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699A - 그립 방식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그립 방식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699A
KR20180086699A KR1020170010457A KR20170010457A KR20180086699A KR 20180086699 A KR20180086699 A KR 20180086699A KR 1020170010457 A KR1020170010457 A KR 1020170010457A KR 20170010457 A KR20170010457 A KR 20170010457A KR 20180086699 A KR20180086699 A KR 2018008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er
grip
interferen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098B1 (ko
Inventor
박민교
Original Assignee
박민교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교,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박민교
Priority to KR102017001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F270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 손잡이가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하여 록커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록커를 움직이게 하여 잠금과 해제 동작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그립 손잡이를 돌리면 사면의 간섭으로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록커를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록커의 잠금과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이드 구멍에 끼워서 설치하는 록커에 볼을 장착하고, 이 볼이 가이드 구멍의 내면과 접하여 구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잠금과 해제 작동을 위해 록커가 가이드 구멍 안에서 움직일 때 마찰 저항을 줄여 부드러우면서도 원활하게 동작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그립 방식의 손잡이{LEVER TYPE HANDLE}
본 발명은 그립 방식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방식으로 창호 등을 밀 때 그립 손잡이가 젖혀짐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록커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잠금과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등에 사용하는 손잡이는 크게 레버형과 그립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립형 손잡이는 창호를 밀고 닫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창호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손잡이를 말하고, 레버형 손잡이는 손잡이 부분을 회전시켜서 창호를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손잡이를 말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그립 방식의 손잡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999403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 측에 지지가 되는 베이스;와,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조립되는 케이스;와, 일단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 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전방의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체에 연결되어 이동체가 위치 이동하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216733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와, 적어도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체; 및,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작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의 일측에만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런 그립 방식의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잠금을 해제하려고 그립 손잡이를 당기는 방향과 실제 잠금을 해제하는 록커의 작동 방향이 다르므로, 작동력이 제대로 전달되게 하려면 복잡한 구조로 제작해야 한다.
(2) 특히, 그립 손잡이는 당김에 따라 회전하게 하고 이 회전력으로 록커가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구성하므로, 작동력 전달과 작동력의 방향 전환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
(3) 이에, 그립 방식의 손잡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 났을 때 수리나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4) 또한, 그립 손잡이의 회전량에 따라 록커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결정되어 잠금을 해제하므로, 어느 정도 이상 그립 손잡이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그립 손잡이가 조금 회전하더라도 이를 통해 록커의 길이 방향 움직임이 길게 이루어질 수 있게 연장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5) 따라서, 기존 그립 방식의 손잡이로 잠금을 해제할 때는 큰 힘이 필요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99403호 (등록일 : 2010.12.02) 한국등록특허 제1216733호 (등록일 : 2012.12.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그립 손잡이가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하여 록커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록커를 움직이게 하여 잠금과 해제 동작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그립 방식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그립 손잡이의 회전력으로 간섭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를 경사지게 구성하므로, 이 회전체가 쉽게 회전하면서 록커를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록커의 잠금과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 그립 방식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이드 구멍에 끼워서 설치하는 록커에 볼을 장착하고, 이 볼이 가이드 구멍의 내면과 접하여 구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잠금과 해제 작동을 위해 록커가 가이드 구멍 안에서 움직일 때 마찰 저항을 줄여 부드러우면서도 원활하게 동작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을 억제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그립 방식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부분에 가이드 구멍(111)을 갖춘 덮개(110)로 마감하며, 바닥에는 돌출 구멍(120)을 관통 형성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한쪽이 상기 돌출 구멍(120)을 통해 본체(100)로 돌출되며, 회전 지점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이 본체(100) 안으로 돌출한 그립 손잡이(200); 상기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상기 그립 손잡이(200)의 회전으로 간섭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300); 및 상기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져서 한쪽이 덮개(110) 밖으로 돌출하도록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고, 상기 회전체(300)에 걸쳐져서 이 회전체(300)가 회전함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본체(100) 안으로 움직이면서 잠금을 해제하는 록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본체(100) 안으로 돌출한 다른 한쪽에, 상기 회전체(300)와 회전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간섭 부분(210)을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섭 