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195B1 -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195B1
KR101771195B1 KR1020160173814A KR20160173814A KR101771195B1 KR 101771195 B1 KR101771195 B1 KR 101771195B1 KR 1020160173814 A KR1020160173814 A KR 1020160173814A KR 20160173814 A KR20160173814 A KR 20160173814A KR 101771195 B1 KR101771195 B1 KR 10177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door
pressing
slop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일
Original Assignee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7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시, 스트라이크와의 접촉에 의해 래칫의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래칫의 헤드부에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와 제2 사면부를 형성하고, 래칫의 몸체부 후면에 상기 사면부들에 대응하여 사면부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과 제2 피가압면을 형성하여, 래칫이 회동하면서 제1 피가압면 또는 제2 피가압면에 가압부재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 방향에 따른 래칫의 방향 전환 및 인출입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RATCHET FOR MORTISE}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시, 스트라이크와의 접촉에 의해 래칫의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래칫의 헤드부에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와 제2 사면부를 형성하고, 래칫의 몸체부 후면에 상기 사면부들에 대응하여 사면부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과 제2 피가압면을 형성하여, 래칫이 회동하면서 제1 피가압면 또는 제2 피가압면에 가압부재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 방향에 따른 래칫의 방향 전환 및 인출입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모티스, 도어의 실내측 일면에 설치되는 실내측 본체 및 도어의 실외측 타면에 설치되는 실외측 본체로 구성된다.
이 중, 모티스에는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데드볼트와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래치볼트가 인출입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걸림 구조로 삽입된 상태에서, 데드볼트의 잠금 해제 후 실내측 핸들 또는 실외측 핸들을 이용해 래칫을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한다.
이러한 핸들 작동과 연동하여 래칫의 인출입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모티스는, 래칫의 인출입과 핸들의 회전이 함께 연동하여 작동하는 바, 장기간 사용 등으로 인해 핸들의 회전 후 자동 복귀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래칫이 인출되지 않아 스트라이크에 걸리지 않아 도어 폐쇄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발행하여 보안성이 취약해질 염려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모티스는, 도어 개방 후 핸들을 놓은 상태에서 도어가 다시 닫힐 때, 래칫의 인출입이 핸들과 연동하지 않고 별개로 작동해야 하므로, 핸들과 래칫의 선택적인 연동 구조를 위해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모티스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좌우 회전식 핸들뿐만 아니라 전후 회동식(풀-푸시 방식) 핸들을 채용한 도어락의 사용이 증가하는 바, 도어의 개폐 방향(즉, 도어를 실외측으로 당겨서 개방 또는 도어를 실내측으로 밀어서 개방)에 따라 전후 회동식 핸들의 작동 방향이 달라지면서 이에 연동하여 모티스의 래칫 방향(경사면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을 향해야 함.)도 함께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모티스 내에 래칫 방향 전환에 필요한 다수개의 부품들이 필요하여 모티스의 내부 설계상의 어려움을 수반하고, 이렇게 복잡한 구조의 모티스는 부품의 제작 및 조립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작동 안정성이 떨어지고 고장 발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모티스의 래칫이 핸들 작동과 별개로 연동하지 않고, 도어 개폐에 따른 래칫과 스트라이크와의 접촉만으로 래칫의 회동에 따른 방향 전환 및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와 관련된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바,
이러한 래칫의 회동 및 인출입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티스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참고로, 래칫의 방향 전환을 이용해, 래칫이 스트라이크에서 접촉하면서 회동 및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598958호, 등록특허 제10-1263446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 개폐 시 래칫과 스트라이크와의 접촉에 의한 래칫의 회동(방향 전환) 및 인출입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함과 아울러, 이러한 래칫의 인출입 구조를 간소화하여 모티스의 제작 편의성 향상 및 고장 발생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래칫의 헤드부에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와 제2 사면부를 형성하고, 래칫의 몸체부 후면에 상기 사면부들에 대응하여 사면부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과 제2 피가압면을 형성하여, 래칫이 회동하면서 제1 피가압면 또는 제2 피가압면에 가압부재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칫을 지지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칫의 인입 후 자동 복귀 인출 작동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 