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380A -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380A
KR20180103380A KR1020170030242A KR20170030242A KR20180103380A KR 20180103380 A KR20180103380 A KR 20180103380A KR 1020170030242 A KR1020170030242 A KR 1020170030242A KR 20170030242 A KR20170030242 A KR 20170030242A KR 20180103380 A KR20180103380 A KR 20180103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housing
engaging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3380A/ko
Publication of KR2018010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어락 손잡이를 41°내지 42°의 각도로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기존 제품 대비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락 손잡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의 편의성을 위해 도어락 손잡이의 길이도 그만큼 더 길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Door lock hub and door lock mortise having Door lock hub}
본 발명은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또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door)에는 도어를 개폐하는 용도로 도어락(door lock) 손잡이와 연동되는 도어락 모티스(door lock mortise)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락 모티스에는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며,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레치볼트를 도어 스트라이커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도어락 허브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도어락 모티스에는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도어락 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레치볼트를 도어락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면서 동시에 도어락 스트라이커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도어락 허브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락 허브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그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데 소요되는 힘이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조작하는 각도 등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기존의 도어락 허브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의 경우 도어락 손잡이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조작해야 도어가 개폐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도어락 허브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가 회전방식의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는 경우, 도어락 손잡이를 45°이상 회전시켜야 도어가 개폐되므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고,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도어락 모티스가 푸시풀 방식의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는 경우, 도어락 손잡이를 45°이상 밀거나 당겨야 도어가 개폐됨으로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도어와 도어락 손잡이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도어락 손잡이를 적절한 각도로 조작하여 도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086호(등록일자: 2012.10.2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 손잡이를 41°내지 42°의 각도로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기존 제품 대비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락 손잡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의 편의성을 위해 도어락 손잡이의 길이도 그만큼 더 길게 제작할 수 있는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 모티스의 잠금상태에서도 별도의 잠금 해제 동작 없이 실내에 위치하는 도어락 손잡이의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회전본체 및, 상기 회전본체의 외주면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커지며 돌출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면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면이 내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허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락 허브;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홀과 하부에 형성된 제2걸림홀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본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홀 또는 상기 제2걸림홀이 상기 걸림돌출부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락 손잡이를 41°내지 42°의 각도로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기존 제품 대비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락 손잡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의 편의성을 위해 도어락 손잡이의 길이도 그만큼 더 길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하면, 도어락 모티스의 잠금상태에서도 별도의 잠금 해제 동작 없이 실내에 위치하는 도어락 손잡이의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락 허브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허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도어락 허브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모티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도어락 모티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락 허브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허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도어락 허브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모티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도어락 모티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허브(10)는,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가 결합되는 회전본체(13) 및, 회전본체(13)의 외주면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커지며 돌출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면(15)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면(17)이 내각(A1)을 이루며 형성되는 걸림돌출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락(door lock)은 도어(door)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도어락 손잡이를 회전 또는 푸시풀(push pull)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말한다.
회전본체(13)는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어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의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본체(13)는 샤프트(11)의 일단이 결합되어 샤프트(11)와 함께 회전되도록 샤프트결합부(21)가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결합부(21)는 회전본체(13)에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홀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일부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샤프트결합부(21)가 홀의 형태로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회전본체(13)는 전방에 하우징결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결합부(23)는 회전본체(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본체(13)의 후방에는 제1회전결합부(27)가 원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걸림돌출부(19)는 회전본체(1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걸림돌출부(19)는 회전본체(13)의 외주면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커지도록 회전본체(1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걸림돌출부(19)는 상, 하부에 형성되며, 제1,2걸림면(15,17)과, 측면라운드부(25) 및 걸림경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걸림면(15,17)은 74.5°이상 77.5°이하의 내각(A1)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림면(15)과 제2걸림면(17)의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1걸림면(15)은 걸림돌출부(19)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라운드부(16)와 라운드경계부(35)가 형성된다.
라운드부(16)는 회전본체(13)의 외주면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드부(16)는 반경 중심으로부터 0.1mm이상 1.0mm이하의 곡률반경(R1)을 이루며 형성된다.
