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156B1 -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 Google Patents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156B1
KR102573156B1 KR1020210180163A KR20210180163A KR102573156B1 KR 102573156 B1 KR102573156 B1 KR 102573156B1 KR 1020210180163 A KR1020210180163 A KR 1020210180163A KR 20210180163 A KR20210180163 A KR 20210180163A KR 102573156 B1 KR102573156 B1 KR 10257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olt
push
latch
movab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941A (ko
Inventor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주)애니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락 filed Critical (주)애니락
Priority to KR102021018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56B1/ko
Priority to PCT/KR2022/020188 priority patent/WO2023113415A1/ko
Publication of KR2023009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8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with sliding output elements forming part of cylinder locks, e.g. in the form of pins or 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도어를 문틀에서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으로서, 래치유닛은 문틀과 마주하도록 도어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유닛케이스; 유닛케이스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 이동브라켓 내에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브라켓을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캠; 이동브라켓 내에 탄력 지지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되는 한편 이동브라켓에 걸림되게 구비되어 이동브라켓과 같이 직선 이동되는 지지블록;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축;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연결축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홈이 형성되는 래치볼트; 래치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갖는 한편 유닛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Latch unit having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유닛에서 출입되는 래치볼트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도어를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고 원활히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실내,외를 구분 및 개폐하기 위한 도어 혹은 실내 공간 내에서의 구획 공간을 구분 및 개폐하기 위한 도어 등에 장착되는 것으로, 통상 방화문과 같은 출입문에는 모티스와 키패드 장치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실내의 도어에는 래치유닛과 핸들유닛으로 된 핸들형 도어록이 주로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디지털 도어록은 물론 핸들형 도어록에 대하여 기존과 같이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되도록 하는 도어록에서 탈피하여 도어의 양측에 마련된 푸쉬풀 레버를 밀거나 당겨 도어록이 해정되도록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록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여기서, 디지털 도어록의 경우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갖는 모티스가 도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데드볼트는 내장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출입되는 것이고, 래치볼트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 간의 개폐 작용에 따라 모티스 몸체로부터 출입되면서 도어 프레임과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반면, 실내용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의 경우 통상적으로 도어의 측단을 통해 내측으로 함몰 장착되는 래치유닛과, 래치유닛에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의 전,후면에 장착 고정되는 핸들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핸들유닛의 회전에 따라 래치유닛 내의 래치볼트가 함몰 또는 자동으로 돌출되면서 도어의 개방 혹은 도어의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푸쉬풀 도어록의 경우 외부로 돌출된 푸쉬풀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내부의 회전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면 회전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 및 직선 운동하는 매체로부터 래치유닛과 연결된 회전가이더를 회전시킴에 따라 래치유닛 내의 래치볼트가 출입되도록 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도어록이 해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4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이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은,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게 한 푸쉬풀 레버가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푸쉬풀 레버와 연결된 회전작동구 및 회전작동구와 연결된 유동로드가 구비되며, 유동로드에는 래치유닛 또는 모티스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풀리가 연결되도록 하되, 본체 내에는 회전작동구의 회전 방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전환플레이트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푸쉬풀 도어락을 설치하기 전 전환플레이트를 유동시켜 도어락이 푸쉬 방식 혹은 풀 방식으로 해정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 방향을 빠르고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에 구성되는 래치유닛은 래치볼트가 모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출입되는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구비돼 있고, 래치유닛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비돼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 래치볼트가 반드시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야만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가 있다.
즉, 슬라이딩 이동되는 래치볼트는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래치유닛에서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의 록킹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푸쉬풀 레버를 밀거나 당겨 도어 잠금수단의 회전축 운동이 래치볼트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래치볼트가 래치유닛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되는 래치볼트가 도어 프레임의 록킹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순간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래치볼트가 도어 프레임의 록킹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정도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푸쉬풀 레버가 래치유닛의 회전축을 충분한 각도로 회전시켜 주어야 하므로, 이러한 푸쉬풀 레버의 과도한 작동량에 의해 도어의 개방시 상당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것은 물론 도어 프레임의 록킹부재와 래치볼트 간의 간섭 저항 및 마찰 저항으로 인해 래치볼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면서 도어의 열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곤 하였다.
