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064B1 -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 Google Patents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064B1
KR100913064B1 KR1020070118813A KR20070118813A KR100913064B1 KR 100913064 B1 KR100913064 B1 KR 100913064B1 KR 1020070118813 A KR1020070118813 A KR 1020070118813A KR 20070118813 A KR20070118813 A KR 20070118813A KR 100913064 B1 KR100913064 B1 KR 10091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backset
dead
door
dead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231A (ko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화테크
Publication of KR2008009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셋 조절기능(Adjustable Backset)을 갖는 데드락(Dead Lock)용 데드래치(Dead Latch)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출입문의 경우 그 가장자리로부터 도어락(Door Lock)이 설치되는 구멍의 중심까지 갖는 거리, 즉 백셋이 약60mm나 또는 약70mm를 유지하도록 규격화된 두 종류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담당하는 데드락용 래치에는 백셋 조절기능을 부여하여 출입문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래치를 이용한 백셋 조절로 간단히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데드래치(A)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 없이 데드볼트(Dead Bolt)(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데드볼트 테일(Dead Bolt Tail)(50)이 갖는 수개의 걸림홈(55)(56)(5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백셋 조절기능을 만족하면서 백셋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BASKET ADJUSTABLE DEAD LATCH}
본 발명은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데드래치로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부품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 없이도 백셋 조절기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 설치되는 데드락(Dead Lock)은 크게 썸턴(Thumbturn)을 갖는 내측뭉치(Inside Assembly)와 키뭉치를 갖는 외측뭉치(Outside Assembly) 및 상기 내, 외측뭉치 사이에 결합되는 데드래치(Dead Latch)로 구성되며, 이는 독립된 잠금기능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개폐용 손잡이를 갖는 원통형 내지는 튜블러형 도어락(Door Lock)과 연관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어락을 출입문에 설치할 시에는 출입문에 설치용 구멍을 형성해 주게 되는데 이때 출입문은 그 가장자리에서부터 설치용 구멍의 중심까지 갖는 거리, 즉 백셋(Back Set)이 약60mm나 또는 약70mm를 갖도록 규격화된 두 종류의 출입문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데드락용 데드래치는 백셋의 규격이 다르게 제작되는 두종류의 출입문에 구분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백셋 조절기 능(Adjustable Backset)이 요구된다.
이러한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의 선행기술로서는 특허 제104703호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상기 특허 제104703호는 구동 조립체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데드볼트는 굵은 금속환봉으로 구성하여 내화성을 만족하도록 하고, 상기 데드볼트의 후미에는 원통형 구멍과 정지핀 삽입용 핀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원통형 구멍 내에 좌우 요홈이 연결요홈에 의해 연통되게 한 볼트헤드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정지핀을 이용한 결합으로 백셋 조절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데드락용 데드래치는 데드래치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백셋 조절기능을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볼트헤드와 정지핀 등이 추가되는 복잡한 구조로서, 구조가 복잡한 만큼 강도약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데드래치로서 요구되는 강한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또 이러한 볼트헤드와 정지핀등의 추가는 물론 내화성을 이유로 데드볼트를 금속환봉으로 제작함에 따라 재료비 상승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조립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작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데드볼트는 금속환봉을 이용한 절삭가공으로 후미에 원통형 구멍과 핀구멍 등을 형성해 주는데 가공비용이 추가 소요됨은 물론 제작과정에서 불량 발생율이 높고 또 정지핀이 좌우 요홈 사이를 잇는 연결 요홈에 정확히 위치하여야만 백셋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백셋 조절작업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드락용 데드래치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나 가공상의 어려움 없이도 백셋 조절기능을 만족시켜 줄 수가 있어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데드래치로서 요구되는 내구성과 내화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백셋 조절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데드볼트 내에 보강핀을 설치하여 내구성과 내화성을 만족하도록 하고 또 조립시에는 데드볼트가 갖는 걸림편이 데드볼트 테일이 갖는 