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412B1 -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 Google Patents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412B1
KR101327412B1 KR1020120019232A KR20120019232A KR101327412B1 KR 101327412 B1 KR101327412 B1 KR 101327412B1 KR 1020120019232 A KR1020120019232 A KR 1020120019232A KR 20120019232 A KR20120019232 A KR 20120019232A KR 101327412 B1 KR101327412 B1 KR 10132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atch bolt
inclined surface
moving space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514A (ko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102012001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412B1/ko
Priority to PCT/KR2012/001874 priority patent/WO2013125746A1/ko
Priority to US14/379,929 priority patent/US9771745B2/en
Priority to CN201280070621.6A priority patent/CN104169508B/zh
Priority to JP2014558658A priority patent/JP5969055B2/ja
Priority to AU2012370602A priority patent/AU2012370602B2/en
Priority to EP12869289.4A priority patent/EP2818613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412B1/ko
Priority to IN1760KON2014 priority patent/IN2014KN017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lengthwise-adjustable bolts ; with adjustable backset, i.e. distance from doo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볼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조절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조립 생산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형상으로 도어를 관통하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몸체 하우징;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부분에 직선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몸체 이동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도어의 양측면 외부로 각각 돌출되는 손잡이; 및 일측의 단부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동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운동하는 래치볼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Safety Door L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치볼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조립 생산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은 일반적으로 래치볼트가 문틀에 형성되어 있는 래치볼트 삽입 홈에 삽입됨으로서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래치볼트 삽입 홈에 삽입되는 래치볼트의 깊이가 15mm 정도로 그 깊이가 얕다. 이러한 래치볼트의 삽입 깊이를 갖는 도어록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래치볼트를 래치볼트 삽입 홈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이탈시켜 용이하게 도어를 열수 있으므로 이중의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만일 래치볼트의 래치볼트 삽입 홈에의 삽입 깊이를, 예를 들면 20mm 이상으로 깊게 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도어를 열기 위해서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종래의 원통형 또는 튜블러형 도어록에서는 도어 손잡이 회전각도를 크게 해야 하므로 도어를 여는 것이 불편하다.
한편, 종래의 원통형 또는 튜블러형 도어록에서의 도어 개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가해야 도어 개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정상인뿐만 아니라 유아, 장애인, 환자 등 신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거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에는 도어개폐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어개폐가 용이하도록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거나 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푸시풀 도어록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현재 사용 중인 원통형 또는 튜블라형 도어록을 푸시풀 도어록으로 교체시 도어에 별도의 개조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도어록은 그 구조상 래치볼트 삽입 홈에 대한 래치볼트의 삽입 깊이를 일정 깊이 이상으로 크게 할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낮고 따라서 이중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푸시풀 도어록은 그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사용되는 도어 손잡이도 전용으로 설계된 것이 필요한데, 희망하는 디자인의 도어 손잡이가 있어도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록에 적합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래치볼트 삽입 홈에의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이중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수가 적어서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기존 도어록에 추가적인 개조 없이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도어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도어록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도어록 손잡이를 채용할 수 있어 디자인 선택의 폭이 넓은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양태에 따르면, 통형상으로 도어를 관통하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몸체 하우징;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부분에 직선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몸체 이동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도어의 양측면 외부로 각각 돌출되는 손잡이; 및 일측의 단부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동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몸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운동하는 래치볼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록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 및 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시에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축을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연결축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축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따라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도어의 잠김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이동공간은 그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폭은 연결축의 직경 보다 다소 크고, 그 길이는 연결축 변위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단수 경사면 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경사면은 V자형 절개홈 또는 역 V자형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단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15°~ 75°이고, 상기 한 쌍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경사면과의 접촉되는 부분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축의 변위거리는 경사면의 경사각 크기에 반비례하고 상기 몸체의 경사면의 초기위치와 정점위치의 높이에 비례한다.
