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929B1 -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929B1
KR102332929B1 KR1020190172342A KR20190172342A KR102332929B1 KR 102332929 B1 KR102332929 B1 KR 102332929B1 KR 1020190172342 A KR1020190172342 A KR 1020190172342A KR 20190172342 A KR20190172342 A KR 20190172342A KR 102332929 B1 KR102332929 B1 KR 10233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ring
latch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007A (ko
Inventor
윤규중
윤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19017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로크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에 설치되는 핸들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래치의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을 형성하여 스프링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프링 홈의 하부에 지지 돌기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스프링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하여 래치가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로크핸들장치{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본 발명은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로크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에 설치되는 핸들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래치의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을 형성하여 스프링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프링 홈의 하부에 지지 돌기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스프링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하여 래치가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혹은 제어반에 설치되는 핸들은, 몸체 하부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핸들의 하단이 해제되면서 핸들 상부의 축에 설치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과, 핸들의 축 후방에 돌출된 부위를 누르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핸들의 하부가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또 위와 같이 하부가 들려진 핸들을 옆으로 90°회전시키는 방식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부분 핸들의 축 후방에 설치된 걸쇠가 레버 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핸들을 젖혀 올리면 걸쇠가 문틀을 구속하다가 해제되며, 핸들을 다시 눌러서 잠그면 걸쇠가 올라가며 문틀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걸쇠와 핸들이 반시계방향으로만 축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핸들을 우측으로 돌리면 걸쇠도 따라서 우측으로 돌아 문틀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핸들은 배전반의 문을 열고자 할 때나 잠그려고 할 때 걸쇠가 문틀에 밀접되어 있어서 핸들을 옆으로 돌릴 때 뻑뻑하여 잠그거나 열 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걸쇠를 문틀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조립하면 핸들을 조작할 때 소음이 나거나 문과 문틀 사이에 틈이 생겨 외관을 해치고 덜커덩거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위와 같이 문이 문틀에 밀접하게 잠기지 않으면 배전반 내부로 물이나 먼지 또는 벌레 등이 들어가 여러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의 핸들은 옥외에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로 물이 들어가면 쉽게 부식되거나 누전이 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문헌 1은 등록특허 제10-1712087호 도어 록킹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30)와; 상기 노브(2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면서 본체부(10)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 바아(50)를 포함하고, 상기 키 조립체(30)는 키박스(31)와; 상기 키박스(31)의 일측 단부(32)에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기(36)와; 노브(20)의 설치부(21)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설치부(21)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상단부에 탄지되는 탄성부재(37);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수용부(12)안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12a)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40)에 돌출된 삽입편(40a)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 돌기(4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43)로부터 간격을 두고 삽입부(40a)의 상부면으로 하나의 가이드 돌기(4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키박스의 편심돌기가 걸림부재를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부재의 상부 내측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지지 면적이 좁기 때문에 탄성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가 휘거나 뒤틀리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걸림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걸림부재의 상부 내측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탄성부재를 내부에 삽입하여 탄성부재의 둘레 면을 감싸도록 하였으나, 도면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의 일부만을 상부로 압입하고 탄성부재의 일부는 걸림부재의 후면에서 비틀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탄성부재가 뒤틀리면서 걸림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특허문헌 1은 실제 키박스를 작동시키면 6~9시 방향으로 편심돌기가 회전하면서 편심돌기의 중심점이 멀어져서 걸림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노브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노브가 힌지부에서 원활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힌지부의 양 측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명세서의 식별부호 [0049]~[005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샤프트(4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4)와 본체부(10)의 삽입부(13) 내부에 형성된 지지턱(13a)에 일단부가 지지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전 제한부재(48)에 탄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9)가 더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한쪽에 형성되는 삽입부(13)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3)(44)가 가이드되면서 회전 및 전진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3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부(13b)는 삽입부(13)의 내주면을 따라 곡선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도 6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부는 개구된 부분이 있는 곡선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개구부는 삽입부(13)의 내부에 샤프트(40)를 조립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가이드 돌기(44)가 통과되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3b)는 양 측면(도 9a에서 상,하부 위치)에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 상기 내측 경사면(13b-1)과 외측 경사면(13b-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직선면(13b-3)과 외측 직선면(13b-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40)의 삽입편(40a) 외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부(13b)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43)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의 가이드 돌기(44)는 가이드부(13b)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가 회전하면, 한쌍의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부(13b)의 내측면의 내측 경사면(13b-1)쪽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하여 내측 직선면(13b-3)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나의 가이드 돌기(44)는 가이드부(13b)의 외측 경사면(13b-3)에 위치하고 있다가, 가이드되면서 이동하여 외측 직선면(13b-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측 경사면(13b-1)에서 내측 직선면(13b-3)으로 가이드 돌기(43)가 회전 이동시,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어서 샤프트(40)가 거리(d) 만큼 전진하여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샤프트(40)의 외주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49)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40)가 탄성부재(49)의 내부를 관통하여 축방향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49)의 반발력에 의해 도움을 받아 전진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부재(49)의 일단부는 삽입부(13)의 내부에 형성된 저지턱(13c)에 지지되어 있고, 삽입부(13)의 바깥방향으로 신장되려는 반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40)가 전진(삽입부(13)의 바깥방향) 이동시 반발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샤프트(40)의 전진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샤프트(40)를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브(20)를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진되었던 샤프트(40)의 회전 제한부재(48)가 탄성부재(49)를 압축하면서 회전 및 후퇴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처럼 노브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과정과 노브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 및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전체적인 제품의 원가가 높아지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부를 패널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압착력이 저하되어 내부로 빗물이나 물 등이 스며들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56225호 평면 핸들 장치는 핸들(2) 사용 시 핸들(2)을 기반 단부(4)의 횡단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몸체(1)의 정면 오목부(3)에서 튀어나오고 핸들(2)의 사용시에 핸들(2)이 정면 오목부(3) 내에 몰입하고, 핸들(2)이 락 기구(6)에 의해서 몸체(1)에 자물쇠를 체결하는 평면 핸들 장치에서 핸들(2)의 선단부(7)의 정면 쪽 부분을 연장하고, 첨단부(7)의 단면(7a)과 정면 오목부(3) 중 측면(3a) 사이의 틈새를 은폐하는 노즈(8)를 형성하고, 핸들(2)의 몰입 회전 때 노즈(8)이 수용하는 노즈 수용부(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핸들 장치.
특허문헌 2는 하우징(22)의 내부에 래치체(16)를 삽입하여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면서 훅부(23)가 핸들(2)의 걸림부(15)에 고정 및 분리되면서 핸들(2)이 개방되는데, 래치체(16)의 후면 상부에 돌기를 돌출시키고, 내부에 스프링(24)를 설치하여 스프링(24)의 탄성성력에 의해서 승강 작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래치체(16)에 내장된 스프링(24)은 하우징(22)의 내부 벽면에 밀착되지 않으면 작동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특허문헌 2의 하우징(22)의 내부에 래치체(16)를 설치작는 작업의 어려움과, 래치체(16)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부품의 교체작업시 하우징과 래치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래치체는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스프링을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허문헌 1에 특허문헌 2의 래치체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하는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이를 조합하여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17120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562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한 핸들의 안착부에 키 박스를 설치하고, 키 박스의 후면에 형성한 편심 축이 래치의 축 수용부에 삽입되어 래치를 승강 작동하여 핸들의 잠금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며, 래치가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래치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래치의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둘레 