게다가, 래치볼트는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과정에서 도어 프레임의 록킹부재와 부딪치면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데, 이와 같은 부딪침 과정에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충돌 소음으로 인해 조용한 실내 환경에서는 많은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4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래치유닛에서 출입되는 래치볼트가 도어의 열림 및 닫힘 과정에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과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래치유닛에서 회전되는 래치볼트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부드럽고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이 오차 범위 내에서 회전되어도 래치볼트의 잠금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도어를 문틀에서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으로서, 래치유닛은 문틀과 마주하도록 도어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유닛케이스; 유닛케이스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 이동브라켓 내에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브라켓을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캠; 이동브라켓 내에 탄력 지지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되는 한편 이동브라켓에 걸림되게 구비되어 이동브라켓과 같이 직선 이동되는 지지블록;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축;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연결축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홈이 형성되는 래치볼트; 래치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갖는 한편 유닛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록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도 제한홈은 래치볼트의 회전시 고정판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탑부가 관통구를 벗어나지 않도록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제한홈은 그 내측에 래치볼트의 회전시 연결축에 접하는 수직면과, 수직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래치볼트의 탑부가 고정판의 관통구를 벗어나지 않는 영역 내에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와 마주하는 지지블록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래치볼트에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볼트와 지지블록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되어 래치볼트의 회전이 차단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블록에는 이동브라켓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간극은 래치유닛의 록킹 상태에서 핸들을 밀거나 당김시 핸들과 연동되는 작동캠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이동브라켓의 이동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에 따르면, 래치유닛에서 출입되는 래치볼트가 도어의 열림 및 닫힘 과정에서 제한된 각도 안에서 회전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과정이 자연스럽게 유도됨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부드럽고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이 오차 범위 내에서 회전되어도 래치유닛에 구비된 지지블록에는 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간극이 형성돼 있으므로 래치볼트의 잠금은 견고히 유지되어 래치볼트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록에 구비되는 래치유닛에서 유닛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유닛의 분리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유닛이 록킹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유닛이 록킹 해제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유닛이 도어에서 열림되는 과정과 도어에 닫힘되는 과정을 각각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록 및 래치유닛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3)를 문틀(1)에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유닛(100)과, 도어(3)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핸들유닛(200)(20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푸쉬풀 도어록(100)은 도어(3)의 개폐 방향에 따라 실내 및 실외측에 각각 구비된 핸들유닛(200)(200')의 핸들(210)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래치유닛(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도어(3)를 문틀(1)에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어(3)의 래치유닛(100)과 마주하는 문틀(1)의 내주면 일측에는 잠금홈(2)이 형성되고, 잠금홈(2)에는 후술될 래치유닛(100)의 래치볼트(180)가 삽입되어 걸림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도어(3)는 래치유닛(100)에 의해 문틀(1)에 닫힌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래치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의 잠금홈(2)과 마주하는 도어(3)의 외주면에 매립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래치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의 잠금홈(2)과 마주하도록 도어(3)의 외주면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유닛케이스(110)와, 유닛케이스(110) 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브라켓(120)과, 이동브라켓(120) 내에서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되어 핸들(210)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브라켓(120)을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캠(130)과, 이동브라켓(120) 내에 탄력 지지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되는 한편 이동브라켓(120)에 걸림되게 구비되어 이동브라켓(120)과 같이 직선 이동되는 지지블록(170)과, 지지블록(17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축(160)과, 연결축(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연결축(160)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홈(182)이 형성되는 래치볼트(180)와, 래치볼트(180)가 관통되는 관통구(191)를 갖는 한편 유닛케이스(11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190)을 포함한다.