상기 탄성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가 수축되면 래치볼트를 동시에 내부로 수용하는 래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슬롯으로 형성된 제1 몸체 이동공간과, 상기 제1 몸체 이동공간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슬롯으로 형성되며, 내부면이 상기 경사면으로 사용되는 제2 몸체 이동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제1 손잡이가 연결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제2 손잡이가 연결되는 제2 면, 상기 제1 면 및 제2 면과 이웃하는 제3 면, 상기 제3 면에 대향하는 제4 면, 상기 제3 면 및 제4면과 이웃하는 제5 면, 및 상기 제5면에 대향하는 제6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제3 면 및 제4 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제5 면 및 제6 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가 연결되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가 연결되는 보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의 양단부에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가 위치할 때,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가 도어를 잠김 또는 열림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이동공간의 양단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의 제2 몸체 이동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을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이 만나는 부분에 체결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몸체 및 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제1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 구멍에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축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따라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도어의 잠김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체결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 로드와, 상기 슬라이더 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제2 몸체 이동공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몸체 및 래치볼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어록용 힘 전달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는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직선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몸체 이동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는 일측의 단부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동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적으로 상기 몸체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래치볼트 삽입 홈에의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조절가능하여 안전성이 높아 이중 잠금장치가 필요 없으며, 구성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현재 사용중인 도어의 추가적인 개조 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종래의 도어 손잡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 및 컬러의 손잡이를 채용할 수 있어 미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도어록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전 도어록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힘 전달기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몸체와 힘 전달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힘 전달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도어록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도어록은 도어(D)에 설치된 힘 전달기구와 손잡이(1a,1b)를 포함한다. 힘 전달기구는 몸체(8) 및 래치볼트 조립체(80)를 포함하며, 몸체 하우징(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록은 도어(D)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양측면이 개방된 몸체 하우징(11)과,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몸체 하우징(11) 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경사면(15)이 슬라이더(7)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몸체(8)와, 몸체 하우징(11)을 통하여 몸체(8)에 연결되어 도어(D)의 양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1a,1b)와, 몸체(8)의 왕복운동과 연동되고 몸체(8)의 왕복운동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몸체(8)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몸체(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래치볼트 조립체(80)가 구비된다.
래치볼트 조립체(80)는 몸체(8)를 관통하는 연결축(5)의 일단에 결합되어 몸체(8)의 직선운동 시에 V자 홈의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연결축(5)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축(5)을 몸체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7)와, 슬라이더(7)와 연결되어 몸체(8)의 직선 왕복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축(5)과, 연결축(5)의 일단에 설치되어 연결축(5)의 왕복운동에 따라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래치볼트(2), 및 도어(D)를 여는 방향으로 외력 작용시, 연결축(5)이 이동하면서 수축되고, 그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연결축(5)을 역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키는 탄성체(6)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체(6)는 몸체 하우징(11)의 외측면의 연결축(5) 양쪽 끝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하되, 래치볼트(2)와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체(6)는 몸체 하우징(11)의 외측면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몸체 하우징(11)의 내부면과 몸체(8)의 경사면(15)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 조립체(80)는 탄성체(6)를 수용한 상태로 래치볼트(2)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된 래치 케이스(4)를 포함한다.
몸체(8)의 중앙부에는 연결축(5)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몸체 이동공간(9)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축(5)이 몸체 이동공간(9) 내부에 관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몸체(8)의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즉 몸체 이동공간(9)은 연결축(5)을 중심으로 몸체(8)가 이동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축(5)이 몸체(8)의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시 연결축(5)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왕복운동을 위하여 도어에 연결축가이드(17)가 형성된다.
손잡이(1a,1b)는 환봉, 타원봉 또는 기타 다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종래의 도어록에 사용되는 손잡이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1a,1b)는 몸체(8) 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미도시)와 몸체(8)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미도시)를 통해 몸체(8)에 조립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손잡이(1a,1b)는 몸체(8)를 밀거나 당길 수 있으면 형상 및 사용재료 및 그 컬러는 편의성 또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할 수 있다.
손잡이(1a)가 밀거나 당겨지면, 몸체(8)는 관통공(1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몸체 하우징(11)의 내측을 따라 양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손잡이(1a)는 홀더(10)를 관통하고, 홀더(10)는 홀더고정수단(10a)에 의해 도어(D)에 고정된다.