라운드경계부(35)는 제1걸림면(15)과 측면라운드부(25)의 경계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드경계부(35)는 반경 중심으로부터 0.1mm이상 0.9mm이하의 곡률반경(R2)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2걸림면(17)은 걸림돌출부(19)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걸림면(15)과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측면라운드부(25)는 제1걸림면(15)과 제2걸림면(17)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측면라운드부(25)의 상단 및 하단은 제1걸림면(15) 및 제2걸림면(17)의 각각의 일단과 연장된다. 이러한 측면라운드부(25)는 11.0mm이상 11.7mm이하의 곡률반경(R3)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걸림면(15) 및 제2걸림면(17)의 평면폭(W1)은 각각 3.3mm이상 4.7이하의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걸림경사부(33)는 일단이 측면라운드부(25)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걸림면(15) 및 제2걸림면(170)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경사부(33)는 제1경사면(29) 및 제2경사면(31)을 포함한다.
제1경사면(29)은 일측면(F)의 상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1경사면(29)은 일측면(F) 상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경사면(31)은 제1경사면(29)의 하측에, 제1경사면(29)과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제2경사면(31)은 일측면(F)의 하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허브(10')는 제1도어락 허브(10a) 및 제2도어락 허브(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도어락 허브(10a)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허브(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2도어락 허브(10b)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어락 허브(10b)는 제1도어락 허브(10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도어락 허브(10b)는 회전본체(53)와 걸림돌출부(59)를 포함한다.
회전본체(53)는 도어락 손잡이와 연동되어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의 일단이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본체(53)는 샤프트(11')의 일단이 결합되어 샤프트(11')와 함께 회전되도록 샤프트결합부(51)가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락은 도어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샤프트(11')는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에 구비되는 도어락과 연동될 수 있다.
회전본체(53)는 전방에 제2회전결합부(67)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본체(53)는 상술한 제2회전결합부(67)가 제1회전결합부(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본체(53)의 후방에는 하우징결합부(6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걸림돌출부(59)는 회전본체(5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걸림돌출부(59)는 회전본체(53)의 외주면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커지도록 회전본체(5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걸림돌출부(59)는 상, 하부에 형성되며, 서로가 이루는 내각(A2)이 74.5°이상 77.5°이하인 제1,2걸림면(55,57)과, 측면라운드부(65) 및 걸림홀(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걸림면(55)은 걸림돌출부(59)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라운드부(56)와 라운드경계부(75)가 형성된다.
라운드부(56)는 회전본체(53)의 외주면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드부(56)는 반경 중심으로부터 0.1mm이상 1.0mm이하의 곡률반경(R4)을 이루며 형성된다.
라운드경계부(75)는 제1걸림면(55)과 측면라운드부(65)의 경계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드경계부(75)는 반경 중심으로부터 1.65mm이상 2.65mm이하의 곡률반경(R5)을 이루며 형성된다.
제2걸림면(57)은 걸림돌출부(59)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걸림면(55)과 상, 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측면라운드부(65)는 제1걸림면(55)과 제2걸림면(57)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측면라운드부(65)의 상단 및 하단은 제1걸림면(55) 및 제2걸림면(57)의 각각의 일단과 연장된다. 이러한 측면라운드부(65)는 14.0mm이상 14.7mm이하의 곡률반경(R6)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걸림면(55) 및 제2걸림면(57)의 평면폭(W2)은 각각 4.2mm이상 5.8이하의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걸림홀(73)은 제1걸림면(55) 및 제2걸림면(57)의 사이에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걸림홀(73)은 제1걸림면(55) 및 제2걸림면(57)의 사이에 일측이 측면라운드부(65)로부터 연장되도록 관통형성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100)는 도어락 허브(10'), 하우징(101), 가이드부재(201), 락킹가이드부재(301), 탄성부재(401) 및 락킹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락 허브(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어락 허브(10')는 후술할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하우징(101)은 일단에 개구부(103)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1)은 제1하우징(105), 제2하우징(107) 및 레치볼트(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하우징(105)은 제1회동결합부(110), 제1가이드홀(111) 및 제1끼움홀(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회동결합부(110)는 제1하우징(105)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어 제1도어락 허브(10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회동결합부(110)는 제1도어락 허브(10a)의 하우징결합부(23)가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어 결합된다.
