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066A -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 Google Patents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066A
KR20110102066A KR1020100021508A KR20100021508A KR20110102066A KR 20110102066 A KR20110102066 A KR 20110102066A KR 1020100021508 A KR1020100021508 A KR 1020100021508A KR 20100021508 A KR20100021508 A KR 20100021508A KR 20110102066 A KR20110102066 A KR 2011010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damper
cylinder
lock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227B1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0002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227B1/ko
Priority to PCT/KR2010/007995 priority patent/WO2011111921A1/ko
Publication of KR2011010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a suspension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댐퍼가 구비되어 도어 등의 자동 개폐 기능을 가지도록 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링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유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300)와; 상기 댐퍼(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원위치되도록 하는 복귀부재(4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5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장착되어, 상기 댐퍼(300)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는 홀더(6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상기 댐퍼(3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걸림부(7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닫힘과 열림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CAS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호차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댐퍼가 구비되어 도어 등의 자동 개폐 기능을 가지도록 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에 관한 것이다.
현관이나 베란다 등에는 '중문'이라고 불리는 도어가 구비되며, 이러한 도어는 '호차'라는 기구에 메달리거나 지지되어 좌우로 유동되도록 설치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중문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문틀(20)에 상단부가 메달리도록 설치되어 좌우로 유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10)의 상단부에는 '호차'라는 기구가 구비되어 도어(10)의 좌우 유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호차'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20)의 좌우 유동시 측면의 문틀에 도어가 충돌하지 않도록, 레일(도시되지 않음)이나, 문틀(20) 등에 스토퍼(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호차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호차는 보통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쌍으로 설치되어, 문틀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구르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호차가 구비되는 도어 개폐구조에서는, 도어 개폐시 소음과 파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즉, 호차는 도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도어가 문틀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한편, 도어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자동 닫힘이나 열림이 오로지 사용자의 힘에만 의존하므로, 도어의 열림이나 닫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등을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 기능을 가지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링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걸림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의 유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와; 상기 댐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원위치되도록 하는 복귀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댐퍼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는 홀더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댐퍼의 설치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호차에 댐퍼기능이 부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부착된 도어는 자동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는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일정 구간까지만 도어를 닫거나 열게 되면, 그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호차에 의해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호차에 자동 닫힘 및 열림기능이 부가되었으므로, 호차 외에 도어의 자동 개폐를 위해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수가 절감되어 재료비 감소는 물론, 작업공수의 감소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중문)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호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전면이 절개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걸림스위치가 링크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와 분해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도 3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전면이 절개된 상태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링크(도시되지 않음)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00)와,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유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300)와, 상기 걸림스위치(2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원위치되도록 하는 복귀부재(400)와,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500)와, 상기 댐퍼(300)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는 홀더(600)와, 상기 댐퍼(3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걸림부(700)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는, 호차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 중앙 부근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홈(110)이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홀더(600)의 홀더핀(620)이 억지끼움으로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설치홈(110)의 우측에는 소정 길이의 안내라인(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라인(1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부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200)의 가이드핀(210)의 유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라인(120)의 우측 끝은,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휘어져 가이드홈(12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홈(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200)의 가이드핀(210)이 수용되어 정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케이스(100)의 양단은 내측으로 서로 근접하여, 바퀴설치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바퀴설치부(130)는, 상기 바퀴(500)가 양측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퀴설치부(130)에는, 케이스홀(1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홀(132)은 체결부재(140)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부재(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바퀴(500)가 바퀴설치부(130)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140)는, 체결기능 외에 상기 바퀴(500)의 회전 중심축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라인(120)의 하측에는 유동홀(15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유동홀(150)은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중심핀(220)이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걸림스위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호차가 설치되는 반대편에 구비되는 링크(도시되지 않음)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호차가 도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링크(L)는 문틀 또는 레일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걸림스위치(200)에는, 링크(L)에 의해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00)의 유동을 가이드(guide)하는 가이드핀(210)과,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핀(220) 등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우측단 전후면으로부터 전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안내라인(120)과 가이드홈(122)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중심핀(220)은, 상기 가이드핀(210)과 이격된 위치(좌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거리)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중앙부근에는 상기 중심핀(220)이 관통 장착되는 핀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210)과 중심핀(220)은,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서로 상하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210)은, 상기 중심핀(220)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도 7 참조)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좌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댐퍼(300)의 걸림돌기(330)가 삽입 설치되는 걸림홈(250)이 우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좌측 하단은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스위치턱(230)을 형성한다. 상기 스위치턱(230)은, 상기 복귀부재(400)의 우측단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걸림스위치(200)에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240,242)와, 상기 한 쌍의 돌기(240,242) 사이에 형성되어 링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링크홈(244)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돌기(240,2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한 쌍의 돌기(240,242)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 홈이 상기 링크홈(244)이다.