사면부에 면 접촉하는 전면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체와, 모티스 내부에 고정된 지지체 및 가압체와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시 래칫의 인출입 작동을 가이드하여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도어 폐쇄 후 래칫의 회동 방향을 고정시켜 핸들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의도치 않게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칫의 몸체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한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도어 폐쇄 상태에서 제한부재에 의해 래칫의 회동이 스토핑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래칫의 회동 시 마찰력 감소 및 래칫의 부드러운 회동 작동을 위해, 래칫에서 각 사면부와 각 피가압면 사이를 연결하는 각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는,
도어 개폐 시, 래칫이 스트라이크에 접촉하면서 래칫의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있어서,
모티스 외부로 노출되고 양 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와 제2 사면부로 이루어진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모티스에 내장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래칫;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접촉하여, 상기 래칫을 모티스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칫은, 상기 몸체부의 후면이, 상기 제1 사면부와 상기 제2 사면부에 대응하여 사면부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과 제2 피가압면으로 이루어져,
도어 개폐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이 회동하면서, 상기 제1 피가압면 또는 상기 제2 피가압면에 상기 가압부재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칫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제1 사면부 및 제2 사면부에 대응하여 각 사면부에 면 접촉하는 전면 가압부를 구비하고, 모티스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압체,
모티스 내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체,
상기 가압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체가 전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서,
상기 래칫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한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한부재에 의해, 상기 래칫의 회동이 스토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서,
상기 래칫은, 상기 제1 사면부와 상기 제1 피가압면 사이 및 상기 제2 사면부와 상기 제2 피가압면 사이를 연결하는 각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연결 구조는, 도어 개폐 시 래칫의 각 사면부가 스트라이크와 접촉하는 방향에 따라 래칫의 회동에 의한 방향 전환 및 래칫의 인출인 작동이 보다 원화하게 이루어져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래칫의 회동 방향에 상관없이 래칫을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이러한 래칫의 회동 및 인출입 작동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모티스의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고 모티스의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도시 방향을 다르게 한, 본 발명의 요부 1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어 개폐에 과정에 따른 래칫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래칫의 사시도들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부품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모티스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티스 구조를 도 1, 도 2 및 도 6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어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모티스 하우징(10) 내부에는 데드볼트(D)와 래칫(20)이 각각 전후진하여 하우징(10) 외부로 인출입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전면 플레이트(11)에는 제1, 제2 인출공(11a)(11b)이 구비되어, 데드볼트(D)가 제1 인출공(11a)으로 인출입하고, 래칫(20)이 제2 인출공(11b)으로 인출입하여, 데드볼트(D)와 래칫(20)의 헤드부(21)가 모티스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모티스는, 실외측 본체의 핸들(미도시)과 연동된 실외측 제1 샤프트(40)와, 실내측 본체의 핸들(미도시)과 연동된 실내측 제2 샤프트(50)가,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끼워져 축설되어 있으며, 제2 샤프트(50)와 데드볼트(D) 사이에는 각종 캠 및/또는 기어 및/또는 축 등으로 구성된 데드볼트 인출입수단(DW)이 구비되어, 도어의 잠금 해제 시 데드볼트(D)가 인입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실내측에서 잠금 해제 버튼 또는 썸턴 노브 등의 작동이 필요 없이, 실내측 핸들의 작동만으로 데드볼트(D)의 잠금 해제가 함께 이루어지는 패닉 기능을 갖는 모티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모티스의 구체적인 작동을 위한 부품들 내지 이들의 결합 구조 등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고, 이와 관련된 내용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티스에서, 도어(1) 개폐 시, 래칫(20)이 스트라이크(2)에 접촉하면서 래칫(20)의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사면부(21a)와 제2 사면부(21b)를 구비한 헤드부(21)와 이에 대응하여 후면에 제1 피가압면(23a)과 제2 피가압면(23b)이 형성된 몸체부(22)로 이루어진 래칫(20) 및 상기 래칫(20)을 모티스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래칫(20)은,
