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772B1 -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772B1
KR102640772B1 KR1020200037715A KR20200037715A KR102640772B1 KR 102640772 B1 KR102640772 B1 KR 102640772B1 KR 1020200037715 A KR1020200037715 A KR 1020200037715A KR 20200037715 A KR20200037715 A KR 20200037715A KR 102640772 B1 KR102640772 B1 KR 10264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bolt assembly
locking bod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693A (ko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직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to KR102020003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7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헤드;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래치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락킹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락킹바디의 말단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헤드는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락킹바디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회전 가능한,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DOOR LATCH-BOLT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를 록킹 및 개방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어락 장치라 한다. 현대 철제 도어에는 주로 도어 모티스가 설치되며 도어 모티스 내에는 사용자의 실내 또는 실외 측 핸들 등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래치볼트 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목재로 형성된 목문에는 실린더 형상의 튜블러 래치볼트가 설치될 수 있고, 튜블러 래치볼트의 래치헤드는 도어틀 내의 개폐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형 레버 또는 푸쉬/풀 방식의 핸들을 통해 래치헤드를 도어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고,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튜블러 래치볼트는 사용자의 레버 또는 핸들 조작시 래치해드가 직선 운동하며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었는데, 래치헤드가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래치헤드와 스트라이크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충돌은 튜블러 래치볼트의 구성품에 충격하중을 전달하며 제품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715호(2006.01.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형 레버 또는 푸쉬/풀 핸들의 조작시 래치볼트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도어를 밀거나 개방하여 스트라이크에 래치볼트와 충돌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 조립체에 발생되는 충격 하중 등의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여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래치볼트 조립체가 설치되는 도어의 설치구 형성 위치와 상관없이 호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헤드;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래치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락킹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락킹바디의 말단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래치헤드는 회전 가능한,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락킹바디는 상기 래치헤드에 최근접 위치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제한되고,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가능하다.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가이드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래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래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제1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락킹바디의 이동을 제어 가능한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래치는 상기 도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가이드 래치가 상기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된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 동작되어 상기 락킹바디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이동됨에 따라 상기 락킹바디, 상기 가이드 래치 및 상기 후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링크 플레이트; 및 실내 또는 실외 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락킹바디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가이드 래치를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2 깊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설정 각도로부터 제2 설정 각도까지 추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래치를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3 깊이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락킹바디를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조작부가 위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기 결정된 길이의 설치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조작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설치조절홈에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형 레버 또는 푸쉬/풀 핸들의 조작시 래치볼트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도어를 밀거나 개방하여 스트라이크에 래치볼트와 충돌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 조립체에 발생되는 충격 하중 등의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여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래치볼트 조립체가 설치되는 도어의 설치구 형성 위치와 상관없이 호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문열림 상태에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z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문열림 상태에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문닫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의 내부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z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가이드 래치(400)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의 