수개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백셋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데드볼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데드래치(A)로서 요구되는 부품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없이 단순히 데드볼트(40)에 걸림편(42)(43)을 형성하고 또 데드볼트 테일(50)에는 걸림홈(57)(58)(59)을 형성해 주는 것으로 백셋 조절기능을 만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필요부품수와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만큼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데드볼트(40)는 금속재로서 원통형으로 제작되나 그 내측에 보강핀(70)을 삽입하여 강도가 보강되도록 함으로서 재료비를 절감 하면서 내구성과 내화성을 만족시켜 줄 수가 있고 또 데드볼트(40)의 걸림편(42)(43)이 데드볼트 테일(50)의 걸림홈(57)(58)(59)으로부터 이탈 되게 하여 선택된 걸림홈에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백셋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백셋 조절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면판(10)의 후방에 베이스(2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20) 후방에 외측케이스(30)가 연결 고정되고, 데드볼트(Dead Bolt)(40)는 데드볼트 테일(Dead Bolt Tail)(50)에 결합되어 캡(60)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핀(70)에 의해 보강되며, 데드볼트 테일(50)은 내측케이스(80)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케이스(80)에 조립되는 연결판(Extension Plate)(9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측케이스(30)는 절곡편(32)을 통하여 베이스(20)에 연결 고정되는데, 그 일측부 에는 백셋 조절용 안내공(34)이 형성되게 하여 내측케이스(80)가 상기 안내공에 의해 주어지는 거리만큼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그 후방 일측에는 받침편(36)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게 하여 데드볼트(40)를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데드볼트(4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금속판재를 이용한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원통형 구조로 제작되는데, 제작시 원통부의 양측에는 평면부(41)가 형성되게 하고 또 후방 상하에는 전후 적정 간격을 두고 두개의 걸림편(42)(43)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게 하며, 그 후방 일측에는 요입홈(44)이 형성되게 하여 조립시 외측케이스(30)가 갖는 받침편(36)이 요입홈(44)에 결합되어 데드볼트(40)가 외측케이스(30) 내에 필요이상으로 깊숙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데드볼트 테일(50)은 좌우로 분리구성되어 그 전방의 헤드부(51)에 결합되는 캡(60)과 후방 연결부(52)의 리벳공을 통한 리벳(62)고정으로 서로 일체감 있게 연결고정 되는데, 전방의 헤드부(51)에는 연결공(55)이 형성되고 또 양측면에는 보강면부(56)가 형성되며, 그 상하에는 데드볼트(40)의 걸림편(42)(43)간에 갖는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수개의 걸림홈(57)(58)(59)이 형성된다.
또한 데드볼트(40)를 보강하는 보강핀(70)은 금속재 환봉을 열처리하여 강도를 강화한 것으로서, 데드볼트 테일(50)의 헤드부(51)가 갖는 연결공(55)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 테일(50)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캡(60)에 의해 고정되며, 이는 그 일부가 데드볼트(40) 내에 위치하여 데드볼트의 강도를 보강해 주게 되므로 잠금상태의 데드락을 파손하려는 외부의 폭력적인 행위로부터 데드볼트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내측케이스(80)에는 일측에 안내돌기(81)가 돌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안내돌기(81)가 외측케이스(30)의 안내공(34)에 결합되어 외측케이스(30)로부터 내측케이스(80)의 조절길이가 주어지도록 하고, 그 후단부에는 걸림공(82)이 형성되 게 하여 상기 걸림공을 통하여 연결판(9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판(90)은 좌우 분리구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허브(91)와 상기 허브를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92) 등이 설치되고 또 조립시에는 그 전방에 각각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편(93)이 내측케이스(80)의 걸림공(82)에 걸려 고정되게 하며, 그 내측 상부에 갖는 결합공간을 통하여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연결부(52)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강핀(70')을 데드볼트 테일(50')에 스프링(64)으로 탄력설치해 줄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연결공(55')에 스프링(64)과 보강핀(70')을 차례로 결합한 다음 데드볼트(40')와 데드볼트 테일(50')을 조립해 주게 되면 상기 보강핀(70')은 스프링(64)의 반발력으로 데드볼트 테일(50')로부터 일부돌출하여 데드볼트(40)의 내측벽과 접하게 되므로 데드볼트(40')를 보강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다만 이는 보강핀(70')이 전자에 비해 백셋 조절에 관계없이 상시 데드볼트(40') 내에 깊숙히 위치하게 되므로 데드볼트(40')는 더욱 강한 강도를 지닐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 데드래치(A)는 백셋 조절기능을 갖도록 함에 있어, 데드래치(A)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 없이 단순히 데드볼트(40)에 걸림편(42)(43)을 형성하고 데드볼트 테일(50)에는 걸림홈(57)(58)(59)을 형성해 주 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고 또 구조가 간단한 만큼 강도약화우려가 없어 데드볼트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내구성을 지니게 된다.