종래의 푸시풀 도어록의 경우 손잡이가 도어면에 대해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의 복합적인 운동을 하고 손잡이의 왕복운동이 여러 부품을 통해 래치 볼트에 전달되므로 구조가 복잡한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은 손잡이가 도어면에 대해 수직한 일방향으로만 운동을 하고 손잡이(1a)의 왕복운동이 손잡이(1a)가 부착되어 있는 몸체(8)를 거쳐 직접 래치볼트(2)에 전달되므로 구성부품의 수가 적다.
몸체 하우징(11)은 도어(D)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2) 내부에 설치되어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 몸체(8)가 몸체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몸체 하우징(11)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는데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 하우징(11)은 도 1과 같이 실내 측으로 'ㄱ' 으로 가공하고 몸체 하우징 고정수단(11a)으로 도어(D)에 고정됨으로서 몸체(8)가 몸체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쉽게 왕복 운동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실외 측에서 도어록의 분리 및 해체를 할 수 없게 하여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8)는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 몸체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데, 이때 연결축(5)은 경사면(18)을 따라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18)은 래치볼트 조립체(80)의 슬라이더(7)가 연결축(5)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경사면(15)이 V자형의 절개홈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래치볼트 조립체(80)의 연결축(5)은 몸체(8)의 V자 절개홈이 형성된 경사면(15)의 안착점(18)과 두 개의 정점(19)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슬라이더(7)가 몸체(8)에 형성된 활주 경사면(15)에 계속 접촉하도록 한다. 슬라이더(7)가 이동하는 활주 경사면(15)은 외부로 드러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몸체(8)의 측면에서 볼 때 슬라이더(7)의 이동 공간은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8)의 왕복운동과 연동되어 몸체(8)의 운동방향에 대해 연결축 (5)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몸체(8)의 중앙부에는 V자 절개홈이 형성된 경사면(15)에 수직하게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연결축(5)에 수직한 몸체 이동공간(9)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 이동공간(9)은 그 폭이 연결축(5)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그 장축은 래치볼트(2)의 변위의 2배 이상인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여, 연결축(5)이 몸체 이동공간(9)에 관통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몸체(8)의 직선 왕복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몸체(8)의 경사면은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V자형 절개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역 V자형 돌출부로 형성할 수 있고, 도 7과 같이 단수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15)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쌍의 경사면은 V자형 절개홈(도 1 및 도 2참조)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V자형 돌출부(도 4 및 도 5참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몸체의 활주 경사면(15,15a)의 각도를 작게 하고 안착점(초기위치)과 정점 사이의 높이를 크게 하면 몸체의 동일한 이동거리에 대해 연결축의 변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래치볼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경사면(15b)은 하나의 면으로 구성되는 단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단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15°~ 7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일한 몸체 활주 경사면(15,15a,15b) 각도에 대해서도 탄성체(6)의 탄성 반발력을 작게 하면 연결축의 밀고 당기는 힘을 작게 할 수 있어, 활주 경사면(15,15a,15b)의 각도와 탄성체(6)의 탄성 반발력을 조합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주로 유아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 도어록에 대해서는 탄성력이 약한 탄성체를 사용하고 주로 성인이 사용하는 도어록에 대해서는 탄성력이 높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몸체(8)는 소재의 단면형상이 판재, 봉재, 각재 및 파이프등인 것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래치볼트 조립체(80)는 몸체(8)의 직선 왕복운동을 수직 왕복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래치볼트(2)를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 또는 래치볼트 삽입 홈 (16)으로부터 이탈하게 한다. 래치볼트 조립체(80)는 연결축(5), 래치볼트(2), 탄성체(6), 및 래치 케이스(4)로 구성되어 연결축(5)의 일단은 슬라이더(7)와 연결되고 타단은 래치볼트(2)와 연결된다.
래치볼트(2) 및 가드볼트(3)는 연결축(5)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결축(5)의 왕복운동에 따라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 또는 래치볼트 삽입 홈(16)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D)가 개폐될 수 있게 하는데 연결축(5) 및 탄성체(6)와 함께 래치케이스(4) 내에 수납된다.
