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557B1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57B1
KR101114557B1 KR1020090046072A KR20090046072A KR101114557B1 KR 101114557 B1 KR101114557 B1 KR 101114557B1 KR 1020090046072 A KR1020090046072 A KR 1020090046072A KR 20090046072 A KR20090046072 A KR 20090046072A KR 101114557 B1 KR101114557 B1 KR 10111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ing
rotating shaft
bracke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576A (ko
Inventor
박재관
신기진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5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후방이 도어의 실내 측 일면에 고정되고, 핸들의 회전축이 관통체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후방에 고정되되, 상기 핸들 회전축이 관통 위치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들의 외부로부터 후방으로 원통형 안착부가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핸들의 누름 동작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고, 누름 해제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링; 및 상기 스토퍼링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에 삽입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된 핸들을 누른 상태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고, 누름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핸들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연장을 이용해 실내 측에 설치된 핸들을 강제로 회전시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도어록, 핸들, 강제, 회전방지, 탄성부재, 코일스프링, 스토퍼, 링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된 핸들을 누른 상태에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연장을 이용해 도어의 실내 측에 있는 핸들을 강제로 회전시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마그네트 카드방식이나 스마트 카드방식을 포함하는 전자키(Key)를 사용하여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비밀번호입력 또는 음성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등 인체의 특정부위를 인식하는 방식을 통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 상기와 같은 여러 인식과정을 통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후 실내로 들어올 수 있었다. 반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경우에는 핸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실내 측에 위치된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가 관통도구(드릴 등)를 이용해 도어 의 일부분을 관통시킨 후, 이 관통된 부위를 통해 일정길이를 갖는 도구(철사, 막대 등)를 삽입하여 핸들을 강제로 회전시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구조이다.
즉, 인식과정을 통해 침입하는 것이 아닌, 도구를 이용해 물리적으로 핸들을 회전시켜 실내로 들어오는 침입 유형에 있어서는 별다를 대책이 없었다. 특히, 일 방향으로 손잡이 부위가 더 길게 형성된 레버형 핸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물리적인 침입 방식에 더욱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된 핸들을 누른 상태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고, 누름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핸들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연장을 이용해 실내 측에 설치된 핸들을 강제로 회전시켜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후방이 도어의 실내 측 일면에 고정되고, 핸들의 회전축이 관통체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후방에 고정되되, 상기 핸들 회전축이 관통 위치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들의 외부로부터 후방으로 원통형 안착부가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핸들의 누름 동작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고, 누름 해제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링; 및 상기 스토퍼링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에 삽입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는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링의 중공부 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기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의 양측 부위에는 개방된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전?후방 단부가 각각 걸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후방 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을 밀착 지지하되, 중앙에 상기 핸들 회전축 통과용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측 단부에는 상기 핸들 회전축의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링; 상기 지지링의 후면에 위치되되,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끼워져 걸림 위치되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이 위치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의 후방을 지지하며, 외부 테두리가 상기 브래킷에 고정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의 전면에는 상기 브래킷의 후면과 접하여 간격을 유지하고,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의 전후 측 단부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부재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링은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형성된 단턱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은 외부 테두리의 일부분을 외부로 연장 형성시켜 나사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 체결부를 통해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브래킷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침입자가 도어의 외부에서 연장을 이용해 도어의 실내 측에 있는 핸들을 강제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리적인 침입 유형에 대한 방범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제회전 방지구조를 핸들의 회전축 부위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도어록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후면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도 2는 도 1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면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핸들을 눌러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어(900)의 실내 측에 구비되는 핸들(200), 내부케이스(300), 브래킷(400), 스토퍼링(500),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0)의 후방에는 고정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10)의 전방에는 회전을 위해 내부케이스(300)를 통해 브래킷(40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22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20)에는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21)이 원주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21)은 원주 방향을 따라 더 많은 개수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21)은 후술 될 스토퍼링(500)의 제1가이드돌기(520)와 지지링(710)의 제2가이드돌기(711)가 대응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221)은 핸들(200)을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핸들(20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스토퍼링(500)과 지지링(710)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내부케이스(300)는 공간부가 형성된 후방 단부가 도어(900)의 실내 측 일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스(300)에는 전방을 통해 핸들(200)의 회전축(220)을 후방으로 관통체결하기 위한 원형의 삽입홀(3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전면에는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미도시)와, 통신용 장치(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통신모듈 설치부(미도시) 및, 디지털 도어록(1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잠금 레버(32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400)은 그 전면이 내부케이스(300)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400)에는 핸들(200)의 회전축(220)이 후방으로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원형의 통과홀(410)이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통과홀(410)을 