면을 감싸고 스프링 홈의 하부에 지지 돌기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스프링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하여 래치의 승강 작동시 스프링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치의 상부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는 스프링의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의 둘레 면이 안착 홈의 벽면에 밀착시켜 래치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유동간격을 최소화하여 래치가 원래의 자리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의 지지 돌기 상부에 스프링 고정 돌기를 돌출시켜 스프링의 바닥면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 축과 결합하는 샤프트의 연결부 내측에 스프링 설치 홈을 형성하여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스프링 설치 홈의 저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핸들의 내측에 설치하여 본체에 결합한 핸들의 해제시 탄력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에 결합하는 핸들과 샤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고, 샤프트의 후면에 설치하는 회전제어 부재의 양단부에 제1,2 회전제어 돌기를 형성하여 제1 수용부의 후면 상부에 돌출된 걸림 턱에 제1,2 회전제어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핸들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후면에 고무 패드와 브라켓을 설치하여 본체에 고정 볼트로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는 도어 패널에 설치하는 본체의 전면에 핸들을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 상부와 하부에 제1,2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에 핸들의 상부에 형성한 핸들 축을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 축에 샤프트의 연결부를 축으로 결합하여 핸들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의 연결부 후면에 회전돌기를 돌출하여 회전제어 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제어 부재는 제1 수용부에 형성된 걸림 턱에 의해 핸들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제어 부재의 후면에 걸쇠를 구비하며, 상기 걸쇠의 내측에 회전돌기를 삽입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수단; 상기 제2 수용부에 핸들의 하부 후면에 돌출된 안착부를 삽입하고, 상기 핸들의 안착부 내측에 키 박스를 설치하며, 상기 키 박스의 후면에 래치를 설치하여 핸들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래치는 전면 내측에 축 수용부를 형성하여 키 박스의 후면에 돌출된 편심 축을 삽입하여 래치를 상부와 하부로 승강 작동하고, 상기 래치의 후면 내부에 스프링 홈과 지지 돌기를 형성하여 스프링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래치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수용부 내측에 잠금 홈을 형성하여 래치의 하부가 삽입 및 이탈하는 핸들 개폐수단;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고무 패드를 밀착하고, 상기 고무 패드의 후면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본체와 고정 볼트로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지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 내부에 삽입되는 핸들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키 박스와 결합한 래치의 승강 작동시 래치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래치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휘거나 뒤틀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한 효과와, 래치의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을 형성하고, 스프링 홈의 바닥면에 지지 돌기를 후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스프링의 둘레 면과 바닥면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래치의 상부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는 스프링의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의 둘레 면이 안착 홈의 벽면에 밀착시켜 래치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유동간격을 최소화하여 래치가 원래의 자리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래치의 지지 돌기 상부에 스프링 고정 돌기를 돌출시켜 스프링의 바닥면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축과 결합하는 샤프트의 연결부 내측에 스프링 설치 홈을 형성하여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스프링 설치 홈의 저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핸들의 내측에 설치하여 본체에 결합한 핸들의 해제시 탄력적으로 핸들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하는 핸들과 샤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와, 샤프트의 후면에 설치하는 회전제어 부재의 양단부에 제1,2 회전제어 돌기를 형성하여 제1 수용부의 후면 상부에 돌출된 걸림 턱에 제1,2 회전제어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핸들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의 후면에 고무 패드와 브라켓을 설치하여 본체에 고정 볼트로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효과와,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로크핸들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로크핸들장치의 래치를 작동시킨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로크핸들장치의 본체에서 핸들을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로크핸들장치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래치의 다른 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본체(11)의 전면 내측에 설치하는 핸들(15)의 핸들 축(16)에 샤프트(17)의 연결부(17a)를 축(H)과 탄성 스프링(17f)으로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17)의 후면에는 걸쇠(19)를 설치하여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 개폐수단(10)과, 상기 핸들(15)에 설치한 키 박스(22)의 작동에 의해 키 박스(22)와 결합한 래치(24)를 승강 작동하여 핸들(15)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진행하는 핸들 계폐수단(20)과,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고무 패드(31)와 브라켓(32)을 설치하여 본체(11)를 고정 볼트(B)를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키는 지지수단(30)으로 크게 구성된다.
