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90Y1 - 문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문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390Y1
KR200451390Y1 KR2020080008906U KR20080008906U KR200451390Y1 KR 200451390 Y1 KR200451390 Y1 KR 200451390Y1 KR 2020080008906 U KR2020080008906 U KR 2020080008906U KR 20080008906 U KR20080008906 U KR 20080008906U KR 200451390 Y1 KR200451390 Y1 KR 200451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main body
plate
bracke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388U (ko
Inventor
김무영
류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80008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스트라이커로 출몰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기구수단이 구비된 전자식 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구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의 데드볼트공에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는 데드볼트;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데드볼트의 끝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 내부에 단단히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는 "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평행한 2개의 돌출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구멍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환봉,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끼워진 환봉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환봉을 각각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고정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들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데드볼트와 브라켓을 일정한 형태로 절단된 단조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하므로, 주조로 제작되는 데드볼트와 브라켓에 비해 깨짐 성질(취성)이 작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문 잠금장치, 스트라이커, 데드볼트, 플레이트, 환봉

Description

문 잠금 장치{Door Lock Device}
본 고안은 문 잠금장치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성 파괴에 강한 단조제품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성형하여 조립된 데드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력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문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문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문 잠금장치에는 문이 닫힘에 따라 데드볼트가 자동으로 잠김 상태를 이루도록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가 채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데드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1)은 본체(10) 및 스트라이커(20)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문(미도시)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 내부에는 데드볼트(30) 및 기계요소(미도시)들이 설치된다.
데드볼트(30)는 축봉(31), 연결부(33), 플레이트(35)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다. 상기 연결부(33)의 일단에는 상기 스트라이커(20)에 형성된 데드볼트공(22)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한 쌍의 축봉(31)이 형성된다. 연결부(33) 타단에는 기계요소(미도시)들과 결합하여 데드볼트(30)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작동을 하는 플레이트(3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어락(1)은 데드볼트(30)가 데드볼트공(22)에 삽입 또는 이탈됨에 따라 작동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 작동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데드볼트는 다이캐스팅(die-casting) 방식으로 제조됨에 따라 단조제품에 비해 취성 파괴에 약하므로,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외부인이 강제로 문을 열려고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되면 깨지기가 쉽다.
또한, 종래 데드볼트는 주조제품으로 제조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취성 파괴에 강한 단조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데드볼트를 제작함으로써, 데드볼트의 내구력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마련된 기구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스트라이커의 데드볼트공의 상하 방향으로 출몰하는 데드볼트; 및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데드볼트의 끝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드볼트는‘ㄷ’자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평행한 2개의 돌출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구멍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환봉,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끼워진 환봉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환봉을 각각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고정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들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한 쌍의 환봉의 끝을 각각 수용하며, 상기 환봉들이 상기 수용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각각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데드볼트가 관통하는 끝을 수용하는 덮개부를 주조로 제작하고, 일정한 형태로 절단된 단조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데드볼트와 브라켓을 제작하므로, 주조로 제작되는 데드볼트와 브라켓에 비해 깨짐 성질(취성)이 작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덮개부를 주조로 성형하며, 데드볼트와 브라켓을 단조금속판으로 프레스 성형하므로,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외부인이 강제로 문을 열려고 외부에서 문 잠금장치에 강한 충격을 가하면 덮개부, 데드볼트, 브라켓이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 또는 끼워 맞춤식으로 유기적으로 브라켓과 브라켓이 본체 내부에 볼트로 단단히 설치되며, 그 결속력이 높아 종래보다 우수한 내구력과 강화된 결합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인 데드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인 데드볼트가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열림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닫힘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강제 잠금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100)는 본체(110) 내부에서 스트라이커(130)로 출몰하는 데드볼트(200)와, 이 데드볼트(200)를 구동하는 기구수단이 구비된 전자식 문 잠금장치이다.
실시예에서, 문 잠금장치(100)의 본체(110)는 문 잠금장치(100)의 외관을 이룬다. 본체(1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사출성형 된다. 본체(110)는 데드볼트(200), 브라켓(300), 및 덮개부(112)를 포함한다.