중심으로 복수의 걸림홈(420)이 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400)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홈(420)의 외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 안착부(430)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브래킷(400)은, 내부케이스(300)의 후면에 나사가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전술된 통과홀(410)은 핸들(200)의 회전축(220)이 후방으로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전술된 내부케이스(300)의 삽입홀(310)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브래킷(400)에는 내부케이스(300)의 전방에 구비된 잠금 레버(320)와 연동연결된 개폐 스위치부(미도시)가 안착부(4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후술 될 고정부재(700)의 지지링(710)이 회전하면서 인접하는 상기 개폐 스위치부(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계폐용 스위치(미도시)에서 발생한 개폐 신호가 별도의 잠금수단(미도시)에 전달되어 도어(900)의 개방 또는 잠금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스위치부(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토퍼링(500)은 브래킷(400)의 안착부(430)에 내에 삽입되어 핸들(200)의 회전축(220)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링(500)의 중앙에는 핸들(200)의 회전축(220)이 관통 위치되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핸들의 누름 동작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브래킷(40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홈(420)에서 이탈되고, 누름 해제시 상기 걸림홈(420)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는 복수의 돌기(5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링(500)의 중공부(미도시) 측 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가이드돌기(52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링(500)의 중공부(미도시)에는 핸들(200)의 회전축(220)이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중공부(미도시) 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1가이드돌기(520)가 회전축(22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221)에 대응되게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핸들(200)의 손잡이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가이드홈(221)의 길이방향 단부가 스토퍼링(500)의 제1가이드돌기(520)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링(500)이 후퇴하면서 그 전면에 형성된 돌기(510)가 브래킷(400)의 걸림홈(42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200)을 도어(900)의 개방 또는 잠금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이드홈(221)의 가로방향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돌기(520)를 회전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링(500)이 핸들(200)의 회전축(220)과 함께 도어(900)의 개방 또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탄성부재(600)는 안착부(430) 내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링(500)의 후면과 후술 될 지지링(710)의 전면 사이에서 위치되어 압축력을 작용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이 스토퍼링(500)의 후면에 위치되고, 후면이 후술 될 지지링(710)에 위치되는 코일스프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된 브래킷(400)의 안착부(430)는 양측 부위에 개방된 절개부(4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431)에 상기 탄성부재(600)의 전후방 측 단부가 걸림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600)의 전후방 측 단부가 안착부(430)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부(431)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200)의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면, 후술 될 지지링(710)의 걸림부재(712)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600)의 전후방 측 단부를 절개부(431) 내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0)의 전후방 측 단부가 절개부(431)의 단부에 걸리게 되므로, 핸들(200)이 개방 또는 잠금 방향으로 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스토퍼 링(500)의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과, 핸들(20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고정부재(700)는 중앙에 핸들(200)의 회전축(220)이 관통 위치되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미도시) 측 단부에는 상기 핸들(200) 회전축(220)의 가이드홈(221)에 대응 삽입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돌기(711)가 형성된 지지링(710)과, 상기 지지링(71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되, 상기 핸들(200)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핸들(200) 회전축(220)에 끼워져 걸림 위치되는 링 형상의 회전축 체결링(720) 및, 상기 회전축 체결링(720)이 위치되는 중공부(미도시)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710)의 후방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되도록 외부 테두리가 상기 브래킷(400)에 고정부재(700)를 통해 체결되는 링 형상의 고정링(7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710)의 제2가이드돌기(711)는 중공부(미도시)에 관통 위치된 회전축(210)의 가이드홈(221)에 대응되게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핸들(200)을 내부케이스(300)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회전축(220)의 가이드홈(221)이 상기 제2가이드돌기(711)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 게 된다.
반면, 핸들(200)을 놓으면, 상기 가이드홈(221)이 상기 제2가이드돌기(711)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면서 핸들(20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710)의 전면에는 상기 브래킷(400)의 후면과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핸들(200)을 도어(800)의 개방 또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탄성부재(500)의 전후방 측 단부를 이동시켜 전술된 절개부(431)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재(712)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부재(712)는 지지링이 회전할 때 탄성부재(600)의 전후방 측 단부를 절개부(431)의 양단에 걸림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링(610)의 원주방향 단부에는 두 개의 라운드 홈(7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링(610)이 회전할 때 일측의 라운드 홈(713)이 전술된 개폐 스위치부(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도어(900)의 개방 신호를 통해 구동장치(미도시)가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지지링(610)이 역으로 회전할 때 타측의 라운드 홈(713)이 상기 개폐 스위치부(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도어(900)의 잠금 신호를 통해 구동장치(미도시)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회전축 체결링(720)은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서, 핸들(200)의 회전축(220)에 형성된 단턱(222)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200)의 회전축(210)이 내부케이스(300)의 전방으로 빠지지 않고 걸림 위치될 수 있다.
고정링(730)은 외부 테두리의 일부분을 외부로 연장 형성시켜 나사 체결 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 체결부(731)를 통해 나사(732)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730)을 브래킷(400)의 후면에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900)의 실외 측에는 외부케이스(800)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케이스(800)는 전술된 내부케이스(300)의 구성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800)의 일면에는, 외부 핸들(미도시), 조작부(미도시), 인식수단(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800)의 핸들(미도시), 조작부 및 인식수단 등을 통해 도어(900)를 개방 및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100)의 핸들(200) 강제회전 방지장치(100)에 대한 작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도어(900)의 실내 측에서 핸들(200)을 누르면, 상기 핸들(200) 회전축(220)은 지지링(710)의 중공부(미도시) 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711)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200)의 회전축(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의 길이방향 단부가 스토퍼링(500)의 제1가이드돌기(520)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링(500)이 후퇴된다.
