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873B1 -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 Google Patents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873B1
KR101946873B1 KR1020180091303A KR20180091303A KR101946873B1 KR 101946873 B1 KR101946873 B1 KR 101946873B1 KR 1020180091303 A KR1020180091303 A KR 1020180091303A KR 20180091303 A KR20180091303 A KR 20180091303A KR 101946873 B1 KR101946873 B1 KR 10194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rail
sliding doo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녹하
Original Assignee
이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3691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468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녹하 filed Critical 이녹하
Priority to KR102018009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 사이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거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SLIDING AND HINGED DOOR}
본 개시내용은 미닫이와 여닫이 방식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의 출입구나 창 등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통상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도어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미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경우 공간적 제약은 줄일 수 있으나, 도어가 이동되는 경로 상의 벽면에 도어가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출입구나 창의 크기를 넓히기 힘들다.
종래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이 결합된 복합 방식의 도어가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복합 도어는 서로 분리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미닫이 방식 도어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닫이 방식 도어편을 구비한다. 이에, 복합 도어는 미닫이 도어편들을 슬라이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을 여닫이 도어편에 겹쳐진 상태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본 과제는 미닫이 도어편이 여닫이 도어편에 겹쳐져 회전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편이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 사이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여닫이 도어편 개페시 레일프레임의 분리 위치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를 보다 원활하게 회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는,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상기 미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를 걸어 고정하는 푸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 도어편 및 복수의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일측 미닫이 도어편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은 각각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 회전에 따라 같이 연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대향하는 선단면은 상부 수평패널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높이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방지부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수평프레임과 레일프레임 선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선단에는 상기 틈새로 삽입되는 지지바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가 틈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미닫이 도어편이 여닫이 도어편에 겹쳐져 개방된 상태에서는 미닫이 도어편이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미닫이 도어편이 빠져나가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프레임의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닫이 도어편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개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닫이 도어편을 회전 개폐할 때, 분리되어 있는 레일프레임이 서로 간섭없이 보다 매끄럽게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원활하게 회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전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후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도어편은 도어를 개폐하는 개별 단위의 도어틀을 지칭한다. 또한, 미닫이 도어편은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하고, 여닫이 도어편은 회전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여닫이 도어편에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도어(100)는 메인프레임(10), 레일프레임(20), 회전프레임(30), 미닫이 도어편(40) 및 여닫이 도어편(4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은 외측 뼈대를 이루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상단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1) 및 양 측단을 이루는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수평프레임(11)을 따라 레일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은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한다.
레일프레임(20)은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21)이 형성되고, 각 레일(21)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레일(21)이 단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단축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장축방향이라 함은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미닫이 도어편(40) 상단에는 레일프레임(20)의 레일에 놓여져 레일(21)을 따라 구르는 휠(44)이 설치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은 휠(44)을 매개로 레일(21)에 걸쳐져 지지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휠이 구르면서 장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은 일측 선단부가 절단되어 레일프레임(20)과 분리된 회전프레임(30)을 이룬다. 회전프레임(30)은 레일프레임(20)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13) 또는 수평프레임(11)임(12)에는 회전축(32)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30)은 회전축(32)에 축결합되어 회전축(32)를 매개로 회전된다.
