KR 2020020019077 U KR2020020019077 U KR 2020020019077U KR 20020019077 U KR20020019077 U KR 20020019077U KR 200288734 Y1 KR200288734 Y1 KR 200288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spindle cap
piece
door lock
box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규식
Original Assignee
서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규식 filed Critical 서규식
Priority to KR2020020019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73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용 상자앗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데드볼트(4)와 함께 상자앗세이(A)를 구성하는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사이에 시소작동하는 작동편(10)을 연결설치하여 작동편(10)일측에 안내경사면(26)(28)을 통하여 랫치볼트(6)의 안내봉(12)이 접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스핀들캡(8)양측에 갖는 걸림편(38)(40)이 접하도록 하여 스핀들캡(8)의 회전시 작동편(10)은 그 타측의 눌림으로 회전하고, 회전시 일측의 안내경사면(26)(28)은 경사각의 변화로 랫치볼트(6)가 후퇴하도록 구성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작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손잡이를 소폭 회전시켜 주더라도 랫치볼트는 큰 폭으로 후퇴하여 걸림이 해지되도록 하므로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록용 상자앗세이{Box ass`y of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록용 상자앗세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데드볼트와 함계 상자앗세이를 구성하는 랫치볼트와 스핀들캡의 연결구조를 간단히 하고 또 작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어록용 상자앗세이의 선행기술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226220호등을 예로 들 수가 있으며, 키나 썸턴에 의해 작동하는 데드볼트와, 손잡이에 의해 작동하는 랫치볼트로 구성된다.
이중 랫치볼트는 그 후단부에 축핀을 축으로 시소작동하는 작동편 일측을 연결하고, 작동편 타측에는 상하로 거의 직선운동하는 "V"형 연결편을 연결하고, 연결편 내측에는 허브를 축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캡을 설치하여 스핀들캡이 갖는 양측걸림편이 연결편 상부로부터 양방향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개방시 손잡이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캡이 연결편을 하강시켜주게 되면 작동편이 회전하면서 랫치볼트를 후퇴시켜 주도록 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상자앗세이는 랫치볼트와 스핀들캡을 연결하는데 작동편 이외에 연결편을 더 필요로 하므로 부품 수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고, 작동시에는 연결편이 회전운동하는 스핀들캡과 작동편 사이에서 거의 직선운동하게 되고 또 추가된 부품 수만큼 마찰력은 커지게 되므로 유연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없으며, 연결편의 하강에 의한 작동편의 회전으로 랫치볼트가 후퇴하도록 구성할 경우 손잡이를 약 45。이상 회전시켜주어야만 랫치볼트의 걸림이 해지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한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랫치볼트와 스핀들캡을 간단한 구성으로 연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며, 랫치볼트의 걸림이 해지되기까지 필요한 손잡이의 회전각을 줄여서 사용하기가 편리하도록 한 도어록용 상자앗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랫치볼트의 후단부에 갖는 안내봉을 시소작동하는 작동편 일측의 안내경사면과 접하게 하고, 스핀들캡은 중립에서 그 양측에 갖는 걸림편이 작동편 타측과 접하도록 하여 스핀들캡의 정역회전시 작동편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랫치볼트를 후퇴시켜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작동 전 정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작동 후 정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상자앗세이 (2)--허브
(4)--데드볼트 (6)--랫치볼트
(8)-- 스핀들캡 (10)--작동편
(12)--안내봉 (14)(34)--스프링
(16)--결합장공 (18)--케이스
(20)--안내장공 (22)--축공
(24)--축부 (26)(28)--안내경사면
(30)--걸림부 (32)--안내면
(36)--결합공 (38)(40)--걸림편
본 고안은 허브(2)의 회전으로 출몰작동하는 데드볼트(4)와 함께 상자앗세이(A)를 구성하는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사이에 작동편(10)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랫치볼트(6)는 후단부에 안내봉(12)을 전후로 돌출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스프링(14)의 일단을 결합하는 결합장공(1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안내봉(12)의 전후단부가 케이스(18)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20)과 결합되게 하여 작동시 직진성을 갖도록 하고, 결합장공(16)을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스프링(14)이 외측방향으로 탄력있게 지지토록 한다.
시소작동하는 작동편(10)은 케이스(18)의 축공(22)에 결합되는 축부(24)를중심으로 일측에는 결합홈(36)을 사이에 두고 상면에 각각 안내경사면(26)(28)을 갖는 안내부를 나란히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부에 걸림부(30)와 안내면(32)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축부(24)에는 스프링(34)을 설치하여 스프링(34)이 작동편(1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탄력지지토록 한다.
스핀들캡(8)은 축공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스핀들을 연결하는 결합공(36)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걸림편(38)(40)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여 구성하며, 허브(2)로부터 회전가능케 결합된다.
본 고안은 허브(2)에 의해 작동하는 데드볼트(4)와 함께 상자앗세이(A)를 구성하며, 데드볼트(4)는 허브(2)의 회전으로 출몰작동하여 잠금 및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이면 모두 만족한다.