모티스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21)로써,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21a)와 제2 사면부(21b)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21)의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된 몸체부(22)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사면부(21a)와 상기 제2 사면부(21b)에 각각 대응하여 사면부(21a)(21b)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23a)과 제2 피가압면(23b)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제2 피가압면(23a)(23b)으로 이루어진 피가압부(23)는, 몸체부(22)의 후면 중앙 일부가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래칫(20)의 몸체부(22)는 피가압부(22)를 중앙에 두고 몸체부(22)의 양측에 날개부(24)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면부(21a)와 제1 피가압면(23a) 사이의 각도(a1) 및 제2 사면부(21b)와 제2 피가압면(23b)의 각도(a2)는 모두 직각으로 형성되어, 도 1의 하부 일점쇄선 내의 요부 발췌 단면도와 같이, 래칫(20)이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각 사면부(21a)(21b)가 하우징(10)과 평행하게 배열되었을 때, 각 사면부(21a)(21b)에 대하여 각 피가압면(23a)(23b)은 항상 직각으로 배열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20)의 몸체부(22)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 즉 각 날개부(24)에는, 래칫(20)의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즉 상기 제2 사면부(21b)와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부(24a)가 구비되어 있으되, 상기 걸림부(24a)는 몸체부(22)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구비되며,
이 걸림부(24a)에, 샤프트(40)(50)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한부재(60)의 구속돌기(61)가 삽입되어,
도어(1) 폐쇄 상태에서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의 걸림 구조로 인해 래칫(20)의 회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도어(1) 개폐 시 구속돌기(61)를 따라 걸림부(24a)가 슬라이딩되어 래칫(20)의 전후진(인출입)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부(24a)는, 구속돌기(61)와 암수 결합되어 걸림 구조를 갖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이면 족하고, 도면에서는 날개부(24)의 양 측면에 돌기들로 형성된 걸림부(24a)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20)은, 상기 제1 사면부(21a)와 상기 제1 피가압면(23a) 사이 및 상기 제2 사면부(21b)와 상기 제2 피가압면(23b) 사이를 연결하는 각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래칫(20)의 회동이 보다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래칫(20)의 후방, 보다 엄밀하게는 래칫(20)의 날개부(24)들 사이로 수용되어 배열되는 가압체(31), 모티스 내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체(32), 가압체(31)와 지지체(32)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체(31), 즉 래칫(20)이 모티스 외부로 전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5)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체(31)는, 상기 몸체부(22)의 제1 사면부(21a) 및 제2 사면부(21b)에 대응하여 각 사면부(21a)(21b)에 면 접촉하는 전면 가압부(31a)를 구비하는 것으로,
모티스 내부의 래칫(20) 후방, 피가압부(23)에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래칫(20)과 함께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체(31)는 상하면에 가압체(31)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1b)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의 안내홈(11c)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후면에 탄성체(35)의 고정을 위한 제1 끼움돌기(31c)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32)는, 상기 가압체(31) 후방측에 고정되어 입설된 받침부(33)와, 상기 받침부(33)의 일측단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래칫(20)의 몸체부(22) 상면 또는 하면을 덮는 위치까지 연장 연결된 측벽부(34)로 구성되며,
도면에서는 래칫(20) 몸체부(22)의 상면까지 연장 연결된 1개의 측벽부(34)를 갖는 지지체(32)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체(32)는, 탄성체(35)의 고정을 위해, 받침부(33)의 전면에 상기 제1 끼움돌기(31c)에 대응하는 제2 끼움돌기(33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34)에, 상기 걸림부(24a)에 대응하는 삽입홈(34a)이, 전후 소정 길이를 갖도록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35)는, 후단이 상기 받침부(33)에 지지되고, 전단이 상기 가압체(31)를 가압하여, 래칫(20)을 모티스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35) 전단 개구부에 상기 제1 끼움돌기(31c)가 끼워지고, 탄성체(35)의 후단 개구부에 상기 제2 끼움돌기(33a)가 끼워져, 탄성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제한부재(60)는, 각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각 샤프트(40)(50)와 연동하여 상기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면서 래칫(20)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래칫(20)과 샤프트(40)(50)들 사이에 회동축(미표시)으로 축설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 