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13B1 -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13B1
KR102053613B1 KR1020180101373A KR20180101373A KR102053613B1 KR 102053613 B1 KR102053613 B1 KR 102053613B1 KR 1020180101373 A KR1020180101373 A KR 1020180101373A KR 20180101373 A KR20180101373 A KR 20180101373A KR 102053613 B1 KR102053613 B1 KR 10205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housing
hook
rotating body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 김용범 filed Critical (주)에스알
Priority to KR102018010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2065/080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with a handl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는 창문 프레임의 레일홈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스트라이크에 맞물릴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가 스트라이크와 맞물려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MANUAL OPERATION TYP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기어의 후크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라이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기구 없이도 스트라이크의 고정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미닫이문의 대형화로 인해 잠금부가 상,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닫이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 하부에 위치된 2개의 잠금부가 동시에 개방되고, 미닫이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미닫이문(1)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의 상, 하부에 동일구조를 갖는 잠금부(3)가 체결부재(4)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의 중간부위에는 래치블럭(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블럭의 내부에는 손잡이(도시는 생략함)의 잡아당김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고정판(2)의 일 측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간(7)을 이동시키는 래치(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작동간(7)의 중간부위에는 래치(8)의 돌기(8a)가 끼워지는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미닫이문(1)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손잡이의 축(6a)이 끼워진 래치(8)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잠금부(3)를 작동시키는 작동간(7)이 상승하면서 잠금부(3)의 록킹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잠금부(3)의 구조는 특허 제633005호로 등록되어 공지된 구조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미닫이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푸셔(17)가 창문틀(9)에 고정된 스트라이크(21)에 부딪혀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2탄성부재(20)에 의해 탄력 설치된 작동편(19)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창문틀(9)에 고정된 스트라이크(21)에 걸려 록킹된 상태, 즉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1)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미닫이문(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인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래치(8)의 돌기(8a)에 의해 작동간(7)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각 잠금부(3)의 작동편(19)에 형성된 돌기(24)가 작동간(7)에 형성된 통공(7c)에 끼워져 있어 미닫이문(1)의 상, 하부에 위치되어 있던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를 압축시키면서 상사점까지 상승하여 스트라이크(21)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미닫이문(1)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편(19)의 상승으로 미닫이문(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푸셔(17)가 제1탄성부재(18)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손잡이(6)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작동편(19)의 돌출부(23)가 푸셔(17)에 걸려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개방하였던 미닫이문(1)을 닫으면 미닫이문(1)이 거의 닫히는 시점에서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되어있던 푸셔(17)가 스트라이크(21)에 부딪혀 제1탄성부재(18)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12) 내에 수용되므로 푸셔(17)에 걸려 하강이 억제되었던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후크(22)가 스트라이크(21)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후크(22)가 스트라이크(21)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잠금장치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는, 사각틀형태의 창문틀에 미닫이문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창문틀의 내부 높이를 문턱을 감안하여 미닫이문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하기 때문에 후크(22)에 의한 잠금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잠금부를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기다란 작동간에 의해 2개의 잠금부를 동시에 연동시켜야만 되었으므로 잠금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잠금부의 설치위치가 멀어 문설주의 스트라이크에 걸리는 후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므로, 정확한 위치의 선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기구나 장치가 요구되는 등, 스트라이크의 고정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기다란 작동간의 하강에 의해 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데 비교적 큰 힘이 들어 손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이 미닫이문을 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633005호 (2006.03.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기어의 후크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라이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기구 없이도 스트라이크의 고정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도 잠금기구를 구성하여 중량 및 생산단가를 절감하면서도 방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창문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의 폭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문 프레임의 레일홈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스트라이크에 맞물릴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가 스트라이크와 맞물려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수동식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부분과, 다수의 제1돌기가 마련된 제2부분으로 구분되고,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는 핸들의 작용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팔각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제2부분의 외주면 중 팔각별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기어의 후크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라이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기구 없이도 스트라이크의 고정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도 잠금기구를 구성하여 중량 및 생산단가를 절감하면서도 방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창문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의 폭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는 잠금기어(100) 및 스트라이크(200)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기어(100)는 하우징(110), 커버(120), 회전체(130), 이동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창문 프레임(W)의 레일홈(W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가이드홈(111) 및 제2가이드홈(112)이 마련되고, 스트라이크(200)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112)과 연통하는 개구부(114)가 