후크부재 및 링크 플레이트 간의 간섭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2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문열림 상태에서 문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문열림 상태에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z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문열림 상태에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몸체부(100), 래치헤드(200) 및 락킹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0)는 도어(20)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몸체부(100)는 상기 도어(20)를 지지하는 도어틀(30) 상에 형성된 스트라이크(31)에 인접하도록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라이크(31)에는 개폐홈(31a)이 형성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는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 위치되어 개폐홈(31a)에 삽입 위치됨으로써 도어(20)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개폐홈(31a)에서 이탈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락킹바디(300)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동됨에 따라 래치헤드(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래치헤드(200)는 락킹바디(300)의 말단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락킹바디(300)가 이동되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락킹바디(3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래치헤드(200)는 회전될 수 있다. 즉, 문닫힘 상태에서 락킹바디(3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회전될 수 없다. 락킹바디(300) 이동 및 래치헤드(200) 회전에 대한 구체적인 구동 방식은 도 6a 및 6b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래치헤드(200)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가이드 래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래치(400)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가이드 래치(400)는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제1 탄성부재(910)를 통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래치(400)는 몸체부(100) 내의 일측에서 제1 탄성부재(910)와 접촉 지지되어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래치(400)의 타단부는 몸체부(100) 외측으로 탄성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래치(400)의 돌출 방향은 래치헤드(20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몸체부(100)는 래치헤드(200)의 돌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중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상술한 제1 탄성부재(910) 및 후술할 후크부재(500)가 지지되는 링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플레이트(110)는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링 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는 제1 탄성부재(910)의 일단 및 후크부재(500)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910)의 타단은 상술한 가이드 래치(40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고, 링크 플레이트(600)의 반대 측으로 가이드 래치(400)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헤드(200)의 외면은 도어(20) 개방시 래치헤드(200)와 개폐홈(31a)이 접촉 간섭되는 면인 지지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지지면(221)은 래치헤드(200)가 개폐홈(31a) 내에 삽입 위치된 경우 수평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가 문열림 또는 문닫힘 상태인 경우, 돌출된 가이드 래치(400)의 말단부는 지지면(221)에 접촉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된 가이드 래치(400)의 말단부는 래치헤드(200)의 지지면(221)을 간섭할 수 있고, 래치헤드(200)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문닫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내부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문닫힘 상태에서의 내부 배치 구조를 가이드 래치(400)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20)가 문닫힘 상태에 위치된 경우, 래치헤드(200)는 개폐홈(31a)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래치(400)의 말단은 스트라이크(31)에 접촉되어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락킹바디(300)의 이동을 제어 가능한 후크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부재(500)는 락킹바디(300)와 접촉 간섭하여 락킹바디(300)의 이동을 제하거나 락킹바디(300)로부터 이격되어 락킹바디(3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 닫힘 상태에서 가이드 래치(4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된 경우. 최초에 제1 포지션(도 2a에 도시됨)으로 위치된 후크부재(500)는 제1 탄성부재(910)에 의해 가압 동작되어 락킹바디(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래치(4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인입됨에 따라 가이드 래치(400)는 제1 탄성부재(910)를 압축시킬 수 있고, 제1 탄성부재(910)와 접촉 위치된 후크부재(500)는 제1 탄성부재(910)에 의해 가압되어 링 플레이트(110) 접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크부재(500)는 회전됨으로써 제2 포지션(도 2b에 도시됨)으로 위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후크부재(500)는 제1 탄성부재(9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제1 후크부(510) 및 제1 후크부(510)의 일단(링 플레이트(110) 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후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후크부(51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크부(520)는 제1 후크부(5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2 후크부(520)의 일측에는 제1 탄성부재(910)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2 후크부(52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크부(520)는 링 플레이트(110)와의 접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크부(520)에서 제1 탄성부재(910)와의 접촉면 및 링 플레이트(110)와의 접촉면은 모두 링 플레이트(110) 외측면에 대해 사선 또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래치(400)의 제1 깊이 인입으로 제1 탄성부재(910)가 가압되는 경우, 제2 후크부(520)의 링 플레이트(110) 측 외면은 링 플레이트(110)의 외면과 면상 접촉될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즉, 후크부재(500)는 제2 포지션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후크부(510)에서 제2 후크부(520)의 길이 방향 반대 측인 타단에는 이동제한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열림 상태 등 후크부재(500)가 제1 포지션에 위치된 경우 상술한 이동제한부(511)는 락킹바디(30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 래치(400)가 제1 깊이만큼 인입되어 후크부재(500)가 제2 포지션으로 위치되는 경우, 이동제한부(511) 역시 회동되어 락킹바디(300)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제한부(511)는 락킹바디(300) 중 래치헤드(200) 반대 측을 가압 접촉할 수 있고, 래치헤드(200)가 이동되는 것을 간섭 제한할 수 있다. 