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928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928B1
KR100367928B1 KR10-1999-0028504A KR19990028504A KR100367928B1 KR 100367928 B1 KR100367928 B1 KR 100367928B1 KR 19990028504 A KR19990028504 A KR 19990028504A KR 100367928 B1 KR100367928 B1 KR 10036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ead
dead bolt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895A (ko
Inventor
민경양
오세훈
안성봉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10-1999-002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9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43/005Timer devices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드볼트(340)와 래치볼트(330)를 핸들(110,210)을 통해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340)와 래치볼트(3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아웃유니트(100)와 인너유니트(200)에 동축으로 설치하고,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세트(300)의 내부에 상기 아웃유니트(100)와 인너유니트(200)의 커넥션스틱(150)과 조오(180)를 위치시켜 상기 데드볼트(340)와 래치볼트(330)를 조작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데드볼트의 해정준비가 된 상태에서 핸들(110)의 조작이 소정 시간 동안 일어나지 않으면 다시 상기 데드볼트(340)가 잠김상태로 되도록 별도의 솔레노이드유니트(3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아웃유니트(100)와 인너유니트(200)의 부품이 거의 동축으로 설치되어 아웃유니트(100)와 인너유니트(200)가 소형화되고, 그 내부의 부품이 간소화되고 오울댐커플링 구조를 채용하여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일반 빌딩등의 출입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소정 공간을 외부와 출입가능하게 개폐하기 위해서는 출입문을 설치하게 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도어록장치를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도어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며 관계자 이에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은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볼트(50)의 조작을 위한 레버핸들(10)이 상기 외부케이스(1)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핸들(10)의 동작과 연동되어리트렉터(17)를 동작시키는 리트렉터캠(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트렉터(17)는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16은 스냅링이고, 19는 리드렉터커버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섬턴(8)이 구비된다. 상기 섬턴(8)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섬턴(8)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재(9)가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섬턴(8)과 연결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9)의 타단부에 연결핀(25)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핀(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데드볼트아암(53)을 동작시켜 데드볼트(47)를 동작시키게 된다. 도면 부호 22는 상기 섬턴(8)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고, 23은 스프링버켓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전면에는 비상키이로 동작되는 록세트(6)가 그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도면 부호 24는 카운트플레이트조립체이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1)의 상단 전면에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키이패드부(4)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키이패드부(4)의 전면은 프론트패널(2)에 의해 덮여져 외부로부터 이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는 솔레노이드(14)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4)는 상기 키이패드부(4)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동작되면서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4)는 아웃케이스(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플레이트(11)에 설치되고, 그 내부의 플런저(13)가 솔레노이드(14)의 내외부로 출몰되면서 동작된다.
한편,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내유니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내유니트는 실외유니트와 거의 그 구조가 유사한데, 단지 키이패드부(4)와 솔레노이드(14)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케이스(33)가 더 구비되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그외의 구성은 상기 실외유니트와 동일하므로 실외유니트와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 부호 34는 메인기판이고, 36은 보드커버이며, 37은 레버패드이다.
그리고, 도 3에는 백세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백세트케이스(46)의 내부에 래치플레이트(51)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플레이트(51)는 래치플레이트 풀러조립체(54)를 통해 상기 리트렉터(17)와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플레이트(51)와 연동되게 래치볼트(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볼트(50)는 상기 래치플레이트(51)에 의해 상기 백세트케이스(46) 내외부로 출몰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25)과 연동되는 데드볼트아암(53)이 상기 백세트케이스(46)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볼트아암(53)은 상기 연결핀(25)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47)를 상기 백세트케이스 내외부로 출몰되게 하여 도어를 잠궈줄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48은 데드볼트스프링, 52는 커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에는 도어록 장치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사용상에도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장치에서는 데드볼트(47)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과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별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솔레노이드(14)가 상기 실외유니트의 케이스(1)내부에 있어 실외유니트의 크기를 크게 만들며, 솔레노이드(14)의 구동력을 백세트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많은 부품 때문에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장치는 전체 부품의 개수가 많고 솔레노이드 작동을 위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부품생산 공정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도 복잡해지고 고장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조립을 함에 있어서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 그리고 백세트를 연결하는 연결핀(25)과 이와 연결 설치되는 부품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되지 않게 되면 도어록 장치의 설치가 잘 되지 않고, 설치후 외부의 힘에 의해 중심이 비틀어지게 되면 도어록장치의 개폐가 잘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데드볼트(47)가 해정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그 상태를 그냥 두게 되면, 다른 사람이 자유롭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록장치는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일체불가분의 구성으로 되어 일측부분이 고장나면 도어록 장치 전체가 동작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화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보다 간소화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도어방향에 따른 핸들의 위치설정이 용이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잠김을 해제한 상태를 실수로 계속하여 유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실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백세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장치의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핸들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핸들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키캠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키캠의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션 스틱의 부분단면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션 스틱의 정면도.
