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01A - 접이식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이식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01A
KR20210027701A KR1020190108315A KR20190108315A KR20210027701A KR 20210027701 A KR20210027701 A KR 20210027701A KR 1020190108315 A KR1020190108315 A KR 1020190108315A KR 20190108315 A KR20190108315 A KR 20190108315A KR 20210027701 A KR20210027701 A KR 2021002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liding
folding
id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강
데네리 에템
Original Assignee
이현강
데네리 에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강, 데네리 에템 filed Critical 이현강
Priority to KR102019010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7701A/ko
Publication of KR2021002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7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horizontal sliding wings having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rota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와 여닫이를 결합하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은, 격자형 창호(250)의 일측에 회동축(301a,301b)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여닫이 창문(310)과,
상측 창문 프레임(312)과 하측 창문 프레임(313)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기준 롤러 뭉치(316a,316b)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를 구비하는 복수의 미닫이 창문(321,322)을 구비하고,
창호(250)의 상하측 프레임(210,220)에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316a,316b)와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일(205,206)과,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는 개방구(215,225)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321,322)은 상기 여닫이 창문(310)을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가 상기 개방구(215,225)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잡아당겨 오픈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창호 시스템{Folding window system}
본 발명은 미닫이와 여닫이를 결합하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최대한 개방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기존 창호와 비교하여 방범 효과가 개선될 수 있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출입구에는 도어나 창문 등이 결합된 창호 시스템이 설치된다.
미닫이 방식으로 도어나 창문을 구성하는 경우 도어나 창문을 최대한 개방하더라도 적어도 1짝의 도어나 창문이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반대로 여닫이 방식으로 도어나 창문을 구성하는 경우 도어나 창문을 회전시켜 개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폐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닫이와 여닫이 방식이 결합된 접이식 창호 시스템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46873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11) 및 양측의 수직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21,31)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레일(21,31)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30)과, 상기 레일프레임(20)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30)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40)과, 상기 회전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41,42:43)과, 상기 상기 레일프레임(20)과 상기 회전프레임(30)의 높이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방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100)은 레일프레임(20)에 대하여 미닫이 도어편(40)을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40) 모두 회전프레임(30) 쪽으로 이동시키고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켜 도어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100)은 회전프레임(30) 전체를 회전시켜 도어를 오픈하기 때문에 설치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각 도어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고 일반 창문 등과 마찬가지로 중첩된 구조를 이루므로 방범 기능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468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창호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용성과 개방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이나 출입구에 호환 가능한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닫이 창문과 미닫이 창문을 일직선으로 배열함으로써 외부에서 창문과 창문 사이에 지렛대 등을 넣어 파손하거나 강제 개방이 어렵게 하여 방범 기능도 개선할 수 있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이 격자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창호와,
상기 격자형 창호에 끼워져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창문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상기 격자형 창호의 일측에 회동축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여닫이 창문과,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를 구비하는 복수의 미닫이 창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프레임에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와 아이들 롤러 뭉치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여닫이 창문을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개방구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잡아당겨 오픈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여닫이 창문과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에 구성되는 아이들 롤러 뭉치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방구는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의 입출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은, 격자형 창호의 일측에 회동축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여닫이 창문과,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를 구비하는 복수의 미닫이 창문을 구비하고,
상기 여닫이 창문 및 미닫이 창문이 결합되는 상하측 프레임에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와 아이들 롤러 뭉치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는 개방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여닫이 창문을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개방구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잡아당겨 오픈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종래 창호나 출입문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실용성과 창문의 개방 공간을 최대한 확보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여닫이 창문과 미닫이 창문이 일직선으로 밀착 배열되어 닫힌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범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의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은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의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상하측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측 프레임에 여닫이 창문의 회동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여닫이 창문의 회동축을 상하측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한 축수의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하측 프레임의 레일에 미닫이 창문의 기준 롤러 뭉치 또는 아이들 롤러 뭉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의 창문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측 프레임(210), 하측 프레임(220), 좌측 프레임(230), 우측 프레임(240)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창호(250)와, 상기 격자형 창호(250)의 일측에 회동축(301a,301b)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여닫이 창문(310)과, 상하측 프레임(210,220)에 구성되는 레일(205.206)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미닫이 창문(321,322)으로 이루어진다.
