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266B1 -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266B1
KR102354266B1 KR1020210079610A KR20210079610A KR102354266B1 KR 102354266 B1 KR102354266 B1 KR 102354266B1 KR 1020210079610 A KR1020210079610 A KR 1020210079610A KR 20210079610 A KR20210079610 A KR 20210079610A KR 102354266 B1 KR102354266 B1 KR 10235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stator
hook
elastic membe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길봉
여운
여훈
Original Assignee
여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길봉 filed Critical 여길봉
Priority to KR102021007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시키고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후크의 조립성 및 완충장치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토록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는 본 발명은 고정 구조물 상에서 걸림쇠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후크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댐퍼, 상기 댐퍼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쇠를 구속 및 해제하는 후크 및 상기 댐퍼의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댐퍼의 로드에 고정되는 고정자,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에 출몰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자를 포함 구성되어 상기 고정쇠를 위한 구속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조성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구속공간 쪽에서 상기 가동자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속공간 방향이 개방된 가동자 설치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 일측에는 탄성부재 받침부, 양 측벽에는 상기 가동자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자는 고정자의 탄성부재 받침부와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눌러주는 탄성부재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공에 끼워져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몸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SLIDER SHOCK ABSORBER WITH IMPROVED ASSEMBLY}
본 발명은 후크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시키고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후크의 조립성 및 완충장치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토록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미닫이 도어 또는 서랍장의 서랍은 문틀 또는 가구 본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적은 힘으로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 도어 또는 서랍장(이하 "슬라이더"로 총칭함)은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한 반면에 개폐동작 특히 닫힘동작시 자중 및 슬라이딩 관성에 의하여 문틀 또는 서랍장 본체에 충돌하여 소음 및 충격을 발생시키고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더 완충장치의 일 종래기술로서, 특허공개 10-2014-0108507호(2014.09.11. 공개,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된 기술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걸림쇠(2)를 구속/해제하는 후크(450), 상기 후크(450)의 이동을 안내하며 댐퍼(430)가 수용되는 케이스(410), 상기 후크(450)의 이동을 제어하는 댐퍼(430) 및 후크(450)의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470)을 포함하여된다.
이처럼 슬라이더 완충장치는 슬라이더에 고정된 걸림쇠(2)가 후크(450)의 구속공간(454)에 끼워져 슬라이더의 닫힘동작이 댐퍼(430)에 의하여 완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선행기술 1의 슬라이더 완충장치(400)에서 후크(450)는 슬라이더의 걸림쇠(2)가 구속될 수 있도록 고정자(451)와 가동자(453)로 되고, 상기 가동자(453)는 고정자(451)와 함께 개폐 가능한 걸림쇠 구속공간(454)을 조성하도록 스프링(455)에 탄력 지지되어 출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기술 1을 포함하는 대개의 종래기술에서 후크의 가동자(453)는 상기 걸림쇠 구속공간(454)이 있는 방향(이하 "상부 방향"이라 하고 반대쪽을 "하부 방향"이라 칭함)의 반대쪽인 하부 방향에서 삽입되므로 상기 스프링(455)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도 3은 특허등록 제10-1319534호(2013.10.21. 공고, 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의 후크를 발췌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2의 후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의 로드에 고정되는 고정자(41), 고정자 내에 설치되는 가동자(42), 가동자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4)을 구비하되, 스프링(44) 및 가동자 이탈방지를 위하여 가동자에 출몰 가이드 홈(45)을 형성하고, 고정자(41)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45)에 걸리는 나사(46)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 2에서는 가동자(42)가 고정자(41)에 출몰 가능하게 탄력 지지되되, 가동자(42)가 고정자(41)의 상부에서 삽입되고,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이 고정자(41)의 일측에 체결되는 나사(46)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행기술 1과 달리 스프링(44)의 조립은 간편한 반면, 출몰하는 가동자(42)가 그 일측에서만 상기 나사(46)의 선단부에 걸리는 구조로 지지됨으로써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나사 조립에 어려움이 있다.