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도어 개폐수단(10)은, 상기 본체(11)의 후면 상부와 하부에 제1,2 수용부(12)(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부(12)의 내부에 핸들(15)의 상부에 형성한 핸들 축(16)을 설치하여 샤프트(17)의 연결부(17a)를 축(H)으로 결합하여 핸들(15)의 회전에 의해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샤프트(17)의 연결부(17a) 내측에 스프링 설치 홈(17b)을 형성하여 탄성 스프링(17f)의 일단은 스프링 설치 홈(17b)의 저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핸들(15)의 내측에 설치하여 핸들(15)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 스프링(17f)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15)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면 사용자는 핸들(15)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17)의 후면에는 회전돌기(17c)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7a)와 회전돌기(17c)의 중간에 플랜지(17d)를 돌출형성하여 후면에 패킹(17e)을 밀착하여 핸들(15)의 내부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회전돌기(17c)의 후면에 회전제어 부재(18)와 걸쇠(19)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돌기(17c)는 사각형상으로 제작되어 회전제어 부재(18)와 걸쇠(19)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구멍에 결합하여 핸들(1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제어 부재(18)의 둘레 면 양단부에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수용부(12)의 후면 상부에 돌출된 걸림 턱(14)에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 중 어느 하나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제어 부재(18)가 회전하면 반대편의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 중 어느 하나가 걸림 턱(14)에 밀착되면서 핸들(15)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회전제어 부재(18)의 후면에 걸쇠(19)를 구비하고, 상기 걸쇠(19)의 내측에 회전돌기(17c)를 삽입하여 핸들(15)을 회전하면 샤프트(17)와 회전제어 부재(18) 및 걸쇠(19)가 함께 회전하면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본체(11)의 전면 내측에 설치한 핸들(15)의 잠금 및 해제작업을 진행하는 핸들 개폐수단(20)은, 상기 제2 수용부(13)에 핸들(15)의 하부 후면에 돌출된 안착부(21)를 삽입하고, 상기 안착부(21) 내측에 안착 홈(21a)을 형성하여 내부에 래치(24)와 스프링(26)을 설치하며, 상기 안착부(21)에 키 박스(22)를 설치하여 키 박스(22)의 후면에 돌출된 편심 축(23)이 래치(24)의 전면에 형성한 축 수용부(25)에 삽입하여 편심 축(23)의 회전에 의해 래치(24)가 승강 작동하고, 상기 축 수용부(25)는 편심 축(23)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은 밀폐되면서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상기 래치(24)가 승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래치(24)의 후면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27)을 형성하여 스프링(26)을 삽입하면 스프링(26)의 하부 둘레 면이 스프링 홈(27)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되, 일반적으로 스프링 홈(27)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26)은 스프링 홈(26) 내부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26)이 휘거나 뒤틀리면서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홈(27)의 하부에 지지 돌기(28)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스프링(26) 바닥면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하여 래치(24)가 상부로 이동시 스프링(26)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과, 상기 지지 돌기(28)가 안착 홈(21a)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26)의 둘레 면이 안착 홈(21a)에 밀착되어 스프링(26)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스프링(26)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상기 래치(24)의 하부를 라운드 처리하여 래치(24)의 하부가 제2 수용부(13) 내측에 형성한 잠금 홈(29)의 내부로 삽입 및 이탈하면서 핸들(15)의 잠금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래치(24)의 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26)은 일반적으로 래치(24)의 상부에 평평한 면에 스프링(26)의 바닥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래치(24)가 상부로 이동하면 스프링(26)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래치(24)의 상부에서 이탈하여 스프링(26)이 휘거나 뒤틀리면서 꼬이게 되어 래치(2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래치(24)는 스프링(26)의 하부가 이동할 수 없도록 스프링 홈(27)을 형성하여 스프링(26)의 하부 둘레 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특징과, 스프링 홈(27)의 하부에 돌출된 지지 돌기(28)에 의해 스프링(26)의 지지면적을 최대화하여 스프링(26)의 하부가 이동할 수 없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래치(24)의 다른 실시 예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래치(24)의 지지 돌기(28) 상부에 스프링 고정 돌기(28a)를 형성하여 스프링(26)의 바닥면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설치하는 지지수단(30)은,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고무 패드(31)를 밀착하고, 상기 고무 패드(31)의 후면에 브라켓(32)을 설치하여 본체(11)와 고정 볼트(B)로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키되,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설치하는 