제1가이드홀(111)은 제1회동결합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며, 후술할 락킹부재(500)의 일부가 내삽되어 결합된다.
제1끼움홀(113)은 제1회동결합부(110)와 제1가이드홀(111)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끼움홀(113)은 제1회동결합부(110)와 제1가이드홀(111)의 사이에 복수개로 관통형성 될 수 있으며. 후술할 락킹가이드부재(301)의 일부가 내삽되어 결합된다.
제2하우징(107)은 제1하우징(105)과 결합된다. 제2하우징(107)과 제1하우징(105)은 서로 결합되어 일단에 레치볼트(109)가 구비되는 개구부(103) 및 도어락 허브(10') 등이 구비되는 설치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하우징(107)은 제2회동결합부(115), 제2가이드홀(117) 및 제2끼움홀(1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회동결합부(115)는 제1회동결합부(109)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2회동결합부(115)에는 제2도어락 허브(10b)의 하우징결합부(63)가 회동가능하게 내삽되어 결합된다.
제2가이드홀(117)은 제2회동결합부(115)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며 락킹부재(500)의 일부가 결합된다.
제2끼움홀(119)은 제2회동결합부(115)와 제2가이드홀(117)의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가이드부재(301)의 일부가 내삽되어 결합된다.
레치볼트(109)는 개구부(103)에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레치볼트(109)는 개구부(103)에 구비되며, 도어락 허브(10')와 연동되어 도어락 허브(10')가 회전되는 경우, 하우징(101)의 내,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이어서, 가이드부재(201)는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201)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홀(203)과 하부에 형성된 제2걸림홀(205)을 포함하되, 회전본체(13)가 회전됨에 따라 제1걸림홀(203) 또는 제2걸림홀(205)이 걸림돌출부(19)에 걸림되어 개구부(10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201)는 일단이 연결부재(207)를 통해 레치볼트(109)와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01)의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재(201)는 제1절곡부(209), 제2절곡부(211) 및 제3절곡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절곡부(209)는 하우징(10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절곡부(209)에는 상술한 제1걸림홀(203)이 관통 형성된다.
제1걸림홀(203)은 회전본체(13,5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걸림면(15,55)과 각각 걸림된다.
이러한, 제1걸림홀(203)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걸림홀(203)은 일측에 상부슬라이드면(2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슬라이드면(215)은 제1걸림홀(203)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걸림홀(203)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슬라이드면(215)은 회전본체(13,5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돌출부(19,59)와 슬라이드 되면서 레치볼트(109)가 후술할 탄성부재(401)를 가압하며 레치볼트(109)를 개구부(10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한다.
제2절곡부(211)는 하우징(10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제1절곡부(209)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절곡부(211)에는 상술한 제2걸림홀(205)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2걸림홀(205)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걸림홀(205)은 일측에 하부슬라이드면(217)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슬라이드면(217)은 제2걸림홀(205)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걸림홀(203)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슬라이드면(217)은 회전본체(13,53)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돌출부(19,59)와 슬라이드 되면서 레치볼트(109)가 후술할 탄성부재(401)를 가압하며 레치볼트(109)를 개구부(10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상부슬라이드면(215)과 하부슬라이드면(217)이 이루는 각도는 제1걸림면(15)과 제2걸림면(17)이 이루는 내각(A1)과 동일할 수 있다.
제3절곡부(213)는 양단이 제1,2절곡부(209,211)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3절곡부(213)는 연결부재(207)가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1걸림면(15,55)과 제2걸림면(17,57)의 내각(A1,A2)이 74.5°내지 77.5°를 이루는 도어락 허브(10a,10b)가, 제1,2걸림홀(203,205)의 상,하부슬라이드면(215,217)과 슬라이드되면서 레치볼트(109)를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도어락 허브(10a,10b)를 41°내지 42°의 각도로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제1걸림면(15,55)과 제2걸림면(17,57)의 내각(A1,A2)이 74.5°이하인 경우, 레치볼트(109)를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 허브(10a,10b)의 회전각이 42°를 넘어가게 된다.
