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614A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614A
KR20020023614A KR1020000056043A KR20000056043A KR20020023614A KR 20020023614 A KR20020023614 A KR 20020023614A KR 1020000056043 A KR1020000056043 A KR 1020000056043A KR 20000056043 A KR20000056043 A KR 20000056043A KR 20020023614 A KR20020023614 A KR 2002002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latch
frame
push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102000005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614A/ko
Publication of KR2002002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닫이 도어의 프레임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걸림쇠(7)가 구비되고 이 걸림쇠(7)의 선단에 경사면(9)이 형성되며, 이 걸림쇠(7)와 접촉되어 걸림쇠(7)를 단속하는 걸림편(6)이 상대하는 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걸림쇠(7)를 후퇴시키는 누름핀(12)이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도어가 잠겨질 수 있어서, 도어를 닫은 후 별도의 잠금 조작이 없이도 편리하고 안전한 방범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도어를 열 때에도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 필요 없이 도어를 열기 위해 프레임을 잡는 동작과 함께 누름핀(12)을 누르면서 간단하게 도어를 열도록 되어서 간편하면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ROCK}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닫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고, 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을 비롯하여 실내ㆍ외를 구분하거나 실내를 구획하는 것으로 도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도어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열림 방식에 따라 미닫이와 여닫이로 구분되기도 하고, 사용 용도에 따라 창문, 방문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미닫이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미닫이는 창문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며, 실내에서도 방문이나 칸막이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의 기능을 가지게 되고, 닫혀진 상태에서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 례로 창문의 경우, 겹쳐지는 창틀의 측면에 각각 고리와 걸림편을 장착하여 창문을 닫은 후 걸림편을 회전시켜서 상대하는 고리에 걸어서 잠겨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도어를 닫은 후 잠금 수단을 조작하여야 하는 추가적인 조작에 따른 불편과, 고리와 걸림편과 같은 상대적인 걸림 수단이 일치되어야 하며, 또한, 창문을 열고자 하면 잠겨진 잠금 수단을 해제하는 별도의조작이 선행되어야 하며, 창문을 닫고 잠그는 것을 자칫 잊기가 쉬워서 안전한 방범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도어의 잠김과 열림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잠겨짐으로써 간편하게 도어를 잠금과 동시에 안전한 방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 도어로 구분되는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의 프레임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막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돌출된 선단에는 측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그 내측면이 경사캠면으로 되어 있는 걸림쇠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방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측 선단이 상기 걸림쇠의 경사캠면에 접촉되도록 된 누름핀과; 상기 외측 도어의 프레임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쇠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중간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도어를 사용하여 도어를 닫게 되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걸림쇠는 도어의 닫힘에 따라 걸림편의 측방으로 경사면이 접촉되고, 이 경사면에 의해 걸림쇠는 케이스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걸림쇠가 걸림편의 걸림홈에 위치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홈에 걸리면서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를 열 때에는, 내측 도어의 프레임을 잡음과 동시에 상기 누름핀을 누르게 되면, 누름핀의 선단이 걸림쇠의 경사캠면을 가압하여 걸림쇠를 후퇴시켜서 걸림쇠가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측 및 외측 도어로 구분되는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의 프레임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막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돌출된 선단에는 측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쇠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쇠의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누름핀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중간이 고정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쇠의 홈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누름핀의 내측 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외측 도어의 프레임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쇠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중간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측 도어를 사용하여 도어를 닫게 되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걸림쇠는 도어의 닫힘에 따라 걸림편의 측방으로 경사면이 접촉되고, 이 경사면에 의해 걸림쇠는 케이스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걸림쇠가 걸림편의 걸림홈에 위치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홈에 걸리면서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를 열 때에는, 내측 도어의 프레임을 잡음과 동시에 상기 누름핀을 누르게 되면, 누름핀의 선단이 레버의 일단을 가압하면서 레버의 타단이 걸림쇠를 후퇴시켜서 걸림쇠가 걸림편의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별도의 잠금 조작이 필요 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도어를 잠글 수 있으며, 도어를 열 때에도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이 도어를 열기 위한 프레임의 파지와 동시에 잠금의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가 - 가선 단면도
도 3 - 상기 도 1의 나 - 나선 단면도
도 4 - 상기 도 1의 설치 상태도
도 5 - 상기 도 1에서의 장치의 작용 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7 - 상기 도 6의 다 - 다선 단면도
도 8 - 상기 도 6의 라 - 라선 단면도
도 9 - 상기 도 6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측 도어 2 ; 외측 도어
5 ; 케이스 6 ; 걸림편
7 ; 걸림쇠 8 ; 스프링
9 ; 경사면 10; 통공
11 ; 경사캠면 12 ; 누름핀
13 ; 버튼 14 ; 걸림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과 잇점들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일실시예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가-가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나-나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원 장치가 일실시예로서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미닫이 도어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미닫이 도어는 실내ㆍ외를 기준으로 내측 도어(1)와 외측 도어(2)로 구분되어 있다.