회전프레임(30)은 레일프레임(20)에서 절단된 일부분으로, 레일프레임(20)과 동일하게 레일(31)이 형성된다. 이에, 회전프레임(30)이 레일프레임(20)의 절단부가 마주하도록 같은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이 어긋나지 않고 서로 일치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40)의 휠(44)이 연결된 레일(21,31)을 따라 레일프레임(20)에서 회전프레임(30)으로 구르게 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을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 전면에 설치되어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을 가려주는 전면마감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도어(100)의 후면에도 역시 후면마감패널(15)이 구비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단부를 가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마감패널(14)은 수평프레임(1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 구조물로, 전면은 평평한 단일면을 이룰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의 전면에는 전면마감패널(14)을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부(16)가 돌출 형성된다. 전면마감패널(14)에는 상기 후크부(16)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홀더부(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마감패널(14)의 하단은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전면마감패널(14)은 수평프레임(11) 전면은 물론 수평프레임(11) 아래쪽에 설치된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및 슬라이딩을 위한 휠(44)과 미닫이 도어편(40) 사이 틈새를 모두 덮어 가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면마감패널(14)에 의해 도어의 복잡한 부분이 가려져, 외부에서는 도어의 전면마감패널(14)만이 보이게 된다. 이에, 도어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하여 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복합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마감패널(15) 역시 미닫이 도어편(40)과 휠 사이의 복잡한 연결구성부와 틈새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마감패널(15)은 레일프레임(20)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프레임(20)의 후면쪽에 위치한 레일 부분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43)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미닫이 도어편(40)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에, 레일프레임 후면쪽에 위치한 레일 부분은 하단이 단순 개방된 형태로 이 곳에 후면마감패널(15)을 끼워 설치할 수 있다. 후면마감패널(15)은 예를 들어, 레일프레임(20)의 후면쪽 레일 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단은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43)은 도 1에서 단축인 y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배치된다. 여닫이 도어편(43)은 회전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회전프레임(30) 회전시 같이 회전되어 개페된다. 여닫이 도어편(43)의 하단은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축(320에 축 결합된다.
미닫이 도어편(40)은 도 1에서 장축인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이 구비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닫이 도어편(43)에 이웃한 미닫이 도어편을 중간 도어편(41)이라 하고, 그 외측에 배치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외측 도어편(42)이라 한다. 미닫이 도어편(40)이라 함은 중간 도어편(41)과 외측 도어편(42) 두 개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는 연동부(50)를 구비하여, 미닫이 도어편(40)과 여닫이 도어편(43)이 연동하여 움직이는 구조일 수 있다. 도어편의 연동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도어(100)는 레일프레임(20)에 대해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40)을 모두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축(32)를 중심으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
회전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레일프레임(20)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레일프레임(20) 선단에 접하거나, 회전축(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레일프레임(20)에서 이격된다.
회전프레임(30)과 레일프레임(20)은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어, 회전프레임(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레일프레임(20)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회전프레임(30)과 레일프레임(20) 선단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사이의 마주하는 선단면은 수평프레임(11)의 단축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R)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의 선단면 각도(R)와 이에 대향하는 회전프레임(30)의 선단면 각도(R)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30)의 선단면 각도(R)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회전프레임(30)의 장축방향 길이가 점차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레일프레임(20)의 선단면 각도(R)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레일프레임(20)의 장축방향 길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여닫이 도어편(43) 개방으로 회전프레임(30)이 회전축(32)를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회전프레임(30) 선단면이 레일프레임(20) 선단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편(43)을 닫는 경우 회전프레임(30)이 레일프레임(2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되어 레일프레임(20)에 일직선으로 배치되며, 회전프레임(30) 선단면은 레일프레임(20) 선단면에 최대한 근접하여 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이 서로 근거리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는 단차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사이에서 높이차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분리되어 있는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과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 사이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차방지부는, 회전프레임(30) 선단부에 레일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1)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바(60)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바(60)는 두께가 얇은 판 구조물로, 회전프레임(30) 선단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에의 회전프레임(30) 선단면은 언급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바(60)가 회전프레임(30) 축방향으로 설치되면 회전프레임(3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바(6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레일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1) 사이에는 틈새(62)가 형성된다. 틈새(62)는 수평프레임(11)과 레일프레임(20) 사이에 스페이서(61)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스페이서(61)는 지지바(60)와 동일하거나 지지바(6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바(60)는 스페이서(61)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1)과 레일프레임(20) 사이 틈새(6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43)이 닫혀지면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된 지지바(60)가 틈새(62)로 삽입된다. 지지바(60)는 레일프레임(20)에 의해 받쳐져 지지된다. 이에, 지지바(60)가 설치된 회전프레임(30)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레일프레임(20)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이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어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40)의 휠(44)이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과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 사이를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개폐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미닫이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 회전프레임(30)을 고정하여 여닫이 도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3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여닫이 도어편(43)의 선단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걸쇠(70)가 설치되고, 수평프레임(11)에는 걸쇠(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쇠(70)가 삽입되는 고정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걸쇠(70)는 예를 들어, 홀더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바를 구비한 구조로, 바에 설치된 레버를 홀더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여 걸쇠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걸쇠(70)를 위로 올려 걸쇠 선단이 고정홀(7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여닫이 도어편(43)이 설치된 회전프레임(30)이 회전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다 간단하게 회전프레임(30)을 닫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는 회전프레임(30)에 구비되어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는 회전프레임(30)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80), 수직패널(80)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STRIKE)(81), 미닫이 도어편(40) 선단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81)를 걸어 고정하는 푸시 래치(PUSH LATCH)(8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패널(80)은 두께가 ??은 판 구조물로, 회전프레임(30)의 회전축(32) 쪽 측단에 설치되어 회전프레임(30)의 측면을 이룬다. 푸시 래치(82)는 예를 들어, 스트라이크(81)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스트라이크(81)의 터치에 따라 클램프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져 스트라이크(81)를 클램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푸시 래치(82)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수직패널(80) 쪽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크(81)가 푸시 래치(82)를 누르게 되고 푸시 래치(82)의 클램프가 오므려져 스트라이크(81)를 클램핑한다. 스트라이크(81)가 푸시 래치(82)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을 다시 밀어주게 되면 스트라이크(81)가 푸시 래치(92)를 다시 눌러주면서 클램프가 벌어져 클램핑이 해제된다.