부분(210)에는 작동 구멍(211)을 관통 성형하고, 상기 회전체(300)에는 이 작동 구멍(211)에 끼워져서 회전 간섭을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간섭 돌기(33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회전 지지가 되는 축 부분(310); 및 상기 축 부분(310)에 돌출 성형이 되며, 미리 정한 각도로 꺾인 형태로 형성하여 끝에 록커(400)와 밀착하게 지지하며 그립 손잡이(200)와 회전 간섭을 받는 두 개의 지지 부분(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록커(400)는, 상기 회전체(300)에 걸쳐진 한쪽과 본체(100) 사이에 탄성 스프링(410)을 장착하고, 이 탄성 스프링(410)은 압축되었을 때 일부 또는 전부가 록커(400) 안으로 수용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록커(400)는,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진 외주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볼(420)을 구성하되, 볼(420)의 일부가 가이드 구멍(111)의 내면과 접하게 장착하여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그립 손잡이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동작하게 구성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록커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그립 손잡이의 회전으로 간섭받은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록커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 구성을 간단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3) 록커에 볼을 장착하고, 이 볼이 록커가 움직일 때 접촉하는 가이드 구멍의 내면과 접하게 구성하므로, 록커와 가이드 구멍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4) 이에, 록커가 원활하고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잠금과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록커와 가이드 구멍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없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가 해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100), 그립 손잡이(200), 회전체(300), 그리고 록커(4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체(300)를 회전시켜서 록커(4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록커(400)는 외주에 볼(420)을 갖춰서 이 록커(400)를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111)의 내주에 볼(420)이 접촉하여 구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록커(400)와 가이드 구멍(111)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여 부드러우면서 원활하게 록커(400)가 동작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바닥에 돌출 구멍(120)을 형성한다. 돌출 구멍(120)은 후술할 그립 손잡이(200)가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용기 형상으로 개방한 입구 부분을 덮개(110)로 마감한다. 이때, 덮개(110)는 본체(100)에 스크루나 비스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덮개(11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후술할 록커(4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111)을 본체(100)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 구멍(111)은 록커(4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회전하지 못하도록 폭 단면을 각진 형태나 타원 또는 정다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손잡이(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창호 등에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방식의 손잡이로 창호 등을 여닫을 때 손잡이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게 구성하되, 적은 힘으로도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렛대 원리를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지지 돌기(220)를 기준으로 한쪽이 상술한 돌출 구멍(120) 밖으로 돌출하여 손으로 누를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이 본체(100) 안으로 돌출하여 후술할 회전체(300)와 회전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 돌기(220)는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며, [도 2]에서는 본체(100)와 덮개(110)에 각각 안착 부분(221)을 형성하여 지지 돌기(220)를 안착하여 감싸는 형태로 회전 지지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100) 안으로 돌출한 부분에 간섭 부분(21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 부분(210)은 그립 손잡이(200)가 회전할 때 회전체(300)와 쉽게 회전 간섭이 생기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그립 손잡이(2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 부분(21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작동 구멍(211)을 관통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작동 구멍(211)에는 후술할 회전체(300)에 형성한 간섭 돌기(330)가 끼워지게 하여 그립 손잡이(200)가 회전할 때, 이 그립 손잡이(200)와 회전체(300)의 간섭 부분이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하면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하고, 또한 간섭 돌기(330)가 작동 구멍(211)에 걸려서 회전 간섭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회전체(3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 안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300)는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회전 지지가 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본체(100)와 덮개(110)에 각각 형성한 안착 부분(300')에 양단이 회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회전체(3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회전 지지를 위한 축 부분(310), 그리고 후술할 록커(400)를 지지하고 그립 손잡이(200)와 회전 간섭을 받는 지지 부분(320)을 포함한다. 축 부분(310)은 회전 지지를 위한 부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본체(100)와 덮개(11)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도 2]에서는 본체(100)와 덮개(11)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안착 부분(3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 부분(31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간섭 돌기(330)를 더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 돌기(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 부분(210)에 형성한 작동 구멍(211)에 끼워져서 그립 손잡이(200)가 회전할 때 이 그립 손잡이(200)와 회전체(3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지지 부분(32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축 부분(310) 외주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 부분(320)은 꺾인 형태로 형성하여 상술한 그립 손잡이(200)와의 회전 간섭을 받을 때 이 그립 손잡이(200)가 원활하게 지지 부분(320)을 밀어 올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부분(320)은 두 개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록커(400)가 걸쳐져서 빠지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커(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실질적으로 잠금과 해제 작용을 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록커(4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회전체(300)에 걸쳐져서 이 회전체(300)가 회전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 [도 3]에서, 상기 록커(400)는 두 개의 지지 부분(320) 사이에 걸쳐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록커(4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지지 부분(320)에 걸쳐진 한쪽 끝과 본체(100) 사이에 장착한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게 장착한다. 