또한 데드볼트(40)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그 내측에 강도강화를 위하여 열처리하여서 된 보강핀(70)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제작시 재료비를 절감하면서 충분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조립시에는 데드볼트(40)내에 데드볼트 테일(50)의 헤드부(51)를 결합하여 상기 데드볼트(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각각 데드볼트 테일(50)의 헤드부(51) 상부에 갖는 걸림홈(57)(58)(5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백셋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출입문의 종류에 따른 백셋 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가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셋 조절을 위한 비틀림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순히 데드볼트(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해당 걸림홈(57)(58)(59)으로 부터 이탈되게 하여 길이조정후 해당위치에서 다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백셋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출입문의 가장자리로부터 데드락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의 중심까지 갖는 거리가 약60mm인 출입문에 적용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출입문의 가장자리로부터 데드락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의 중심까지 갖는 거리가 약70mm인 출입문에 적용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약70mm 상태에서 약60mm상태로 백셋이 조절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한손은 데드볼트(40)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은 연결판(90)부 위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90)을 외측케이스(30)의 안내공(34)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비틀어서 데드볼트(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걸림홈(57)(58)으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뒤이어 내측케이스(80)의 안내돌기(81)와 외측케이스(30)의 안내공(34)에 의해 주어지는 거리만큼 외측케이스(30)로부터 내측케이스(80)를 전진시켜서 길이가 축소되게 한 다음 시계방향으로 비틀어 주게 되면 데드볼트(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각각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중앙과 후방의 걸림홈(58)(59)에 결합되어 데드래치(A)는 축소된 길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백셋이 약60mm인 출입문에 설치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약60mm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약70mm상태로 백셋이 조절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한손은 데드볼트(40)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연결판(90)부위를 파지하여 외측케이스(30)의 안내공(34)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비틀어서 데드볼트(40)가 갖는 걸림편(42)(43)이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걸림홈(58)(59)으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뒤이어 내측케이스(80)의 안내돌기(81)와 외측케이스(30)의 안내공(34)에 의해 주어지는 거리만큼 외측케이스(30)로 부터 내측케이스(80)를 후퇴시켜서 길이가 확대되게 한 다음 시계방향으로 비틀어주게 되면 데드볼트(50)가 갖는 걸림편(42)(43)이 각각 데드볼트 테일(50)이 갖는 전방과 중앙의 걸림홈(57)(58)에 결합되어 데드래치(A)는 늘어난 길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백셋이 약70mm인 출입문에 설치해 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백셋 조절시 데드볼트 테일(50)의 헤드부(51) 양측에 갖는 보 강면부(56)는 데드볼트(40)의 양측 평면부(41)와 접촉하게 되고 또 보강핀(70)은 백셋의 조절유무와 관계없이 캡(60)에 의한 고정으로 데드볼트 테일(50)로부터 일부돌출하여 상시 데드볼트(40) 내에 깊숙히 위치하게 되므로 데드볼트(40)는 종전과 같은 외형을 유지하면서 요구되는 충분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지닐 수가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역시 데드래치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구성외에 별다른 부품의 추가없이 단순히 데드볼트(40')에 걸림편(42')(43')을 형성하고 데드볼트 테일(50')에는 걸림홈(57')(58')(59')을 형성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며, 원통형의 데드볼트(40') 내에는 열처리된 보강핀(70')이 위치하게 되므로 데드볼트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지니면서, 보강핀(70')은 데드볼트 테일(50') 내에 스프링(64)으로 탄력설치되어 백셋 조절과 관계없이 상시 데드볼트(4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보강핀(70')은 데드볼트(40') 내에 더욱 깊숙히 위치할 수가 있어 데드볼트(40')의 내구성을 더욱 강화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백셋 조절을 위한 비틀림시의 확대단면 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백셋이 60mm로 조절된 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백셋이 60mm로 조절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의 백셋이 70mm로 조절된 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의 백셋이 70mm로 조절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0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백셋이 60mm로 조절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백셋이 70mm로 조절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데드래치 (10)--면판
