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54Y1 - 도어록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도어록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54Y1
KR200418854Y1 KR2020060007371U KR20060007371U KR200418854Y1 KR 200418854 Y1 KR200418854 Y1 KR 200418854Y1 KR 2020060007371 U KR2020060007371 U KR 2020060007371U KR 20060007371 U KR20060007371 U KR 20060007371U KR 200418854 Y1 KR200418854 Y1 KR 200418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terlocking
door
lock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2020060007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 E05B2063/0086Handles used only for locking, while unlocking is achiev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내에서 수동으로 도어(200)를 오픈시킬 때 한 번의 조작으로 록커블록(110)과 래치블록(120)을 동시에 오픈시킬 수 있게 하여 도어(200)의 오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실외에서 디지털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200)를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없게 된 때 실외에서 수동로킹을 가능하게 하며, 실내에서도 간소해진 구성으로 도어(200)를 로킹시킬 수 있게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록 메카니즘은 록커블럭(110)의 후단부에 소정간격 이격형성된 제1턱(111a)과 제2턱(111b)을 가지는 제1슬라이더(111)와;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턱(111a)과 제2턱(111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록커블럭(110)을 연동하여 출몰시키는 단부(132a)를 가지며, 상기 단부(132a)의 상면에 제1연동턱(132b)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작동블럭(130)과; 내측핸들(201)이 결합되고,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연동턱(132b)을 가압하여 록커작동블럭(130)을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연동레버(142)를 가지는 제1연동블럭(140)과; 외측핸들(202)이 결합되고, 제1연동블럭(140)과 연동가능하게 그 제1연동블럭(140)에 결합되는 제2연동블럭(150)과; 래치블럭(120)에 결합되고, 락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연동블럭(150)의 회전에 따라 가압되는 눌림부(121a)를 가지는 제2슬라이더(121)와; 래치블럭(120)과 제2슬라이더(121) 사이에 배치되고, 래치블럭(120)이 도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2슬라이 더(121)를 복원작동시키는 제1스프링(122)(12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도어록 메카니즘은 실내에서 내측핸들(201)만으로 도어(200)를 오픈시킬 수 있고, 실내에서 내측핸들(201)만으로 도어(200)를 로킹시킬 수 있으며, 실외에서 외측핸들(202)만으로 도어(200)를 로킹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록커블럭, 래치블럭, 제1연동블럭, 제2연동블럭, 공회구간

Description

도어록 메카니즘{Door-rock mechanism}
도 1은 통상의 도어록 메카니즘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메카니즘을 도어 외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메카니즘에 채용되는 락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도어록 메카니즘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어가 잠긴 상태의 본 고안 실시예의 메카니즘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실내에서 내측핸들로 도어를 오픈시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작상태 이후에 래치블럭이 원복된 상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실내에서 내측핸들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실외에서 외측핸들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5의 동작상태에 대응되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
도 11은 도 6의 동작상태에 대응되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
도 12는 도 8의 동작상태에 대응되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
도 13은 도 9의 동작상태에 대응되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
도 14는 실외에서 외측핸들을 록커블럭이 로킹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도어록 메카니즘이 채용된 도어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락케이스 101...걸림편
110...록커블록 111...제1슬라이더
111a...제1턱 111b...제2턱
120...래치블럭 121...제2슬라이더
121a...눌림부 122...제1스프링
130...록커작동블럭 131...종동기어
132...작동레버 132a...단부
132b...제1연동턱 132c...제2연동턱
140...제1연동블럭 141...몸체부
141c...섹터홈 141d...제1돌출편
142...제1연동레버 143...제2연동레버
150...제2연동블럭 151...중공몸체
152...걸림레버 152a...제2돌출편
152b...걸림턱 155...제2스프링
160...래치작동블럭 161...걸림부
162...작용부 170...구동모터
171...구동기어 200...도어
201...내측핸들 202...외측핸들
203...번호조작패널 c...공회구간
본 고안은 도어록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내에서 수동으로 도어를 오픈시킬 때 한 번의 조작으로 록커블록과 래치블록을 동시에 오픈시킬 수 있게 하여 도어의 오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실외에서 디지털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없게 된 때 실외에서 수동로킹을 가능하게 하며, 실내에서도 간소해진 구성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도어록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 메카니즘에는 외부에서는 키이(key) 또는 비밀번호 조작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도어를 열을 수 없도록 도어를 로킹시키는 록커블럭과,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며 내/외부의 핸들 작동에 따라 자유롭게 출몰되는 래치블럭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상기 록커블럭 및 래치블럭을 채용하는 통상의 도어록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도어(미도시) 내부에는 락케이스(rock case;30)가 조립되고, 도어 내측면에는 내부핸들(11) 및 록커작동레버(12)가 마련된 내부몸체(10)가 조립되며, 도어 외 측면에는 외부핸들(21) 및 번호조작패널(22)이 마련된 외부몸체(20)가 조립된다.