데드볼트(200)는 브라켓(3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기구수단의 작동에 따라 스트라이커(130)의 데드볼트공(132)에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면서 문 잠금 작동하거나 문 잠금해제 작동을 한다. 데드볼트(200)는 플레이트(210), 고정부재(220), 환봉(230), 볼트(240) 및 보강부재(25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210)는 "ㄷ"자 형상으로써, 대체로 직사각 형태의 몸통을 가지며, 이 몸통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212)를 갖는다.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제1 안내공(214)이 형성된다. 제1 안내공(214)에는 브라켓(300)에 형성된 유도핀(350, 도 5 참조)이 끼워진다.
고정부재(220)의 일측에는 환봉(230)이 결합 고정되도록 구멍(222)형성되고, 고정부재(220)의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홈(224)이 형성된다. 고정부재(220)는 돌출부(212)의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환봉(230)은 데드볼트공(132)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환봉(230)의 내부에는 나사산(232)이 형성된다.
볼트(240)는 환봉(230)의 나사산(232)에 체결되고, 고정부재(220)에 환봉(230)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멍(222)의 둘레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재(250)는 한 쌍의 고정부재(220)를 지지하며, "ㄷ"자 형상이다. 보강부재(250)의 양측면부의 바깥쪽에는 고정부재(250)의 핀홈(224)에 결합되도록 핀홈(224) 방향으로 돌출된 핀(252)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부재(220)와 플레이트(21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브라켓(300)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브라켓(300)은 지지부(320)와 체결부(340)를 포함한다.
지지부(320)는 브라켓(30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구부려지며, 직사각형 형상의 소통구멍(323)을 가진다. 소통구멍(323)으로는 데드볼트(200)의 2개의 돌출부(212) 중 하나가 관통한다. 소통구멍(323)은 관통한 돌출부(212)가 기구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체결부(340)는 지지부(320)의 중심과 양단에서 각각 스트라이커(130) 방향으로 연장된다. 체결부(340)는 덮개부(112)를 본체(110)에 고정하도록 체결구멍(342)들이 형성된다.
또한,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은 판재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덮개부(112)는 체결부(340)의 체결구멍(342)에 대응하여 볼트로 본체에 고정된다. 덮개부(112)는 주조로 제작된다. 덮개부(112)는 데드볼트공(132)을 관통한 데드볼트(200)의 끝을 수용하는 수용부(114)를 가진다.
수용부(114)는 제1 수용부(114a)와 제2 수용부(114b)로 이루어진다. 제1 수용부(114a)와 제2 수용부(114b)의 두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수용부(114a)가 제1 수용부(114b)보다 더 두꺼운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드볼트(200)가 관통하는 끝을 수용하는 덮개부(112)를 주조로 제작하고, 일정한 형태로 절단된 단조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을 제작하므로, 주조로 제작되는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에 비해 깨짐 성질(취성)이 작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덮개부(112)를 주조로 성형하며,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을 단조금속판으로 프레스 성형하므로,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외부인이 강제로 문을 열려고 외부에서 문 잠금장치에 강한 충격을 가하면 덮개부(112), 데드볼트(200), 브라켓(300)이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 또는 끼워 맞춤식으로 유기적으로 브라켓(300)과 이 브라켓(300)이 본체(110) 내부에 볼트로 단단히 설치되며, 그 결속력이 높아 종래보다 우수한 내구력과 강화된 결합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20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210)와 고정부재가(220)가 일체형인 경우의 과정을 설명하겠다. 플레이트(210)와 고정부재(220a)를 플레이트(210)의 핀홈(224a)에 보강부재(250)에 형성된 핀(252a)을 끼움 결합하여 보강부재(250)를 플레이트(210)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재(220b)를 구부려, 고정부재(220b)의 핀홈(224b)에 보강부재(250)에 형성된 핀(252b)을 끼운다. 그 다음, 환봉(230a)을 구멍(222a)에 결합한 후 볼트(240a)로 고정하고, 다른 환봉(230b)을 구멍(222b)에 결합한 후 볼트(240b)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순서에 의해, 단조금속판으로 제작된 플레이트(210), 고정부재(220), 환봉(230), 볼트(240) 및 보강부재(250)로 이루어진 데드볼트(200)가 완성된다.
