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621B1 - 힘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힘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621B1
KR101740621B1 KR1020150135649A KR20150135649A KR101740621B1 KR 101740621 B1 KR101740621 B1 KR 101740621B1 KR 1020150135649 A KR1020150135649 A KR 1020150135649A KR 20150135649 A KR20150135649 A KR 20150135649A KR 101740621 B1 KR101740621 B1 KR 10174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housing
guide
axial dir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460A (ko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102015013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6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쉬운 힘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힘 전달 장치는 가이드 하우징, 가이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가동부, 및 가이드 하우징을 통하여 가동부에 연결되어 가동부의 제1 축 방향의 직선 운동 시,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동 유닛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때 피동 유닛 조립체는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과 가동부의 삽입 구멍을 통하여 슬라이드 구멍에 위치한 후 제2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슬라이드 구멍의 경사면에 걸리는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피동 유닛 조립체는 가이드 하우징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선단에 피동체가 구비되어, 가동부의 제1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따라서 피동체가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Description

힘 전달 장치{Power trans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힘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전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힘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의 방향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힘 전달 장치는 캠 방식, 크랭크 방식 또는 기어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캠 방식의 힘 전달 장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한다. 크랭크 방식의 힘 전달 장치는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한다. 그리고 기어 방식의 힘 전달 장치는 회전 운동을 다시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힘 전달 장치는 직선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한 직선 왕복 운동을 그 힘이 작용하는 직선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힘을 전달할 수 없다.
물론 직선 방향 운동을 직각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힘 전달 장치를 기존의 힘 전달 방식의 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7412호(2013.11.04.) 한국등록특허 제10-1327413호(2013.11.04)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직선 방향 운동을 직각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힘 전달 장치에 대해서 출원하여 등록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27412호(2013.11.04.)와, 한국등록특허 제10-1327413호(2013.11.04.)가 있다.
본 출원인이 등록한 힘 전달 장치는 가이드 하우징 내에 가동 몸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하우징을 통하여 가동 몸체 안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축에 슬라이더를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에 조금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전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힘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쉬운 힘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힘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하우징, 가동부 및 피동 유닛 조립체를 포함하는 힘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제1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한 쪽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하고, 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슬롯 형태의 설치 구멍과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운동하되, 상기 설치 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삽입 구멍에 연통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내측에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과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위치한 후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경사면에 걸리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선단에 피동체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제1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따라서 상기 피동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는 연결축, 슬라이더, 스프링 하우징, 스프링 및 피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구멍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결축의 일단에 가까운 쪽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과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위치한 후 상기 제2축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경사면에 걸린다. 스프링 하우징은 상기 연결축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결합 구멍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축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체는 상기 연결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길게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제1 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과 슬라이더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일정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어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안내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상기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면과, 상기 회전 방지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설치 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의 내측에 각각 회전 방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상기 회전 방지면을 연결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 구멍은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스프링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 구멍과, 상기 결합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결합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슬라이더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결합 구멍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설치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부분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가동 몸체 및 힘 전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몸체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삽입 구멍 및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힘 전달체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가동 몸체의 적어도 한 쪽에 구비되며 상기 가동 몸체에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몸체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회전 방지면에 접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곡면에 접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구멍이 V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V자형 구멍의 골 부분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 쪽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 안으로 삽입된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슬라이더가 상기 삽입 구멍 및 슬라이드 구멍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이 중첩하는 영역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양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이 삽입되는 설치부재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고정하는 한 쌍의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는 직선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힘이 작용하는 직선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전달한다.