또한 본 고안은 키뭉치와 썸턴을 연결하는 사각축과 스핀들이 한축에서 작동되도록 구성한 상자앗세이(A)를 예를 한 것이나, 스핀들캡과 허브가 서로 다른 축에서 작동되도록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이 모두를 포함한다.
본 고안이 구성된 상자앗세이(A)는 종전과 같이 도어내측에 설치하여 내외측으로부터 노브나 레버를 갖는 손잡이 뭉치를 결합하여 도어록을 구성하게 된다.
조립시 썸턴과 키뭉치를 연결하는 각봉은 허브(2)를 관통하여 썸턴이나 키를 이용한 허브(2)의 회전으로 데드볼트(4)의 잠금 및 해지작동이 이루어지며, 스핀들은 스핀들캡(8)과 결합되어 손잡이에 의한 스핀들캡(8)의 회전으로 랫치볼트(6)가 후퇴하여 도어가 개방되고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복귀하는 도어록용 상자앗세이(A)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만족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도어록용 상자앗세이(A)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은 단순히 작동편(10)으로 연결구성되므로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가 있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게 되며, 생산성이 향상된 만큼 제품의 가격경쟁력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도어개방을 위한 랫치볼트(6)의 후퇴작동은 스핀들캡(8)의 회전시 그 양측하방에 갖는 걸림편(38)(40)은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편(10)의 타측상부에 갖는 걸림부(30)나 안내면(32)을 눌러서 작동편(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고, 회전시 그 일측의 안내부 상면을 구성하는 안내경사면(26)(28)은 경사각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안내경사면(26)(28)과 안내봉(12)을 통하여 접하고 있는 랫치볼트(6)는 직진성을 갖고 후퇴하게 되며, 도어개방후 손잡이를 놓아주게 되면 스프링(14)(34)의 반발력으로 랫치볼트(6)와 작동편(10)은 복귀하게 된다. 이때 랫치볼트(6)는 스핀들캡(8)과 작동편(10)으로 연결되고 또 작동편(10)은 스핀들캡(8)에 의한 회전작동으로 랫치볼트(6)를 후퇴시켜주도록 구성하므로서 작동시 그 마찰력은 현저히 감소하여 작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작동편(10)은 스핀들캡(8)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랫치볼트(6)를 후퇴시켜주게 되고 또 작동편(10)일측의 안내경사면(26)(28)이 갖는 경사각을 크게 할수록 랫치볼트(6)는 큰 폭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도어개방시 손잡이를 약 30。이내의 소폭으로 회전시켜주더라도 랫치볼트(6)의 걸림을 해지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록용 상자앗세이(A)의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을 연결하는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가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이 줄어든 만큼 마찰력은 감소하게 되고 또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을 연결하는 작동편(10)은 스핀들캡(8)에 의한 회전으로 랫치볼트(6)를 후퇴시켜주도록 구성하므로서 보다 유연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으며, 손잡이를 소폭으로 회전시켜주더라도 랫치볼트는 큰 폭으로 후퇴하여 걸림이 해지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한 등의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허브에 의해 작동하는 데드볼트(4)와 함께 상자앗세이(A)를 구성하는 랫치볼트(6)와 스핀들캡(8)사이에 시소작동하는 작동편(10)을 설치하여 작동편(10)일측에 갖는 안내경사면(26)(28)에는 랫치볼트(6)의 직진성을 유지하는 안내봉(12)이 접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스핀들캡(8)의 양측에 갖는 걸림편(38)(40)이 접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20020019077U 2002-06-24 2002-06-24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200288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77U KR200288734Y1 (ko) 2002-06-24 2002-06-24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77U KR200288734Y1 (ko) 2002-06-24 2002-06-24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454A Division KR20040000257A (ko) 2002-06-24 2002-06-24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734Y1 true KR200288734Y1 (ko) 2002-09-11

Family

ID=7312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077U KR200288734Y1 (ko) 2002-06-24 2002-06-24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7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467286B1 (ko) * 2013-08-16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45B1 (ko)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467286B1 (ko) * 2013-08-16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US5784909A (en) Control mechanism for tubular locks
US6257030B1 (en) Thumb-operated multilatch door lock
US8302437B2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US7377140B2 (en) Lock with clutching function
US7836738B2 (en) Mortise lock for ordinary door and panic door
US4589691A (en) Lever handle mortise lock
US8371627B2 (en) Latch-bolt mechanism operable to allow for idle rotation of an exterior handle
US20080087055A1 (en) Lock
US6993946B1 (en) Lock with clutching function
US20080011029A1 (en) Lock
US7387005B2 (en) Bathroom lock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unlocking structure
CA2453632A1 (en) Door handle assembly
CN86105500A (zh) 管形自动锁闩碰锁
KR200288734Y1 (ko)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US20040004359A1 (en) Door latch mechanism
US6178794B1 (en) Lever handle controller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US6536248B1 (en) Door lock-and-handle assembly
KR20040000257A (ko)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101889930B1 (ko) 푸시풀 도어락
CN210439796U (zh) 一种门锁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CA2709057C (en) Locking assembly for a door
US20140130624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an exit device for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