이는, 탄성 스프링(410)이 록커(400)를 누름에 따라 록커(400)의 한쪽 끝이 덮개(110) 밖으로 돌출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동시에 이 록커(400)가 회전체(300)를 회전시켜서 덮개(110)에 밀착하게 하여 잠금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스프링(4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록커(400)에 수납 구멍(411)을 형성하고 압축될 때 이 수납 구멍(411) 안으로 수용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축된 탄성 스프링(410)은 전체 또는 일부가 수납 구멍 안으로 수납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수납되게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록커(4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주에 볼(420)을 장착하고, 이 볼(420)의 일부가 바깥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구멍(111)의 내면과 밀착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볼(420)이 록커(400)와 가이드 구멍(111) 사이에서 구름 작용을 하게 하여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탄성 스프링(420)의 탄성 지지를 받는 록커(400)가 항상 한쪽 끝이 덮개(110) 밖으로 돌출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그립 손잡이(200)를 도면에서 왼쪽으로 돌리면, 간섭 부분(210)이 회전체(3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에, 지지 부분(320) 위에 밀착한 록커(400)가 탄성 스프링을 강제로 압축하면서 가이드 구멍(111) 안으로 수납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100 : 본체 110 : 덮개
111 : 가이드 구멍 120 : 돌출 구멍
200 : 그립 손잡이 210 : 간섭 부분
220 : 지지 돌기 300 : 회전체
310 : 축 부분 320 : 지지 부분
330 : 간섭 돌기 400 : 록커
410 : 탄성 스프링 420 : 볼

Claims (6)

  1.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부분에 가이드 구멍(111)을 갖춘 덮개(110)로 마감하며, 바닥에는 돌출 구멍(120)을 관통 형성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한쪽이 상기 돌출 구멍(120)을 통해 본체(100)로 돌출되며, 회전 지점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이 본체(100) 안으로 돌출한 그립 손잡이(200);
    상기 본체(100)와 덮개(110) 중에서 적어도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상기 그립 손잡이(200)의 회전으로 간섭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300); 및
    상기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져서 한쪽이 덮개(110) 밖으로 돌출하도록 탄성 스프링(410)의 탄성 지지를 받고, 상기 회전체(300)에 걸쳐져서 이 회전체(300)가 회전함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본체(100) 안으로 움직이면서 잠금을 해제하는 록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2. 제1 항에서,
    상기 그립 손잡이(200)는,
    본체(100) 안으로 돌출한 다른 한쪽에, 상기 회전체(300)와 회전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간섭 부분(210)을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3. 제2 항에서,
    상기 간섭 부분(210)에는 작동 구멍(211)을 관통 성형하고,
    상기 회전체(300)에는 이 작동 구멍(211)에 끼워져서 회전 간섭을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간섭 돌기(33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4. 제1 항에서,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본체(100)에 회전할 수 있게 회전 지지가 되는 축 부분(310); 및
    상기 축 부분(310)에 돌출 성형이 되며, 미리 정한 각도로 꺾인 형태로 형성하여 끝에 록커(400)와 밀착하게 지지하며 그립 손잡이(200)와 회전 간섭을 받는 두 개의 지지 부분(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5. 제1 항에서,
    상기 록커(400)는,
    상기 회전체(300)에 걸쳐진 한쪽과 본체(100) 사이에 탄성 스프링(410)을 장착하고, 이 탄성 스프링(410)은 압축되었을 때 일부 또는 전부가 록커(400) 안으로 수용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록커(400)는,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진 외주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볼(420)을 구성하되, 볼(420)의 일부가 가이드 구멍(111)의 내면과 접하게 장착하여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20170010457A 2017-01-23 2017-01-23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1916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57A KR101916098B1 (ko) 2017-01-23 2017-01-23 그립 방식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457A KR101916098B1 (ko) 2017-01-23 2017-01-23 그립 방식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99A true KR20180086699A (ko) 2018-08-01
KR101916098B1 KR101916098B1 (ko) 2018-11-08

Family

ID=6322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457A KR101916098B1 (ko) 2017-01-23 2017-01-23 그립 방식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607A (zh) * 2021-03-24 2021-08-27 贾莉 一种检验科用药剂仓储台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03B1 (ko)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216733B1 (ko) 2010-06-16 2012-12-28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03B1 (ko)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216733B1 (ko) 2010-06-16 2012-12-28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607A (zh) * 2021-03-24 2021-08-27 贾莉 一种检验科用药剂仓储台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098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602B2 (en) Flush mounted latch
KR100921200B1 (ko) 도어락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1805053B1 (ko) 레버형 손잡이
JP5039181B2 (ja) 扉開閉用レバーハンドル装置
JP3268808B2 (ja) マイクロ波オーブンの始動待機位置設定装置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155094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200486898Y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장치
KR102532415B1 (ko) 문 스토퍼
KR200178625Y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00010031U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S6212049Y2 (ko)
KR200146380Y1 (ko) 쌍수 도어 록
JPS5926060Y2 (ja) 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