가이드 하우징에 가동부의 가동 몸체를 삽입한 이후에, 가이드 하우징과 가동 몸체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하여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을 삽입 후 회전하여 가동 몸체의 경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힘 전달 장치는 가이드 하우징, 가동부, 피동 유닛 조립체 및 덮개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직선 방향 운동을 직각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힘 전달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힘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 하우징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동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피동 유닛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피동 유닛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피동 유닛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3은 가이드 하우징을 설치부재의 설치 홀에 삽입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가이드 하우징의 양쪽에 덮개를 결합하여 설치부재에 가이드 하우징을 고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가이드 하우징에 가동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슬라이더를 구비한 연결축을 가이드 하우징을 통하여 가동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스프링 하우징을 가이드 하우징에 체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 내지 23은 피동 유닛 조립체의 피동체를 회전시켜 슬라이더를 가동부의 경사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힘 전달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힘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푸시 풀 타입으로 작용하는 힘의 전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직선 방향 운동을 직각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장치로서, 직교 캠-종동철 시스템(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가이드 하우징(10), 가동부(30) 및 피동 유닛 조립체(50)를 포함한다. 가이드 하우징(10)은 가동부(30)가 삽입되어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쪽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구비한다. 가동부(30)는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 설치되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 하우징(10)의 안내에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외측에 고정되고, 가이드 하우징(10)을 통하여 가동부(30)에 연결된다.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가동부(30)의 직선 운동에 따라 가동부(30)의 직선 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피동체(67)가 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설치부재(도 13의 70)에 가이드 하우징(1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덮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 상 가동부(30)에 힘이 작용하여 피동 유닛 조립체(50)가 동작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피동 유닛 조립체(50)에 힘을 작용하여 가동부(30)를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서로 수직 관계에 있는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XYZ 좌표계로 표현하면, X축, Z축 및 Y축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가이드 하우징(10)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가이드 하우징(10)은 제1 축 방향으로 양쪽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구비하는 관 형으로, 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설치 구멍(15)과 가이드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하우징(10)에 제1 축 방향으로 양쪽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구비하는 관 형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하우징은 한쪽만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관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설치 구멍(15)은 결합 구멍(16)과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을 포함한다. 결합 구멍(16)은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스프링 하우징(55)이 결합된다.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은 결합 구멍(16)과 연결되어 결합 구멍(16)의 제1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슬라이더(53)가 삽입되거나 분리된다. 결합 구멍(16)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스프링 하우징(55)이 나산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16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은 결합 구멍(16) 보다는 크기가 작으며, 결합 구멍(16)의 일측에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은 결합 구멍(16)의 중심을 지나도록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구멍(19)은 결합 구멍(16)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가이드 구멍(19)과 결합 구멍(16)의 중심은 가이드 하우징(10)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19)에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연결축(51)이 삽입되어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우징(10)은 연결축(5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설치 구멍(15)에 피동 유닛 조립체(50)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동작하고, 가이드 구멍(19)은 연결축(51)의 직선 방향의 이동만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가이드 하우징(10)은 설치 구멍(15)이 형성된 부분이 가이드 구멍(19)이 형성된 부분 보다는 두껍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하우징(10)이 피동 유닛 조립체(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 구멍(15)이 형성된 부분을 가이드 구멍(19)이 형성된 부분 보다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설치 구멍(15)과 가이드 구멍(19)이 형성된 부분을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 하우징(10)은 삽입되는 가동부(30)가 제1 축을 따라서 직선 방향으로 운동할 때,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축 방향으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면(1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는 원형의 곡면(14)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쪽에 회전 방지면(13)이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방지면(13)이 수평면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즉 타원면, 굴곡면, 다각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 방지면(13)은 가동부(3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과 아울러, 가이드 하우징(10)에 가동부(30)의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가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할 경우,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정 방향이 아닌 역 방향으로 삽입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 방지면(13)을 기준으로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하는 경우,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항상 정위치로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가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하우징(10)은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양쪽의 내측에 각각 회전 방지면(13)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회전 방지면(13)을 연결하는 면은 곡면(14)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회전 방지면(13)은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고, 곡면(14)은 설치 구멍(15)과 가이드 구멍(19)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방지면(13)이 가동부(30)의 정 위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 방지면(13)은 서로 다른 면적 또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0)은 양단부의 외측면에 덮개(20)가 체결될 수 있는 숫나사산(18)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가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더라도,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가동부(30)의 삽입 방향을 확인한 후 삽입을 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 구멍(15)을 중심으로 양쪽에 회전 방지면(13)이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 쌍의 덮개(20)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양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가이드 하우징(10)이 삽입되는 설치부재에 가이드 하우징(10)을 고정한다. 덮개(20)는 링 형상으로 내측에 가이드 하우징(10)의 숫나사산(18)에 대응되게 암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하우징(10)은 설치부재의 두께 보다는 길이가 통상적으로 길기 때문에, 설치부재의 두께에 따라서 가이드 하우징(10)에 체결되는 덮개(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한 쌍의 덮개(20)를 이용하여 가이드 하우징(10)을 설치부재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하우징(10)에 한 쌍의 덮개(2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 하우징(10)에 한 쌍의 덮개(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하우징(10)에 분리 결합할 수 있는 한 쌍의 덮개(20)를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한 쌍의 덮개(20) 중에 하나는 가이드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가동부(3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도 1의 가동부(30)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동부(30)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가동부(30)는 개방부(11)를 통하여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개방부(11)를 따라서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운동한다. 가동부(30)는 설치 구멍(15)에 대응되게 제2 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 구멍(35)이 형성되고 있다. 가동부(30)는 삽입 구멍(35)에 연통되며 제1 및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구멍(37)은 내측에 제1 축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9)을 갖는다.