도 8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션 스틱의 배면도.
도 9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톱퍼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톱퍼의 부분단면 측면도.
도 10a,b,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중간링의 정면도, 배면도, 단면도.
도 11a,b,c,d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오의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 부분단면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백세트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4a,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데드레버의 평면도, 측면도.
도 15a,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레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16에서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아웃유니트 110: 핸들
111: 손잡이부 113: 연동부
120: 키뭉치 125: 키커버
130: 키캠 140: 너트
150: 커넥션스틱 160: 스토퍼
170: 중간링 180: 조오
190: 백플레이트 195: 스프링
200: 인너유니트 210: 핸들
220: 섬턴 300: 백세트
301: 케이스 320: 데드레버
330: 래치볼트 340: 데드볼트
350: 마그네트플레이트 360: 마그네트유니트
370: 솔레노이드유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하는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래치볼트와 항상 연동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동축으로 설치되는 볼트구동부와, 상기 백세트 내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구동부와 데드볼트가 서로 선택적으로 연동되게 하는 선택적 연동수단과, 상기 볼트구동부와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사용자로부터 전달받는 핸들부와, 상기 선택적 연동수단의 구동을 위한 외부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제어부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핸들부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데드볼트를 다시 잠궈주는 비상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구동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것으로, 연동돌부와 연동홈부의 쌍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볼트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주는 래치레버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데드볼트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주는 데드레버와, 상기 핸들부를 항상 원위치로 복귀시켜주는 복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부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핸들부가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선택적 연동수단은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이 상기 데드볼트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백세트 내에서 상기 데드레버상에 데드레버의 회전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된 마그네트레버와, 상기 마그네트레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유니트와, 상기 마그네트유니트의 동작을 위한 외부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상잠금부는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핸들부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레버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동되지 않도록 조작한다.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기구적으로 해지하기 위한 데드볼트해지기구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중심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핸들부의 동작시에는 핸들부와 함께 회전되고 키이를 사용할 때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키뭉치와, 일측이 상기 키뭉치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과 연결되어 데드볼트를 조작시켜주는 커넥팅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팅스틱을 백세트방향으로 당겨주면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핸들부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핸들의 설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록장치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되고, 구조가 간단화되며, 부주의에 의한 도어잠김 해제상태가 미연에 방지되며 도어의 방향에 따른 핸들의 설치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서 도어록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아웃유니트(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유니트(100)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대부분은 외측케이스(1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외측케이스(101)의 전면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0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케이스(101)의 하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아웃유니트(100) 구성요소가 관통설치되는 관통공(105)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측케이스(101)는 도어의 외측 표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외측케이스(101)의 관통공(105)에는 핸들(110)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110)은, 도 6a,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111)와 상기 손잡이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05)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113)의 내부에는 연동공(115)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동부(113)는 상기 손잡이부(111)와 일체로 회전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113)의 내측 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토퍼(16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홈(117)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10)의 연동부(113) 내부에는 키뭉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키뭉치(120)는 사용자가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회전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션스틱(150)을 조작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뭉치(120)의 후단부에는 볼트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122)는 그 단면 형상이 완전 원형이 아닌 양단이 잘린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키뭉치(120)는 상기 핸들(110)과 일체로 회전되고, 도어록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키이에 의해서는 별도로 동작된다.
상기 키뭉치(120)의 후단에는,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캠(130)이 체결된다. 상기 키캠(130)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부(122)가 관통되는 키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홈(132)은 상기 볼트부(12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키캠(130)이 볼트부(122)에 대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홈(1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키캠(130)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140)와 와셔(142)가 안착되는 너트안착홈(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안착홈(136)이 형성되는 외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키돌기(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돌기(1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션스틱(150)과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125는 키커버이다.