유닛케이스(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가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합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단위 플레이트를 결합하면 전,후면이 개구된 중공의 사각관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유닛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고정구(112)가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이동브라켓(120)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구(111)가 천공된다. 특히, 고정구(112)는 유닛케이스(110)의 측면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될 고정블록(140)을 고정시키고, 안내구(111)는 유닛케이스(110)의 상,하면에 사각형상의 폐곡선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이동브라켓(120)의 지지돌부(123)가 관통되어 구비된다.
한편, 이동브라켓(120)은 전판과 상,하판이 있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판에는 전방 관통구(121)가 천공되며, 상,하판에는 측방 관통구(122)가 천공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 관통구(121)는 이동브라켓(120)의 전판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측방 관통구(122)는 이동브라켓(120)의 상,하판에 사각형상의 폐곡선으로 형성되며, 측방 관통구(122)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돌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돌부(123)는 유닛케이스(110)의 안내구(111)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이동브라켓(120)의 직선 이동시 안내구(111)를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될 뿐 아니라 지지돌부(123)가 안내구(111)의 양측 단부에 걸림됨에 따라 이동브라켓(1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작동캠(130)은 이동브라켓(120) 내에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캠(130)은 그 중앙에 스핀들(133)이 관통 결합되는 축 결합구(132)가 형성돼 있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링 형태의 작동캠(130) 외주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캠돌부(131)를 포함한다.
작동캠(130)의 축 결합구(132)는 사각홈으로 형성되어 사각의 스핀들(133)과 형상 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작동캠(130)과 스핀들(133)은 상대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캠돌부(131)는 작동캠(130)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동브라켓(120)의 측방 관통구(122)를 관통하여 지지돌부(123)에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로써, 작동캠(13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캠돌부(131)가 이동브라켓(120)의 지지돌부(123)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브라켓(120)을 후진 이동시키게 된다.
게다가, 작동캠(130)이 축 결합구(132)와 형상 맞춤으로 관통 결합되는 스핀들(133)은 이동브라켓(120)과 유닛케이스(110)를 관통하여 핸들유닛(200)(20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핸들유닛(200)(200')의 핸들(210)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스핀들(133)이 회전되면서 작동캠(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캠(130)의 일측편 즉 후술될 래치볼트(180) 측으로의 이동브라켓(120) 내에는 고정블록(140)이 구비되고, 고정블록(140)은 유닛케이스(110)에 이동 불가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고정블록(140)은 이동브라켓(120)과 같이 "⊃"자 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그 양측 상,하부에는 각각의 고정돌기(141)가 돌출 형성되며, 이 고정돌기(141)는 이동브라켓(120)의 개구된 양측을 통해 유닛케이스(110)의 고정구(112)에 직접 결합 고정된다.
이로써, 고정블록(140)은 이동브라켓(120) 내에서 이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고, 직선 이동되는 이동브라켓(120)과는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블록(140)과 이동브라켓(120)의 전판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탄력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고,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150)(이하 "스프링"이라 한다)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스프링(150)을 고정블록(140)과 이동브라켓(120) 사이에서 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고정블록(140)의 전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결합보스(142)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이동브라켓(120) 측에는 후술될 지지블록(170)의 결합보스(172)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프링(150)은 그 양측 단부가 양 결합보스(142)(172)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고정블록(140)과 이동브라켓(120) 사이에서 탄력 지지된 상태로 견고히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된 스프링(150)은 이동브라켓(120)의 후진 이동시엔 압축되며, 인장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후진 이동된 이동브라켓(120)은 자동으로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지지블록(170)은 이동브라켓(120)의 전판에 결합 고정되어 구비되는 부재로서, 전방에는 후술될 래치볼트(180)를 지지하는 블록부(173)와, 블록부(173) 후방에는 지지판부(171)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블록부(173)와 지지판부(171) 사이에는 단차진 간극(175)이 형성되고, 이 간극(175)에는 이동브라켓(120)의 전판에 형성된 전방 관통구(121)가 끼워져 결합 고정된다. 이때, 간극(175)은 래치유닛(100)의 록킹 상태에서 핸들(210)을 밀거나 당김시 핸들(210)과 연동되는 작동캠(130)이 오차 범위 내에서 미세 회전될 때 이동되는 이동브라켓(120)의 이동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3)의 잠금 상태 즉 래치유닛(100)의 록킹 상태에서 핸들(210)이 오차 범위 내에서 회전되어도 래치유닛(100)에 구비된 이동브라켓(120)만이 지지블록(170)의 간극(175) 내에서 미세하게 이동될 뿐, 지지블록(170)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록킹 상태에서의 핸들(210) 회전은 허용 오차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단독 작동이므로 래치유닛(100)의 록킹 상태는 견고히 유지된다.
