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223B1 -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 Google Patents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223B1
KR102062223B1 KR1020190051669A KR20190051669A KR102062223B1 KR 102062223 B1 KR102062223 B1 KR 102062223B1 KR 1020190051669 A KR1020190051669 A KR 1020190051669A KR 20190051669 A KR20190051669 A KR 20190051669A KR 102062223 B1 KR102062223 B1 KR 10206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ame
rail
sliding doo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녹하
Original Assignee
이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5688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622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녹하 filed Critical 이녹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8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 사이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거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각 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SLIDING AND HINGED DOOR AND CONNECTOR FOR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미닫이와 여닫이 방식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의 출입구나 창 등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통상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도어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미닫이 방식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경우 공간적 제약은 줄일 수 있으나, 도어가 이동되는 경로 상의 벽면에 도어가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출입구나 창의 크기를 넓히기 힘들다.
종래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이 결합된, 복합 방식의 도어가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복합 도어는 서로 분리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미닫이 방식 도어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닫이 방식 도어편을 구비한다. 이에, 복합 도어는 미닫이 도어편들을 슬라이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을 여닫이 도어편에 겹쳐진 상태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본 과제는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여닫이 도어편 개폐시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분리 위치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를 보다 원활하게 회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여닫이 도어편 개폐에 따라 미닫이 도어편에 대한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되어 도어편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도어편 잠금을 위한 구성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보다 깔끔하고 세련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연동도어는,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도어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높이를 같게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접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구에 형성되는 단턱, 상기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단턱에 걸쳐져 상기 레일프레임에 대한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단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레일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레일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지지편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회전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회전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수평패널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는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은 상기 지지편이 진입하는 입구쪽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 선단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부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서로 접하는 상기 단턱과 상기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단턱 또는 상기 지지편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홈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접합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분리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연결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 상기 걸림바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 상기 제1 연결구 전면에 상기 레버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와 접속시 레버를 밀어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 상기 미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를 걸어 고정하는 푸시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미닫이 도어편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자석이 부착되는 자성판,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편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에 대해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밀어 자성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판은 상기 수직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판은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자석 위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대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대는 상기 자성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자성판은 전면에 상기 밀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프레임 회전시 상기 자성판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밀대는 상기 자성판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 회전시 상기 자성판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여닫이 도어편 및 복수의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일측 미닫이 도어편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은 각각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 회전에 따라 같이 연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도어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여닫이 도어편 선단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걸쇠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여닫이 도어편 개방시에는 미닫이 도어편이 자동으로 잠겨 미닫이 도어편이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닫이 도어편을 닫은 상태에서는 미닫이 도어편의 고정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미닫이 도어편을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의 잠금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미닫이 도어편이 빠져나가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는 레일프레임의 분리 위치에서 처짐이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닫이 도어편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개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닫이 도어편을 회전 개폐할 때, 분리되어 있는 레일프레임이 서로 간섭없이 보다 매끄럽게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원활하게 회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별도의 유닛을 이루어 도어의 프레임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도어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다 깔끔하고 세련되게 형성하여, 제품의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연결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도어편은 도어를 개폐하는 개별 단위의 문짝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편은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하고, 여닫이 도어편은 회전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여닫이 도어편에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도어(100)는 메인프레임(10), 레일프레임(20), 회전프레임(30), 미닫이 도어편(40) 및 여닫이 도어편(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에는 연결구(60)가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0)은 외측 뼈대를 이루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상단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1) 및 양 측단을 이루는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메인프레임(10)은 하단을 이루는 바닥프레임(12)을 더 포함하여 격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수평프레임(11)을 따라 레일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은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한다.