현재 시판중인 도어록의 래치볼트는 최대 15mm 까지 래치볼트 삽입 홈(16) 에 삽입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래치볼트(2)는 활주 경사면(15)의 각도 및 몸체(8)의 운동거리에 따라 삽입깊이를 15mm 이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연결축(5)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래치볼트(2)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래치볼트(2)를 연결축(5)에 연결하여도 래치볼트(2)가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되는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래치볼트 삽입 홈에 삽입되는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하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래치볼트를 래치볼트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어려우므로 안전한 도어록이 된다.
한편, 탄성체(6)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등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어에는 연결축(5)이 몸체(8)의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시 연결축(5)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왕복운동을 위하여 연결축 가이드(17)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7)는 경사면(15)에 계속 접촉하여 몸체(8)의 왕복운동에 대해 연결축(5)이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와 연결축 (5)의 연결방법은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볼트(B) 및 너트(N)의 형태로 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볼트(2)가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홀더(10)는 도어(D) 외부의 완력으로부터 몸체(8)나 기타 구성부품을 보호하며 이들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며, 홀더(10)는 홀더 고정수단(10a)으로 도어(D)에 고정된다. 또한 홀더 중심부에 형성된 홀더 홀(10b)을 통해 손잡이(1a,1b)가 관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어(D)가 닫혀있고 손잡이(1a,1b)나 도어(D)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몸체(8)가 몸체 하우징(11)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탄성체(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7)가 몸체(8)의 V자 홈의 안착점(18)에 위치한다. 이때 연결축(5)에 연결된 래치볼트(2)는 도어(D) 외측으로 돌출되어 받이판(14)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되어 있게 됨으로서 도어(D)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팔등의 신체를 사용하여 손잡이(1a)를 밀면, 몸체(8)가 몸체 하우징(11)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8)의 V자 홈의 활주 경사면(15)을 따라 슬라이더(7)가 몸체(8)의 안착점(18)에서 측면의 정점(19)으로 끌어 올려 지면, 슬라이더(7)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5)은 연결축 가이드(17)쪽으로 이동하고 탄성체(6)는 수축한다. 따라서 돌출되어 있던 래치볼트(2)가 래치볼트 삽입 홈(16)에서 이탈하여 래치케이스(4) 내로 수용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래치볼트(2)가 래치케이스(4)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 도어(D)가 용이하게 열린다.
그런데 현재 시판중인 도어록의 래치볼트는 최대 15mm까지 래치볼트 삽입 홈(16)에 삽입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래치볼트(2)는 활주 경사면(15)의 각도 및 몸체(8)의 운동거리에 따라 삽입깊이를 15mm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몸체(8)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활주 경사면(15)의 각도는 30~160도의 범위를 가지는데, 몸체의 활주 경사면(15)의 각도를 작게 하고 안착점과 정점 사이의 높이를 크게 하면 연결축의 변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래치볼트 삽입홈에의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래치볼트 삽입홈으로부터 래치볼트의 이탈을 어렵게 함으로써 이중의 잠금장치가 필요 없는 안전한 도어록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어(D)가 열린 후, 사용자가 손잡이(1a)를 밀던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체(6)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8)가 하우징(11)의 중심부로 되돌아오고 정점(19)에 끌어 올려져 있는 슬라이더(7)가 몸체(8)의 활주 경사면(15)을 따라 끌려 내려와서 안착점(18)으로 복귀하면서 래치볼트(2)가 래치 케이스(4)로부터 돌출되어 다시 도 1의 상태로 복귀되어 도어(D)가 잠김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안전 도어록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몸체(8)에 형성되어 있는 활주 경사면(15a)이 역 V 자로 형성되어 있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어(D)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몸체 (8)는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고 탄성체(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7)가 몸체 (8)의 안착점(18a)에 놓인다. 이때 슬라이더(7)와 연결축(5)으로 연결된 래치볼트(2)는 도어(D) 외측으로 돌출되어 받이판(14)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홈(16)에 삽입되어 있게 됨으로서 도어(D)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팔등의 신체를 사용하여 손잡이(1b)를 밀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8)가 하우징(11)의 외측으로부터 중심부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8)의 활주 경사면(15a)을 따라 슬라이더(7)가 안착점(18a)에서 정점(19a)으로 끌어 올려 지면 슬라이더(7)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5)이 도 5의 연결축가이드(17)쪽으로 이동하고 탄성체(6)는 수축한다.