마련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바닥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11)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공(113)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11)은 상기 회전체(130)의 축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홈(112)은 상기 이동체(140)의 상하 왕복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일측이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연통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창문 프레임(W)의 전면에 배치되는 핸들(H)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홀은 다양한 규격의 핸들(H)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111)은 제2가이드홈(112)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일치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이 일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홈(111)의 타측 방향으로 하우징(110)의 폭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하우징(11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폭을 최소화하는 경우, 창문 프레임(W)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창문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11) 및 제2가이드홈(112)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제1가이드홈(111)과 동일 축선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11)보다 직경이 작은 제2삽입공(12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1가이드홈(111)의 중심축(C)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도 5 참조) 상에 정렬될 수 있는 제1마크(1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1가이드홈(111)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는 바디(131)와, 상기 바디(131)의 양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제1삽입공(113)과 상기 커버(120)의 제2삽입공(121)에 각각 삽입되어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삽입부(132) 및, 핸들(H)의 작용축(H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133)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31)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부분(131a)과, 외주면에 다수의 제1돌기(134)가 마련된 제2부분(131b)으로 구분되고, 제1부분(131a)과 제2부분(131b)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33)은 핸들(H)의 종류에 따라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단면의 작용축(H1)이 호환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팔각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기(134)는 상기 제2부분(131b)의 외주면 중 팔각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결합공(133)의 꼭짓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됨에 따라, 상기 결합공(133)을 둘러싸는 살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체(130)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외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체(130)의 직경은 하우징(110)의 폭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회전체(130)의 직경을 최소화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폭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가이드홈(112)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130)와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134)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2돌기(141)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F)에 설치된 스트라이크(200)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스트라이크(200)에 맞물릴 수 있는 후크(1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체(140)는 하우징(110)의 제2가이드홈(1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면에 형성된 제2돌기(141)가 상기 회전체(130)의 제1돌기(134)와 맞물리고, 타측면에 형성된 후크(142)가 하우징(110)의 개구부(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체(140)가 제2가이드홈(112)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체(140)의 이동 위치에 따라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와 맞물려 도어의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거나, 스트라이크(200)와 분리되어 도어의 잠금 설정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140)가 제2수용공간 내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에 결합되고, 이동체(140)가 제2수용공간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후크(142)는 스트라이크(200)와 맞물리는 위치가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축(C)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도 5 참조) 상에 정렬되도록 설정된다. 핸들(H)의 작용축(H1)을 상기 회전체(130)의 결합공(133)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창문 프레임(W)에 형성하는 타공홀(W2)은 상기 회전체(130)의 중심축(C)과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창문 프레임(W)에 타공홀(W2)을 형성한 이후에는, 타공홀(W2)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크(142)와 스트라이크(200)와 맞물리는 위치를 쉽게 가늠할 수 있으므로, 타공홀(W2)의 위치로부터 스트라이크(200)의 설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후크(142)는 이동체(140)의 타측면으로부터 스트라이크(200)를 향해 연장되는 목부(142b)와, 목부(142b)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목부(142b)에 비해 부피가 크게 형성된 머리부(142a)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142a)의 외측면에는, 상기 후크(142)가 잠금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130)의 중심축(C)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도 5 참조) 상에 정렬될 수 있는 제2마크(143)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라이크(200)는 창틀 프레임(F)의 레일(F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142)의 머리부(142a)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된 결합홈(201)과, 상기 목부(142b)가 수용될 수 있는 하부가 개구된 슬릿(202)을 포함하며, 스트라이크(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중심축(C)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도 5 참조) 상에 정렬될 수 있는 제3마크(20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라이크(200)의 상기 레일(F1)과 마주하는 면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F1)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트라이크(200)의 상기 하우징(110)과 마주하는 면에는 스트라이크(200)를 레일(F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204)이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204)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홀 형태의 관통홀(204)에 스크루를 체결하여 스트라이크(200)를 레일(F1)부에 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 후크(142)와 결합홈(201)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면서 스트라이크(2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한 다음, 나머지 관통홀(204)에 스크루를 체결하여 스트라이크(200)의 위치를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크(200)의 관통홀(204)은 상기 스트라이크(200)의 상기 하우징(110)과 마주하는 면에 조립되는 마개(205)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W)에는 핸들(H)의 작용축(미도시)을 회전체(130)의 결합공(133)에 결합하기 위한 타공홀(W2)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홀(W2)의 중심은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축(C)과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창문 프레임(W)에 타공홀(W2)을 형성하고, 창문 프레임(W)의 레일홈(W1) 내에 잠금기어(100)를 삽입한 다음, 회전체(130)의 결합공(133)을 타공홀(W2)에 정렬한 상태에서 잠금기어(100)를 고정한다.