레일프레임(20)은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21)이 배열 형성되고, 각 레일(21)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레일(21)이 단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단축방향이라 함은 직교좌표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쪽으로 도 1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장축방향이라 함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쪽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미닫이 도어편(40) 상단에는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에 놓여져 레일(21)을 따라 구르는 휠(44)이 설치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은 휠(44)을 매개로 레일(21)에 걸쳐져 지지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휠이 구르면서 장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은 일측 선단부가 절단되어 레일프레임(20)과 분리된 회전프레임(30)을 이룬다. 회전프레임(30)은 레일프레임(20)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13) 또는 수평프레임(11)에는 회전축(32)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30)은 회전축(32)에 축결합되어 회전축(32)를 매개로 회전된다.
회전프레임(30)은 레일프레임(20)에서 분리된 일부분으로, 레일프레임(20)과 동일하게 레일(31)이 형성된다.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21,31)을 연결한다. 연결구(60)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이에, 회전프레임(30)이 레일프레임(2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 역시 어긋나지 않고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연결구(60)는 회전프레임(30)과 레일프레임(20) 사이에서 각 레일(31,31)을 연결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40)이 이동되면, 미닫이 도어편의 휠(44)이 연결구(60)를 매개로 연결된 레일(21,31)을 따라 레일프레임(20)에서 회전프레임(30)으로 원활하게 구르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을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 전면에 설치되어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을 가려주는 전면마감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동 도어(100)의 후면에도 역시 후면마감패널(15)이 구비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단부를 가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마감패널(14)은 수평프레임(1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 구조물로, 전면은 평평한 단일면을 이룰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의 전면에는 전면마감패널(14)을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부(16)가 돌출 형성된다. 전면마감패널(14)에는 상기 후크부(16)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홀더부(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마감패널(14)의 하단은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전면마감패널(14)은 수평프레임(11) 전면은 물론 수평프레임(11) 아래쪽에 설치된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및 슬라이딩을 위한 휠(44)과 미닫이 도어편(40) 사이 틈새를 모두 덮어 가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면마감패널(14)에 의해 도어의 복잡한 부분이 가려져, 외부에서는 도어의 전면마감패널(14)만이 보이게 된다. 이에, 도어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하여 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연동 도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마감패널(15) 역시 미닫이 도어편(40)과 휠 사이의 복잡한 구성부와 틈새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후면마감패널(15)은 레일프레임(20)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프레임(20)의 후면쪽에 위치한 레일 부분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43)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미닫이 도어편(40)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에, 레일프레임 후면쪽에 위치한 레일 부분은 하단이 단순 개방된 형태로 이 곳에 후면마감패널(15)을 끼워 설치할 수 있다. 후면마감패널(15)은 예를 들어, 레일프레임(20)의 후면쪽 레일 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단은 미닫이 도어편(4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43)은 도 1에서 단축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배치된다. 여닫이 도어편(43)은 회전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회전프레임(30) 회전시 같이 회전되어 개폐된다. 여닫이 도어편(43)의 하단은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축(32)에 축 결합된다.
미닫이 도어편(40)은 도 1에서 장축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이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닫이 도어편(43)에 이웃한 미닫이 도어편을 중간 도어편(41)이라 하고, 그 외측에 배치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외측 도어편(42)이라 한다. 미닫이 도어편(40)이라 함은 중간 도어편(41)과 외측 도어편(42) 두 개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편 사이에 연동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40)과 여닫이 도어편(43)은 연동부(50)를 매개로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연동이라 함은 한쪽 미닫이 도어편(40)을 움직이면 전체 미닫이 도어편(40)이 완전히 펼쳐지거나 서로 겹쳐지도록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50)는, 중간 도어편(41)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51), 풀리(51)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벨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52)가 설치된 중간 도어편(4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43)과 외측 도어편(42)은 각각 브라켓(53)을 매개로 벨트(52)에 고정되어, 벨트 이동에 따라 같이 연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는 미닫이 도어편(40) 상단에 휠(44)이 설치되어 레일에 지지된 구조로, 연동부(50)는 도어편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간 도어편(41)의 장축방향으로 양 측 선단부에 한 쌍의 풀리(5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벨트(52)는 한 쌍의 풀리(51)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된다. 