슬라이더 완충장치의 후크 부품들은 설치되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예컨대, 상기 선행기술 2의 후크(40)에서 체결되는 나사(46)는 직경이 대략 2mm에 그쳐 취급 및 끼워맞춤 체결이 어려우며, 이 조그마한 부품의 조립은 단순 체결이 아니라 반발력이 작용하는 스프링(44)을 가동자(42)가 가압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함으로 조립작업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별도의 지그와 프레스 장치를 동원해야 하는 등으로 공수와 시간 소요면에서 특히 조립성이 따르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46)의 선단부가 가동자의 가이드 홈(45)에 걸쳐있는 상황에서 가동자(42)의 반복적인 출몰동작은 고정자(41)에 대한 나사체결을 풀리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동자의 이탈 위험성 및 치명적 고장발생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시키고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후크의 조립성 및 완충장치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는,
고정 구조물 상에서 걸림쇠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후크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댐퍼, 상기 댐퍼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쇠를 구속 및 해제하는 후크 및 상기 댐퍼의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댐퍼의 로드에 고정되는 고정자,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에 출몰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자를 포함 구성되어 상기 고정쇠를 위한 구속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조성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구속공간 쪽에서 상기 가동자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속공간 방향이 개방된 가동자 설치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 일측에는 탄성부재 받침부, 양 측벽에는 상기 가동자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자는 고정자의 탄성부재 받침부와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눌러주는 탄성부재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공에 끼워져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몸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가동자가 상기 구속공간 쪽에서 고정자에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 양 측벽 입구에 상기 가동자의 삽입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자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가동자 몸체와 별개의 가이드 핀으로 되고 가동자 몸체에 형성되는 핀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시키고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후크의 조립성 및 완충장치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기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 1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임.
도 2는 도 1의 조립도로서,
a는 조립상태 사시도, b는 a의 종단면도임.
도 3은 선행기술 2의 후크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후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a는 분해 사시도, b는 a의 결합 사시도임.
도 6은 도 5, b의 후크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임.
도 7은 도 6, b의 A-A선 단면 확대도로서,
a는 단면 분해도, b는 a의 조립도임.
도 8은 도 6, a의 B-B선 단면도로서,
a는 단면 분해도, b는 a의 조립도임.
도 9는 도 7의 a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가변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a 상태에서 걸림쇠가 후크에 삽입 직전 상태의 가변 상태,
c는 b 상태에서 걸림쇠가 후크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
d는 c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개방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쇠가 후크로부터 이탈하여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1)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등의 고정 구조물 상에서 걸림쇠(2)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미닫이 도어 등의 슬라이더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1)이 형성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고 후크의 이동을 제어하는 댐퍼(30), 상기 댐퍼(30)의 로드(33)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쇠(2)를 구속 및 해제하는 후크(50) 및 상기 댐퍼(30)의 복귀를 위하여 일단은 상기 후크(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70)을 포함하여되고,
상기 후크(50)는 댐퍼의 로드(33)에 고정되는 고정자(51), 상기 고정자(51)에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55)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가동자(53)를 포함 구성되어, 상기 고정쇠(2)를 위한 구속공간(54)을 개폐 가능하게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구속공간(54) 쪽에서 상기 가동자(53)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속공간(54) 방향이 개방된 가동자 설치공간(512)을 구비하되,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512) 일측에는 탄성부재 받침부(515), 양 측벽(514)에는 상기 가동자(53)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장공(516)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자(53)는 고정자의 탄성부재 받침부(515)와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재(55)를 눌러주는 탄성부재 가압부(535)를 구비하고, 상기 장공(516)에 끼워져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536)가 몸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구속공간(54) 쪽을 "상부 방향", 그 반대쪽을 "하부 방향"이라 칭한다.
상기 고정자의 탄성부재 받침부(515)는 탄성부재(55)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55)는 가동자(53)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가압부(535)는 가동자(53)의 몸체 일측, 탄성부재(55)의 상부에 형성된다(도 5, 7, 8 참조).