다음은, 플레이트(210)와 고정부재(220)가 분리된 경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겠다. 플레이트(210)의 돌출부(212)가 몸통에서 돌출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보강부재(250)를 장착시켜 용접한다. 고정된 보강부재(25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핀(252a)에 고정부재(220a)의 핀홈(224b)을 끼운 후 용접하고, 보강부재(250)의 타측면에 형성된 핀(252b)에 고정부재(220b)의 핀홈(252b)을 끼운 후 용접한다. 그 다음, 환봉(230a)을 구멍(222a)에 결합한 후 볼트(240a)로 고정하고, 다른 환봉(230b)을 구멍(222b)에 결합한 후 볼트(240b)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순서에 의해, 단조 금속판으로 제작된 플레이트(210), 고정부 재(220), 환봉(230), 볼트(240) 및 보강부재(250)로 이루어진 데드볼트(200)가 완성된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 5 내지 도 7를 토대로 설명하겠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잠금장치(100)의 본체(110)는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 및 덮개부(112)를 포함한다.
브라켓(300)의 지지부(320)를 수직하게 구부린다. 지지부(32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부(340)를 스트라이커(130)방향으로 구부린다. 그 다음 본체(110) 내부에 설치한 후, 볼트로 고정한다. 브라켓(300)의 상부에는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0), 보강부재(250), 환봉(230) 및 볼트(240)가 결합된 데드볼트(20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320)에 형성된 소통구멍(323)으로 플레이트(210)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재(220)와, 상기 고정부재(220a)의 구멍(222a)에 결합된 환봉(230a)과, 보강부재(250)의 일측이 스트라이커(130)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 다음, 본체(110)의 상부로 덮개부(112)를 덮어 문에 설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39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데드볼트(200)가 브라켓(200)에 형성된 유도핀(350)에 걸릴때까지 위쪽으로 이동하고, 환봉(230)이 본체(110)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잠금 장치(100)가 열림 상태가 되다. 이 상태로 환붕(230)이 유지되어 출입문(미도시)이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39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데드볼트(200)의 환봉(230)이 덮개부(110)의 수용부(114)와 스트라이커(130)의 데드볼트공(132)에 각각 인입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잠금 장치(100)가 닫힘 상태가 된다. 이때, 환봉(230a)이 일측에 형성된 수용부(114a)에 끼워지고, 다른 환봉(230b)이 타측에 형성된 수용부(114b)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침입자가 외부에서 공구를 사용해 강한 충격을 가해 본체(110)가 파손되더라도, 환봉(230)이 수용부 및 데드볼트공(132)에 끼워져 결속력이 강화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침입자로부터 안전한 문 잠금장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데드볼트(200)가 닫힘 상태에서 손잡이(390)가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한번 더 회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잠금 장치(100)가 내부 강제 잠금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본체의 바깥쪽에서 손잡이(390)를 누르지 않는 한 손잡이(39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입문 밖에서 암호코드를 입력하여도 외부문인 출입문을 열고 들어올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문 잠금장치(100)는 일정한 형태로 절단된 단조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데드볼트(200)와 브라켓(300)을 제작하므로, 주조로 제작되는 데드볼트와 브라켓에 비해 깨짐 성질(취성)이 작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데드볼트(200)에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데드볼트(200)가 용접 또는 끼워 맞춤식으로 유기적으로 브라켓(300)과 결합되고, 브라켓(300)이 본체(110) 내부에 볼트로 단단히 설치되므로, 그 결속력이 높아 종래 보다 우수한 내구력과 강화된 결합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드볼트(200)를 구성하는 환봉과 브라켓의 체결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데드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인 데드볼트가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열림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닫힘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 장치가 강제 잠금 상태의 사용상태도.