중간 도어편(41)의 전면쪽에 배치된 외측 도어편(42)과 후면쪽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43)의 하단에는 각각 브라켓(53)이 설치된다. 각 브라켓(53)은 벨트쪽으로 연장되어 벨트(52)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벨트(52)에 대한 각 브라켓(53) 설치 위치는, 미닫이 도어편(40)이 완전히 닫혀졌을 때 또는 완전히 개방되어 회전프레임(30)쪽으로 이동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두 개의 브라켓(53)이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서 벨트(5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여닫이 도어편(43)에 설치된 브라켓(53)은 중간 도어편(41)의 좌측 풀리쪽에서 벨트(52)에 고정되고, 외측 도어편(42)에 설치된 브라켓(53)은 중간 도어편(41)의 우측 풀리쪽에서 벨트(5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고정되어 있는 여닫이 도어편(43)에 대해 중간 도어편(41)이 이동되면서 벨트(52)가 회전되고, 벨트에 브라켓(53)을 매개로 연결된 외측 도어편(42) 역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40) 전체가 같이 움직이면서 펼쳐져 도어가 닫혀지거나, 회전프레임(30)쪽으로 이동되어 겹쳐지면서 개방된다. 여동부는 복수의 도어편을 연동시켜 같이 움직이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연동 도어(100)는 레일프레임(20)에 대해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40)을 모두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축(32)를 중심으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사이의 마주하는 선단에 연결구(60)가 설치된다.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21,31)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연결구(6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20)의 선단에 설치되며 레일프레임의 레일(21)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61), 회전프레임(30) 선단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61)에 접하며 회전프레임의 레일(31)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62),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제1 연결구(61)에 형성되는 단턱(63),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연결구(6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는 각각 분리된 별개의 구성부를 이룬다.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제 1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20)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레일프레임(20)의 선단부를 이룬다. 제2 연결구(62)는 회전프레임(30)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프레임(30)의 선단부를 이루며 회전프레임(30)과 같이 움직인다. 회전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레일프레임(20)에 고정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어 서로 맞물리거나 이격되어 분리된다.
제1 연결구(61)는 전면에 단턱(63)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레일프레임(20) 선단에 끼워지도록 레일프레임(20)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67)를 구비한 몸체(65)와, 몸체(65)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20)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69), 몸체(65)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20)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71)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67)는 레일프레임(20)의 선단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구(61)는 몸체(65)에 형성된 삽입부(67)에 레일프레임(20)의 선단이 끼워짐으로써 레일프레임(2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의 휠(44)이 연결레일(71)을 지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편의 하중을 연결레일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결속부(69)는 예를 들어,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레일프레임과 너트 사이를 볼트로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몸체(65)에 형성되는 연결레일(71)은 레일프레임(20)에 형성되는 레일(21)과 같은 개수 및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이에, 미닫이 프레임의 휠(44)이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제1 연결구(61)의 연결레일(71)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 연결구(62)는 전면에 지지편(64)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회전프레임(30) 선단에 끼워지도록 회전프레임(30)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68)를 구비한 몸체(66)와, 몸체(66)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30)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70), 몸체(66)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30)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구(62) 또한, 삽입부(68)는 회전프레임(30)의 선단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구(62)는 몸체(66)에 형성된 삽입부(68)에 회전프레임(30)의 선단이 끼워짐으로써 회전프레임(3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의 휠(44)이 연결레일(72)을 지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편의 하중을 연결레일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결속부(70)는 예를 들어,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회전프레임과 너트 사이를 볼트로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몸체(66)에 형성되는 연결레일(72)은 회전프레임(30)에 형성되는 레일(31)과 같은 개수 및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이에, 미닫이 프레임의 휠(44)이 회전프레임(20)의 레일(31)과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2)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는 제1 연결구(61)에 접하거나, 제1 연결구(61)에서 이격된다. 이에,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회전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접하거나 분리된다.