미닫이 도어편(40)은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므로, 중간 도어편(41) 또는 외측 도어편(42) 어느 한쪽에만 잠금부를 설치해도 미닫이 도어편(40)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래치(82)는 외측 도어편(42)에만 설치될 수 있다. 외측 도어편(42)에 설치된 푸시 래치(82)의 위치에 맞춰 수직패널(80)에 스트라이크(8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외측 도어편(42)에 설치된 푸시 래치(82)가 수직패널(80)에 설치된 스트라이크(81)를 클램핑하게 되면 외측 도어편(41)은 고정되고 이에 연동된 중간 도어편(41) 역시 고정되어 미닫이 도어편(40)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미닫이 도어편(40)이 레일(21,31)을 따라 회전프레임(30)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수직패널(80)의 스트라이크(81)가 푸시 래치(82)에 클램핑되면서, 미닫이 도어편(4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0)에 위치한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에서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과 여닫이 도어편(43)은 연동부(50)를 매개로 서로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동이라 함은 한쪽 미닫이 도어편(40)을 움직이면 전체 미닫이 도어편(40)이 완전히 펼쳐지거나 서로 겹쳐지도록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여 연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50)는, 중간 도어편(41)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51), 풀리(51)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벨트(52)를 포함하고, 풀리(52)가 설치된 중간 도어편(4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43)과 외측 도어편(42)은 각각 연결구(53)를 매개로 벨트(52)에 고정되어, 벨트 이동에 따라 같이 연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미닫이 도어편(40) 상단에 휠(44)이 설치되어 레일에 지지된 구조로, 연동부(50)는 도어편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간 도어편(41)의 장축방향으로 양 측 선단부에 한 쌍의 풀리(5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벨트(52)는 한 쌍의 풀리(51)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된다. 중간 도어편(41)의 전면쪽에 배치된 외측 도어편(42)과 후면쪽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43)의 하단에는 각각 연결구(53)가 설치된다. 각 연결구(53)는 벨트쪽으로 연장되어 벨트(52)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벨트(52)에 대한 각 연결구(53) 설치 위치는, 미닫이 도어편(40)이 완전히 닫혀졌을 때 또는 완전히 개방되어 회전프레임(30)쪽으로 이동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두 개의 연결구(53)가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서 벨트(5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여닫이 도어편(43)에 설치된 연결구(53)는 중간 도어편(41)의 좌측 풀리쪽에서 벨트(52)에 고정되고, 외측 도어편(42)에 설치된 연결구(53)는 중간 도어편(41)의 우측 풀리쪽에서 벨트(5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고정되어 있는 여닫이 도어편(43)에 대해 중간 도어편(41)이 이동되면서 벨트(52)가 회전되고, 벨트에 연결구(53)를 매개로 연결된 외측 도어편(42) 역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40) 전체가 같이 움직이면서 펼쳐져 도어가 닫혀지거나, 회전프레임(30)쪽으로 이동되어 겹쳐지면서 개방된다. 여동부는 복수의 도어편을 연동시켜 같이 움직이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1 : 수평프레임
14 : 전면마감패널 15 : 후면마감패널
16 : 후크부 17 : 홀더부
20 : 레일프레임 21,31 : 레일
30 : 회전프레임 32 : 회전축
40 : 미닫이 도어편 41 : 중간 도어편
42 : 외측 도어편 43 : 여닫이 도어편
44 : 휠 50 : 연동부
51 : 풀리 52 : 벨트
53 : 연결구 60 : 지지바
61 : 스페이서 62 : 틈새
70 : 걸쇠 71 : 고정홀
80 : 수직패널 81 : 스트라이크
82 : 푸시 래치

Claims (7)

  1. 삭제
  2.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및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높이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방지부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수평프레임과 레일프레임 선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선단에는 상기 틈새로 삽입되는 지지바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가 틈새에 끼워져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대향하는 선단면은 상부 수평프레임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걸쇠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5. 