이어, 창틀 프레임(F)의 레일(F1)에 스트라이크(200)의 고정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창문 프레임(W)에 형성된 타공홀(W2)의 중심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상에 상기 스트라이크(200)의 외측에 형성된 제3마크(203)를 정렬하면 스트라이크(200)의 고정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라이크(200)를 창틀 프레임(F)의 레일(F1)에 고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142)의 잠금 위치가 타공홀(W2)의 중심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상에 정렬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창문 프레임(W)에 타공홀(W2)을 형성한 이후에는 스트라이크(200)의 고정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라이크(200)의 고정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지 않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측정기구나 위치 안내용 지그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트라이크(200)의 정확한 고정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기어(100)의 커버(120)에는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 중심축(C)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HL) 상에 정렬된 제1마크(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142)에는 후크(142)가 잠금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상의 수평 라인(HL)과 정렬되는 제2마크(1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마크(122) 및 제2마크(143)의 연장선 상에 스트라이크(200)의 제3마크(203)를 정렬하여 스트라이크(200)의 고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즉, 타공홀(W2)의 중심이 제1마크(122) 및 제2마크(143)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스트라이크(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창틀 프레임(F)의 레일(F1)에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지 않고도 스트라이크(200)의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중,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후크(142)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여 스트라이크(200)와 맞물림으로써 창호의 잠금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후크(142)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스트라이크(200)와 분리됨으로써 창호의 잠금 설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기어(100)의 하우징(110)은 창문 프레임(W)의 레일홈(W1) 내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체(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1가이드홈(111) 내에 배치되고, 이동체(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가이드홈(112)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돌기(134)는 상기 이동체(140)의 제2돌기(141)와 맞물려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운동이 이동체(14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상기 회전체(130)는 작용축(미도시)를 통해 창문 프레임(W)의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H)과 결합되어 핸들(H)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동체(140)는 제1돌기(134) 및 제2돌기(141)를 통해 상기 회전체(130)와 맞물려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H)을 잠금 위치로 회동시키면, 회전체(130) 및 이동체(140)가 연동하면서 후크(142)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후크(142)가 창틀 프레임(F)에 고정된 스트라이크(200)의 결합홈(201)에 맞물려 창호의 잠금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잠금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창문 프레임(W)이 창틀 프레임(F)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후크(14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스트라이크(200)의 하부가 개구된 결합홈(20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후크(142)가 결합홈(201)에 걸려 추가 상승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창문 프레임(W)이 창틀 프레임(F)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제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142)와 결합홈(201)의 체결 부위가 1지점에 불과하지만,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에 체결된 이후에는 창문 프레임(W)이 들어올려지는 것이 제한되므로, 외부에서 창문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방식에 의해 후크(142)가 결합홈(20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30)의 바디(131)를 축방향으로 제1부분(131a)과 제2부분(131b)으로 구분하되 제2돌기(141)를 제2부분(131b)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회전체(130)에 가해지는 외력(핸들을 잡아당겨 창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힘)이 제1부분(131a)을 통해 충분하게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제2돌기(141)를 함몰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회전체(130)의 직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아울러, 회전체(130)의 중앙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33)을 팔각별 형태로 구성하고, 제1돌기(134)를 상기 팔각별의 꼭짓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결합공(133)을 둘러싸는 살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130)의 직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체(130)의 