또한, 지지블록(170)의 지지판부(171) 후면에는 결합보스(172)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보스(172)에 스프링(150)의 전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스프링(150)을 정위치 상태에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록부(173)의 전면은 후술될 래치볼트(180)의 외주면에 대응한 곡률로 함몰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전면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결합돌기(17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래치볼트(180)는 캠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블록(170)의 블록부(173) 전방에 배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래치볼트(180)는 그 전단부에 후술될 고정판(190)의 관통구(191)를 통해 돌출되어 문틀(1)의 잠금홈(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탑부(180a)가 돌출 형성되고, 후단부는 블록부(173)에 대응한 곡률로서 만곡된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특히, 래치볼트(180)의 후면(만곡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에 대응한 결합홈(181)과, 이 결합홈(181)과 직교되는 각도 제한홈(182)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각도 제한홈(182)에서 결합홈(181)과 연통된 일단부는 수직면(182a)으로 형성되고, 결합홈(181)과 먼 반대편 측의 타단부는 수직면(182a)에 대해 대략 45도 각도로 외향 경사진 경사면(182b)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도 제한홈(182)의 수직면(182a)과 경사면(182b)에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후술될 연결축(160)이 접함으로써 래치볼트(18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볼트(180)의 회전시는 고정판(190)의 관통구(191)를 관통한 래치볼트(180)의 탑부(180a)가 관통구(191)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로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래치볼트(180)의 오버런 즉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므로 래치유닛(100)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래치볼트(180)는 연결축(160)에 의해 지지블록(170)과 같이 구속되게 구비된다. 즉, 연결축(160)은 지지블록(170)의 지지판부(171)에서 블록부(173)를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고, 지지블록(170)의 블록부(173)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부에는 래치볼트(180)가 힌지핀(183)으로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래치볼트(180)가 연결축(160)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됨으로써 래치볼트(180)의 회전시 각도 제한홈(182)의 수직면(182a) 또는 경사면(182b)에 연결축(160)이 접하여 래치볼트(18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래치볼트(180)는 후면의 결합홈(181)에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래치볼트(180)는 회전 불가한 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는 도어(3)가 문틀(1)에 닫힌 상태로서 도어(3)의 닫힘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190)은 유닛케이스(1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가고정된 상태로 도어(3)의 외주면에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판(190)에는 래치볼트(180)의 탑부(180a)가 관통되는 관통구(191)가 형성되고, 관통구(191)에는 유닛케이스(110) 측으로 돌출되어 함몰된 정지홈(192)이 형성된다. 이 정지홈(192)에는 래치볼트(180)에 결합된 힌지핀(183)이 걸림되게 구비됨으로써 래치유닛(100)에서 래치볼트(180)가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유닛(200)(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유닛(100)를 기준으로 도어(3)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실내측 핸들과, 도어(3)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실외측 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외측 핸들과 실내측 핸들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래치유닛(100)에 구비된 하나의 스핀들(133)에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실외측 핸들과 실내측 핸들을 설명함에 있어, 하나의 핸들(210)로 통칭함과 더불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되, 양 핸들(210)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실외측 핸들과 실내측 핸들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핸들유닛(200)(200')은 도어(3)에 결합 고정되는 바디(220)와, 바디(22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래치유닛(100)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핸들(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핸들(210)은 그 하단부가 바디(22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하단부의 힌지부를 축으로 핸들(210)의 상단부가 바디(220) 측으로 밀려 회전되거나 또는 반대로 바디(220)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당겨져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들(210)에는 회전된 핸들(2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미설명부호 "230"은 실내측 바디(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래치유닛(100)을 록킹시키는 키노브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록에 구성되는 