상기 키캠(130)과 연결되게 상기 핸들(110)의 연동공(115) 내부에는 커넥션스틱(150)이 설치된다. 도 8a,b,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선단에는 상기 키캠(130)의 키돌기(138)와의 연동을 위한 스틱돌기(152)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키돌기(138)와 스틱돌기(152)는 각각 그 측면이 동시에 면접촉되면서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스틱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에는 상기 볼트부(12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홈(15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션스틱(150) 선단부는 상기 키캠(13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중간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톱퍼(160)의 연통공(16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후단에는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된 스틱부(156)가 길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틱부(156)는 아래에서 설명될 백세트(300)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키이뭉치(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데드볼트(340)를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110)의 연동부(113) 후단에는 스톱퍼(160)가 설치된다. 도 9a,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의 중앙에는 상기 커넥션스틱(150) 등이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는 연통공(16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으로 길게 연동레그(164,1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레그(164,164')는 상기 핸들(110)의 연동공(115)에 안착되어 핸들(110)의 동작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스톱퍼(160)와 연동되게 상기 스톱퍼(160)의 후단에는 중간링(170)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중간링(170)의 중앙에는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중간부가 관통설치되는 연통공(17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상기 연동레그(164,164')가 안착되는 레그연동홈(172,17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링(170)의 후단부는 선단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오(18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슬롯(173,1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동슬롯(173,173')은 중간링(17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링(170)에는 조오(180)와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7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17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연동홈(172,17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연동슬롯(173,173')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톱퍼(160)의 후단에는, 도 11a,b,c,d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조오(180)가 연결설치된다. 상기 조오(180)의 선단에는 상기 스톱퍼(16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돌부(182,1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돌부(182,182')는 상기 연동슬롯(173,173')에 삽입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오(180)의 중간부에는 조오(180)와 이와 연결된 부품이 아래에서 설명될 백플레이트(19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백플레이트(190)의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디스크(1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오(180)의 후단부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90)를 관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백세트(300)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레버(310)를 구동하는 개폐구동판(184,184')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간링(170)과 조오(180)의 사이에는 스프링(175)이 설치되어 상기 조오(180)의 개폐구동판(184,184')이 항상 상기 백세트(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조오(180)의 후단에는 백플레이트(190)가 설치되어, 상기 핸들(110)의 연통공(115) 내부에 설치되고 이와 연결되는 부품들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90)에는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스틱부(156)가 관통설치되는 관통공(19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91)의 둘레에는 상기 개폐구동판(184,184')이 관통설치되는 관통슬롯(192,1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동판(184,184')을 탄성으로 지지하여 상기 핸들(110)이 항상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부재(195,195')가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190)에 설치된다. 상기 복귀부재(195,195')는 두개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상기 관통슬롯(192,192')을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복귀부재(195,195')는 상기 관통공(191)을 통과하지 않고, 그 상하로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복귀부재(195,195')는 상기 백플레이트(190)의 일부를 절결하여 절곡한 걸림부(194)에 각각 걸려지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너유니트(20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120) 대신에 섬턴(220)이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섬턴(220)은 사용자가 내부에서 그 손잡이부(222)를 돌려주어 백세트(300)의 데드볼트(34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10은 인너유니트(200)의 핸들이다.