이러한 가동부(30)는 가동 몸체(31)와 힘 전달체(34)를 포함한다. 가동 몸체(31)는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가이드 하우징(10)을 중심으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힘 전달체(34)는 제1 축 방향으로 가동 몸체(31)의 적어도 한 쪽에 구비되며, 가동 몸체(31)로 제1 축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가동 몸체(31)는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 몸체(31)의 외측면은 가이드 하우징(10)의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가동 몸체(31)의 외측면은 가이드 하우징(10)의 양쪽의 회전 방지면(13)에 접하는 한 쌍의 제1 접촉면(32)과, 가이드 하우징(10)의 곡면(14)에 접하는 한 쌍의 제2 접촉면(33)을 구비한다. 이때 제1 접촉면(32)으로 회전 방지면(13)에 대응되게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 접촉면(33)은 가이드 하우징(10)의 오목한 곡면(14)에 대응되게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몸체(31)에 삽입 구멍(35)과 슬라이드 구멍(37)이 형성되되, 삽입 구멍(35)은 마주보는 제2 접촉면(33)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슬라이드 구멍(37)은 마주보는 제1 접촉면(3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삽입 구멍(35)은 제1 축 방향으로 길게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축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게 가동부(30)가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즉 가동부(30)에 형성된 제1 축 방향으로의 삽입 구멍(35)의 길이가 가동부(30)의 1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의 길이를 결정한다.
가동 몸체(31)의 삽입 구멍(35)과 슬라이드 구멍(37)을 따라서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연결축(51) 및 슬라이더(53)가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 구멍(35)과 슬라이드 구멍(37)의 제1 축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다.
가동 몸체(31)의 삽입 구멍(35)과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을 통하여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슬라이더(53)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가동 몸체(31)의 삽입 구멍(35)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된다.
가동 몸체(31)는 삽입 구멍(35)을 통하여 슬라이드 구멍(37) 안으로 삽입된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슬라이더가 삽입 구멍(35) 및 슬라이드 구멍(37)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삽입 구멍(35)과 슬라이드 구멍(37)이 중첩하는 영역에 구비한다. 이로 인해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연결축(51)에 슬라이더(53)를 설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된 가동 몸체(31)에 슬라이더(53)가 설치된 연결축(51) 부분을 삽입하여 가동 몸체(31)의 슬라이드 구멍(37)에 슬라이더(53)를 걸 수 있다.
슬라이드 구멍(37)은 V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V자형 구멍의 골 부분(38)이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 쪽을 향한다. 즉 슬라이드 구멍(37)은 마주보는 한 쌍의 경사면(39)을 구비할 수 있다. V자형 구멍은 골 부분(38)을 중심으로 왼쪽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39a)과,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경사면(39b)을 구비한다. 가동부(30)의 제1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더(53)는 한 쌍의 경사면(39)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가동부(30)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 구멍(37)의 골 부분(38)에 위치한다. 힘이 제1 축의 + 방향으로 작용하면, 슬라이더(53)는 제1 경사면(39a)을 타고 골 부분(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53)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에서 멀어진다. 작용했던 힘이 제거되면, 슬라이더(53)는 제1 경사면(39a)을 타고 골 부분(38)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힘이 제1 축의 - 방향으로 작용하면, 슬라이더(53)는 제2 경사면(39b)을 타고 골 부분(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53)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에서 멀어진다. 작용했던 힘이 제거되면, 슬라이더(53)는 제2 경사면(39b)을 타고 골 부분(38)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구멍(37)이 V자형 구멍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슬라이드 구멍(37)은 하나의 경사면(39)을 구비하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 구멍(37)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슬롯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 구멍(37)은 2 개의 슬롯이 서로 연결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힘 전달체(34)는 가동 몸체(31)의 제1 축 방향으로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대(41,42)를 매개로 설치되는 제1 힘 전달 블록(45)과 제2 힘 전달 블록(47)을 구비한다. 제1 힘 전달 블록(45)은 제1 연결대(41)를 매개로 가동 몸체(31)에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몸체(31)와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2 힘 전달 블록(47)은 제2 연결대(42)를 매개로 가동 몸체(31)에 연결된다. 이때 제2 연결대(42) 및 제2 힘 전달 블록(47)에는 핀 구멍(43,4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대(42) 및 제2 힘 전달 블록(47)의 핀 구멍(43,48)이 서로 동일선 상에 올 수 있도록, 제2 연결대(42)에 제2 힘 전달 블록(47)을 삽입한 후, 핀 구멍(43,48)에 체결 핀(49)을 삽입하여 제2 연결대(42)에 제2 힘 전달 블록(47)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 핀(49)을 이용하여 제2 힘 전달 블록(47)을 제2 연결대(42)에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힘 전달 블록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대(41,42)에 고정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힘 전달 블록(45,47)을 연결대(41,42)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동 유닛 조립체(5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9는 도 1의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단면도이다.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일측이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과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을 통하여 슬라이드 구멍(37)에 위치한 후 제2 축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에 걸리는 슬라이더(53)를 구비한다.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타측이 가이드 하우징(10)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선단에 피동체(67)가 구비되어, 가동부(30)의 제1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따라서 피동체(67)가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러한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연결축(51), 슬라이더(53), 스프링 하우징(55), 스프링(65) 및 피동체(67)를 구비한다.