상기 링크홈(244)은, 링크(L)의 두께보다는 더 큰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링크(L)가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홈(244)의 하단은,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린더(310)의 상단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댐퍼(300)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로부터 돌출되는 로드(320)와, 상기 걸림스위치(200)에 체결되는 걸림돌기(3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걸림홈(250)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10)의 좌측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걸림구(800)의 실린더홈(830)에 끼워진다.
상기 실린더(310)의 상단은, 상기 링크홈(244)의 하단보다 높거나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원위치로 복귀(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310)의 상단이 상기 링크홈(244)의 저면보다도 높거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복귀부재(400)는,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좌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부재(400)의 좌측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걸림구(800)의 걸림턱(820)에 걸어지고, 우측단은 상기 스위치턱(230)에 걸어진다.
상기 바퀴(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퀴(500)는, 도어나 문틀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구르게 된다.
상기 홀더(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설치홈(110)에 의해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도 5 참조), 상기 홀더(600)는, 사각평판 형상의 본체(610)와, 상기 본체(610)의 전후에 돌출 형성되는 홀더핀(620)과, 상기 실린더(310)의 상반부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안착부(6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핀(6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환봉 형상의 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0)의 설치홈(110)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된다.
상기 안착부(630)는, 상기 본체(610)의 좌측단(도 4에서)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은 상기 실린더(31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부(630) 하면에 실린더(310)의 우측단 상반부가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홀더(600)의 안착부(630)가 실린더(310)의 상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면(도 6 참조), 상기 안착부(630)가 상기 실린더(31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600)는, 상기 실린더(310)의 우측(도 4에서)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방 이탈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안착부(630)의 상단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상부홀(632)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안착부(630)의 상단부를 절개하는 이유는, 상기 실린더(310)의 상측 여유공간을 줄여, 본 발명에 의한 호차의 전체 높이를 줄여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부(7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걸림부(700)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부(700)는,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된다.(도 6 참조)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안착부(630)와 걸림부(700)의 위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630)는,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선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310)의 중심으로부터 1사분면 및 2사분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안착부(630)가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으로부터 1사분면이나 2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700)는,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선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310)의 중심으로부터 3사분면 및 4사분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걸림부(700)도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으로부터 3사분면이나 4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양단에는 걸림구(800,802)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단에는 좌측걸림구(800)가 구비되고, 우측단에는 우측걸림구(80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구(800,802)는, 전체적으로는 'T'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양단에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구(800,802)에는 상기 체결부재(140)가 관통되는 관통홀(8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걸림구(800)에는, 걸림턱(820)과 실린더홈(83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820)은, 상기 좌측걸림구(8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여기에는 상기 복귀부재(400)의 좌측단이 걸어진다.
상기 실린더홈(830)은, 상기 좌측걸림구(80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으로, 상기 실린더(310)의 좌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실린더홈(830)의 상측으로는 안내통로(83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안내통로(832)는, 상기 실린더(31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의 작용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는 도어의 열림이나 닫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실시예가 미닫이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어 닫힘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가 도어에 장착되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어를 좌측으로 당기면, 도어에 고정된 케이스(100)가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문틀( 또는 레일)에 고정된 상기 링크(L)는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링크(L)에 끌려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핀(210)은 상기 안내라인(120)을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홈(122)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가이드핀(210)이 가이드홈(122)에 들어가게 되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상기 복귀부재(400)가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하단을 당기고 있으므로, 상기 걸림스위치(200)는, 정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와 반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상기 케이스(100)가 도어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걸림스위치(200)로부터 이탈된 링크(L)가 다시 걸림스위치(200)와 부딪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링크(L)가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좌측 돌기(240)에 부딪히게 되므로, 이때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가이드핀(210)이 가이드홈(1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걸림스위치(200)가 복귀부재(400)의 힘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댐퍼(300)는 걸림스위치(200)의 좌측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링크(L)가 상기 걸림스위치(20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40,242) 사이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스위치(200)는 계속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7과 같이 원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도어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케이스 200. 걸림스위치