이제 도 13을 참고하여 백세트(3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백세트(300)를 구성하는 부품은 내부에 육면체 공간을 구비하는 납작한 형태의 케이스(301) 내부에 설치된다. 백세트(300)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도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케이스(301)의 양측면에는 인너 및 아웃유니트(100)(200)의 커넥션스틱(150)의 스틱부(156)가 관통설치되는 관통공(30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02)의 둘레에는 마치 상기 백플레이트(190)에서와 같이, 상기 조오(180)의 개폐구동판(184,184')이 관통설치되는 삽입슬롯(303,303')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상기 조오(180)의 개폐구동판(184,184')과 연동되어 래치볼트(330)를 백세트(300)의 내외부로 출몰시키는 래치레버(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레버(310)는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상기 조오(180)의 개폐구동판(184,184')과 연동되는 연동아암(313)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동아암(313)의 반대편으로는 구동아암(314)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아암(314)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케이스(301)로부터 래치볼트(330)를 출몰시키기 위한 래치플레이트(331)가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플레이트(331)는 그 선단부에 상기 래치볼트(330)가 연결설치되고, 그 후단부에는 상기 래치레버(310)의 구동아암(314)과 연동되는 구동돌부(3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돌부(332)와 반대쪽면에는 상기 케이스(30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307)에 위치되어 이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래치플레이트(331)의 이동궤적을 규제하는 가이드핀(33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 핸들(110)을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한 후 상기 핸들(11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래치볼트(330)가 케이스(3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래치플레이트(331)을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돌출스프링(333)이 상기 케이스(301)에 상기 래치플레이트(331)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데드볼트(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데드레버(320)가 설치된다. 상기 데드레버(320)는 도 14a, 14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에는 상기 커넥션스틱(150)의 스틱부(156)가 삽입되는 사각통공(32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데드레버(32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데드플레이트(341)를 동작시키기 위한 데드아암(322)이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드아암(322)의 선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데드플레이트(341)가 걸려져 임의로 케이스(30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하는 걸림단(3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드아암(322)은 상기 데드플레이트(341)를 구동시켜 데드볼트(340)의 출몰을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레버(320)의 일측, 즉 상기 데드아암(322)의 반대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마그네트레버(325)가 설치되는 힌지핀(3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핀(324)에는 마그네트레버(325)가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레버(325)에는 제 1, 2연동판(326,327)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먼저, 상기 제1 연동판(326)은 아래에서 설명될 마그네트플레이트(350)와 연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2연동판(327)은 개폐구동판(184')와 연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그네트레버(325)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핀(32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한편, 상기 데드아암(322)에 의해 구동되는 데드플레이트(341)가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의 선단부에는 데드볼트(34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후단 일측에는 상기 데드아암(322)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돌부(343,3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데드아암(322)은 상기 연동돌부(343,343')사이에 그 선단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에는 서로 나란하게 가이드슬롯(347,3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347,347')에는 상기 케이스(30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309,309')가 위치되어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의 이동궤적을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에는 정지스프링(345)가 설치된다. 상기 정지스프링(345)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301)의 가이드돌기(309')에 타단부는 데드플레이트(341)의 지지스크류(344)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정지스프링(345)은 상기 데드플레이트(341)가 정지된 위치에서 상기 데드레버(320)에 의하지 않고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에는 상기 데드아암(322)이 상기 데드볼트(340)를 외부에서 밀어줌에 의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스프링(348)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스프링(348)의 일측은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의 지지단(349)에 타단부는 상기 데드아암(322)의 선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01)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10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340)의 도어잠금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된다.
즉, 상기 마그네트레버(325)와 연동되는 마그네트플레이트(350)가 상기 케이스(301)에 힌지핀(3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플레이트(350)에는 상기 마그네트레버(325)의 제1연동판(326)과 연동되는 제1연동부(352)가 구비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솔레노이드유니트(370)의 플런저(372)와 연동되는 제2연동부(35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플레이트(350) 하측에는 마그네트유니트(360)가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유니트(360)에는 마그네트(362)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362)에는 상기 마그네트유니트(360)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자력이 제거되고, 반대로 전원이 차단되면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연동부(352)와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플레이트(350)의 제2연동부(354)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유니트(370)가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유니트(370)에는 플런저(37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유니트(360)의 제2연동부(354)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데드볼트를 해정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도어개폐동작을 하지 않으면 해정상태를 철회하고 상기 데드볼트(340)가 체결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키입력부(103)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풀고, 상기 핸들(110)을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키뭉치(120)를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조작하여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풀고 상기 핸들(110)을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상기 인너유니트(200)를 구성하는 섬턴(210)을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풀고, 인너유니트(200)의 핸들(210)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110)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부품들이 회전되는 것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핸들(1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키뭉치(120)와 스토퍼(160)가 회전되면서, 상기 키뭉치(120)에 의해 커넥션스틱(150)이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레버(320)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160)에 의해 상기 중간링(170), 조오(180)가 동작되면서 상기 래치레버(310)를 구동하고, 상기 데드레버(32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구동한다는 것은 상기 마그네트레버(325)의 동작상태(즉 데드볼트(340)가 잠김상태 혹은 해지상태)에 따라 상기 데드레버(320)가 상기 조오(180)와 연동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키뭉치(120)에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상기 데드볼트(340)의 상태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키이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커넥션스틱(150)만이 회전하여 상기 백세트(300) 내의 데드레버(320)를 조작시키게 된다.