여닫이 창문(310)은 상측 창문 프레임(302), 하측 창문 프레임(303), 좌측 창문 프레임(304), 우측 창문 프레임(305)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창호(2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하측 창문 프레임(302,303)의 일측에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회동축(301a,301b)이 고정되고, 그 회동축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축수(309a,309b)를 개재하여 상하 프레임(210,220)에 구성되는 축수 결합구(207)에 고정된다.
따라서, 여닫이 창문(310)은 회동축(301a,301b)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축수(309a,309b)는 도 7과 같이 중앙의 베어링에 회동축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축수 결합구(207)에 착탈하기 쉽도록 전방에 손잡이용 돌기(308)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미닫이 창문(321,322)은, 도 4와 같이 상측 창문 프레임(312), 하측 창문 프레임(313), 좌측 창문 프레임(314), 우측 창문 프레임(315)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창호(2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측 창문 프레임(312)과 하측 창문 프레임(313)에는 상하 대칭되게 설치되는 1조의 기준 롤러 뭉치(316a,316b)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를 구비한다.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316a,316b)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는 도 8과 같이 레일(205,206)에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하측 프레임(210,220)에 구성되는 레일(205,206)은 도 5 및 도 8과 같이 그 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대향하여 돌출된 격벽(209a,209b)에 의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분리되어 있다. 상기 레일에 구성되는 격벽(209a,209b)은 기준 롤러 뭉치(316a,316b)와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의 한쌍의 롤러를 분리하도록 작용하므로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창문의 하중을 분산하는 작용을 한다. 또, 측벽 외측의 일단에는 창문의 밀폐를 위하여 고무 패킹(235)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홈(216)과,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가 상기 일직선형의 레일(205,206)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일측(여닫이 창문 쪽)에 대칭되게 구성되는 개방구(215,225)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개방구(215,225)는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의 입출이 용이하도록 입구의 상하좌우에 테이퍼진 가이드부(26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구는 미관을 위하여 여닫이 창문(310)의 상하측 창문 프레임에 개방구 차폐용 커버(265)를 추가 설치하여도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291,292)는 여닫이 창문(310)의 잠금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은 여닫이 창문(310)을 오픈한 상태에서 미닫이 창문(321,322)을 여닫이 창문 쪽으로 순차 슬라이드 시킨 후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가 상기 개방구(225,215)에 위치하였을 때 개방된 여닫이 창문(310) 쪽으로 잡아당기면 기준 롤러 뭉치(316a,316b)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여닫이 창문처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순차적으로 오픈 되기 때문에 기준 롤러 뭉치(316a,316b)는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 즉, 도 4와 같이 기준 롤러 뭉치(316a,316b)는 좌측 창문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C 만큼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나,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는 미닫이 창문(321)의 경우 D1의 간격, 미닫이 창문(322)의 경우 D2의 간격 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D1의 간격이 D2의 간격보다 대략 C 간격만큼(좌측 창문 프레임의 두께) 또는 그 이상 커야 미닫이 창문들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a 내지 도 9e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의 창문 개폐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a와 같이 여닫이 창문(310)을 잡아당겨 오픈하고, 도 9b와 같이 미닫이 창문(321)을 개방된 여닫이 창문(310)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여닫이 창문(310)처럼 전방으로 잡아당겨 회전시키면 미닫이 창문(321)의 아이들 롤러 뭉치(317a,317b)가 개방구(215,225)를 빠져 나오면서 도 9c와 같이 오픈된다.