이 순간, 상기 스토퍼링(500)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510)가 브래킷(40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홈(420)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링(500)의 후면에 위치된 탄성부재(600)가 회전축(220)의 이동거리만큼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200)을 도어(900) 개방 또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200)의 회전축(220)과 함께 스토퍼링(500) 및 지지링(71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지링(710)의 라운드 홈(713)이 인접된 개폐 스위치부(440)를 누르게 되고, 상기 개폐 스위치부(440)의 누름 신호에 의해 잠금장치(미도시)들이 도어(900)를 개방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핸들(200)을 놓으면, 탄성부재(600)의 압축력에 의해 스토퍼링(50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링(500)의 제1가이드돌기(520)가 회전축(210)의 가이드홈(221)을 전방으로 밀어 핸들(2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스토퍼링(500)의 전방에 형성된 돌기(510)가 브래킷(40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홈(420)에 삽입되어 핸들(200)의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침입자가 실외에서 연장을 이용해 도어(900)의 실내 측에 있는 핸들(200)을 강제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리적인 침입에 대한 방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제회전 방지장치 구조를 핸들(200)의 회전축(220) 부위에 집중적으로 위치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부피가 크지 않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후면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면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핸들을 눌러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록 200: 핸들
210: 손잡이부 220: 회전축
221: 가이드홈 222: 단턱
300: 내부케이스 310: 회전축 삽입홀
320: 잠금 레버 400: 브래킷
410: 회전축 통과홀 420: 걸림홈
430: 안착부 431: 절개부
440: 개폐 스위치부 500: 스토퍼링
510: 돌기 520: 제1가이드돌기
600: 탄성부재 700: 고정부재
710: 지지링 711: 제2가이드돌기
712: 걸림부재 713: 라운드 홈
720: 회전축 체결링 730: 고정링
800: 외부케이스 900: 도어

Claims (8)

  1. 후방이 도어의 실내 측 일면에 고정되고, 핸들의 회전축이 관통체결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 후방에 고정되되, 상기 핸들 회전축이 관통 위치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통과홀을 중심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들의 외부로부터 후방으로 원통형 안착부가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되,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핸들의 누름 동작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고, 누름 해제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스토퍼링 및, 상기 스토퍼링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에 삽입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는,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링의 중공부 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기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후방 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는, 양측 부위에 개방된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전후방 측 단부가 각각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의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을 밀착 지지하되, 중앙에는 상기 핸들의 회전축 통과용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홈에 대응삽입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링;
    상기 지지링의 후면에 위치되되,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걸림 위치되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는 회전축 체결링; 및
    상기 회전축 체결링이 위치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외부 테두리가 상기 브래킷의 후면에 체결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의 전면에는, 상기 브래킷의 후면과 접하여 간격을 유지하고,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 전후방 측 단부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부재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체결링은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형성된 단턱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외부 테두리의 일부분을 외부로 연장 형성시켜 나사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 체결부를 통해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브래킷의 후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KR1020090046072A 2009-05-26 2009-05-26 디지털 도어록 KR10111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72A KR101114557B1 (ko) 2009-05-26 2009-05-26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72A KR101114557B1 (ko) 2009-05-26 2009-05-26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76A KR20100127576A (ko) 2010-12-06
KR101114557B1 true KR101114557B1 (ko) 2012-03-14

Family

ID=4350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72A KR101114557B1 (ko) 2009-05-26 2009-05-26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115A (ko) * 2015-09-14 2017-03-22 (주)혜강씨큐리티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45Y1 (ko) * 2015-03-04 2018-05-14 (주)유니코 하이테크 도어록의 손잡이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14A (ja) * 1996-10-21 1998-07-14 Takigen Mfg Co Ltd 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14A (ja) * 1996-10-21 1998-07-14 Takigen Mfg Co Ltd ハンド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115A (ko) * 2015-09-14 2017-03-22 (주)혜강씨큐리티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KR101723943B1 (ko) * 2015-09-14 2017-04-06 (주)혜강씨큐리티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576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313A (en) Combination lock with a device for changing the combination
US8800329B1 (en) Protected bar lock assembly
US20130154462A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US6742367B2 (en) Inside locking device of flat handle lock
EP3147431B1 (en) Lockset comprising a safety locking mechanism
KR100774589B1 (ko) 가구 일체형 서랍식 금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14557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AU2016429210B2 (en) Security lock
TWI674350B (zh) 感應式鎖具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20150135781A1 (en) Locking system
KR20080014839A (ko) 로터 고정 요소에 의한 록
US20220243498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20220073228A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GB2601001A (en) Lock actuator
KR100623160B1 (ko) 디지털 도어록
JP2009228310A (ja) 扉用錠装置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EP3805489B1 (en) A component for use in a locking device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KR20080022285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