브라켓(32)의 양 측면에 제1,2 밀착부(33)(34)를 형성하여 본체(11)와 고무 패드(31)의 양 측면에 밀착하고, 상기 제1,2 밀착부(33)(34)의 가운데 부분에 제3 밀착부(35)를 형성하며, 상기 제3 밀착부(35)는 제1,2 밀착부(33)(34)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본체(11)의 제1,2 수용부(12)(13)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제3 밀착부(35)의 내측에 고정 볼트(B)를 삽입하여 본체(11)의 후면 내측에 형성한 체결부(11a)에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어 패널(미도시)에 형성된 구멍에 핸들(15)을 결합한 본체(11)를 삽입하고, 본체의 제1 수용부(12)에 삽입된 샤프트(17)의 회전 돌기(17c)가 제1 수용부(12)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수용부(12)에 설치한 샤프트(7)는 플랜지(17d)에 결합된 패킹(17e)에 의해 제1 수용부(12)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 돌기(17c)에 회전제어 부재(18)와 걸쇠(19)를 조립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회전 돌기(17c)에 고정하면 핸들(15)의 회전에 의해 걸쇠(19)가 함께 회전하면서 걸쇠(19)의 끝 부분이 도어 패널에 잠금 및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1)의 후면에는 고무 패드(31)를 설치하고, 상기 고무 패드(31)는 내부가 관통되어 제1,2 수용부(12)(13)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무 패드(31)의 후면에 브라켓(32)을 설치하면 브라켓(32)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2 밀착부(33)(34)가 고무 패드(31)를 견고하게 압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브라켓(32)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3 밀착부(35)는 본체(11)의 제1,2 수용부(12)(13) 사이에 밀착되어 본체(11)를 도어 패널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3 밀착부(35)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볼트(B)를 체결하여 본체(11)의 체결부(11a)에 고정하면 브라켓(32)이 도어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키를 키 박스(22)에 삽입한 다음 키를 회전시키면 편심 축(23)이 래치(24)의 축 수용부(25)를 회전시키면 래치(24)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6)을 안착 홈(21a)의 상부로 압입하면 잠금 홈(29)에 삽입되어 있는 래치(24)의 하부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핸들(1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핸들(15)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 스프링(17f)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15)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작업자는 핸들(15)을 회전시키면 회전제어 부재(18)의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 중 어느 하나가 회전을 하면서 제1 수용부(12)의 걸림 턱(14)과 밀착되면 걸쇠(19)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키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면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24)의 하부가 잠금 홈(29)에 신속하게 삽입하여 핸들(15)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래치(24)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26)은 래치(24)의 스프링 홈(27)과 지지 돌기(28)에 의해 스프링(26)의 하부 둘레 면과 바닥면을 견고하게 감싸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26)이 휘거나 뒤틀리면서 래치(24)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시로 래치(24)를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과, 스프링(26)의 교체작업이 전혀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체(11)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31)와 브라켓(32)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의 내부로 물이나 먼지 또는 벌레 등이 들어갈 수 없도록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개폐수단 11: 본체
11a: 체결부 12: 제1 수용부
13: 제2 수용부 14: 걸림 턱
15: 핸들 16: 핸들 축
17: 샤프트 17a: 연결부
17b: 스프링 설치 홈 17c: 회전돌기
17d: 플랜지 17e: 패킹
17f: 탄성 스프링 18: 회전제어 부재
18a: 제1 회전제어 돌기 18b: 제2 회전제어 돌기
19: 걸쇠 20: 핸들 개폐수단
21: 안착부 22: 키 박스
23: 편심 축 24: 래치
25: 축 수용부 26: 스프링
27: 스프링 홈 28: 지지 돌기
29: 잠금 홈 30: 지지수단
31: 고무 패드 32: 브라켓
33: 제1 밀착부 34: 제2 밀착부
35: 제3 밀착부 H: 축
B: 고정 볼트

Claims (6)

  1. 도어 패널에 설치하는 본체의 전면에 핸들을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본체(11)의 후면 상부와 하부에 제1,2 수용부(12)(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부(12)의 내부에 핸들(15)의 상부에 형성한 핸들 축(16)을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 축(16)에 샤프트(17)의 연결부(17a)를 축(H)으로 결합하여 핸들(15)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17)의 연결부(17a) 내측에 스프링 설치 홈(17b)을 형성하여 탄성 스프링(17f)의 일단은 스프링 설치 홈(17b)의 저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핸들(15)의 내측에 설치하며, 상기 연결부(17a)와 회전돌기(17c)의 중간에 플랜지(17d)를 돌출형성하여 후면에 패킹(17e)을 밀착하고, 상기 샤프트(17)의 연결부(17a) 후면에 회전돌기(17c)를 돌출하여 회전제어 부재(18)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제어 부재(18)의 둘레 면 양단부에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수용부(12)의 후면 상부에 돌출된 걸림 턱(14)에 제1,2 회전제어 돌기(18a)(18b) 중 어느 하나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핸들(15)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제어 부재(18)의 후면에 걸쇠(19)를 구비하며, 상기 걸쇠(19)의 내측에 회전돌기(17c)를 삽입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수단(10);