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는 제2 연결구(62)와 레일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제1 연결구(61)은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어, 회전프레임(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고 있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전면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의 마주하는 전면은 회전프레임(30)의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R)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제1 연결구과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수평프레임의 단축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여닫이 도어편(43) 개방으로 회전프레임(30)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된 제2 연결구(62)의 전면이 레일프레임(20)에 설치된 제1 연결구(61)의 전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43)을 닫는 경우에도 역시,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의 전면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더라도 서로 간섭없이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전면을 최대한 근접하여 밀착시킬 수 있어, 연결레일(71,72)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닫이 도어편(40)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사이가 단턱(63)과 지지편(64)으로 결합되어 회전프레임(3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턱(63)은 제1 연결구(61) 전면에 단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64)은 단턱(63)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제2 연결구(62) 전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회전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접하게 되면 제2 연결구(62)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편(64)이 제1 연결구(61)의 단턱(63) 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지지편(64)은 단턱(63) 상에 걸쳐지면서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받쳐져 지지된다.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30)은 회전축(32)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로, 자유단인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선단쪽은 자중에 의해 처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턱(63)에 지지편(64)을 매개로 회전프레임(30)의 자유단이 제1 연결구(61)에 받쳐 지지됨으로써, 회전프레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여닫이 도어편(43)이 닫혀지면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된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이 제2 연결구(62)의 단턱(63)으로 이동된다. 지지편(64)은 단턱(63)에 받쳐져 지지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30)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레일프레임(20)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이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어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연결구(61)의 단턱(63)에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이 걸쳐져 지지됨으로써, 제1 연결구(61)이 설치된 레일프레임(20)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30)이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가 밑으로 처지지 않아 제1 연결구(61)의 연결레일(71)과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의 높이는 서로 일치되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되어 있는 레일프레임(20)의 레일(21)과 회전프레임(30)의 레일(31) 사이 및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1,72)사이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의 휠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40)이 어느 한 곳에 걸리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개폐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턱(63)은 지지편(64)이 진입하는 입구쪽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73)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63)에 지지되는 지지편(64) 역시 단턱(63)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편(64)은 단턱(63)의 진입로(73)에 대응되는 부분은 진입로의 형태와 같이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단턱(63)에 진입로(73)가 형성되더라도 지지편(64)은 단턱(63) 상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된다.
이와 같이, 단턱(63)으로 이동되는 지지편(64) 선단의 상하 두께보다 단턱(63)의 진입로(73) 높이가 충분히 커, 회전프레임(30)의 자중에 의해 지지편(64)이 밑으로 처진 경우에도 지지편(64) 선단이 단턱(63)과 간섭되지 않고 단턱(63)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0)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로 이동되어 접하는 과정에서 지지편(64) 선단이 단턱(63)에 걸리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단턱(63)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를 탄성적으로 고정하여 서로 간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속부는 서로 접하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전면 일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구(60)는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74), 제1 연결구(61)의 단턱(63) 상에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돌기(74)가 안착되는 홈(76)이 형성된 탄성바(7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74)와 홈(76)의 형성 위치 및 그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돌기(74)는 지지편(64)의 하단에 단턱(6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홈(76)은,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7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76)는 단턱(63) 부분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바(75)의 선단에 상부를 향해 홈(76)이 형성된다.