이제, 각각의 경우로 나누어서 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핸들(110)을 조작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한다.
비밀번호를 상기 키입력부(103)에 입력하면, 상기 마그네트부(360)에 전원이인가되어 상기 마그네트(362)에는 자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레버(325)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32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연동판(327)이 상기 데드레버(320)에 닿게 되어 상기 개폐구동판(184')과 연동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래치볼트(330)와 데드볼트(340)는 모두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110)을 돌려주면, 핸들의 연동홈(117)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160)가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160)와 결합되어 있는 중간링(170) 및 조오(180)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조오(180)의 개폐구동판(184,184')에 의해 상기 래치레버(310)와 데드레버(320)가 동작되어 각각 래치볼트(330)와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래치플레이트(331)는 상기 래치레버(310)의 구동아암(314)과 구동돌부(332)의 연동에 의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스프링(3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한편, 상기 데드볼트(340)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마그네트레버(325)의 제2연동판(327)이 상기 데드레버(320)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도 16의 상태에서, 상기 핸들(1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폐구동판(18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연동판(327)이 밀리면서 상기 데드레버(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드아암(322)에 의해 상기 데드플레이트(341)가 역시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정지스프링(345)의 작용에 의해 상기 데드플레이트(341)가 임의로 상기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17의 상태, 즉 핸들(110)을 돌려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110)을 놓게 되면 핸들(110)은 상기 복귀부재(19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상기 스토퍼(160), 중간링(170), 조오(180)가 함께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구동판(184)에 의해 상기 래치레버(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래치플레이트(331)가 상기 돌출스프링(333)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래치볼트(330)가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핸들(110)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10)을 도어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구동판(184)에 의해 상기 데드레버(3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플레이트(341)를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밀어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도어가 잠금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도 16의 상태, 즉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도어의 해정준비가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핸들(11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데드볼트(340)가 다시 잠김상태가 되도록 동작된다.
즉, 소정 시간동안 핸들(11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솔레노이드유니트(370)가 동작되어 그 플런저(372)가 상기 마그네트플레이트(350)의 제2연동부를 당겨주어, 상기 제1연동부(352)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362)에 닿게 되는 상태가 되면서, 상기 마그네트레버(325)를 회전시켜 상기 제2연동판(327)이 상기 개폐구동판(184')와 서로 연동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을 조작하여 개폐구동판(184,184')이 동작되더라도 상기 래치볼트(330)만이 출몰되고 상기 데드볼트(340)는 동작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비밀번호를 잊어버렸거나 기타의 이유로 키이를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지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키커버(125)를 열고 키이를 사용하여 상기 키뭉치(120)를 동작시키면, 상기 커넥션스틱(150)이 동작되어 상기 데드레버(320)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드플레이트(341)가 상기 데드아암(322)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110)을 동작시키면 상기 개폐구동판(184)에 의해 상기 래치레버(310)가 동작되어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나가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섬턴(2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아웃유니트(100)에서 상기 커넥션스틱(150)이 동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되어 상기 데드레버(320)가 상기 데드플레이트(341)를 이동시켜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210)을 동작시키면 아웃유니트(100)에서 상기 조오(180)가 동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되어상기 래치볼트(330)가 동작된다. 한편, 상기 데드볼트(340)가 잠김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지 상기 핸들(210)만 동작시켜 주면 된다.