또한, 제1걸림면(15,55)과 제2걸림면(17,57)의 내각(A)이 77.5°이상인 경우, 제1걸림면(15,55) 또는 제2걸림면(17,57)이, 상,부슬라이드면(215,517)과 슬라이딩 될 때 마찰력이 증가하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힘이 보더 많이 소요되며, 제1걸림면(15,55) 또는 제2걸림면(17,57)이 상,하부슬라이드면(215,217)과 걸림되어 레치볼트(109)를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끝까지 인입시킬 수 없게 된다.
이어서, 락킹가이드부재(301)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제1하우징(105) 및 제2하우징(107)에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락킹가이드부재(301)는 제1돌기(303), 제2돌기(305) 및 가이드홈(307)을 포함한다.
제1돌기(303)는 제1하우징(105)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끼움홀(113)에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제1돌기(303)는 복수개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재(401)가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하우징(105)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돌기(305)는 제2하우징(107)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끼움홀(119)에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제2돌기(305)는 제1돌기(303)와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07)은 후술할 락킹부재(500)가 결합되어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07)에는 걸림공(308)이 상,하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걸림공(308)은 가이드홈(307)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07)은 락킹부재(500)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재(50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방부(309)가 형성된다.
이어서, 탄성부재(401)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재(201)의 일단과 락킹가이드부재(30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401)는 일예로 탄성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일단이 연결부재(207)에 지지되고 타단이 락킹가이드부재(301)에 지지되어 레치볼트(109)가 하우징(10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드부재(201) 및 연결부재(207)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어서, 락킹부재(500)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출부(19)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걸림돌출부(19)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본체(13)가 회전되는 경우, 제1경사면(29) 또는 제2경사면(31)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출부(19)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락킹부재(500)의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락킹부재(500) 본체부(501), 제1버튼(503), 제2버튼(505), 잠금돌기(507), 테이퍼부(509) 및 걸림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501)는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307)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걸림가이드홀(50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가이드홀(502)에는 코일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버튼(503)은 본체부(501)에서 제1하우징(105)의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형성 된다. 이러한, 제1버튼(503)은 제1가이드홀(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버튼(503)은 원기둥의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가압하여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1가이드홀(111)에 결합되어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버튼(505)은 본체부(501)에서 제2하우징(107)의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버튼(505)은 제2가이드홀(117)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버튼(503)은 락킹가이드부재(301)에 내삽된 후, 사용자가 가압하여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2가이드홀(117)에 결합되어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돌기(507)는 제1버튼(503)과 제2버튼(505)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501)에서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돌기(507)는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에 결합되는 경우 개방부(309)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잠금돌기(507)는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의 내측에서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걸림홈(73)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된다. 즉, 잠금돌기(507)는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홈(73)에 삽입되어 회전본체(5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퍼부(509)는 잠금돌기(507)로부터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테이퍼부(509)는 잠금돌기(507)와 동일하게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에 결합되는 경우 개방부(309)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테이퍼부(509)는 제1테이퍼면(511)과 제2테이퍼면(513)을 포함한다.
제1테이퍼면(511)은 잠금돌기(507)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테이퍼면(511)은 테이퍼부(509)의 상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테이퍼면(511)은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경우 제1경사면(29)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된다. 즉, 제1테이퍼면(511)은 제1경사면(29)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본체(13)가 회전되는 경우 제1경사면(29)과 슬라이딩되면서 본체부(501)를 걸림돌출부(19)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테이퍼면(513)은 잠금돌기(507)를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다. 즉, 제2테이퍼면(513)은 제1테이퍼면(511)과 상하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테이퍼면(513)은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경우 제2경사면(31)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된다. 