회동(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래칫(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열된 제한부재(60)의 전단부(60a) 내측면에 구속돌기(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한부재(60)의 후단부(60b) 하측에 회동축으로 축설되어 상하 회동하며 회동축의 전단에서 제한부재(60)의 후단부(60b)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연결된 누름부(62a)와 회동축의 후단에 연결된 피작동부(62b)로 이루어진 방향 전환부재(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한부재(60)는, 핸들 미사용 시, 전단부가 래칫(20)을 향해 하향 회동한 상태에서, 구속돌기(61)가, 상기 삽입홈(34a)으로 삽입되면서 측벽부(34)를 통과하여 래칫(20)의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어,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며, 이 상태에서 래칫(20)의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속돌기(61)와 걸림부(24a)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로 인해 래칫(20)의 전후진이 안내된다.
또한 핸들에 의해 샤프트가 일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에 결합된 캠(41)의 제1 작동돌기(41a)가 제한부(60)재의 후단부를 가압하거나, 또는 핸들에 의해 샤프트가 타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에 결합된 캠(41)의 제2 작동돌기(41b)가 피작동부(62b)를 들어서 누름부(62a)가 제한부재(6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에 걸치듯이 빠지면서 걸림부(24a)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을 통한 래칫(20)의 작동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어(1)를 실외측(도면 상 하측)으로 당겨서 개방하는 형태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탄성체(35)의 탄성력에 의해 래칫(20)이 전진 가압되어, 모티스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21)가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2)의 걸림공(2a) 내부로 내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2)에 면접하면서 하우징(10)과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제2 사면부(21b)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2 피가압면(23b)에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가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한다.
이렇게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한부재(60)에 의해 래칫(20)의 회동이 제한을 받게 되어, 핸들을 이용해 제한부재(60)의 구속을 풀지 않는 한, 래칫(20)이 회동하지 않아 도어(1)가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을 이용해 도어(1)를 당겨서 열면(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도어(1) 및 모티스가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음.), 제한부재(60)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헤드부(21)의 제2 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2)에 접촉하여, 래칫(20)이 일방향으로 회동한 후,
이 상태에서 경사지게 배열된 제2 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2)에 눌려, 래칫(20)이 모티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헤드부(21)가 스트라이크(2)의 걸림공(2a)에서 이탈하여 도어(1)의 개방이 완료된다.
이렇게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는, 래칫(2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제1 사면부(21a)가 하우징(10)과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제1 사면부(21a)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1 피가압면(23a)에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가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하게 되며,
도어(1) 개방에 의해 제2 사면부(21b)와 스트라이크(2)의 접촉이 해제되면,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가 래칫(20)의 제1 피가압면(23a)을 가압하여, 래칫(20)이 회동한 상태 그대로, 모티스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도어(1) 개방 후 핸들에서 손을 놓게 되면, 제한부재(6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으로 삽입되나,
래칫(20)의 회동에 의해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가 사선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므로, 구속돌기(61)는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를 닫게 되면, 모티스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21)의 제1 사면부(21a)가 스트라이크(2)에 접촉하여, 래칫(20)이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래칫(20)의 원위치 복귀에 따라,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어,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된다.
이렇게 래칫(20)이 원위치로 회동 복귀하면, 래칫(20)의 회동에 따른 방향 전환이 다시 이루어져, 제2 사면부(21b)가 모티스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제2 사면부(21b)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2 피가압면(23b)에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가 다시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한다.