상기 록커블럭(31)과 래치블럭(32)이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락케이스(30)에는, 록커블럭(31)을 출몰시키도록 회전작동되는 록커작동구(34)와 래치블럭(32)을 출몰시키도록 회전작동되는 래치작동구(33)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래치작동구(33)에는 상기 내측핸들(11)과 외측핸들(21)이 결합되어서 이들 핸들(11)(21)의 회전작동으로 회전되어서 래치블럭(32)을 출몰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록커작동구(34)에는 상기 록커작동레버(12)가 결합되어서, 록커작동레버(12)의 회전작동으로 록커블럭(31)이 출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통상의 도어록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외부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번호조작패널(22)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누르게 되면, 락케이스(30)내에 내장설치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상기 록커블럭(31)을 언로킹시키게 되고, 이어서 외측핸들(21)을 조작하여 래치블럭(32)을 언로킹시킴으로써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실내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록커작동레버(12)를 회전조작하여 록커블럭(31)을 언로킹시키고, 이어서 내측핸들(11)을 회전조작하여 래치블럭(32)을 언로킹시킴으로써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도어록 메카니즘은 실내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경우, 록커작동레버(12)와 내측핸들(11)을 각각 별도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실내에서의 도어 오픈작동이 번거롭다.
그리고, 실내에서 도어를 로킹시키는 경우, 내측핸들(11)과는 별도로 마련되 는 록커작동레버(12)를 회전조작하여야 하므로,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내측핸들(11)만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필요성이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록커작동레버(12)가 작동되지 않게 된 때에는 도어를 로킹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번호조작패널(22) 및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장치의 고장으로 실외에서 자동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실외에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실내에서 도어를 오픈시킬 때 하나의 핸들조작만으로도 록커블럭과 래치블럭이 동시에 언로킹될 수 있도록 한 도어록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실내에서 도어를 로킹시킬 때 래치블럭을 언로킹시키는 내측핸들을 이용하여 록커블럭의 로킹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실외에서 도어를 로킹시킬 때 래치블럭을 언로킹시키는 외측핸들을 이용하여 록커블럭의 로킹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도어의 가장자리측에 내장되는 락케이스와,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되고 그 선단부가 도어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커블럭과, 상기 록커블럭의 언록킹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가능하게 하며 상기 락케이스에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블럭과,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래치블럭이 출몰되도록 그 래치블럭을 연동시키는 외측핸들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래치블럭이 출몰되도록 그 래치블럭을 연동시키는 내측핸들을 구비하여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도어록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록커블럭의 후단부에 소정간격 이격형성된 제1턱과 제2턱을 가지는 제1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락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턱과 제2턱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록커블럭을 연동하여 출몰시키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의 상면에 제1연동턱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작동블럭과; 상기 내측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락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동턱을 가압하여 상기 록커작동블럭을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연동레버를 가지는 제1연동블럭과; 상기 외측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제1연동블럭과 연동가능하게 그 제1연동블럭에 결합되는 제2연동블럭과; 상기 래치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락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연동블럭의 회전에 따라 가압되는 눌림부를 가지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래치블럭과 제2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블럭이 도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를 복원작동시키는 제1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내측핸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연동블럭이 상기 록커블럭을 언로킹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제1연동블럭이 상기 제2연동블럭을 연동시켜 상기 래치블럭을 언로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동블럭은 상기 제1연동레버가 마련되고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섹터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제2연동블럭은 상기 끼움공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중공몸체와 상기 중공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섹터홈에 끼워지는 걸림레버를 구비하여서, 상기 내측핸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록이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블럭을 회전시킬 때, 상기 섹터홈의 일측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레버가 연동되어 상기 래치블록이 언로킹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제1연동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연동턱과; 상기 제1연동레버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연동턱을 가압하여 상기 록커작동블럭을 로킹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연동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섹터홈에는 그 섹터홈에 끼워진 걸림레버가 상기 몸체부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공회구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핸들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록이 로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블럭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레버가 상기 공회구간에서 회전되어 상기 래치블럭의 로킹이 유지되게 하고, 상기 외측핸들을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이 로킹되는 방향으로 제2연동블럭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레버가 상기 공회구간에서 회전되어 상기 래치블럭의 로킹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와 제2연동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와 