상기 탄성부재(55)는 압축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가동자(53)는 상기 가이드 돌기(536)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536)는 가동자(53)가 상부 방향에서 고정자(51)에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면(5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37)은 특히 도 5,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동자 삽입시 고정자의 측벽(512)에 걸리는 부분인 가이드 돌기(536)의 하방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를 비롯하여 후크(50)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자(51) 역시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고정자(51)가 수지재의 탄성을 갖는 가운데, 가동자(53)를 고정자(51)의 상부 방향에서 약간의 힘을 가하며 삽입하면, 고정자의 가동자 설치공간(512)을 형성하는 양 측벽(514)이 상기 가이드 돌기(536)의 경사면(537)에 밀려 일시적으로 벌어져 가동자(53)가 쉽게 삽입되고, 가이드 돌기(536)가 상기 장공(516)으로 끼워지면 고정자의 양 측벽(514)은 즉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 양 측벽(514) 입구에 상기 가동자(53)의 삽입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517)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의 양 측벽(514) 입구에 가이드부(517)가 경사 형성되어 걸림턱이 배제됨으로써 고정자(51) 상부에서 가이드 돌기(536)를 갖는 가동자의 삽입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동자(53)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53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51) 몸체와 별개의 가이드 핀(536a)으로 되고 가동자 몸체에 형성되는 핀홀(538)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돌기(536)가 가동자(51) 몸체와 별개로 구성됨으로써 가동자(53)가 고정자(51)의 상부 방향에서 삽입 후에, 상기 가이드 핀(536a)을 상기 장공(516)을 통하여 가동자 몸체의 핀홀(538)에 억지끼움으로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후크(50)의 조립은,
상기 고정자(51)에 먼저 탄성부재(55)를 해당 위치에 밀어넣은 다음 고정자(51)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536)가 일체로 형성된 가동자(53)를 밀어넣는 것으로 완료된다.
이처럼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고정자(51)에 가동자(53)가 탄성부재(55)에 의하여 지지되는 후크(50)가 완성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선행기술들에서 조립작업이 어려웠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선행기술 2의 나사)의 불안정한 조립작업이 배제되어 부품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53)의 가이드 돌기가 별도의 가이드 핀(536a)으로 형성된 실시예에서, 고정자(51)의 상부에서 가동자(53) 삽입 후 상기 장공(516)을 통하여 가이드 핀(536a)을 끼우는 경우, 가이드 핀(536a)을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나사회전이 아닌 끼워넣기로 조립이 현저히 쉬워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별개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자의 양측벽(514) 및 가동자(53)의 양측 가이드 돌기(536)에 의하여 가동자(53)가 균형을 잡으며 안정적으로 고정자(51)에 설치 및 지지됨으로써 가동자의 이탈 염려가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 완충장치의 후크에 있어서 별개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하여 가동자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가동자의 이탈 방지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가변 상태를 보여준다.
후크(50)가 가이드 홈(11)의 직선구간에 위치되고 걸림쇠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도 10의 a 참조)에서 시작하여 슬라이더 및 걸림쇠(2)가 이동하면서 가동자(53)를 밀게 되면 탄성부재(55)가 가압되면서 가동자(53)가 밀려들게 되어 걸림쇠(2)가 후크의 구속공간(54)으로 삽입 및 구속될 수 있도록 하고, 걸림쇠(2)가 가동자(53)를 넘어가 구속되는 동시에 탄성부재(55)에 의하여 가동자(53)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10의 b, c 참조).
또한, 슬라이더 개방시 걸림쇠(2)가 후크(50)에 삽입된 상태로 케이스의 가이드 홈(11) 직진구간까지 이동 후, 케이스(10) 선단부에서 후크(50)가 하방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홈(11)에 유도되어 회전됨으로써 걸림쇠(2)의 이탈을 가능케 하고, 완충장치로부터 걸림쇠(2)가 벗어나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의 d 참조).
