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507A -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507A
KR20140108507A KR1020140102682A KR20140102682A KR20140108507A KR 20140108507 A KR20140108507 A KR 20140108507A KR 1020140102682 A KR1020140102682 A KR 1020140102682A KR 20140102682 A KR20140102682 A KR 20140102682A KR 20140108507 A KR20140108507 A KR 2014010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over
stator
damp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길봉
Original Assignee
여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길봉 filed Critical 여길봉
Priority to KR102014010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507A/ko
Publication of KR201401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분할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가동자가 몰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도 후크에 대한 걸림쇠의 삽입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해짐은 물론이고, 외부에 요철을 배제시킴으로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출몰 슬라이드 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문틀을 비롯한 고정체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댐퍼수납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댐퍼수납부에 설치되는 댐퍼, 상기 댐퍼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미닫이 도어를 비롯한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삽입되는 후크 및 상기 댐퍼의 복귀를 위하여 일단은 후크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되고, 상기 후크는 댐퍼의 로드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가동자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자는 고정자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측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멈춤턱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DAMPING APPARATUS WITH MPROVED HOOK FOR SLIDER}
본 발명은 후크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분할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가동자가 몰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도 후크에 대한 걸림쇠의 삽입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해짐은 물론이고, 외부에 요철을 배제시킴으로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출몰 슬라이드 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미닫이 도어 또는 서랍장의 서랍은 문틀 또는 가구 본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적은 힘으로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 도어 또는 서랍장(이하 "슬라이더"로 총칭함)은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한 반면에 개폐동작 특히 닫힘동작시 자중 및 슬라이딩 관성에 의하여 문틀 또는 서랍장 본체에 충돌하여 소음 및 충격을 발생시키고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함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특허등록 제10-1180141호(2012.08.30)(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등으로 개시된 별도의 완충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50)의 이동을 안내하며 댐퍼(130)가 수용되는 케이스(110a,110b), 선단에 후크(150)가 장착되는 댐퍼(130) 및 후크(150)의 복귀를 위한 인장스프링(170)을 포함하여 된다.
이와 같은 완충장치는 슬라이더에 고정된 걸림쇠가 후크(150)에 끼워져 슬라이더의 닫힘동작이 댐퍼(130)에 의하여 완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슬라이더의 닫힘 상태에서는 걸림쇠가 후크(150)에 끼워진 상태에서 댐퍼(130)의 로드 인출길이 및 인장스프링(170)의 길이가 최단상태로 되며, 슬라이더의 개방이동이 시작되면 걸림쇠에 의하여 후크(150) 및 후크가 고정된 댐퍼(130)의 로드가 딸려 이동하고 인장스프링(170)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걸림쇠의 이동이 더 진행되어 케이스(110a,110b) 선단부에 이르면 후크(150)가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 유도되어 회전됨으로써 걸림쇠의 이탈을 가능하게 하여 완충장치로부터 걸림쇠가 벗어나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완전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후크(150)는 가이드홈(111)에 의하여 회전상태로 머무른다.
이는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직진구간 선단에서 일측으로 굽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능하다(도 4 참조).
또한, 슬라이더의 닫힘 동작은 개방상태에 있던 슬라이더가 이동하면서 걸림쇠가 회전상태의 후크(150)를 밀어주어 이동가능상태로 회전 복귀시킴과 동시에 걸림쇠가 후크에 끼워지게 되어 걸림쇠 및 슬라이더의 이동이 댐퍼(130)에 의하여 억제되고 인장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완속으로 복귀되어 문틀 또는 서랍장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장치에서 상기 선행기술은 후크가 단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가이드홈에서 왕복 이동가능한 직진구간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더에 장착된 걸림쇠는 후크 내부로 삽입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설치시 반드시 걸림쇠가 후크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해야 함으로써 설치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공수 및 시간이 낭비되고 작업자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림쇠가 후크(150)를 회전시키고 완충장치를 빠져나간 이후에 회전 상태로 머물던 후크(150)가 외부 충격 등의 어떤 이유로 위치를 이탈하면서 가이드홈의 직진구간으로 접어들게 되는 경우에 걸림쇠가 후크 안으로 진입이 불가능하여 슬라이더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특허등록 제10-11319534호(2013.10.11)(이하 "선행기술2"라 함) 등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0)가 고정자(41)와 가동자(42)로 분할형성되고 가동자(42)가 스프링(44)에 의하여 탄지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2의 구성은 가동자가 외부압력이 가해질 경우 후크 내부로 몰입되어 슬라이더에 고정된 걸림쇠(2)의 후크 진입이 어느 위치에서도 가능함으로써 완충장치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2의 구성은 가동자(42)의 출몰 동작 가이드 및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자(41)에 고정핀(46)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가동자(42)에는 고정핀(46)이 마찰하는 슬라이드 홈(421)이 외부로부터 뚫려 있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2의 기술은 슬라이드 홈(421)이 외부로 노출형성되어 외부에 요철이 발생되고 슬라이드 마찰부가 노출됨으로써 외관을 