300. 댐퍼 400. 복귀부재
500. 바퀴 600. 홀더
700. 걸림부 800,802. 걸림구
L. 링크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링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유동 속도를 줄이는 댐퍼(300)와;
    상기 댐퍼(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여 원위치되도록 하는 복귀부재(4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5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장착되어, 상기 댐퍼(300)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는 홀더(6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상기 댐퍼(3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걸림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스위치(200)에는,
    걸림스위치(200)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링크에 의해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00)의 유동을 가이드(guide)하는 가이드핀(210)과;
    상기 가이드핀(21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핀(22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210)과 중심핀(220)은,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서로 상하의 높이가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300)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로부터 돌출되는 로드(32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스위치(200)에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240,242)와, 상기 한 쌍의 돌기(240,242) 사이에 형성되어 링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링크홈(244)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홈(244)의 하단은,
    상기 걸림스위치(200)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310)의 상단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700)는,
    상기 케이스(100)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310)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00)에는,
    상기 실린더(310)의 상반부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안착부(630)가 더 구비되어, 실린더(31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20100021508A 2010-03-10 2010-03-10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107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08A KR101077227B1 (ko) 2010-03-10 2010-03-10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PCT/KR2010/007995 WO2011111921A1 (ko) 2010-03-10 2010-11-12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08A KR101077227B1 (ko) 2010-03-10 2010-03-10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066A true KR20110102066A (ko) 2011-09-16
KR101077227B1 KR101077227B1 (ko) 2011-10-27

Family

ID=4456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508A KR101077227B1 (ko) 2010-03-10 2010-03-10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7227B1 (ko)
WO (1) WO20111119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84Y1 (ko) * 2013-03-06 2014-09-18 (주)삼우 호차 회동구조
CN104806102A (zh) * 2015-05-13 2015-07-29 李响 滑门缓冲组件
KR20160051786A (ko) * 2013-09-05 2016-05-11 헤티히-하인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슬라이딩 도어용 피팅
KR101726331B1 (ko) * 2016-05-09 2017-04-12 코르텍 주식회사 도어캐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6025A (zh) * 2011-12-23 2012-07-04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吊轮缓冲器及门体装置
CN103443377B (zh) * 2012-03-23 2017-04-26 马库斯·奥古斯托·里格 用于推拉门的装置中的构造结构
EP2700778A1 (de) * 2012-08-23 2014-02-26 Bernhard Feigl Vorrichtung zur verfahrbaren Abstützung einer Platte
DE202013005797U1 (de) * 2013-06-28 2014-09-29 Grass Gmbh Einzugsvorrichtung, Ausziehführung mit einer Einzugsvorrichtung sowie Möbel mit einer Ausziehführung
SMP201500121B1 (it) * 2015-05-20 2015-07-09 Tamar Sro Telaio integrato per un dispositivo frenante di ante di porte scorrevoli
KR101632846B1 (ko)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KR20180079062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창덕창호 충격을 방지하는 반자동 현수식 교실출입문
IT201700011606A1 (it) * 2017-02-02 2018-08-02 In & Tec Srl Sistema di apertura / chiusura automatica mediante una porta, anta o similare di tipo scorrevo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698B2 (ja) * 1994-10-28 1998-06-11 東都興業株式会社 温室用のスライド式ドア構造
JP3608122B2 (ja) * 1995-03-31 2005-01-05 東都興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ドア用懸垂戸車とその取付け方法
JP4174719B2 (ja) 2003-06-18 2008-11-05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車用側引戸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84Y1 (ko) * 2013-03-06 2014-09-18 (주)삼우 호차 회동구조
KR20160051786A (ko) * 2013-09-05 2016-05-11 헤티히-하인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슬라이딩 도어용 피팅
CN104806102A (zh) * 2015-05-13 2015-07-29 李响 滑门缓冲组件
KR101726331B1 (ko) * 2016-05-09 2017-04-12 코르텍 주식회사 도어캐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227B1 (ko) 2011-10-27
WO2011111921A1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0872183B1 (ko) 중장비용 운전실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101542980B1 (ko)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KR100873334B1 (ko) 현수식 교실출입문 및 그 교실출입문의 제작 방법
JP2012149438A (ja) 跳上げ防止具を備えた引込み装置付吊戸
JPH11336410A (ja)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US8205930B1 (en) Vehicle door with an irregular-circular frame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101193626B1 (ko) 글로브 박스의 락킹 장치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JP2011214343A (ja) 引戸の引込み装置
KR20080082879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가이드장치
JPH1029784A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KR101654915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레이크
JP5666970B2 (ja) 鉄道車両用スライドプッシュ式ドア装置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5970382B2 (ja) 建具および突出維持部品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JP5013610B2 (ja) 吊戸ランナの隙間閉鎖機構付き軸受けストッパー
JP2001227233A (ja) 冷蔵庫等におけるスライド扉の脱輪防止装置
KR100952986B1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
JP3448697B2 (ja) 吊戸における内側スライドレールの外れ止め装置
KR20110003607A (ko) 도어 개폐구조
JP7186611B2 (ja) 避難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