이후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계속 닫히게 되면,
경사지게 배열된 제1 사면부(21a)가 스트라이크(2)에 계속적으로 눌려,
래칫(20)이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어, 모티스의 래칫(20)이 스트라이크(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하게 닫히면,
제1 사면부(21a)와 스트라이크(2)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가 래칫(20)의 제2 피가압면(23b)을 가압하여,
래칫(20)이 원위치로 회동 복귀한 상태 그대로 모티스 외부로 인출되면서, 래칫(20)이 스트라이크(2)의 걸림공(2a)으로 내삽되어, 도어(1)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도 3의 [C]에서 도 3의 [A] 과정으로, 도어(1)가 닫힐 때, 제한부재(60)의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1)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래칫(20)의 인출입 작동은 제한부재(60)의 구속돌기(61)에 의해 안내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D)의 개방이 도면과 반대로 실외측 방향(도면 상 상측)으로 이루어질 경우, 래칫(20)을 뒤집어 조립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렇게 래칫(20)을 뒤집어 설치하더라도, 제한부재(60)에 마련된 2개의 구속돌기(61) 중 어느 하나가 걸림부(24a)에 삽입되므로, 제한부재(60)의 기능이 온전하게 발휘된다.
즉, 도면과 같은 구조로 조립된 상태에서 도 5의 [D]에 도시된 2개의 구속돌기(61) 중 상측의 구속돌기가 걸림부(24a)에 삽입되면,
반대로 래칫(20)을 뒤집어 조립할 땐, 도 5의 [D]에 도시된 2개의 구속돌기(61) 중 하측의 구속돌기가 걸림부(24a)로 삽입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본 발명은, 래칫(20)의 회동 방향에 상관없이, 래칫(20)의 각 피가압면(23a)(23b)이 가압체(31)의 전면 가압부(31a)에 면 접촉하는 형태로, 가압부재(30)가 래칫(20)을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가압부재(30)의 탄성력이 래칫(20)으로 완전하게 전달되어, 래칫(20)의 인출입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래칫(20)의 인출입 작동이 제한부재(60)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도어(1) 개폐 시 발생하는 래칫(20)의 인입 후 인출 복귀 작동이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완료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래칫(20)의 방향 전환에 따른 인출입 작동, 복귀 및 고정 등을 위한 필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모티스의 제작이 편리함과 동시에 모티스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데드볼트 DW : 데드볼트 인출입수단
10 : 하우징 11 : 전면 플레이트
11a, 11b : 인출공 11c : 안내홈
20 : 래칫 21 : 헤드부
21a, 21b : 사면부 22 : 몸체부
23 : 피가압부 23a, 23b : 피가압면
24 : 날개부 24a : 걸림부
30 : 가압부재 31 : 가압체
31a : 전면 가압부 31b : 안내돌기
31c, 33a : 끼움돌기 32 : 지지체
33 : 받침부 34 : 측벽부
34a : 삽입홈 35 : 탄성체
40, 50 : 샤프트 60 : 제한부재
61 : 구속돌기

Claims (4)

  1. 도어 개폐 시, 래칫(20)이 스트라이크에 접촉하면서 래칫(20)의 인출입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에 있어서,
    모티스 외부로 노출되고 양 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제1 사면부(21a)와 제2 사면부(21b)로 이루어진 헤드부(21)와, 상기 헤드부(21)에 연결되어 모티스에 내장되는 몸체부(22)로 이루어진 래칫(20);
    상기 몸체부(22)의 후면에 접촉하여, 상기 래칫(20)을 모티스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재(30); 및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기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면서, 도어 폐쇄 중에는 상기 래칫(20)의 전진을 가이드하는 제한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칫(20)에서, 상기 몸체부(22)의 후면은, 상기 제1 사면부(21a)와 상기 제2 사면부(21b)에 대응하여 사면부들(21a)(21b)의 각 후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모티스의 내측을 향해 연결되어 형성된 제1 피가압면(23a)과 제2 피가압면(23b)으로 이루어져,
    도어 개폐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20)이 회동하여, 상기 제1 피가압면(23a) 또는 상기 제2 피가압면(23b)에, 상기 가압부재(30)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칫(20)이 지지되며,

    상기 래칫(20)은, 상기 몸체부(22)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상기 제2 사면부(21b)와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부(24a)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24a)는 몸체부(22)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한부재(60)는, 상기 몸체부(22)를 향해 돌출된 2개의 구속돌기(61)를 구비한 전단부가, 상기 래칫(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열되도록, 상기 래칫(20)과 샤프트들(40)(50) 사이에 회동축으로 축설되어, 핸들과 연동하는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20)의 상면과 하면을 뒤집어 설치하더라도, 상기 2개의 구속돌기(6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걸림부(24a)에 삽입 가능하여, 제한부재(60)를 통한 래칫(20)의 회동 스토핑 및 래칫(20)의 전진 가이드 기능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몸체부(22)의 제1 사면부(21a) 및 제2 사면부(21b)에 대응하여 각 피가압면(23a)(23b)에 선택적으로 면 접촉하는 전면 가압부(31a)를 구비하고, 모티스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압체(31),