또한, 개방상태의 슬라이더가 닫힘 동작시, 슬라이더가 이동하면서 걸림쇠(2)가 회전상태의 후크(50)를 밀어주어 이동가능상태로 회전 복귀시킴과 동시에 걸림쇠가 후크(50)에 구속되어 걸림쇠 및 슬라이더의 이동이 댐퍼(30)에 의하여 억제되고 인장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완속으로 복귀되어 문틀 또는 서랍장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는 후크의 고정자 양 측벽에 장공을 형성하고, 가동자의 양측에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여 별도의 가동자 이탈방지수단을 배제시켜 후크의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동자의 이탈 발생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양호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 발명의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10: 케이스 11: 가이드 홈 30: 댐퍼
50: 후크 51: 고정자 512: 가동자 설치공간
514: 측벽 515: 탄성부재 받침부 516: 장공
517: 가이드부 53: 가동자 535: 탄성부재 가압부
536: 가이드 돌기 536a: 가이드 핀 537: 경사면
54: 구속공간 55: 탄성부재 70: 인장스프링
2: 걸림쇠

Claims (4)

  1. 고정 구조물 상에서 걸림쇠(2)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후크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11)이 형성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댐퍼(30), 상기 댐퍼(30)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쇠(2)를 구속 및 해제하는 후크(50) 및 상기 댐퍼(30)의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70)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50)는 댐퍼의 로드(33)에 고정되는 고정자(51), 탄성부재(55)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51)에 출몰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자(53)를 포함 구성되어 상기 걸림쇠(2)를 위한 구속공간(54)을 개폐 가능하게 조성하고,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구속공간(54) 쪽에서 상기 가동자(53)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속공간(54) 방향이 개방된 가동자 설치공간(512)을 구비하되, 상기 가동자 설치공간(512) 일측에는 탄성부재 받침부(515), 양 측벽(514)에는 상기 가동자(53)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장공(516)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자(53)는 고정자의 탄성부재 받침부(515)와 대향하여 상기 탄성부재(55)를 눌러주는 탄성부재 가압부(535)를 구비하고, 상기 장공(516)에 끼워져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536)가 몸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51)에 대한 가동자(53)의 삽입 안내를 위하여 상기 고정자(51)의 가동자 설치공간 양 측벽(514) 입구에 경사면으로 되는 가이드부(517) 및 상기 가동자의 가이드 돌기(536)에 형성되는 경사면(537)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53)는 상기 가이드 돌기(536)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536)는 가동자(53)가 상기 구속공간(54) 쪽에서 고정자(51)에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면(5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53)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536)는 가동자(51) 몸체와 별개의 가이드 핀(536a)으로 되고 가동자 몸체에 형성되는 핀홀(538)에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드 완충장치.
KR1020210079610A 2021-06-18 2021-06-18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235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0A KR102354266B1 (ko) 2021-06-18 2021-06-18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0A KR102354266B1 (ko) 2021-06-18 2021-06-18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266B1 true KR102354266B1 (ko) 2022-01-20

Family

ID=8005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10A KR102354266B1 (ko) 2021-06-18 2021-06-18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2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507A (ko) * 2014-08-09 2014-09-11 여길봉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668355B1 (ko) *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20190041628A (ko) * 2017-10-13 2019-04-23 황정연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507A (ko) * 2014-08-09 2014-09-11 여길봉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668355B1 (ko) *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20190041628A (ko) * 2017-10-13 2019-04-23 황정연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700B1 (ko) 인입 장치
US20170265644A1 (en) Furniture driv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KR101209406B1 (ko) 인입기구
US20070126324A1 (en)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1152232A1 (ja) 移動補助装置
JP6357211B2 (ja) 家具部のための駆動機構及び駆動方法
JP2017535701A (ja) 引き出しのための、または、スライディングドアの戸のための減衰または戻り装置
JP6793796B2 (ja) 同期システム、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のための駆動方法
KR101524829B1 (ko) 가구용 도어 댐핑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EP3403530B1 (en) Driving mechanism,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furniture
JP2004176262A (ja) 引戸の戸締装置
KR102115975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KR20190072202A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JPH0838281A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2241844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KR20220038662A (ko) 평행 작동할 수 있는 도어 리프용 피팅 어셈블리 및 건물 출입구용 폐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