따라서 돌출되어 있던 래치볼트(2)가 래치볼트 삽입 홈(16)에서 이탈하여 래치케이스(4) 내로 수용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래치볼트(2)가 래치케이스(4)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는 외력에 의해 도어(D)가 용이하게 열린다.
마찬가지로, 반대의 경우는 몸체(8)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되돌아오고 정점(19a)에 있는 슬라이더(7)가 몸체(8)의 경사면(15a)을 따라 안착점(18a)으로 복귀하면서 래치볼트(2)가 도어(D)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시 도어(D)가 잠김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록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몸체(8)에 형성되어 있는 활주 경사면(15b)이 단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각 구성부품의 소재로서는 그 비용을 고려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비철금속, 철계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구성부품에 다양한 제조공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은 래치볼트의 삽입깊이를 깊게 하여 안전성이 높으며, 정상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장애인, 환자 및 고령자도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현재 원통형 또는 튜블라형 도어 록을 사용 중인 도어에도 추가적인 개조 없이 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손잡이를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몸체(8)의 일측면에 경사면(15)을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의 내부에 경사면(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몸체(8)는 일측면으로 경사면(15)이 노출된 개방형 구조를 갖고, 제4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몸체(8)는 경사면(15)이 내부에 형성된 폐쇄형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힘 전달기구의 몸체(8)와 래치볼트 조립체(8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폐쇄형 힘 전달기구의 몸체(8)와 래치볼트 조립체(80) 간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에서 몸체(8)와 래치볼트 조립체(80)만을 개시하였고, 그 외 구조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몸체(8)는 내부에 경사면(15)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경사면(15)은 일자형 구멍의 내부면으로 형성된다. 즉, 몸체(8)에는 몸체 이동공간(9a,9b)으로 제1 및 제2 몸체 이동공간(9a,9b)이 형성된다. 제1 몸체 이동공간(9a)은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슬롯으로 형성된다. 제2 몸체 이동공간(9b)는 제1 몸체 이동공간(9a)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슬롯으로 형성되며, 내부면이 경사면(15)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몸체(8)는 제1 손잡이(1a)가 연결되는 제1 면, 제1 면에 대향하며 제2 손잡이(1b)가 연결되는 제2 면, 제1 면 및 제2 면과 이웃하는 제3 면, 제3 면에 대향하는 제4 면, 제3 면 및 제4면과 이웃하는 제5 면, 그리고 제5면에 대향하는 제6 면을 포함한다. 제1 몸체 이동공간(9a)는 제3 면 및 제4 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슬롯으로 형성된다. 제2 몸체 이동공간(9b)는 제5 면 및 제6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슬롯으로 형성되며, 제2 몸체 이동공간(9b)의 내부면이 경사면(15)으로 사용된다. 몸체(8)가 래치볼트 조립체(80)의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몸체 이동공간(9a,9b)의 양단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몸체 이동공간(9b)이 일자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한편 몸체(8)는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 몸체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데, 이때 연결축(5)은 몸체(8)의 경사면(15)의 안착점(18)과 정점(19)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슬라이더(20)가 몸체(8)에 형성된 활주 경사면(15)에 계속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안착점(18) 및 정점(19)은 제2 몸체 이동공간(9b)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점(18)은 래치 가이드(4)와 가까운 쪽에 위치한다.