    모티스 내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체(32),
    상기 가압체(31)와 상기 지지체(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체(31)가 전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한부재(60)의 후단부(60b) 하측에 회동축으로 축설되어 상하 회동하며 회동축의 전단에서 제한부재(60)의 후단부(60b)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연결된 누름부(62a)와 회동축의 후단에 연결된 피작동부(62b)로 이루어진 방향 전환부재(6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핸들에 의해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에 결합된 캠(41)의 제1 작동돌기(41a)가 제한부(60)재의 후단부를 가압하거나, 또는 핸들에 의해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에 결합된 캠(41)의 제2 작동돌기(41b)가 피작동부(62b)를 들어서 누름부(62a)가 제한부재(6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에서 빠지면서 걸림부(24a)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20)은, 상기 제1 사면부(21a)와 상기 제1 피가압면(23a) 사이 및 상기 제2 사면부(21b)와 상기 제2 피가압면(23b) 사이를 연결하는 각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KR1020160173814A 2016-12-19 2016-12-19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KR10177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14A KR101771195B1 (ko) 2016-12-19 2016-12-19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14A KR101771195B1 (ko) 2016-12-19 2016-12-19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195B1 true KR101771195B1 (ko) 2017-08-24

Family

ID=5975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14A KR101771195B1 (ko) 2016-12-19 2016-12-19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982A (ja) * 2007-04-19 2008-11-06 Goal Co Ltd 扉錠用ハンドル装置
JP2011052526A (ja) * 2009-08-06 2011-03-17 Opnus:Kk 扉の反転ラッチ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982A (ja) * 2007-04-19 2008-11-06 Goal Co Ltd 扉錠用ハンドル装置
JP2011052526A (ja) * 2009-08-06 2011-03-17 Opnus:Kk 扉の反転ラッチ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463B1 (ko)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KR101853040B1 (ko)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한하는 서브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JP4825287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853053B1 (ko)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CN111270914A (zh) 锁舌的锁定与解锁机构及具有该机构的全自动锁
KR101891785B1 (ko)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US6425609B2 (en) Locking device for a child safety door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EP3653813B1 (en) Lock with a long-travel deadbolt
JP5341418B2 (ja) 扉のラッチ錠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1771195B1 (ko)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1878462B1 (ko)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101598961B1 (ko)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853049B1 (ko) 패닉 기능 및 래치볼트의 인입 제한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JP2020051138A (ja) 施解錠装置
JP5524732B2 (ja) レバーハンドル錠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CN218953008U (zh) 一种执手锁
EP3653815B1 (en) Lock with emergency unlocking feature
KR102026579B1 (ko)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1870194B1 (ko) 키의 푸쉬 방식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잠금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