즉, 문닫힘 상태에서는 락킹바디(300)는 래치헤드(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 이동될 수 없고, 래치헤드(200) 동작 및 도어(20) 개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부 조작 없이 도어(20)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z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가이드 래치(400)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링크 플레이트(600) 및 조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 플레이트(600)는 이동됨에 따라 상술한 락킹바디(300), 가이드 래치(400) 및 후크부재(50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700)는 실내 또는 실외 측의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링크 플레이트(6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700)는 작동수단의 작동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홈(710)을 포함할 수 있고, 작동샤프트가 샤프트 홈(710) 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의 작동수단의 조작으로 작동샤프트 및 조작부(700)는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측에서 작동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조작부(700)는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700)와 링크 플레이트(600)는 일부가 상호 간섭되도록 접촉 위치될 수 있고, 조작부(700)가 기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링크 플레이트(600)는 기 결정된 각도에 대응되는 기 결정된 거리만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작동수단은 회전형 레버뿐만 아니라, 푸쉬/풀 방식의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후크부재(500) 및 링크 플레이트(600) 간의 간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하 조작부(700)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술한 링크 플레이트(600)는 후크부재(500)를 락킹바디(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동시에 링크 플레이트(600)는 가이드 래치(400)를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2 깊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후크부(510)는 링 플레이트(110) 측 일부가 두께 방향 방향 타측(제2 후크부(520)의 연장 방향에 반대)으로 연장된 회복돌출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60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간섭면(611)을 포함하는 후크 링크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 링크부(610)는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어 링크 플레이트(6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포지션으로 위치된 후크부재(500)의 회복돌출부(512)와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후크 링크부(610)의 경사진 간섭면(611)은 링크 플레이트(60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회복돌출부(512)와 접촉되기 시작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복돌출부(512)는 후크 링크부(610)의 이동에 따라 경사진 간섭면(611)에 의해 접촉 간섭됨으로써 상방 이동될 수 있고, 후크부재(500)는 제1 포지션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후크 링크부(610)는 상술한 간섭면(61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지면(6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지면(612)은 간섭면(611)에서 링 플레이트(110)의 반대 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간섭면(611)에 의해 상방 이동된 회복돌출부(512)의 수직 방향 위치를 링크 플레이트(600)가 지속 이동되는 경우에도 제1 포지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간섭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600)는 가이드 래치(400)를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2 깊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다시 참조하면, 가이드 래치(400)에는 가이드 홈(410)이 함입 형성될 수 있고, 링크 플레이트(600)에는 가이드 홈(410) 내에 삽입 위치된 가이드 링크부(6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링크부(620)는 링크 플레이트(600)가 수평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 홈(410)을 접촉 간섭할 수 있고, 링크 플레이트(600)의 이동으로 가이드 래치(400) 역시 동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링크 플레이트(600)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수평 이동될 수 있고, 가이드 링크부(620)의 가이드 홈(410) 간섭 이동을 통해 가이드 래치(400)는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2 깊이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래치(400)의 이동으로 상술한 제1 탄성부재(910)는 가압 압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경우, 후크부재(500)는 제1 포지션으로 위치되고 가이드 래치(400)는 제2 깊이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조작부(700)가 제2 설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내부 배치 구조를 xy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술한 조작부(700)가 상기 제1 설정 각도로부터 제2 설정 각도까지 추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술한 링크 플레이트(600)는 가이드 래치(400)를 몸체부(100) 내측으로 제3 깊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락킹바디(300)를 래치헤드(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에서 제2 설정 각도까지 회전되는 경우, 링크 플레이트(600)는 조작부(70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래치(400)는 상술한 가이드 링크부(620) 및 가이드 홈(410)에 의해 제3 깊이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락킹바디(300)가 래치헤드(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래치헤드(200)는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즉, 조작부(700)가 제2 설정 각도까지 회전되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회전 동작될 수 있고, 회전됨에 따라 래치헤드(200)는 스트라이크(31)의 개폐홈(31a)에서 이탈되어 도어(20)가 개발될 수 있다.