    상기 제2 수용부(13)에 핸들(15)의 하부 후면에 돌출된 안착부(21) 내측에 안착 홈(21a)을 형성하여 내부에 키 박스(22)를 설치하고, 상기 키 박스(22)의 후면에 래치(24)와 스프링(26)을 설치하여 핸들(15)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래치(24)는 전면 내측에 축 수용부(25)를 형성하여 키 박스(22)의 후면에 설치된 편심 축(23)을 삽입하여 래치(24)를 상부와 하부로 승강 작동하고, 상기 축 수용부(25)는 편심 축(23)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은 밀폐되면서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상기 래치(24)의 후면 상부 내측에 스프링 홈(27)을 형성하여 스프링(26)을 삽입하며, 상기 스프링 홈(27)의 하부에 지지 돌기(28)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스프링(26)의 지지면적을 최대화시키고, 상기 래치(24)의 지지 돌기(28) 상단에 스프링 고정 돌기(28a)를 형성하여 스프링(26)의 바닥면을 고정하며, 상기 래치(24)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수용부(13) 내측에 잠금 홈(29)을 형성하여 래치(24)의 하부에 라운드 처리된 부분이 잠금 및 해제되는 핸들 개폐수단(20); 및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설치하는 브라켓(32)의 양 측면에 제1,2 밀착부(33)(34)를 형성하여 본체(11)와 고무 패드(31)의 양 측면에 밀착하고, 상기 제1,2 밀착부(33)(34)의 가운데 부분에 제3 밀착부(35)를 형성하며, 상기 제3 밀착부(35)는 제1,2 밀착부(33)(34)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본체(11)의 제1,2 수용부(12)(13)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제3 밀착부(35)의 내측에 고정 볼트(B)를 삽입하여 본체(11)의 후면 내측에 형성한 체결부(11a)에 고정하여 도어 패널과의 압착력을 강화시킨 지지수단(30);
    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2342A 2019-12-20 2019-12-20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233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42A KR102332929B1 (ko) 2019-12-20 2019-12-20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42A KR102332929B1 (ko) 2019-12-20 2019-12-20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07A KR20210080007A (ko) 2021-06-30
KR102332929B1 true KR102332929B1 (ko) 2021-11-30

Family

ID=7660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42A KR102332929B1 (ko) 2019-12-20 2019-12-20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3250B (zh) * 2021-09-24 2023-03-28 东莞怡合达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把手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27Y1 (ko) * 1999-03-31 2001-06-15 윤규중 배전반용 핸들
KR101504179B1 (ko) * 2013-04-25 2015-03-19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1802408B1 (ko) * 2015-12-22 2017-11-28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3820B2 (ja) 2002-11-05 2007-08-2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
KR101712087B1 (ko)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27Y1 (ko) * 1999-03-31 2001-06-15 윤규중 배전반용 핸들
KR101504179B1 (ko) * 2013-04-25 2015-03-19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1802408B1 (ko) * 2015-12-22 2017-11-28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07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957B2 (en) Locking window device
US5707092A (en) Self-aligning loop striker
EP0064297A2 (en) Inside-handle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door assembly
US6612630B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split housing
KR20010042829A (ko) 슬라이드 래치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2332929B1 (ko)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JPH10151254A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4707630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US5785365A (en) Anti-snagging striker
KR20100064188A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US20020171248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a glove box
CN1312370C (zh) 直线挤压闩锁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4648636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100008581A (ko) 차량용 연료필러도어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80064076A (ko) 건물용 현관문
JP429909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004337415A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S6121088Y2 (ko)
KR200177524Y1 (ko) 캐비닛용 잠금장치
CN210768256U (zh) 一种自动开启插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