제2연동블럭을 연동시켜 상기 래치블럭을 출 몰시키는 래치작동블럭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상기 걸림레버의 선단에 걸려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소정각도 이격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눌림부에 접촉되어 그 눌림부를 가압하는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케이스의 내면에는 락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구비되고,상기 제1연동블럭에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제1돌출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동블럭의 걸림레버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블럭의 몸체부에 안착되는 원형고리부를 가지고 상기 원형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2연장부를 가지는 제2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2연장부는 상기 걸림편과 제1,2돌출편이 일직선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걸림편과 제1,2돌출편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1,2돌출편의 회전으로 탄성변형 후 그 제1,2돌출편을 각각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어록 메카니즘은 실내에서 내측핸들만으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고, 실내에서 내측핸들만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있으며, 실외에서 외측핸들만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5 및 10을 참고하여 실내에서 내측핸들(201)만을 이용하여 래치블록과 록커블럭(110)을 동시에 언로킹시켜 도어(200)를 간편하에 오픈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에는 락케이스(100)가 내장되고, 상기 락케이스(100)에는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용된다. 상기 록커블럭(110)은 그 선단부(132a)가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블럭(120)은 상기 락케이스(10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록커블럭(110)의 언로킹 상태에서 도어(200)의 닫힘상태를 유지가능하게 한다.
상기 래치블럭(12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핸들(202)을 일방향(도어를 오픈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핸들(201)을 일방향(록커블럭을 언로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된다.
여기서, 실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핸들(2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록커블럭(110)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록커블럭(110)의 후단부(132a)에는 상기 락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더(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111)는 소정간격 이격형성된 제1턱(111a)과 제2턱(111b)을 가진다.
이러한 제1슬라이더(111)는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작동블럭(13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록커작동블럭(130)에는 키삽입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에서 연장된 작동레버(132)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레버(132)는 그 작동레버(132)의 단부(132a)가 상기 제1,2턱(111a,111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록커블럭(110)을 연동하여 출몰시킨다.
상기 단부(132a)의 상면에는 호 형상의 제1연동턱(1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동턱(132b)은 제1연동블럭(140)에 마련되는 제1연동레버(142)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그 제1연동레버(142)에 의해 가압되어 연동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록커작동블럭(130)과 제1연동블럭(140)이 일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록커작동블럭(130)을 연동시켜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제1연동블럭(140)에는 내측핸들(201)이 결합되는 내측핸들결합공(14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핸들(2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을 언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측에서 록커블럭(110)을 언로킹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요구되지 않고 내측핸들(201)만으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도어(200)를 간편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내측핸들(201)을 회전시켜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을 동시에 언로킹시키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연동블럭(140)은 끼움공(141b)이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몸체부(14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141)의 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섹터홈(14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연동블럭(140)에는 중공몸체(151)와 그 중공몸체(15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레버(152)를 가지는 제2연동블럭(15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끼움공(141b)에는 제2연동블럭(150)의 중공몸체(151)가 동심으로 결합되고, 상기 섹터홈(141c)에는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레버(152)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걸림레버(152)가 상기 섹터홈(141c)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측핸들(2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연동블럭(1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섹터홈(141c)의 일측에 걸려 있는 걸림레버(152)가 연동되어 상기 제2연동블럭(150)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연동블럭(150)이 회전되면, 상기 걸림레버(152)의 선단부(132a)에 형성된 걸림턱(152b)이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작동블럭(160)을 회전되게 한다. 즉, 상기 래치작동블럭(160)은 상기 걸림턱(152b)에 걸려지는 걸림부(161)와 상기 걸림부(161)와 소정각도 이격형성되는 작용부(162)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턱(152b)이 상기 걸림부(161)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작동블럭(16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래치작동블럭(160)의 작용부(162)는 상기 락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슬라이더(121)를 슬라이딩시킨다. 즉, 상기 제2슬라이더(121)에는 상기 작용부(162)에 의해 가압되는 눌림부(121a)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용부(162)가 눌림부(121a)를 가압하여 상기 제2슬라이더(121)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슬라이더(121)는 상기 래치블럭(12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슬라이더(1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블럭(120)은 로킹 또는 언로킹된다.