삭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및 상기 미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를 걸어 고정하는 푸시 래치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KR1020180091303A 2018-08-06 2018-08-06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KR10194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03A KR101946873B1 (ko) 2018-08-06 2018-08-06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03A KR101946873B1 (ko) 2018-08-06 2018-08-06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873B1 true KR101946873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303A KR101946873B1 (ko) 2018-08-06 2018-08-06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8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292A (zh) * 2019-04-22 2019-07-26 江苏银奕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能平开的推拉窗
KR20210027701A (ko) 2019-09-02 2021-03-11 이현강 접이식 창호 시스템
CN113739479A (zh) * 2021-08-24 2021-12-03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多方式开门的冷藏箱
US11530024B2 (en) 2020-09-08 2022-12-20 Airbus Americas, Inc. Variable width door for cockpit secondary barrier and other aircraft cabin applications
CN115522850A (zh) * 2022-09-30 2022-12-27 宁波欧尼克科技有限公司 一种重叠推开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05Y1 (ko) *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퍼스텍인터내셔날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200390848Y1 (ko) * 2005-05-11 2005-07-28 주식회사 알루스 회전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05Y1 (ko) *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퍼스텍인터내셔날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200390848Y1 (ko) * 2005-05-11 2005-07-28 주식회사 알루스 회전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292A (zh) * 2019-04-22 2019-07-26 江苏银奕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能平开的推拉窗
KR20210027701A (ko) 2019-09-02 2021-03-11 이현강 접이식 창호 시스템
US11530024B2 (en) 2020-09-08 2022-12-20 Airbus Americas, Inc. Variable width door for cockpit secondary barrier and other aircraft cabin applications
CN113739479A (zh) * 2021-08-24 2021-12-03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多方式开门的冷藏箱
CN115522850A (zh) * 2022-09-30 2022-12-27 宁波欧尼克科技有限公司 一种重叠推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73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US10273730B2 (en) Adjustable door hinge
CA2772762A1 (en) Modular multi-point lock system
US6691462B2 (en) Sliding structure
US10947757B2 (en) Interlock security device
KR20160120263A (ko) 폴딩도어 경첩
KR20190052325A (ko)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102340129B1 (ko) 턴/틸트 창호시스템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6026448B2 (ja) 連動開閉装置を備えた複動式の開閉ドア、およびドアの連動開閉装置
KR200438578Y1 (ko) 단차 없는 미닫이문
EP2977534B1 (en) Rail, particularly for in-wall frames of sliding doors
JP5835424B2 (ja) 遊技機
JP7010729B2 (ja) ブース用の円弧状ドア装置
KR101829589B1 (ko) 개별 이동 및 개폐 가능한 복수의 도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JP2740069B2 (ja) ドアとドア枠との係止部構造
KR101661459B1 (ko) 미서기창
KR102062223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KR102352492B1 (ko) 횡방향 위치조절식 도어록 어셈블리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914764B1 (ko) 도어락 세트
JP7320242B2 (ja) 安全柵
JP2534381Y2 (ja) 棚組立体の安全機構
KR102382840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창문 시스템
JP3251226B2 (ja) 浴室折戸の外れ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2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23

Effective date: 202002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796;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79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318

Effective date: 202008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30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08

Effective date: 202012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1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21

Effective date: 202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