한편, 락킹바디(300)에는 함입된 락킹 홈(320)이 형성될 수 있고, 락킹 홈(320)은 링크 플레이트(6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600)에는 락킹 홈(320) 내에 삽입 위치된 락킹 링크부(6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락킹 링크부(630)는 락킹 홈(320) 내에서 기 결정된 거리만큼은 상호 간섭되지 않은 채 무부하 이동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 회전되는 경우 락킹 링크부(630)는 락킹 홈(320) 내에서 간섭되지 않은 채 무부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00)가 제1 설정 각도에서 제2 설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락킹 링크부(630)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까지는 무부하 자유 이동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각도부터는 락킹 홈(320)과 상호 간섭되어 동반 이동될 수 있다. 즉, 링크 플레이트(600)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바디(300)는 조작부(70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때 까지는 이동되지 않으나, 기 설정된 각도에서 제2 설정 각도까지 회전되는 경우 락킹바디(300)는 링크 플레이트(600)와 함께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락킹바디(300)는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탄성지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락킹바디(300)는 링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제2 탄성부재(92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부(330)는 제2 탄성부재(920)가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고, 락킹바디(300)가 수평 이동됨에 따라 제2 탄성부재(920)는 가압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지지부(330)는 제2 탄성부재(920)의 내측에서 제2 탄성부재(920)의 압축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 탄성부재(920)는 탄성지지부(330)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탄성지지부(330)는 제2 탄성부재(920) 내측에서 수평 이동되는 바, 제2 탄성부재(920)는 탄성지지부(33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고, 락킹바디(300)가 원주 방향 일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920) 및 탄성지지부(330)를 통해 락킹바디(300)는 원주 방향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은 채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락킹바디(300)는 래치헤드(200)에 최근접 위치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래치헤드(200)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위치 가능하다. 이 때, 래치헤드(200)는, 락킹바디(3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제한될 수 있고, 락킹바디(30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락킹바디(300)의 제1 위치 상태에서 래치헤드(200)는 회전되지 않고 락킹바디(300)의 제2 위치 상태시 래치헤드(200)는 회전 동작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래치헤드(200)의 락킹바디(300) 측에는 소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헤드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락킹바디(300)는 래치헤드(200) 측 말단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헤드 홈(210) 내에 삽입 위치되는 결속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속부(310)의 일부는 헤드 홈(210)에 내접하도록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결속부(310)가 헤드 홈(210) 내에 내접됨에 따라 래치헤드(200)의 회전 동작은 구속 제한될 수 있다. 반면, 락킹바디(300)가 이동되어 래치헤드(200)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결속부(310)는 헤드 홈(210) 내에서 이탈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래치헤드(200)는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기 설정된 거리란, 단순히 결속부(310)와 래치헤드(200)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래치헤드(200)의 회전 동작 간 결속부(310)와 간섭되지 않은 채 회전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결속부(310)는 래치헤드(200) 측 말단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입 형성된 결속홈(311), 적어도 일부가 결속홈(311) 내에 위치되고 말단이 래치헤드(200)에 힌지 결합된 슬라이드 힌지(312) 및 슬라이드 힌지(312)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회복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드 힌지(312)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락킹바디(300)의 제1 위치에서 결속홈(311)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 힌지(312)의 말단은 결속홈(311) 외부로 노출되어 헤드 홈(210) 내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락킹바디(30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되어 제2 위치로 이동된 경우, 래치헤드(200)와의 힌지 결합을 통해 슬라이드 힌지(312)는 결속홈(31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탄성회복부(313)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힌지(312)에 결합될 수 있고, 인출된 슬라이드 힌지(312)가 결속홈(311) 내측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문열림 상태에서 문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몸체부(100)는 조작부(700)가 위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기 결정된 길이의 설치조절홈(120)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조작부(7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치결정부(800)는 설치조절홈(120)에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700)는 설치조절홈(12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조작부(700)의 수평 위치에 따라 래치헤드(200) 말단에서부터 조작부(700)까지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조절홈(120)은 링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래치헤드(200)의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800)는 조작부(700)를 상측 및 하측에서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결속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위치결정부(800)는 조작부(700)의 설치조절홈(120) 내의 수평 방향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부(800)는 조작부(700)가 설치조절홈(120)의 길이 방향 일단에 위치된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래치헤드(200) 말단으로부터 조작부(700)까지의 거리를 최단 거리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800)는 조작부(700)가 설치조절홈(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위치된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래치헤드(200) 말단으로부터 조작부(700)까지의 거리를 최장 거리로 위치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래치헤드(200)(또는, 스트라이크(31))로부터 조작부(700)까지의 이격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가 설치되는 도어(20)에 작동샤프트가 삽입되는 설치구 등의 형성 위치에 따라 조작부(7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형성된 도어(20)의 설치구가 스트라이크(31)로부터 60mm 이격된 경우 조작부(700)는 위치결정부(800)에 의해 설치조절홈(120) 내의 길이 방향 일단에 고정 위치될 수 있고, 기 형성된 도어(20)의 설치구가 스트라이크(31)로부터 70mm 이격된 경우 조작부(700)는 위치결정부(800)에 의해 설치조절홈(120) 내의 길이 방향 타단에 고정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는 기 형성된 도어(20)의 설치구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조작부(700) 수평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 설치의 자유도 및 설치 호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래치헤드(200)의 