다음으로 도어를 잠그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내부에서 도어를 잠글 때는 상기 섬턴(220)을 회전시켜 주면 아웃유니트(100)의 커넥션스틱(150)이 동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되어 상기 데드레버(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잠금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때, 상기 데드아암(32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단(323)은 상기 데드플레이트(341)의 연동돌부(343)의 일단에 걸리고, 상기 데드아암(322)의 반대쪽 선단에는 상기 안전스프링(348)이 탄지되어 상기 데드아암(322)이 상기 데드볼트(340)를 외부에서 강제로 밀어 넣더라도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내부에서 도어를 잠그는 다른 방법은 상기 핸들(210)을 위로(즉 개방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각도(약 50°) 올려준다. 이와 같이 되면 인너유니트(200)의 조오가 반대로 동작되면서 상기 데드레버(320)를 구동시켜 상기 데드볼트(340)가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가 잠궈지게 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도어를 잠그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110)의 개방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거나, 키이를 사용하면 된다. 즉, 키이를 사용하여 상기 키뭉치(120)를 동작시켜 주면 커넥션스틱(150)이 회전되면서 상기 데드레버(320)를 구동시켜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도어가 잠궈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방향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핸들(110)의 설치방향만을 간단하게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웃유니트(100)나 인너유니트(200)에서 상기 백세트(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션스틱(150)을 잡아당겨주면, 상기 커넥션스틱(150)에 의해 상기 스토퍼(160), 중간링(170), 스프링(175) 및 조오(180)가 동시에 후퇴되어 상기 스토퍼(160)와 핸들(110)의 결합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핸들(11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게 그 방향을 설정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핸들의 동력을 전달하는 스토퍼, 중간링, 스프링, 조오의 구성에 오울댐커플링 원리가 적용되고, 상기 핸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부재가 상기 조오를 탄지하도록 백플레이트에 설치된 구성에 의해 그 조립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유니트나 마그네트유니트가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세트에 위치되어 외부환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되어 도어록장치의 동작신뢰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데드볼트의 잠김상태가 해지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핸들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시 데드볼트가 잠김상태로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동축으로 설치되는 아웃유니트와 인너유니트의 구성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이 거의 대부분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세트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아웃유니트와 인너유니트가 소형화되어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하는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래치볼트와 항상 연동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동축으로 설치되는 볼트구동부와,
    상기 백세트 내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구동부와 데드볼트가 서로 선택적으로 연동되게 하는 선택적 연동수단과,
    상기 볼트구동부와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사용자로부터 전달받는 핸들부와,
    상기 선택적 연동수단의 구동을 위한 외부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제어부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핸들부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데드볼트를 다시 잠궈주는 비상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구동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것으로,
    연동돌부와 연동홈부의 쌍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볼트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주는 래치레버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데드볼트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주는 데드레버와,
    상기 핸들부를 항상 원위치로 복귀시켜주는 복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부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핸들부가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연동수단은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이 상기 데드볼트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백세트 내에서 상기 데드레버상에 데드레버의 회전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된 마그네트레버와,
    상기 마그네트레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트유니트와,
    상기 마그네트유니트의 동작을 위한 외부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5. 삭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잠금부는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소정 시간동안 핸들부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레버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동되지 않도록 조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기구적으로 해지하기 위한 데드볼트해지기구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중심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핸들부의 동작시에는 핸들부와 함께 회전되고 키이를 사용할 때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키뭉치와,
    일측이 상기 키뭉치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과 연결되어 데드볼트를 조작시켜주는 커넥팅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스틱을 백세트방향으로 당겨주면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핸들부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핸들의 설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KR10-1999-0028504A 1999-07-14 1999-07-14 도어록 장치 KR10036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04A KR100367928B1 (ko) 1999-07-14 1999-07-14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04A KR100367928B1 (ko) 1999-07-14 1999-07-14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895A KR20010009895A (ko) 2001-02-05
KR100367928B1 true KR100367928B1 (ko) 2003-01-14

Family

ID=1960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504A KR100367928B1 (ko) 1999-07-14 1999-07-14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35B1 (ko) 2007-06-14 2009-05-21 주식회사 파인라이프 디지털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76B1 (ko) * 2012-03-23 2014-05-16 주식회사 금천 도어록용 모티스
CN115306229B (zh) * 2022-08-16 2024-04-26 杭州赛脑智能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适应转动方向的门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35B1 (ko) 2007-06-14 2009-05-21 주식회사 파인라이프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89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0909560B1 (ko) 도어록 장치
KR100415001B1 (ko)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US6637785B2 (en) Handle device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JP2813989B2 (ja) 作動モード切替え可能電気錠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0479979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200301781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