손상시키고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트릴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홈(421)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6)이 추가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추가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KR 10-1180141(2012.08.30) 등록특허 KR 10-1319534(2013.1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후크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분할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가동자가 몰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도 후크에 대한 걸림쇠의 삽입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짐은 물론이고, 외부에 요철을 배제시킴으로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토록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크에서 가동자의 출몰 통로가 되는 공간이 고정자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자의 출몰 동작 가이드 수단을 가동자 및 고정자에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별도의 부품을 배제시킴으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는,
미닫이 도어의 문틀을 비롯한 고정체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댐퍼수납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댐퍼수납부에 설치되는 댐퍼, 상기 댐퍼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미닫이 도어를 비롯한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삽입되는 후크 및 상기 댐퍼의 복귀를 위하여 일단은 후크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되고,
상기 후크는 댐퍼의 로드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가동자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자는 고정자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측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멈춤턱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가동자는 압축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지지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가동자의 조립을 위하여 2개 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2개 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의하면, 후크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분할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가동자가 몰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도 후크에 대한 걸림쇠의 삽입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짐은 물론이고, 가동자의 출몰 동작시 슬라이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고정자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 요철을 배제시킴으로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자의 출몰 통로가 되는 공간이 고정자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자 출몰 동작 가이드수단을 가동자 및 고정자에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별도의 부품이 배제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의 후크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후크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a는 가동자의 자유상태도, b는 가동자의 가변상태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7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가변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a는 도 4의 종단면도,
b는 a 상태에서 걸림쇠가 후크에 삽입 직전 상태의 가변 상태도,
c는 b 상태에서 걸림쇠가 후크에 삽입된 상태도,
d는 c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개방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도,
e는 d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더 이동하여 고정쇠가 후크로부터 이탈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후크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확대 단면도로서
a는 가동자의 자유상태도, b는 가동자의 가변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1)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도어의 문틀을 비롯한 고정체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댐퍼수납부(13)가 구비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댐퍼수납부(13)에 설치되는 댐퍼(30), 상기 댐퍼의 로드(33) 선단에 장착되며 미닫이 도어를 비롯한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2)가 삽입되는 후크(50) 및 상기 댐퍼(30)의 복귀를 위하여 일단은 후크(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10)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70)을 포함하여 되고,
상기 후크(50)는 댐퍼의 로드(33)에 고정되는 고정자(51), 상기 고정자(51) 에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55)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가동자(53)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자(53)는 고정자(51)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측에 걸림턱(5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걸림턱(531)에 대응하는 멈춤턱(51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5)는 압축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가동자(53)는 압축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지지봉(5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자(51)에는 압축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프링 받침단(514) 및 스프링지지봉(532)이 슬라이드되는 통공(513)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고정자(51)는 가동자(53)의 조립을 위하여 2개 부재(51a)(51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2개 부재(51a)(51b)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512a)(5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50)의 동작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0)가 가이드홈(11)의 직선구간에 위치되고 걸림쇠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걸림쇠(2)가 이동하면서 가동자(53)를 밀게 되면 탄성부재(55)인 압축스프링이 가압되면서 가동자(53)가 밀려들게 되어 걸림쇠(2)가 후크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걸림쇠(2)가 가동자(53)를 넘어가는 동시에 탄성부재(55)에 의하여 가동자(53)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고정자(51)와 함께 걸림쇠(2)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도 8의 b, c 참조).