내측 도어(1)와 외측 도어(2)가 닫혀졌을 때 겹쳐지는 프레임 부분에서 내측도어(1)의 프레임(3)의 측면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5)가 장착되며, 이에 대응되는 외측 도어(2)의 프레임(4)에는 걸림편(6)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5)의 내부에는 걸림쇠(7)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걸림쇠(7)는 스프링(8)에 의해 항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걸림쇠(7)의 선단은 걸림편(6)과 접촉되는 측면이 경사면(9)으로 되어 있다.
걸림쇠(7)의 중간에는 케이스(5)의 내측 위치에서 통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10)의 내측면에는 경사캠면(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5)의 측방으로는 누름핀(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누름핀(12)은 상기 걸림쇠(7)와 대략 직각을 이루면서 케이스(5)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기 등에 의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누름핀(12)의 선단은 상기 걸림쇠(7)의 통공(10)에 인입되어 걸림쇠(7)의 경사캠면(11)에 접촉되어 있고, 누름핀(12)의 외측 단부에는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버튼(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도어(2)의 프레임(4)에 설치된 걸림편(6)에는 중간에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를 닫았을 때, 이 걸림홈(14)에 걸림쇠(7)가 걸리도록 되고, 이 걸림홈(14)은 도면에서 관통된 구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관통되지 않은 홈으로 되어도 무방하며, 프레임(4) 자체에 홈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용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열려진 상태에서 내측 도어(1)를 닫으면, 이동에 따라 걸림쇠(7)의 선단 경사면(9)이 걸림편(6)의 측면에 접촉되고, 내측 도어(1)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걸림쇠(7)는 밀려서 스프링(8)에 저항하여 케이스(5)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때, 걸림쇠(7)는 걸림홈(14)에 위치되면서 순간적으로 걸림홈(14)의 내측으로 탄발되어 걸리게 되어 잠김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 조작이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되고,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내측 도어(1)의 프레임(3)을 잡을 때, 누름핀(12)의 버튼(13)을 함께 누르면 누름핀(12)의 선단이 걸림쇠(7)의 경사캠면(11)을 가압하여 걸림쇠(7)를 후방으로 후퇴시켜서 걸림홈(14)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도어를 열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6의 다-다선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6의 라-라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내측 도어(101)와 외측 도어(102)가 닫혀졌을 때 겹쳐지는 프레임 부분에서 내측 도어(101)의 프레임(103)의 측면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5)가 장착되며, 이에 대응되는 외측 도어(102)의 프레임(104)에는 걸림편(106)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105)의 내부에는 걸림쇠(107)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걸림쇠(107)는 스프링(108)에 의해 항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걸림쇠(107)의 선단은 걸림편(106)과 접촉되는 측면이 경사면(109)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쇠(107)의 중간 일측에는 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05)의 후방으로는 누름핀(1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누름핀(112)은 상기 걸림쇠(107)와 동일한 진행 방향을 가지면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걸림쇠(107)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기 등에 의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누름핀(112)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105)의 내측에 위치되고, 누름핀(112)의 외측 단부에는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버튼(1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5)의 내부에는 레버(11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레버(111)는 중간이 고정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쇠(107)의 홈(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단부는 누름핀(1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도어(102)의 프레임(104)에 설치된 걸림편(106)에는 중간에 걸림홈(1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를 닫았을 때, 이 걸림홈(114)에 걸림쇠(107)가 걸리도록 되고, 이 걸림홈(114)은 도면에서 관통된 구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관통되지 않은 홈으로 되어도 무방하며, 프레임(104) 자체에 홈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어가 열려진 상태에서 내측 도어(101)를 닫으면, 이동에 따라 걸림쇠(107)의 선단 경사면(109)이 걸림편(106)의 측면에 접촉되고, 내측 도어(101)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걸림쇠(107)는 밀려서 스프링(108)에 저항하여 케이스(105)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때, 걸림쇠(107)는 걸림홈(114)에 위치되면서 순간적으로 걸림홈(114)의 내측으로 탄발되어 걸리게 되어 잠김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 조작이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되고,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내측 도어(101)의 프레임(103)을 잡을 때, 누름핀(112)의 버튼(113)을 함께 누르면 누름핀(112)의 선단이 레버(111)를 가압하여 레버(111)가 회동되면서 레버(111)의 타단이 걸림쇠(107)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쇠(107)가 걸림홈(114)으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도어를 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프레임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걸림쇠(7)가 구비되고 이 걸림쇠(7)의 선단에 경사면(9)이 형성되며, 이 걸림쇠(7)와 접촉되어 걸림쇠(7)를 단속하는 걸림편(6)이 상대하는 도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걸림쇠(7)를 후퇴시키는 누름핀(12)이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도어가 잠겨질 수 있어서, 도어를 닫은 후 별도의 잠금 조작이 없이도 편리하고 안전한 방범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도어를 열 때에도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 필요 없이 도어를 열기 위해 프레임을 잡는 동작과 함께 누름핀을 누르면서 간단하게 도어를 열도록 되어서 간편하면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내측 및 외측 도어로 구분되는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의 프레임(3)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5)와;