래치볼트 조립체(80)는 슬라이더(20), 연결축(5), 탄성체 및 래치볼트(2)를 포함한다. 래치 가이드(4)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래치볼트(2)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슬라이더(20)와 연결축(5)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탄성체는 몸체 하우징의 양쪽 끝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할 수 있으며, 래치볼트(2)와 결합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20)는 몸체(8)의 제2 몸체 이동공간(9b)에 설치되어 제2 몸체 이동공간(9b)을 따라서 이동하며, 제1 및 제2 이동공간(9a,9b)이 만나는 부분에 체결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20)는 체결 구멍(23)이 형성된 슬라이더 로드(21)와, 슬라이더 로드(2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몸체(8)의 제2 몸체 이동공간(9b)의 경사면(15)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베어링(25)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축(5)은 몸체(8) 및 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몸체(8)의 제1 몸체 이동공간(9a)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연결축(5)은 슬라이더(20)의 체결 구멍(23)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면, 슬라이더(20)는 경사면(15)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래치볼트(2)를 래치 가이드(4)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래치 가이드(4)에 설치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볼트(2)를 래치 가이드(4) 밖으로 돌출시킨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은 경사면(15)이 몸체(8)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몸체 이동공간(9b)이 일자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몸체 이동공간(9b)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의 제2 몸체 이동공간(9b)은 V자형의 구멍의 내부면으로 형성된다.
몸체(8)는 손잡이(1a,1b)를 밀거나 당기는 외력에 의해 몸체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데, 이때 연결축(5)은 몸체(8)의 V자형의 경사면(15)의 안착점(18)과 두 개의 정점(19)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슬라이더(20)가 몸체(8)에 형성된 활주 경사면(15)에 계속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안착점(18)은 V자형의 경사면(15)의 계곡 부분에 위치하고, 정점은 V자형의 경사면(15)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몸체 이동공간(9b)의 돌출된 부분은 래치 가이드(4)가 설치된 면과 먼 쪽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제1 실시예와 같이 가까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은 경사면(15)이 몸체(8)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의 몸체(8)는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8)로 변형이 가능한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은 손잡이(1a,1b)를 이용한 한 쪽 방향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몸체(8)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손잡이(1a,1b)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 몸체(8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8)는 몸체 이동공간(9)이 형성된 주 몸체(8a)와, 주 몸체(8a)와 연결되는 보조 몸체(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1a)는 주 몸체(8a)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1b)는 보조 몸체(8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안착점(18) 및 정점(19)은 몸체 이동공간(9)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점(18)은 래치 가이드와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즉 안착점(18)은 보조 몸체(8b)와 연결되는 부분과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7 실시예에 따른 안전 도어락은 손잡이(1a,1b)를 이용한 한 쪽 방향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몸체(8)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손잡이(1a,1b)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보조 몸체(8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8)는 몸체 이동공간(9a,9b)이 형성된 주 몸체(8a)와, 주 몸체(8a)와 연결되는 보조 몸체(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1a)는 주 몸체(8a)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1b)는 보조 몸체(8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안착점(18) 및 정점(19)은 제2 몸체 이동공간(9b)의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점(18)은 래치 가이드와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즉 안착점(18)은 보조 몸체(8b)와 연결되는 부분과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D : 도어 1a,1b : 손잡이
2 : 래치볼트 3 : 가드볼트
4 : 래치케이스 5 : 연결축
6 : 탄성체 7,20 : 슬라이더
8 : 몸체 9 : 몸체 이동공간
10 : 홀더 10a : 홀더 고정수단
10b : 홀더 홀 11 : 몸체 하우징
11a : 고정수단 12 : 관통공
14 : 받이판 15 : 경사면
16 : 래치볼트 삽입 홈 17 : 연결축 가이드
18 : 안착점 19 : 정점

Claims (19)

  1. 통형상으로 도어를 관통하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몸체 하우징;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직선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몸체 이동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도어의 양측면 외부로 각각 돌출되는 손잡이; 및
    일측의 단부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동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적으로 상기 몸체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운동하는 래치볼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슬롯으로 형성된 제1 몸체 이동공간;
    상기 제1 몸체 이동공간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슬롯으로 형성되며, 내부면이 상기 경사면으로 사용되는 제2 몸체 이동공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3. 제1항에 있어서,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 및 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시에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축을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연결축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축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따라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도어의 잠김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이동공간은 그 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폭은 연결축의 직경 보다 크고, 그 길이는 연결축 변위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단수 경사면 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경사면은 V자형 절개홈 또는 역 V자형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7. 제5항에 있어서, 단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15°~ 75°이고, 상기 한 쌍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160°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경사면과의 접촉되는 부분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변위거리는 경사면의 경사각 크기에 반비례하고 상기 몸체의 경사면의 초기위치와 정점위치의 높이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가 수축되면 래치볼트를 동시에 내부로 수용하는 래치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손잡이가 연결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제2 손잡이가 연결되는 제2 면;