이에, 회전프레임(30)이 완전히 닫혀 지면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가 결합되면서 지지편(64)에 형성된 돌기(74)가 단턱(63)의 탄성바(75)에 형성된 홈(76)에 안착된다. 홈(76)이 형성된 탄성바(75)는 돌기(74)가 홈(76)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휘면서 홈(76)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홈(76)이 돌기(74)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홈(76)이 탄력적으로 돌기(74)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적당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고정되어 여닫이 도어가 쉽게 회전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프레임(30)이 닫혀진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에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회전프레임(30)이 회전되면서 여닫이 도어가 개방된다. 탄성바의 탄성복귀력 이상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돌기는 홈에서 이탈된다. 탄성바는 돌기가 홈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었다 복귀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를 이루는 회전프레임을 간단하게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회전프레임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80)는 회전프레임(30)이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미닫이 도어편(40)을 고정하여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회전프레임(30)이 완전히 닫혀지게 되면 미닫이 도어편(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40)는 연결구(60)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접합시 미닫이 도어편(40)의 고정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분리시 미닫이 도어편(40)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부(80)가 연결구(60)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연결구(60) 외관이나 레일프레임(20)과 회전프레임(30) 외관을 보다 깔끔하고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프레임(30)의 닫힘과 열림에 따라 미닫이 도어편(40)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실수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잠금부(80)는 제2 연결구(6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2)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81), 걸림바(81)와 제2 연결구(62)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바(81)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82), 걸림바(81) 측면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6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83), 제1 연결구(61) 전면에 레버(83)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제2 연결구(62)와 접속시 레버(83)를 밀어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 밖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8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바(81)의 외측에는 걸림바(81)를 포함한 잠금부(80)의 구성부를 감싸며 제1 연결구(61)에 결합되는 커버(8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면서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레버(83)가 밀리거나, 탄성부재(82)에 의한 탄성복귀력에 의해 걸림바(81)가 이동된다. 따라서, 걸림바(81)는 연결레일쪽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잠금부(80)는 걸림바(81)가 미닫이 도어편 중 중간 도어편(41)이 이동하는 안내레일(72) 쪽으로 돌출되어 중간 도어편(41)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조일 수 있다.
미닫이 도어편(40)은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므로, 중간 도어편(41)만을 고정하더라도 이에 연동된 외측 도어편(42) 역시 움직일 수 없어, 미닫이 도어편(40) 전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잠금부(80)는 단축방향을 따라 여닫이 도어편(43)이 위치한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43)에 이웃하여 중간 도어편(41)이 위치하므로, 걸림바(81)는 단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간 도어편(41)이 지나는 연결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레일(72)의 측면에는 걸림바(81)가 나오는 구멍(87)이 관통 형성된다. 걸림바(81)는 구멍(87)을 통해 연결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되어 중간 도어편(41)의 휠(44)을 차단하는 스토퍼로 작용한다.
걸림바(81)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바(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85)는 제2 연결구(62)에 설치되어 단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바(81)는 가이드바(85)에 끼워져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된다. 걸림바(81) 내측과 가이드바(85)의 선단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82)가 설치된다.
레버(83)는 걸림바(81)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연결구(62) 전면에 형성된 장공(88)을 통해 돌출된다. 장공은 걸림바(81)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단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제1 연결구(61)의 전면에는 레버(83)와 대응되는 위치에 레버(83)가 걸리도록 된 레버시트(84)가 형성된다. 레버시트(84)는 레버(83)가 걸리도록 된 단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61)의 단축방향 측단에 형성된 홈의 끝단일 수 있다.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어 결합함에 따라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레버(83)가 걸려 밀리면서 걸림바(81)가 이동된다.
레버시트(84)는, 여닫이 도어편이 완전히 닫혀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결합되었을 때, 걸림바(81) 선단이 안내레일(72)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레버(83)를 충분히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잠금부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도어편(43)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바(81)가 안내레일(72)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중간 도어편(4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즉, 걸림바(81)에 형성된 레버(83)가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의해 밀려나면서 걸림바(81)가 연결레일(72) 밖으로 이동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 상에서 걸림바(81)가 제거되면서 미닫이 도어편(40)은 안내레일(7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미닫이 도어편을 밀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미닫이 도어편(40)이 모두 회전프레임(30) 쪽으로 이동되면 레일프레임(20)에 대해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여닫이 도어편을 회전 개방할 수 있다.
회전프레임(30)이 회전 개방되어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레버(8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에, 레버(83)가 형성된 걸림바(81)는 탄성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레일(72) 쪽으로 이동되어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다.