외면은 개방된 도어(20)의 닫힘 이동시 래치헤드(200)와 스트라이크(31)가 접촉 간섭되는 사선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선면(222)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지지면(221)에 대해 경사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면(221) 및 사선면(222)은 도어(20)의 개방 방향에 대하여 상호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된 상태의 도어(20)가 도어틀(30) 내로 이동되어 닫히는 경우, 래치헤드(200)의 사선면(222) 및 스트라이크(31)는 상호 접촉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래치헤드(200)는 사선면(222) 및 스트라이크(31)가 간섭됨에 따라 몸체부(100) 내측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래치헤드(200) 및 락킹바디(300)가 제2 탄성부재(920)를 압축시키며 몸체부(100) 내측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가 완전히 도어틀(30) 내에 위치된 경우, 제2 탄성부재(92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래치헤드(200) 및 락킹바디(300)는 몸체부(100)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는 개폐홈(311) 내에 삽입 위치되어 도어(20) 닫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핸들을 통해 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레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31)의 개폐홈(31a)에서 빠져나오는 경우에 슬라이드 힌지(31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문이 열리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젖혀 지면서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치헤드(200)가 개폐홈(31a)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와서 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레치헤드(20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100 : 몸체부
110 : 링 플레이트
120 : 설치조절홈
200 : 래치헤드
210 : 헤드 홈
221 : 지지면
222 : 사선면
300 : 락킹바디
310 : 결속부
311 : 결속홈
312 : 슬라이드 힌지
313 : 탄성회복부
320 : 락킹 홈
330 : 탄성지지부
400 : 가이드 래치
410 : 가이드 홈
500 : 후크부재
510 : 제1 후크부
511 : 이동제한부
512 : 회복돌출부
520 : 제2 후크부
600 : 링크 플레이트
610 : 후크 링크부
611 : 간섭면
612 : 유지면
620 : 가이드 링크부
630 : 락킹 링크부
700 : 조작부
710 : 샤프트 홈
800 : 위치결정부
910 : 제1 탄성부재
920 : 제2 탄성부재
20 : 도어
21 : 설치구
30 : 도어틀
31 : 스트라이크
311 : 개폐홈

Claims (8)

  1.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헤드;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래치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락킹바디;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가이드 래치; 및
    상기 락킹바디의 이동을 제어 가능한 후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락킹바디의 말단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래치헤드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래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래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제1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래치는 상기 도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가이드 래치가 상기 제1 깊이만큼 가압 이동된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 동작되어 상기 락킹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디는 상기 래치헤드에 최근접 위치된 상태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의 제2 위치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제한되고,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회전 가능한,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이동됨에 따라 상기 락킹바디, 상기 가이드 래치 및 상기 후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링크 플레이트; 및
    실내 또는 실외 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락킹바디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가이드 래치를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2 깊이까지 이동시키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설정 각도로부터 제2 설정 각도까지 추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래치를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제3 깊이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락킹바디를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시키는,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조작부가 위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기 결정된 길이의 설치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조작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설치조절홈에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KR1020200037715A 2020-03-27 2020-03-27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KR10264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15A KR102640772B1 (ko) 2020-03-27 2020-03-27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15A KR102640772B1 (ko) 2020-03-27 2020-03-27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93A KR20210120693A (ko) 2021-10-07
KR102640772B1 true KR102640772B1 (ko) 2024-02-27

Family

ID=7811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715A KR102640772B1 (ko) 2020-03-27 2020-03-27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822A2 (en) * 2016-03-16 2017-09-21 Spectrum Brands, Inc. Latch assembly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15B1 (ko) 2003-10-16 2006-01-23 주식회사 봉영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822A2 (en) * 2016-03-16 2017-09-21 Spectrum Brands, Inc. Latch assembly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93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392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US7070215B2 (en) Tilt latch mechanism for hung windows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08118986B (zh) 门窗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102640772B1 (ko)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EP189129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580808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CN111706188A (zh) 船用门锁装置和船用平移门
EP1311736A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KR101557467B1 (ko) 양문형 출입문용 링크식 고정장치
KR102623847B1 (ko) 댐핑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573156B1 (ko)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US11781346B2 (en) Latch structure
KR10129949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JP2528753B2 (ja) 窓障子の制御装置
JP6461669B2 (ja) 揺動窓のロック操作装置
JP4158979B2 (ja) ラッチ装置及びそのラッチ装置を用いた内倒し窓
JP4016353B1 (ja) 雨戸錠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38570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댐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