    상기 제1 면 및 제2 면과 이웃하는 제3 면;
    상기 제3 면에 대향하는 제4 면;
    상기 제3 면 및 제4면과 이웃하는 제5 면;
    상기 제5면에 대향하는 제6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제3 면 및 제4 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상기 제5 면 및 제6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일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가 연결되는 주 몸체;
    상기 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가 연결되는 보조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의 양단부에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가 위치할 때,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가 도어를 잠김 또는 열림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이동공간의 양단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조립체는,
    상기 몸체의 제2 몸체 이동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 이동공간을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이 만나는 부분에 체결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몸체 및 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제1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 구멍에 고정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상기 몸체와 래치볼트 조립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축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따라 연결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도어의 잠김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체결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 로드;
    상기 슬라이더 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제2 몸체 이동공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안전 도어록.
  19. 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직선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몸체 이동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일측의 단부는 상기 몸체 이동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동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탄성적으로 상기 몸체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의 운동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운동하는 래치볼트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도어록용 폐쇄형 힘 전달기구.
KR1020120019232A 2012-02-24 2012-02-24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KR10132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32A KR101327412B1 (ko) 2012-02-24 2012-02-24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PCT/KR2012/001874 WO2013125746A1 (ko) 2012-02-24 2012-03-15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US14/379,929 US9771745B2 (en) 2012-02-24 2012-03-15 Closed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safety door lock using same
CN201280070621.6A CN104169508B (zh) 2012-02-24 2012-03-15 封闭式力传递装置及使用其的安全门锁
JP2014558658A JP5969055B2 (ja) 2012-02-24 2012-03-15 閉鎖型力伝達器具及びそれを利用した安全ドアロック
AU2012370602A AU2012370602B2 (en) 2012-02-24 2012-03-15 Closed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safety door lock using same
EP12869289.4A EP2818613B1 (en) 2012-02-24 2012-03-15 Closed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safety door lock using same
IN1760KON2014 IN2014KN01760A (ko) 2012-02-24 2014-08-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32A KR101327412B1 (ko) 2012-02-24 2012-02-24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14A KR20130097514A (ko) 2013-09-03
KR101327412B1 true KR101327412B1 (ko) 2013-11-08

Family

ID=4900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32A KR101327412B1 (ko) 2012-02-24 2012-02-24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71745B2 (ko)
EP (1) EP2818613B1 (ko)
JP (1) JP5969055B2 (ko)
KR (1) KR101327412B1 (ko)
CN (1) CN104169508B (ko)
AU (1) AU2012370602B2 (ko)
IN (1) IN2014KN01760A (ko)
WO (1) WO2013125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460A (ko) 2015-09-24 2017-04-03 김영희 힘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593A1 (de) * 2010-05-28 2011-12-01 Kiekert Ag Stell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WO2012026790A2 (ko) * 2010-08-27 2012-03-01 Kim Young Hee 힘 전달기구
US10619387B2 (en) * 2014-09-05 2020-04-14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dle set having latch bolt actuable by pushing handle
DE102019100398A1 (de) * 2019-01-09 2020-07-09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KR102144784B1 (ko) * 2019-01-22 2020-08-1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KR102254176B1 (ko) * 2020-12-01 2021-05-21 이규민 마그네틱을 갖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양 방향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43B1 (ko) * 2009-04-22 2010-02-22 윤병만 안전형 도어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174A (en) * 1905-06-07 1906-06-12 John Jorgenson Lock.
US980630A (en) * 1910-04-29 1911-01-03 Edson Granger Combined lock and latch.
US1021864A (en) * 1911-01-27 1912-04-02 Carl Denzler Lock.