직경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13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111)이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우징(11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창문 프레임(W)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의 폭은 하우징(110)의 폭에 따라 결정되고, 하우징(110)의 폭은 회전체(130)의 직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회전체(130)의 직경 및 하우징(110)의 폭을 최소화하는 경우에는 창문 프레임(W)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이 형성되는 창문 프레임(W)의 중앙부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을 180도 회동시키면, 작용축(H1)을 통해 핸들(H)과 연결된 회전체(130)가 180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돌기(134) 및 제2돌기(141)를 통해 회전체(130)와 연결된 이동체(14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이동체(140)에 마련된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의 결합홈(201)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분리되어 창호의 잠금 설정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142)가 스트라이크(200)의 결합홈(201)으로부터 분리되어 잠금 설정이 해제되면, 창문 프레임(W)을 창틀 프레임(F)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창문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잠금기어, 110:하우징, 111:제1가이드홈,
112:제2가이드홈, 113:제1삽입공, 114:개구부,
120:커버, 121:제2삽입공, 122:제1마크,
130:회전체, 131:바디, 131a:제1부분,
131b:제2부분, 132:삽입부, 133:결합공,
134:제1돌기, 140:이동체, 141:제2돌기,
142:후크, 142a:머리부, 142b:목부,
143:제2마크, 200:스트라이크, 201:결합홈,
202:슬릿, 203:제3마크, 204:관통홀, 205:마개
W:창문 프레임, W1:레일홈, W2:타공홀,
F:창틀 프레임, F1:레일, H:핸들,
H1:작용축, C:중심축, HL:수평 라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창문 프레임의 레일홈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되고,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스트라이크에 맞물릴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가 스트라이크와 맞물려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 라인 상에 정렬되고,
    상기 회전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부분과, 다수의 제1돌기가 마련된 제2부분으로 구분되고,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는 핸들의 작용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팔각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기는 제2부분의 외주면 중 팔각별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수동식 잠금장치.
KR1020180101373A 2018-08-28 2018-08-28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KR10205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73A KR102053613B1 (ko) 2018-08-28 2018-08-28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73A KR102053613B1 (ko) 2018-08-28 2018-08-28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13B1 true KR102053613B1 (ko) 2019-12-10

Family

ID=6900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73A KR102053613B1 (ko) 2018-08-28 2018-08-28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788B1 (ko) 2020-06-16 2021-08-17 이동혁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155538A (ko) 2020-06-16 2021-12-23 이동혁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CN115627976A (zh) * 2022-01-27 2023-01-20 开平市新窗匠铝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密封安全铝合金推拉窗的双连杆窗锁
KR20230109796A (ko) * 2022-01-13 2023-07-21 주식회사 로뎀창호건축기술 테라스 방범방충망용 손잡이겸용 수동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51Y1 (ko) * 2009-04-01 2011-09-06 주식회사 이건창호 미닫이 창문의 잠금 장치
KR20160052486A (ko) * 2016-04-22 2016-05-12 김기석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51Y1 (ko) * 2009-04-01 2011-09-06 주식회사 이건창호 미닫이 창문의 잠금 장치
KR20160052486A (ko) * 2016-04-22 2016-05-12 김기석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788B1 (ko) 2020-06-16 2021-08-17 이동혁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155538A (ko) 2020-06-16 2021-12-23 이동혁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30109796A (ko) * 2022-01-13 2023-07-21 주식회사 로뎀창호건축기술 테라스 방범방충망용 손잡이겸용 수동 잠금장치
KR102619565B1 (ko) * 2022-01-13 2024-01-02 박성호 테라스 방범방충망용 손잡이겸용 수동 잠금장치
CN115627976A (zh) * 2022-01-27 2023-01-20 开平市新窗匠铝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密封安全铝合金推拉窗的双连杆窗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61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KR101168835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140007631A1 (en) Latch or lock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US8434335B2 (en)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444785Y1 (ko) 좌/우 겸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5659194B2 (ja) 引戸錠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060023498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7055036B2 (ja) 建具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