(20)--베이스 (30)--외측케이스
(32)--절곡편 (34)--안내공
(36)--받침편 (40)--데드볼트
(41)--평면부 (42)(43)--걸림편
(44)--요입홈 (50)--데드볼트 테일
(51)--헤드부 (52)--연결부
(55)--연결공 (56)--보강면부
(57)(58)(59)--걸림홈 (60)--캡
(62)--리벳 (64)--스프링
(70)--보강핀 (80)--내측케이스
(81)--안내돌기 (82)--걸림공
(90)--연결판 (91)--허브
(92)--판스프링 (93)--걸림편

Claims (7)

  1. 베이스에 연결 고정되는 외측케이스의 안내공에 내측케이스의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안내공에 의해 주어지는 거리 범위내에서 백셋 조절이 이루어지고 또 데드볼트가 갖는 걸림편은 내측케이스에 결합고정되는 데드볼트테일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데드볼트와 데드볼트테일 사이에는 보강핀이 설치되는 데드락용 데드래치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테일(50)은 좌,우로 분리되어 헤드부(51)에 결합되는 캡(60)과 연결부(52)의 리벳(62)에 의해 서로 일체감있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핀(70)은 그 일부가 데드볼트테일(50)이 갖는 연결공(55) 내에 삽입되어 상기 데드볼트테일(50)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캡(6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18813A 2007-04-11 2007-11-20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KR100913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341 2007-04-11
KR20070035341 200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31A KR20080092231A (ko) 2008-10-15
KR100913064B1 true KR100913064B1 (ko) 2009-08-21

Family

ID=4015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813A KR100913064B1 (ko) 2007-04-11 2007-11-20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94B1 (ko) 2012-06-19 2013-08-01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리칼 도어록용 래치볼트 어셈블리의 백셋조절장치
KR101425565B1 (ko) 2014-02-11 2014-08-05 강재욱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594A (en) * 1980-09-19 1983-02-08 Emhart Industries, Inc. Bayonet joint backset adjustment for latch constructions
US4602490A (en) 1985-04-26 1986-07-29 Amerock Corporation Latching device with adjustable backset
KR20000018063U (ko) * 1999-03-11 2000-10-05 심만섭 도어록용 데드볼트 조립체의 백셋조절구조
US6764112B2 (en) * 2002-07-08 2004-07-20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Auxiliary lock with an adjustable backs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594A (en) * 1980-09-19 1983-02-08 Emhart Industries, Inc. Bayonet joint backset adjustment for latch constructions
US4602490A (en) 1985-04-26 1986-07-29 Amerock Corporation Latching device with adjustable backset
KR20000018063U (ko) * 1999-03-11 2000-10-05 심만섭 도어록용 데드볼트 조립체의 백셋조절구조
US6764112B2 (en) * 2002-07-08 2004-07-20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Auxiliary lock with an adjustable back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94B1 (ko) 2012-06-19 2013-08-01 주식회사 정화테크 실린더리칼 도어록용 래치볼트 어셈블리의 백셋조절장치
KR101425565B1 (ko) 2014-02-11 2014-08-05 강재욱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US10400479B2 (en) 2014-02-11 2019-09-03 Jae-Seok Kang Door zoom-up latch having adjustable backse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31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5737A1 (en) Adjustable backset latch
US8182005B2 (en) Cylinder lock with reinforcements to improve structural strength
US6898953B1 (en) Locking gate latch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0913064B1 (ko)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US20080302017A1 (en) Window Latch
US20190017305A1 (en) Multipoint door locking system
AU2009311262B2 (en) A multipoint lock assembly
US7533551B1 (en) Door lock with key cylinder
US6050114A (en) Latch assembly of padlock for sliding doors
US20090229322A1 (en) Storm door lock assembly
KR200451390Y1 (ko) 문 잠금 장치
EP1606482B1 (en) Double cylinder lock
AU2009201675B2 (en) Improvements in Locks
JP2004293100A (ja) 扉錠の受金具
KR102635151B1 (ko)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CN209924622U (zh) 门锁
CN110778212B (zh) 锁组件
CN215108190U (zh) 一种窗撑安装结构
CN210976972U (zh) 一种三齿结构金属手铐
KR102026443B1 (ko)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AU2008258144B2 (en) Improvements in Locks
AU2013202106B2 (en) A multipoint lock assembly
KR200472487Y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AU2008200924B2 (en) Improvements in 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