US1209924A (en) * 1916-05-16 1916-12-26 Cashus Elwood Ackley Door-lock.
US2036154A (en) * 1935-05-02 1936-03-31 Hickson F Littledale Combined latch and lock structure
CH225523A (de) * 1942-03-20 1943-02-15 Finger Franz Türschloss.
US2726889A (en) * 1952-07-24 1955-12-13 Melpar Inc Latch
US2960858A (en) * 1956-10-08 1960-11-22 Webster Desmond Edward Charles Closure fastening device
US3385622A (en) * 1966-05-16 1968-05-28 Lorin D. Winger Latch and lock mechanism
US3490803A (en) * 1967-01-03 1970-01-20 Henry W Rollins Door lock construction
US3582121A (en) * 1969-09-26 1971-06-01 Henry W Rollins Control for door lock set
JPS5427900A (en) * 1977-07-30 197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us for releasing door lock
JPH0450377Y2 (ko) * 1987-01-17 1992-11-27
JPS63136177U (ko) * 1987-02-26 1988-09-07
US5026101A (en) * 1990-04-27 1991-06-25 Dotterweich John E Push-pull or twist door knob/handle mechanism
US5947535A (en) * 1996-10-18 1999-09-07 Baker; John R. Dual motion, quick release latch mechanism
KR200160871Y1 (en) 1997-06-12 1999-11-15 Park Seong Hwn The door lock structure movable from the front to the rear
KR200184812Y1 (ko) 1997-06-20 2000-06-01 손영수 개량 도어록
KR100247234B1 (ko) 1997-08-30 2000-03-15 천강월 도어록크
KR20000074623A (ko) * 1999-05-24 2000-12-15 이병국 푸시-풀 타입 도어 개폐장치
CN2533222Y (zh) * 2002-03-29 2003-01-29 台湾福兴工业股份有限公司 平把锁的内侧上锁装置
KR101185769B1 (ko) 2010-09-07 2012-10-02 김영희 안전 도어록
KR101293221B1 (ko) * 2013-02-08 2013-08-08 송건회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43B1 (ko) * 2009-04-22 2010-02-22 윤병만 안전형 도어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460A (ko) 2015-09-24 2017-04-03 김영희 힘 전달 장치
KR101740621B1 (ko) 2015-09-24 2017-05-29 김영희 힘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8613A4 (en) 2016-05-18
EP2818613B1 (en) 2018-11-28
IN2014KN01760A (ko) 2015-10-23
US20150042106A1 (en) 2015-02-12
US9771745B2 (en) 2017-09-26
AU2012370602A1 (en) 2014-09-25
JP2015511285A (ja) 2015-04-16
CN104169508B (zh) 2016-06-08
KR20130097514A (ko) 2013-09-03
WO2013125746A1 (ko) 2013-08-29
EP2818613A1 (en) 2014-12-31
CN104169508A (zh) 2014-11-26
AU2012370602B2 (en) 2015-12-17
JP5969055B2 (ja)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769B1 (ko) 안전 도어록
KR101327412B1 (ko)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KR101293221B1 (ko) 도어록 장치
US20110025075A1 (en) Window tilt latch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CN111734238A (zh) 一种按钮式机柜门锁结构及机柜门
JP5994054B2 (ja) 引戸用錠前
DE202011052397U1 (de) Verschlussvorrichtung
KR101850294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JP2008127857A (ja) 引戸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引戸錠
CN217040682U (zh) 按摩骨架及按摩器
KR101758097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부 장치
CN211776617U (zh) 脱扣单元及使用该脱扣单元的电磁屏蔽门
KR20110106536A (ko) 도어록 장치
KR200479179Y1 (ko)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73061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CN212224956U (zh) 一种按钮式机柜门锁结构及机柜门
JP2008150883A (ja) 引戸用ロック具
AU2007231858B2 (en) A Sliding Window Catch
KR200305368Y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JP5356057B2 (ja) ラッチ錠
KR102370026B1 (ko) 푸시-풀 구조체
JP4596923B2 (ja) 錠前用サムターンの構造及びサムターンの組み合わせ方法
KR101399630B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