이어서 도 9d와 같이 미닫이 창문(322)을 개방된 미닫이 창문(321)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같은 과정을 거쳐 미닫이 창문(322)을 잡아당겨 개방하면 도 9e와 같이 창문이 모두 개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창문이 닫혀 있을 때 일직선상으로 밀착되어 배열되므로 종래 접이식 창호 시스템이나 미닫이 창문 등과 비교하여 방법기능이 개선되고, 개방시에는 창호의 개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접이식 창호 시스템(200)은 예시된 도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창문이나 출입문에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100,200 - 접이식 창호 시스템
205,206 - 레일
207 - 축수 결합구
209a,209b - 격벽
210 - 상측 프레임
215,225 - 개방구
216 - 홈
220 - 하측 프레임
230 - 좌측 프레임
235 - 고무 패킹
240 - 우측 프레임
250 - 창호
265 - 개방구 차폐용 커버
291,292 - 장금장치
301a,301b - 회동축
302,312 - 상측 창문 프레임
303,131 - 하측 창문 프레임
304,314 - 좌측 창문 프레임
305,315 - 우측 창문 프레임
308 - 돌기
309a,309b - 축수
310 - 여닫이 창문
316a,316b - 기준 롤러 뭉치
317a,317b - 아이들 롤러 뭉치
321,322 - 미닫이 창문

Claims (3)

  1. 상하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이 격자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창호와,
    상기 격자형 창호에 끼워져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창문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상기 격자형 창호의 일측에 회동축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여닫이 창문과,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상기 1조의 기준 롤러 뭉치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창문 프레임과 하측 창문 프레임에 상하 대칭되게 구성되는 1조의 아이들 롤러 뭉치를 구비하는 복수의 미닫이 창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측 프레임에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와 아이들 롤러 뭉치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여닫이 창문을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상기 아이들 롤러 뭉치가 상기 개방구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여닫이 창문 쪽으로 잡아당겨 오픈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창문과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은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닫이 창문에 구성되는 아이들 롤러 뭉치는 상기 기준 롤러 뭉치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창호 시스템.
KR1020190108315A 2019-09-02 2019-09-02 접이식 창호 시스템 KR20210027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15A KR20210027701A (ko) 2019-09-02 2019-09-02 접이식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15A KR20210027701A (ko) 2019-09-02 2019-09-02 접이식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01A true KR20210027701A (ko) 2021-03-11

Family

ID=7514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315A KR20210027701A (ko) 2019-09-02 2019-09-02 접이식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7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58B1 (ko) * 2022-09-08 2023-06-16 신용문 섹션별 개방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3B1 (ko) 2018-08-06 2019-02-12 이녹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3B1 (ko) 2018-08-06 2019-02-12 이녹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58B1 (ko) * 2022-09-08 2023-06-16 신용문 섹션별 개방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WO2024053823A1 (ko) * 2022-09-08 2024-03-14 신용문 섹션별 개방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70444U (zh) 门栏
US9316042B2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KR20210027701A (ko) 접이식 창호 시스템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US20180266174A1 (en) Door for personnel ingress and egress provided within a larger door for vehicles
RU86644U1 (ru) Ворота подъемно-складные
KR101038114B1 (ko) 미닫이 창호용 환기장치
ITMI20040083U1 (it) Serramento di sicurezza con blindatura scorrevole sull'anta per finestre porte o simili
JPS6041416Y2 (ja) 改良引き違い窓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US3192992A (en) Overhead sectional door
GB2097849A (en) Sliding door assembly
GB2543742A (en) Secondary glazing unit
JPH02178487A (ja) 戸袋なし雨戸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102399349B1 (ko)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JPH0113187Y2 (ko)
JP4334257B2 (ja) 開閉体装置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KR101431959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JPH0113184Y2 (ko)
IT202100017459A1 (it) Porta scorrevole
KR102081329B1 (ko)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US2677860A (en) Bottom-hinged double-hung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