또한, 슬라이더 개방시 걸림쇠(2)가 후크(50)에 삽입된 상태로 케이스의 가이드홈(11) 직진구간까지 이동 후, 케이스(10) 선단부에서 후크(50)가 가이드홈(11)에 유도되어 회전됨으로써 걸림쇠(2)의 이탈을 가능케 하고, 완충장치로부터 걸림쇠(2)가 벗어나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완전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8의 d, e 참조)과, 슬라이더 닫힘 동작시 개방상태에 있던 슬라이더가 이동하면서 걸림쇠(2)가 회전상태의 후크(50)를 밀어주어 이동가능상태로 회전 복귀시킴과 동시에 걸림쇠가 후크(50)에 끼워지게 되어 걸림쇠 및 슬라이더의 이동이 댐퍼(30)에 의하여 억제되고 인장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완속으로 복귀되어 문틀 또는 서랍장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후크(50A)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자(53)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53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가이드 돌기(538)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홈(5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538) 및 슬라이드홈(518)은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가동자(53)에 가이드 돌기(538)가 형성되고 고정자(51)에 슬라이드홈(518)이 형성됨으로써 가동자(53)의 출몰 동작시 어느 일측으로의 쏠림을 방지하고 정확한 출몰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516'은 후크의 댐퍼 로드 결합홈, '517'은 인장스프링 끼움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크(50)는 고정자(51)와 가동자(53)로 분할 형성되고, 가동자(51)가 외부 압력에 의하여 내측으로 몰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위치에서도 걸림쇠(2)의 삽입이 가능하여 완충장치 설치시 반드시 걸림쇠가 후크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는 수고가 불필요하여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하고 공수 및 시간을 감축시키고, 사용 도중에 후크(50)가 가이드홈 직진구간에 위치되고 걸림쇠(2)가 후크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도 걸림쇠의 후크 삽입이 가능하여 슬라이더가 닫히지 않는 불편함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요 구성으로 가동자(53)의 출몰 동작시 슬라이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고정자(51)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특히 외관상 디자인이 소비자의 선호를 좌우하는 도어 등에 사용되는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고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가동자의 걸림턱(531)이 슬라이드되는 상부에는 고정자의 멈춤턱(511)이 커버하고 가이드 돌기(538)가 이동하는 슬라이드홈(518)은 고정자(51)의 내부에 요입형성되어 외관상으로 가동자(53)의 출몰 안내를 위한 요철이 배제되고 콤팩트한 미관을 갖게 되어 상품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가동자(53)의 출몰에 따른 슬라이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고정자(51)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슬라이드 공간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이물질로 인한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가동자(53)의 출몰 동작이 쏠림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으로 가동자(53)에는 걸림턱(531)과 가이드 돌기(538), 고정자(51)에는 멈춤턱(511)과 슬라이드홈(518)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예컨대 선행기술2의 고정핀(46)(도 2 참조)과 같은 별도의 부품이 배제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는 후크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분할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가동자가 몰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후크가 케이스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도 후크에 대한 걸림쇠의 삽입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해짐은 물론이고, 가동자의 출몰 동작시 슬라이드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고정자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콤팩트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드 통로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탁월한 기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 발명의 후크가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10: 케이스 30: 댐퍼 31: 댐퍼 본체
50,50A: 후크 51: 고정자 511: 멈춤턱
518: 슬라이드홈 53: 가동자 515: 가이드 돌조
531: 걸림턱 538: 가이드 돌기 55: 탄성부재
70: 인장스프링 2: 걸림쇠

Claims (4)

  1. 미닫이 도어의 문틀을 비롯한 고정체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댐퍼수납부(13)가 구비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댐퍼수납부(13)에 설치되는 댐퍼(30), 상기 댐퍼의 로드(33) 선단에 장착되며 미닫이 도어를 비롯한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2)가 삽입되는 후크(50) 및 상기 댐퍼(30)의 복귀를 위하여 일단은 후크(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10)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70)을 포함하여 되고,
    상기 후크(50)는 댐퍼의 로드(33)에 고정되는 고정자(51), 상기 고정자(51)에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55)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가동자(53)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자(53)는 고정자(51)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측에 걸림턱(5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걸림턱(531)에 대응하는 멈춤턱(51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5)는 압축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가동자(53)는 압축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지지봉(53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51)는 가동자(53)와의 조립을 위하여 2개 부재(51a)(51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2개 부재(51a)(51b)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부(512a)(512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53)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53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51)는 상기 가이드 돌기(538)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5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20140102682A 2014-08-09 2014-08-09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20140108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682A KR20140108507A (ko) 2014-08-09 2014-08-09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682A KR20140108507A (ko) 2014-08-09 2014-08-09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507A true KR20140108507A (ko) 2014-09-11

Family

ID=5175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682A KR20140108507A (ko) 2014-08-09 2014-08-09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167B1 (ko) * 2020-01-02 2020-06-26 박채형 싱크대 수납장
KR102354266B1 (ko) * 2021-06-18 2022-01-20 여길봉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167B1 (ko) * 2020-01-02 2020-06-26 박채형 싱크대 수납장
KR102354266B1 (ko) * 2021-06-18 2022-01-20 여길봉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839B2 (en) Retracting device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559676B1 (ko)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WO2010092697A1 (ja) 移動体の移動装置
US20160135595A1 (en) Closing device, extension runner having a closing device as well as furniture item having an extension runner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200459418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KR20170039546A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784983B1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의 제조방법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0841801B1 (ko) 슬라이딩도어용 완충장치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CN108030294B (zh) 一种滑轨锁定拆卸结构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2021134606A (ja) 引き戸の制動装置
KR101129570B1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763393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