즉,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격되면서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의한 레버(8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다. 이에, 걸림바(81)는 탄성부재(8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이동되어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다.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의 중간 도어편(41)은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바(8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중간 도어편(41)은 걸림바(81)에 걸려 안내레일을 지나가지 못하고 회전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편(43)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회전프레임(30)에 대해 중간 도어편(41)이 고정됨으로써,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부(80)는 미닫이 도어편 중 외측 도어편(42)을 더 고정할 수 있다. 중간 도어편(41)과 더불어 외측 도어편(42)이 별도로 고정됨으로써, 여닫이 도어편 개방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에서 이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는 회전프레임(30)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90), 수직패널(90)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STRIKE)(91), 미닫이 도어편(40) 선단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91)를 걸어 고정하는 푸시 래치(PUSH LATCH)(9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패널(90)은 두께가 ??은 판 구조물로, 회전프레임(30)의 회전축(32) 쪽 측단에 설치되어 회전프레임(30)의 측면을 이룬다. 푸시 래치(92)는 예를 들어, 스트라이크(91)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스트라이크(91)의 터치에 따라 클램프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져 스트라이크(91)를 클램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푸시 래치(92)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40)을 수직패널(90) 쪽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크(91)가 푸시 래치(92)를 누르게 되고 푸시 래치(92)의 클램프가 오므려져 스트라이크(91)를 클램핑한다. 스트라이크(91)가 푸시 래치(92)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을 다시 밀어주게 되면 스트라이크(91)가 푸시 래치(92)를 다시 눌러주면서 클램프가 벌어져 클램핑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미닫이 도어편(40)이 레일(21,31)을 따라 회전프레임(30)로 완전히 이동되면 수직패널(90)의 스트라이크(91)가 푸시 래치(92)에 클램핑되면서, 미닫이 도어편(4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0)에 위치한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에서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이미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이미 설명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잠금부는 미닫이 도어편(40)에 설치되는 자석(93), 회전프레임(30)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미닫이 도어편(40)의 자석(93)이 부착되는 자성판(94), 수직프레임(13)에 설치되고 미닫이 도어편 쪽으로 돌출되어 자성판(94)에 대해 미닫이 도어편(40)을 밀어 자성판(9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밀대(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잠금부는 미닫이 도어편(40) 중 외측 도어편(42)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잠금부는 여닫이 도어편(43)이 회전 개방시에는 외측 도어편(42)을 고정하고, 여닫이 도어편(43)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측 도어편(4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중간 도어편(41)과 더불어 외측 도어편(42)이 별도로 고정됨으로써, 여닫이 도어편(43) 개방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편(40)이 회전프레임(30)에서 이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닫이 도어편(43)이 닫히게 되면 잠금부에 의한 외측 도어편(4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외측 도어편(42)을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93)은 영구자석일 수 있다. 자석(93)은 외측 도어편(92)에 설치된다. 외측 도어편(92)의 프레임 외측 단부에 자석(93)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자석(93)은 외측 도어편(42)의 상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성판(94)은 자석(93)에 부착되는 강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성판(94)은 회전프레임(30) 선단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자석(93) 위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자성판(94)은 자석(93)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어 자석(93)이 부착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자성판(94)은 회전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회전프레임(30)과 같이 움직인다. 이에, 회전프레임(30) 회전 개방시 자석(93)이 자성판(94)에 자력으로 부착됨으로써, 자석(93)이 설치된 외측 도어편(42)이 회전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성판(94)은 상기한 구조 외에, 예를 들어 회전프레임(30)의 수직패널(9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별도로 자성판(94)을 구비하지 않아도 회전프레임(30)의 수직패널(91)에 자석(93)을 부착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밀대(95)는 수직프레임(13)에 고정 설치된다. 밀대(95)는 수직프레임(13)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밀대(95)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밀대(95)는 회전프레임(30)이 회전되어 닫혔을 때 자성판(94)을 지나 외측 도어편(42) 쪽으로 돌출되어 자성판(94)에서 외측 도어편(42)을 밀어 이격시킨다. 수직프레임(13)에 대한 밀대(95)의 돌출 길이는 회전프레임(30)이 완전히 닫혔을 때, 자성판(94)에서 자석(93)의 부착 상태를 해제함과 더불어 밀대(95)에 의해 밀려난 외측 도어편(42)의 측단이 회전프레임(30)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즉, 회전프레임(30)이 닫히면 외측 도어편(42)이 밀대(95)에 의해 밀려나게 된다. 밀대(95)의 돌출 길이에 따라 외측 도어편(42)은 더 밀려나게 된다. 