래치유닛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어(3)가 문틀(1)에 결합되어 도 8의 상부 첫번째 도면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3)를 열 때는 실내측 및 실외측의 핸들(210)을 밀거나 당기면, 핸들(210)과 연동되어 스핀들(133)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핀들(133)의 회전에 의해 작동캠(1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캠돌부(131)가 지지돌부(123)를 후방으로 밀어내 이동브라켓(120)을 유닛케이스(110) 내에서 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브라켓(12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지지블록(170)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이동브라켓(120)과 고정블록(140)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50)은 도 8의 두번째 내지 네번째 도면과 같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동브라켓(120)과 같이 지지블록(170)이 후진 이동되면, 도 8의 두번째 도면과 같이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가 래치볼트(180)의 결합홈(181)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됨으로써 래치볼트(180)는 연결축(16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3)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볼트(180)는 이의 탑부(180a)가 문틀(1)의 잠금홈(2)에 걸림된 상태로 도 8의 세번째 도면과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같은 래치볼트(180)의 회전은 각도 제한홈(182)의 경사면(182b)에 연결축(160)이 접하여 걸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래치볼트(180)가 도 8의 네번째 도면과 같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래치볼트(180)에 힌지 결합된 연결축(160)이 각도 제한홈(182)의 경사면(182b)에 접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의 래치볼트(180)는 이의 탑부(180a)가 고정판(190)의 관통구(191)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문틀(1)의 잠금홈(2)으로부터 해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3)는 자연스럽게 열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회전되는 래치볼트(180)는 이의 탑부(180a)가 고정판(190)의 관통구(191)를 벗어나지 않는 대략 45도 각도로만 회전됨으로써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래치유닛(100)의 오작동은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3)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9의 첫번째 도면과 같이,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에 의해 지지블록(170)과 래치볼트(180)는 이격된 상태이고, 연결축(160)은 각도 제한홈(182)의 경사면(182b)에 접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어(3)를 닫으면, 도 9의 두번째 도면과 같이 래치볼트(180)가 문틀(1)의 외측에 걸림되나, 이 상태에서도 도어(3)를 닫히는 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그러면, 이 과정에서 래치볼트(180)는 도어(3)의 열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래치볼트(180)의 결합홈(181)이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에 일치되어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문틀(1)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던 래치볼트(180)는 도 9의 세번째 도면과 같이 도어(3)의 회전에 의한 외력으로 인해 도어(3)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래치볼트(180)가 삽입되면, 이에 결합된 지지블록(170) 역시도 유닛케이스(110) 내로 후진 이동되면서 스프링(15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문틀(1)의 외측에 걸림돼 있던 래치볼트(180)는 이의 탑부(180a)가 잠금홈(2)이 있는 문틀(1)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잠금홈(2)을 향해 이동되어 잠금홈(2)에 위치되면, 스프링(150)의 복원력(인장력)에 의해 래치볼트(180)가 인출되면서 도 9의 네번째 도면과 같이 문틀(1)의 잠금홈(2)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이때, 래치볼트(180)는 이의 결합홈(181)에 지지블록(170)의 결합돌기(174)가 결합된 상태로서, 회전이 불가하게 되므로 도어(3)의 닫힌 상태는 견고히 유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래치유닛 110 : 유닛케이스
111 : 안내구 112 : 고정구
120 : 이동브라켓 121,122 : 관통구
123 : 지지돌부 130 : 작동캠
131 : 캠돌부 132 : 축 결합구
133 : 스핀들 140 : 고정블록
141 : 고정돌기 142 : 결합보스
150 : 탄성부재 160 : 연결축
170 : 지지블록 171 : 지지판부
172 : 결합보스 173 : 블록부
174 : 결합돌기 175 : 간극
180 : 래치볼트 180a : 탑부
181 : 결합홈 182 : 각도 제한홈
182a : 수직면 182b : 경사면
183 : 힌지핀 190 : 고정판
191 : 관통구 192 : 스톱홈
200,200' : 핸들유닛 210 : 핸들
220 : 바디 230 : 키노브

Claims (5)

  1.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도어를 문틀에서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으로서,
    래치유닛은 문틀과 마주하도록 도어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유닛케이스;
    유닛케이스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양측면은 개구되고 전면에는 전방 관통구가 형성되는 이동브라켓;
    이동브라켓 내에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되어 핸들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브라켓을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캠;
    이동브라켓 내에 구비된 상태에서 양측의 고정돌기가 이동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유닛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블록;