여기서, 내측핸들(201)의 조작으로 록커블럭(110)이 언로킹되는 동작과정을 6,7 및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내측핸들(201)을 조작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연동블럭(140)의 제1연동레버(142)가 제1연동턱(132b)을 가압하여 록커작동블럭 (130)을 회전시키고, 록커작동블럭(130)의 회전에 따라 작동레버(132)의 단부(132a)가 제2턱(111b)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더(111)가 슬라이딩되어 록커블럭(110)이 언로킹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동블럭(140)의 제1연동레버(142)가 제1연동턱(132b)을 가압하는 동시에 제1연동블럭(140)은 섹터홈(141c)에 걸려 있는 제2연동블럭(150)을 연동시키고,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턱(152b)이 래치작동블럭(160)을 회전시켜 그 래치작동블럭(160)의 작용부(162)가 제2슬라이더(121)를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제2슬라이더(121)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블럭(120)이 상기 록커블럭(110)의 언로킹과 동시에 언로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에서 내측핸들(201)만을 조작하여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을 동시에 언로킹시킬 수 있어, 도어(200)의 오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블럭(120)과 제2슬라이더(121) 사이에는 제1스프링(12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링(122)은 상기 래치블럭(120)이 도어(200)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블럭(120)이 언로킹되어 도어(200)가 열린 다음에 도어(200)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래치블럭(120)은 도어(200)를 로킹시키는 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제1연동블럭(140)과 제2연동블럭(150)도 회전된 다음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데, 그 복원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복원수단은 걸림편(101), 제1,2돌출편(141d,152a) 및 제2스프링 (15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01)은 상기 락케이스(100)의 내면에서 락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편(141d)은 상기 제1연동블럭(140)의 몸체부(141)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편(152a)은 상기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레버(152)에서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155)은 상기 제1연동블럭(140)의 몸체부(141)에 안착되는 원형고리부(155a)와 그 원형고리부(155a)에서 연장되는 제1,2연장부(155b,155c)를 가진다. 제1,2연장부(155b,155c)는 상기 걸림편(101)과 제1,2돌출편(141d,152a)이 일직선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걸림편(101)과 제1,2돌출편(141d,152a)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1,2돌출편(141d,152a)의 회전으로 탄성변형 후 그 제1,2돌출편(141d,152a)을 각각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연동블럭(140)과 제2연동블럭(150)은 제2스프링(15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7,8 및 도 12를 참고하여 내측핸들(201)을 타방향(록커블럭이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키는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연동턱(132b)의 상면에는 호 형상의 제2연동턱(1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동턱(132c)은 제1연동블럭(140)에 마련되는 제2연동레버(143)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그 제2연동레버(143)에 의해 가압되어 연동된다.
상기 제2연동턱(132c)이 가압되어 회전하게 되면, 제2연동턱(132c)은 상기 제1슬라이더(111)에 마련되는 제1턱(111a)을 가압하여 제1슬라이더(111)를 슬라이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더(111)에 결합되어 있는 록커블럭(110)이 도어 (200)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200)를 로킹시킨다.