    상기 케이스(5)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8)에 의해 케이스(5)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돌출된 선단에는 측방으로 경사면(9)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그 내측면이 경사캠면(11)으로 되어 있는 걸림쇠(7)와;
    상기 케이스(5)의 일측방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측 선단이 상기 걸림쇠(7)의 경사캠면(11)에 접촉되도록 된 누름핀(12)과;
    상기 외측 도어의 프레임(4)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쇠(7)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중간에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핀(12)이 케이스(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5)의 내측 위치에서 누름핀(12)의 측면에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내측 및 외측 도어로 구분되는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의 프레임(103)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05)와;
    상기 케이스(105)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08)에 의해 케이스(105)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돌출된 선단에는 측방으로 경사면(109)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일측에는 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쇠(107)와;
    상기 케이스(105)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쇠(107)의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누름핀(112)과;
    상기 케이스(105)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중간이 고정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쇠(107)의 홈(11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누름핀(112)의 내측 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레버(111)와;
    상기 외측 도어의 프레임(104)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쇠(107)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중간에 걸림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1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000056043A 2000-09-23 2000-09-23 도어 잠금장치 KR20020023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43A KR20020023614A (ko) 2000-09-23 2000-09-23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43A KR20020023614A (ko) 2000-09-23 2000-09-23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614A true KR20020023614A (ko) 2002-03-29

Family

ID=1969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43A KR20020023614A (ko) 2000-09-23 2000-09-23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6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43B1 (ko) * 2004-11-18 2012-01-09 한옥순 록 장치
KR101527911B1 (ko) * 2013-09-05 2015-06-15 김진호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0489085Y1 (ko) * 2018-05-08 2019-04-26 전대훈 잠금장치용 창문 손잡이
KR102244756B1 (ko) * 2020-11-13 2021-04-27 한국가스안전공사 고압수소 환경에서의 인장시험을 위한 챔버형 인장시험기
EP3859101A1 (en) * 2020-01-31 2021-08-04 B/E Aerospace, Inc. Toggle latch mechanism
KR20230097615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598U (ko) * 1975-01-24 1976-10-30
JPS6359162U (ko) * 1986-10-01 1988-04-20
JPH0392279A (ja) * 1989-09-06 1991-04-17 Tohoku Ricoh Co Ltd ワークの吸着捕捉装置
JPH0860922A (ja) * 1994-08-22 1996-03-05 Takigen Mfg Co Ltd 解錠位置拘束型ラッチ装置
JPH08260795A (ja) * 1995-03-24 1996-10-08 Suehiro Sangyo:Kk 鍵装置
JPH108808A (ja) * 1996-06-19 1998-01-13 Nitto Kogyo Kk スライド式ラッチ錠
KR200203653Y1 (ko) * 2000-06-28 2000-11-15 박유훈 창문 자동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598U (ko) * 1975-01-24 1976-10-30
JPS6359162U (ko) * 1986-10-01 1988-04-20
JPH0392279A (ja) * 1989-09-06 1991-04-17 Tohoku Ricoh Co Ltd ワークの吸着捕捉装置
JPH0860922A (ja) * 1994-08-22 1996-03-05 Takigen Mfg Co Ltd 解錠位置拘束型ラッチ装置
JPH08260795A (ja) * 1995-03-24 1996-10-08 Suehiro Sangyo:Kk 鍵装置
JPH108808A (ja) * 1996-06-19 1998-01-13 Nitto Kogyo Kk スライド式ラッチ錠
KR200203653Y1 (ko) * 2000-06-28 2000-11-15 박유훈 창문 자동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43B1 (ko) * 2004-11-18 2012-01-09 한옥순 록 장치
KR101527911B1 (ko) * 2013-09-05 2015-06-15 김진호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0489085Y1 (ko) * 2018-05-08 2019-04-26 전대훈 잠금장치용 창문 손잡이
EP3859101A1 (en) * 2020-01-31 2021-08-04 B/E Aerospace, Inc. Toggle latch mechanism
US11268296B2 (en) 2020-01-31 2022-03-08 B/E Aerospace, Inc. Toggle latch mechanism
KR102244756B1 (ko) * 2020-11-13 2021-04-27 한국가스안전공사 고압수소 환경에서의 인장시험을 위한 챔버형 인장시험기
KR20230097615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591A (en) Emergency lock release
WO1999064705A3 (en) Automatic door latch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US3998483A (en) Latch mechanism with jamb mounted latch bolt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JPH0317362A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US2702466A (en) Door lock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4126342A (en) Security device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a door
JPH08170460A (ja) 引戸用防犯錠
JP4210771B2 (ja) 回動扉の開閉機構
JP4260375B2 (ja) 引戸用施解錠装置
KR0136555Y1 (ko)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22853Y2 (ko)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0114726Y1 (ko) 도어핸들의 잠금장치
KR200301889Y1 (ko) 잠금장치
US2958553A (en) Cylindrical locks
KR960002070Y1 (ko) 푸시풀도어록에 있어서 렛지의 이중동작구조
NZ264693A (en) Lead-in device for installing a lock cylinder in an exit mechanism with guiding means for tailpiece of lock
JPH0241253Y2 (ko)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