    이동브라켓 내에 구비되어 후단부가 고정블록에 탄력 지지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전단부에 탄력 지지되는 한편 이동브라켓의 전방 관통구에 끼움 결합되는 간극이 구비되어 이동브라켓과 같이 직선 이동되는 지지블록;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축;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연결축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홈이 형성돼 있는 래치볼트;
    래치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갖는 한편 유닛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지지블록의 간극은 래치유닛의 록킹 상태에서 핸들을 밀거나 당김시 핸들과 연동되는 작동캠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이동브라켓의 이동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푸쉬풀 도어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도 제한홈은 래치볼트의 회전시 고정판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탑부가 관통구를 벗어나지 않도록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푸쉬풀 도어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각도 제한홈은 그 내측에 래치볼트의 회전시 연결축에 접하는 수직면과, 수직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래치볼트의 탑부가 고정판의 관통구를 벗어나지 않는 영역 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푸쉬풀 도어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래치볼트와 마주하는 지지블록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래치볼트에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볼트와 지지블록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되어 래치볼트의 회전이 차단되게 구비되는 푸쉬풀 도어록.
  5. 삭제
KR1020210180163A 2021-12-15 2021-12-15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57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63A KR102573156B1 (ko) 2021-12-15 2021-12-15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PCT/KR2022/020188 WO2023113415A1 (ko) 2021-12-15 2022-12-13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163A KR102573156B1 (ko) 2021-12-15 2021-12-15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941A KR20230090941A (ko) 2023-06-22
KR102573156B1 true KR102573156B1 (ko) 2023-09-01

Family

ID=8677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163A KR102573156B1 (ko) 2021-12-15 2021-12-15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3156B1 (ko)
WO (1) WO202311341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005A1 (de) * 2015-06-08 2016-12-08 MSL Schloss- und Beschlägefabrik AG Schloss mit Geräuschdämmung
KR101890318B1 (ko) * 2017-10-30 2018-08-2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2146710B1 (ko) * 2020-05-26 2020-08-21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69B1 (ko)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KR102151646B1 (ko) * 2018-12-31 2020-09-03 정영화 방문용 푸시풀타입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005A1 (de) * 2015-06-08 2016-12-08 MSL Schloss- und Beschlägefabrik AG Schloss mit Geräuschdämmung
KR101890318B1 (ko) * 2017-10-30 2018-08-2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2146710B1 (ko) * 2020-05-26 2020-08-21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415A1 (ko) 2023-06-22
KR20230090941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2292903B1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194374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EP3336291A1 (en) Dual latch assembly for openable structures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20140148049A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7607704B2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KR10099659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2573156B1 (ko)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US6536248B1 (en) Door lock-and-handle assembly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04428B1 (ko) 냉장고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KR102361307B1 (ko) 출입 통제 기능을 갖는 패닉 바 어셈블리
KR200488916Y1 (ko) 푸시풀 도어 락 장치
KR20180103380A (ko)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AU2010201641B9 (en) A Latch and a Latchset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2640772B1 (ko)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KR200496291Y1 (ko) 도어락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