- 주요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문 잠금장치 110: 본체
112: 덮개부 114: 수용부
130: 스트라이커 132: 데드볼트공
200: 데드볼트 210: 플레이트
212: 돌출부 214: 제1 안내공
220: 고정부재 222: 구멍
224: 핀홈 230: 환봉
232: 나사산 240: 볼트
250: 보강부재 252: 핀
300: 브라켓 320: 지지부
323: 소통구멍 340: 체결부
342: 체결구멍 350: 유도핀
390: 손잡이

Claims (4)

  1.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브라켓(300);
    상기 브라켓(300)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110)에 마련된 기구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스트라이커(130)의 데드볼트공(132)의 상하 방향으로 출몰하는 데드볼트(200); 및
    상기 브라켓(300)과 결합되며 상기 데드볼트(200)의 끝을 수용하는 수용부(114)가 마련된 덮개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드볼트(200)는‘ㄷ’자 형상의 플레이트(210), 상기 플레이트(210)의 평행한 2개의 돌출부(212)에서 상기 플레이트(210)의 평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220), 상기 고정부재(220)의 구멍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232)이 형성된 한 쌍의 환봉(230), 상기 고정부재(220)에 각각 끼워진 환봉(230)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환봉(230)을 각각 고정하는 볼트(240), 및 상기 고정부재(220)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20)들을 지지하는 보강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4)는 상기 한 쌍의 환봉(230)의 끝을 각각 수용하며, 상기 환봉(230)들이 상기 수용부(114)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각각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덮개부(112)를 상기 본체(110)에 고정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체결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20)와 상기 플레이트(21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
KR2020080008906U 2008-07-03 2008-07-03 문 잠금 장치 KR200451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06U KR200451390Y1 (ko) 2008-07-03 2008-07-03 문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06U KR200451390Y1 (ko) 2008-07-03 2008-07-03 문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88U KR20100000388U (ko) 2010-01-13
KR200451390Y1 true KR200451390Y1 (ko) 2010-12-13

Family

ID=4419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06U KR200451390Y1 (ko) 2008-07-03 2008-07-03 문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120B1 (ko) 2011-07-18 2011-11-10 (주)에버넷 강제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9774A (en) 1985-12-18 1988-01-19 Ogden Industries Pty. Ltd. Deadbolt assembly
US5044181A (en) 1990-03-22 1991-09-03 Medeco Security Locks, Inc. Dropbolt lock assembly
KR100834810B1 (ko) 2007-06-13 2008-06-05 한영찬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기계식 도어 로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9774A (en) 1985-12-18 1988-01-19 Ogden Industries Pty. Ltd. Deadbolt assembly
US5044181A (en) 1990-03-22 1991-09-03 Medeco Security Locks, Inc. Dropbolt lock assembly
KR100834810B1 (ko) 2007-06-13 2008-06-05 한영찬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기계식 도어 로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120B1 (ko) 2011-07-18 2011-11-10 (주)에버넷 강제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WO2013012128A1 (ko) * 2011-07-18 2013-01-24 (주)에버넷 강제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88U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5189A1 (en) Lock assembly with two hook devices
CA2969183C (en) Multipoint door locking system
KR200451390Y1 (ko) 문 잠금 장치
US7017379B1 (en) Remote-controlled burglary preventing door lock
CN110607956A (zh) 一种门窗锁闭结构
KR100913064B1 (ko)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KR200437853Y1 (ko) 상자형 도어록의 데드볼트
JP4107124B2 (ja) 扉錠の受金具
RU2698118C1 (ru) Замок с цилиндровым механизмом
KR101804087B1 (ko) 도어잠금장치의 로크박스
KR101339374B1 (ko) 도어 잠금 장치의 로크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4735B1 (ko) 도어용 그립감을 갖는 기능성 데드락
KR200431810Y1 (ko) 실린더형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CN212453979U (zh) 既适用于一体式又适用于分体式的防盗、指纹锁锁体
CN216866291U (zh) 一种方便使用的锁
KR200288731Y1 (ko) 현관용 도어록의 상자앗세이
EP3543435B1 (en) Catch of a hook lock
CN110778212B (zh) 锁组件
KR102634596B1 (ko)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102339042B1 (ko) 실린더 인출형 자물쇠
CN215108074U (zh) 一种带有二次动作锁定的冷藏箱
KR100896349B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KR102635151B1 (ko)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200424063Y1 (ko) 도어록용 철판 절곡형 플레이트 보강판
CN209924622U (zh) 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