이에, 밀대(95)의 돌출 길이는 외측 도어편(42)의 측단이 회전프레임(30) 내에 위치하여 회전프레임(30)과 같이 회전가능한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밀대(95)에 의해 외측 도어편(42)이 밀려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0)이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대(95)는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대(95)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황동 등의 비철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밀대(95)는 자석(93)에 부착되지 않아 자석(93)을 밀어낸 상태에서 자석(93)이 밀대(95)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회전프레임(30)이 닫히게 되면 밀대(95)에 의해 자석(93)이 부착된 외측 도어편(42)이 밀려나면서 자성판(94)에서 자석(93)이 이격된다. 자성판(94)에서 자석(93)이 분리됨으로써, 자성판(94)에 대한 자석(93)의 자력이 약해져, 외측 도어편(42)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프레임(30)이 닫히게 되면 밀대(95)에 의해 외측 도어편(42)이 밀려 자성판(94)에서 자석(93)이 떨어짐에 따라 외측 도어편(4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대(95)는 상기 자성판(94)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자성판(94)은 전면에 밀대(95)가 관통되는 홀(96)이 형성될 수 있다. 홀(96)은 밀대(9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밀대(95)가 자성판(94)과 간섭되지 않고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프레임(30) 회전시 밀대(95)는 자성판(94)에 형성된 홀(96)을 통과하게 되어 자성판(94)과 간섭되지 않고, 자성판(94)을 지나 외측 도어편(42)에 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성판(94)과 밀대(95)가 같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자성판(94)의 형성 크기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자성판(94)과 밀대(95)를 최대한 도어 상부쪽에 위치시켜 사용시 불편함을 줄이고 외관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대(95)가 자성판(94)을 통과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부착 부위에 바로 외력을 가할 수 있어 자성체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외측 도어편(42)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 밀대(95)는 자성판(94)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자성판(94)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역시, 회전프레임(30) 회전 개폐시 자성판(94)과 밀대(95)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0)이 닫히면서 밀대(95)가 자성판(94)을 지나 외측 도어편(42)에 접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에 대해 여닫이 도어편이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외측 도어편(42)은 자석(93)의 자력에 의해 회전프레임(30)의 자성판(94)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자석(93)이 설치된 외측 도어편(42)은 자력에 의해 자성판(94)쪽으로 이끌려 자성판(94)에 부착된다. 외측 도어편(42)에 설치된 자석(93)이 자성판(94)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외측 도어편(42)은 회전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여닫이 도어편(43) 개방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0)에서 외측 도어편(42)이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0)에 위치한 외측 도어편(42)이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려져 있는 여닫이 도어편(43)을 회전시켜 도어를 닫게 되면, 회전프레임(30)이 회전되면서 자성판(94)이 수직프레임(13) 쪽으로 이동된다. 회전프레임(30)이 완전히 회전되어 여닫이 도어편이 닫히게 되면 수직프레임(13)에 설치된 밀대(95)가 자성판(94)에 형성된 홀(96)을 지나 회전프레임(30)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자성판(94)에 자석(93)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는 외측 도어편(42)이 밀대(95)에 의해 밀려나면서 자성판(94)에서 분리된다. 즉, 고정된 밀대(95)에 대해 자성판(94)이 이동되면서 자성판(94)은 밀대(95)를 지나 이동되고 자석(93)은 밀대(95)에 걸려 이동되지 못하므로, 자성판(94)에서 자석(93)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석(93)이 설치된 외측 도어편(42)이 자성판(94)에서 분리되면서 자력에 의한 외측 도어편(42)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여닫이 도어편을 닫게 되면 자연스럽게 밀대(95)에 의해 외측 도어편(42)이 밀려나면서 외측 도어편(42)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성체에서 이격되어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외측 도어편(42)을 용이하게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잠금부를 통해 여닫이 도어편을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았을 대, 외측 도어편이 자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1 : 수평프레임
14 : 전면마감패널 15 : 후면마감패널
16 : 후크부 17 : 홀더부
20 : 레일프레임 21,31 : 레일
30 : 회전프레임 32 : 회전축
40 : 미닫이 도어편 41 : 중간 도어편
42 : 외측 도어편 43 : 여닫이 도어편
44 : 휠 50 : 연동부
51 : 풀리 52 : 벨트
53 : 브라켓 60 : 연결구
61 : 제1 연결구 62 : 제2 연결구
63 : 단턱 64 : 지지편
65,66 : 몸체 67,68 : 삽입부
69,70 : 결속부 71,72 : 안내레일
73 : 진입로 74 : 돌기
75 : 탄성바 76 : 홈
80 : 잠금부 81 : 걸림바
82 : 탄성부재 83 : 레버
84 : 레버시트 85 : 가이드바
90 : 수직패널 91 : 스트라이크
92 : 푸시 래치 93 : 자석
94 : 자성판 95 : 밀대
96 : 홀

Claims (15)