여기서, 실내에서 내측핸들(201)을 조작하여 록커블록과 래치블럭(120)을 동시에 언로킹시키는 과정과는 달리 래치블럭(120)은 로킹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상기 제1연동레버(142)의 섹터홈(141c)에는 그 섹터홈(141c)에 끼워진 걸림레버(152)가 상기 몸체부(141)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공회구간(c)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핸들(201)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레버(152)가 상기 공회구간(c)에서 회전됨으로써, 제1연동블럭(140)과 제2연동블럭(150)이 연동되지 않아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실내에서 내측핸들(201)을 조작하여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어, 록커블럭(110)을 록킹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어, 도어(200)의 로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도 7,9 및 13을 참고하여 실외에서 외측핸들(202)을 조작하여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키는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연동블럭(150)에는 외측핸들(202)이 결합되는 외측핸들결합공(15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핸들(202)을 록커블럭(110)이 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연동블럭(15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섹터홈(141c)의 일측에 걸려 있는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레버(152)가 제1연동블럭(140)의 몸체부(141)를 가압하여 제1연동블럭(140)을 연동시킨다. 도 7과 같이 제2연동레버(143)가 제1연동턱(132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연동블럭(140)이 회전되면, 상기 제2연동레버(143)가 제1연동턱(132b)을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132)의 단부(132a)가 제1턱(111a)을 가압하여 제1슬라이더(111)를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킨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레버(152)의 걸림턱(152b)은 래치작동블럭(160)의 걸림부(161)와 접촉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외측핸들(202)을 조작하여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어, 도어(200)의 로킹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자동으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는 후술할 디지털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외측핸들(202)을 조작하여 제1연동블럭(140)과 제2연동블럭(150)이 연동되어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이 동시에 언로킹된다면, 실내에서 도어(200)를 로킹시킨 경우에도 실외에서 쉽게 도어(200)를 언로킹시킬 수 있어, 보안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보안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앞에서 제시되었다. 즉, 외측핸들(202)을 상기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키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섹터홈(141c)에 형성된 공회구간(c)에서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레버(152)가 회전하게 되어, 제2연동레버(143)가 제1연동레버(142)를 연동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외측에서 외측핸들(202)로 록커블럭(110)을 로킹시킬 수 있는 장점과 외측핸들(202)로 록커블럭(110)을 언로킹시킬 수 없는 장점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15를 참고하여 자동으로 록커블럭(110)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록커작동블럭(130)에는 종동기어(131)가 마련된다. 상기 종동기어(13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7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17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도어(200)의 외측에는 번호조작패널(203)이 설치된다. 이렇게, 구동모터(170), 구동기어(171) 및 번호조작패널(203) 등으로 구성되는 디지털장치에는 실외에서 상기 번호조작패널(203)을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170)가 동작되게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번호조작패널(203)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구동모터(170)에 인가되어 구동모터(170)를 구동하게 되고, 구동기어(171) 및 종동기어(131)를 순차적으로 회전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록커작동블럭(130), 제1슬라이더(111) 및 록커블럭(110)이 순차로 구동되어 상기 록커블록이 로킹 또는 언로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은 실내측에서 록커블럭을 언로킹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요구되지 않고 내측핸들만으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도어를 간편하게 오픈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은 실내에서 내측핸들만으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어, 록커블럭을 록킹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되고 도어를 간편하게 로킹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셋째, 본 고안은 실외에서 외측핸들만으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어, 자동으로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는 디지털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연동블럭과 제2연동블럭이 각각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공회구간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래치블럭의 로킹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록커블럭을 로킹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어의 로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실외에서 외측핸들을 조작하여 록커블럭을 언로킹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Claims (6)

  1. 도어의 가장자리측에 내장되는 락케이스와,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되고 그 선단부가 도어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록커블럭과, 상기 록커블럭의 언록킹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가능하게 하며 상기 락케이스에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블럭과,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래치블럭이 출몰되도록 그 래치블럭을 연동시키는 외측핸들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래치블럭이 출몰되도록 그 래치블럭을 연동시키는 내측핸들을 구비하여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도어록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록커블럭(110)의 후단부에 소정간격 이격형성된 제1턱(111a)과 제2턱(111b)을 가지는 제1슬라이더(111)가 형성되고,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턱(111a)과 제2턱(111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록커블럭(110)을 연동하여 출몰시키는 단부(132a)를 가지며, 상기 단부(132a)의 상면에 제1연동턱(132b)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작동블럭(130)과;