즉, 제2테이퍼면(513)은 제2경사면(31)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본체(13)가 회전되는 경우 제2경사면(31)과 슬라이딩되며 본체부(501)를 걸림돌출부(19)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걸림부재(510)는 일예로 스틸재질의 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술한 걸림가이드홀(502)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502)는 걸림가이드홀(502)의 상,하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501)가 가이드홈(307)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술한 코일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걸림공(308)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어 본체부(501)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100)는 잠금돌기가(507)가 걸림홀(73)에 끼워진 락킹부재(501)의 잠금 상태에서도, 제2버튼(505)을 가압하는 별도의 잠금 해제동작 없이,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락 손잡이를 통해 제1도어락 허브(10a)를 회전시켜 간편하게 락킹부재(501)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어락 손잡이를 41°내지 42의 각도로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기존 제품 대비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도어와 도어락 손잡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의 편의성을 위해 도어락 손잡이의 길이도 그만큼 더 길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 도어락 허브
10a : 제1도어락 허브 10b : 제2도어락 허브
11 : 샤프트 13, 53 : 회전본체
15, 55 : 제1걸림면 16, 56 : 라운드부
17, 57 : 제2걸림면 19, 59 : 걸림돌출부
21, 51 : 샤프트결합부 23, 63 : 하우징결합부
25, 65 : 측면라운드부 27 : 제1회전결합부
29 : 제1경사면 31 : 제2경사면
33 : 걸림경사부 16, 56 : 라운드부
35, 75 : 라운드 경계부 67 : 제2회전결합부
73 : 걸림홈 101 : 하우징
103 : 개구부 105 : 제1하우징
107 : 제2하우징 109 : 레치볼트
119 : 제1회동결합부 111 : 제1가이드홀
113 : 제1끼움홈 115 : 제2회동결합부
117 : 제2가이드홀 119 : 제2끼움홀
201 : 가이드부재 203 : 제1걸림홀
205 : 제2걸림홀 207 : 연결부재
209 : 제1절곡부 211 : 제2절곡부
213 : 제3절곡부 215 : 상부슬라이드면
217 : 하부슬라이드면 301 : 락킹가이드부재
303 : 제1돌기 305 : 제2돌기
307 : 가이드홈 308 : 걸림공
309 : 개방부 401 : 탄성부재
500 : 락킹부재 501 : 본체부
502 : 걸림가이드홀 503 : 제1버튼
505 : 제2버튼 507 : 잠금돌기
509 : 테이퍼부 510 : 걸림부재
511 : 제1테이퍼면 513 : 제2테이퍼면

Claims (6)

  1. 도어락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가 결합되는 회전본체(13) 및,
    상기 회전본체(13)의 외주면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차 커지며 돌출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면(15)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면(17)이 내각(A1)을 이루며 형성되는 걸림돌출부(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A1)은,
    74.5°이상 77.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허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면(15)은,
    상기 회전본체(13) 외주면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0.1mm이상 1.0mm이하의 곡률반경(R1)을 갖는 라운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허브.
  4. 일단에 개구부(103)가 형성된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락 허브(10); 및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홀(203)과 하부에 형성된 제2걸림홀(205)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본체(1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홀(203) 또는 상기 제2걸림홀(205)이 상기 걸림돌출부(19)에 걸림되어 상기 개구부(10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2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19)는,
    일측면(F) 상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1경사면(29)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29)의 하측에 상기 제1경사면(29)과 상하 대칭되도록 제2경사면(31)이 형성되는 걸림경사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10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19)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걸림돌출부(19)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본체(13)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경사면(29) 또는 상기 제2경사면(31)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돌출부(19)와 멀어지는 방항으로 이동되는 락킹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KR1020170030242A 2017-03-09 2017-03-09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KR20180103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42A KR20180103380A (ko) 2017-03-09 2017-03-09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42A KR20180103380A (ko) 2017-03-09 2017-03-09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80A true KR20180103380A (ko) 2018-09-19

Family

ID=6371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42A KR20180103380A (ko) 2017-03-09 2017-03-09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33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0029A (zh) * 2021-12-17 2022-04-12 上海爱信诺航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抗干扰的智能门锁及唤醒方法
KR20230057725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문용 모티스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725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문용 모티스락
CN114320029A (zh) * 2021-12-17 2022-04-12 上海爱信诺航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抗干扰的智能门锁及唤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830B2 (en) Auto cam lock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US20110298225A1 (en) Auto Lock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CA2946332C (en) Simplified lever handing apparatus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0477705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7530245B2 (en) Door lock
KR20180103380A (ko)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US7607704B2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170023452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TWI635014B (zh) 主開關鎖帶動機構
CN211173466U (zh) 锁芯、锁具及解锁钥匙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AU2010201641B9 (en) A Latch and a Latchset
KR101962434B1 (ko) 안티패닉 구조체가 구비된 푸쉬풀 도어락
GB2534682A (en) Lock assembly and spindle therefor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N212453983U (zh) 锁具
CA2603172C (en)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