  1.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및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높이를 같게 유지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접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구에 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단턱에 걸쳐져 상기 레일프레임에 대한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는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접합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분리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고정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연결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 상기 걸림바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 상기 제1 연결구 전면에 상기 레버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와 접속시 레버를 밀어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서로 접하는 상기 단턱과 상기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미닫이 도어편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자석이 부착되는 자성판,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편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에 대해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밀어 자성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밀대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상기 자성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자성판은 전면에 상기 밀대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10.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접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구에 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단턱에 걸쳐져 상기 레일프레임에 대한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단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레일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레일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지지편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회전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회전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접합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분리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고정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연결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 상기 걸림바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 상기 제1 연결구 전면에 상기 레버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와 접속시 레버를 밀어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연결구.
KR1020190051669A 2019-01-30 2019-05-02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KR10206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11 2019-01-30
KR20190011811 2019-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223B1 true KR10206222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9A KR102062223B1 (ko) 2019-01-30 2019-05-02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05Y1 (ko) *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퍼스텍인터내셔날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200390848Y1 (ko) * 2005-05-11 2005-07-28 주식회사 알루스 회전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100018276A (ko) * 2008-08-06 2010-02-1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05Y1 (ko) *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퍼스텍인터내셔날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200390848Y1 (ko) * 2005-05-11 2005-07-28 주식회사 알루스 회전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100018276A (ko) * 2008-08-06 2010-02-1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925A (en) Security shutter system
US7530142B2 (en) Hinge, in particular for connecting two flap portions of a folding flap
US5706554A (en) Handle fitting,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 opening in a door, particularly a motor-vehicle door
US20150008811A1 (en) Stowable folding door device
US20050284025A1 (en) Upper articulation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KR101946873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KR101055107B1 (ko) 포켓 도어
KR20110102066A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0873334B1 (ko) 현수식 교실출입문 및 그 교실출입문의 제작 방법
EP0390997B1 (en) Folding door apparatus
RU2337600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KR102062223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 및 이를 위한 연결구
JP2004176262A (ja) 引戸の戸締装置
US20230332446A1 (en) Furniture fitting and item of furniture having such a furniture fitting
JP2017031793A (ja) 引戸装置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JP7195138B2 (ja) 避難扉
JP7010729B2 (ja) ブース用の円弧状ドア装置
EP2526245A2 (en)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JP4354049B2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用スライドドア
GB2124692A (en) Fastening for sliding doors, windows or the like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H0723499Y2 (ja) 間仕切り装置のロック構造
JPH0743392Y2 (ja) 間仕切り装置のロック構造
JP5100712B2 (ja) 指詰防止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折り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6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02

Effective date: 202111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687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229

Effective date: 202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