    상기 내측핸들(201)이 결합되고,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동턱(132b)을 가압하여 상기 록커작동블럭(130)을 언로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연동레버(142)를 가지는 제1연동블럭(140)과;
    상기 외측핸들(202)이 결합되고, 상기 제1연동블럭(140)과 연동가능하게 그 제1연동블럭(140)에 결합되는 제2연동블럭(150)과;
    상기 래치블럭(120)에 결합되고, 상기 락케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연동블럭(150)의 회전에 따라 가압되는 눌림부(121a)를 가지는 제2슬라이더(121)와;
    상기 래치블럭(120)과 제2슬라이더(12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블럭(120)이 도어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121)를 복원작동시키는 제1스프링(122);을 구비하여서,
    상기 내측핸들(2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연동블럭(140)이 상기 록커블럭(110)을 언로킹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제1연동블럭(140)이 상기 제2연동블럭(150)을 연동시켜 상기 래치블럭(120)을 언로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블럭(140)은 상기 제1연동레버(142)가 마련되고 끼움공(1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섹터홈(141c)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41)를 가지며,
    상기 제2연동블럭(150)은 상기 끼움공(141b)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중공몸체(151)와 상기 중공몸체(15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섹터홈(141c)에 끼워지는 걸림레버(152)를 구비하여서,
    상기 내측핸들(2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록(110)이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블럭(14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섹터홈(140c)의 일측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레버(152)가 연동되어 상기 래치블록(120)이 언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턱(132b)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연동턱(132c)과;
    상기 제1연동레버(142)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141)에 마련되고, 상기 제2연동턱(132c)을 가압하여 상기 록커작동블럭(130)을 로킹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연동레버(14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홈(140c)에는 그 섹터홈(140c)에 끼워진 걸림레버(152)가 상기 몸체부(141)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공회구간(c)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핸들(201)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록(110)이 로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블럭(140)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레버(152)가 상기 공회구간(c)에서 회전되어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되게 하고,
    상기 외측핸들(202)을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이 로킹되는 방향으로 제2연동블럭(150)을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레버(152)가 상기 공회구간(c)에서 회전되어 상기 래치블럭(120)의 로킹이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121)와 제2연동블럭(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121)와 제2연동블럭(150)을 연동시켜 상기 래치블럭(120)을 출몰시키는 래치작동블럭(160)을 더 구비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160)은 상기 걸림레버(152)의 선단에 걸려지는 걸림부(162)와; 상기 걸림부(162)와 소정각도 이격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121)의 눌림부(121a)에 접촉되어 그 눌림부(121a)를 가압하는 작용부(1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케이스(100)의 내면에는 락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편(10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동블럭(140)에는 상기 몸체부(141)에서 돌출된 제1돌출편(141d)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동블럭(150)의 걸림레버(152)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편(152a)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블럭(140)의 몸체부(141)에 안착되는 원형고리부(155a)를 가지고 상기 원형고리부(155a)에서 연장되는 제1,2연장부(155b,155c)를 가지는 제2스프링(155)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2연장부(155b,155c)는 상기 걸림편(101)과 제1,2돌출편(141d,152a) 이 일직선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걸림편(101)과 제1,2돌출편(141d,152a)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1,2돌출편(141d,152a)의 회전으로 탄성변형 후 그 제1,2돌출편(141d,152a)을 각각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메카니즘.
KR2020060007371U 2006-03-20 2006-03-20 도어록 메카니즘 KR200418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71U KR200418854Y1 (ko) 2006-03-20 2006-03-20 도어록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71U KR200418854Y1 (ko) 2006-03-20 2006-03-20 도어록 메카니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204A Division KR100628955B1 (ko) 2006-03-20 2006-03-20 도어록 메카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54Y1 true KR200418854Y1 (ko) 2006-06-15

Family

ID=4176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371U KR200418854Y1 (ko) 2006-03-20 2006-03-20 도어록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858B1 (en) Locking system for mortise lock base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200475874Y1 (ko)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0609787B1 (ko) 도어록 메커니즘
KR10066949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10062895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200418854Y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440582B1 (ko) 도어락 장치
KR200364463Y1 (ko) 도어록 메커니즘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