연결축(51)은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 하우징(10) 및 가동부(3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결축(51)은 일단부가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 및 가이드 하우징(10)의 가이드 구멍(19)을 통하여 삽입되어 가이드 구멍(19) 밖으로 돌출된다. 연결축(51)은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가이드 하우징(10) 밖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더(53)는 연결축(51)의 일단에 가까운 쪽에 구비되며,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과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을 통하여 슬라이드 구멍(37)에 위치한 후 제2 축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에 걸린다. 이러한 슬라이더(53)는 연결축(51)과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축(51)에 연결된다. 슬라이더(53)는 삽입 구멍(35)과 슬라이드 구멍(37)이 중첩하는 영역에서 회전하여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에 접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길이가 결정된다.
스프링 하우징(55)은 연결축(51)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가이드 하우징(10)의 결합 구멍(16)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프링(65)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56)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56)은 피동체(67)의 제2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 시, 피동체(67)의 이동을 안내한다.
스프링(65)은 연결축(51)의 타단을 통하여 스프링 하우징(55)의 삽입 공간(56)에 삽입된다.
그리고 피동체(67)는 연결축(5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스프링(6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연결축(51)은 하단부에 슬라이더(53)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축(51)과 슬라이더(53)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연결축(51)은 슬라이더(53) 설치된 쪽의 반대쪽인 상단부에 피동체(67)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숫나사산(52)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51)은 슬라이더(53)를 중심으로 하단부보다는 상단부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51)에 스프링 하우징(55), 스프링(65) 및 피동체(67)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53)를 중심으로 연결축(51)의 상단부의 길이는 스프링 하우징(55)보다는 길이 보다는 길다.
피동체(67)는 연결축(51)의 숫나사산(52)에 대응되게 암나사산(68)이 형성된 체결 구멍(6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동체(67)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축(51)의 선단부에 체결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축(51)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피동체(67)는 연결축(51)의 선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스프링 하우징(55)은 하우징 몸체(57)와 체결부(62)를 구비한다. 하우징 몸체(57)는 관 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56)을 갖는다. 체결부(62)는 하우징 몸체(57)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하우징 몸체(57)의 삽입 공간(56)과 연결되는 연결축 삽입구멍(59)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 가이드 하우징(10)의 결합 구멍(16)에 체결될 수 있는 숫나사산(6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 삽입구멍(59)은 삽입 공간(56)의 내경 보다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 몸체(57)의 바닥면에는 스프링(65)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지지턱(63)이 형성된다.
스프링(65)으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65)은 스프링 하우징(55)의 삽입 공간(5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56)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다. 스프링(65)은 안쪽에 연결축(5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축(51)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다.
연결축(51)에 체결되는 피동체(67)의 하부면은, 스프링(65)이 스프링 하우징(55)의 스프링 지지턱(63)과 피동체(67)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65)의 외경을 포함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연결축(51)이 스프링 하우징(55)에 삽입 설치된다. 즉 연결축(51)의 선단부가 체결부(62)의 연결축 삽입구멍(59)을 통하여 삽입되어 하우징 몸체(57)의 삽입 공간(56)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더(53)가 체결부(62)의 연결축 삽입구멍(59)의 직경보다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연결축(51)은 슬라이더(53)에 의해 스프링 하우징(55)으로의 삽입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53) 위쪽의 연결축(51) 부분이 스프링 하우징(55)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 몸체(57)의 삽입 공간(56)에 스프링(65)을 삽입한다. 이때 스프링(65)의 안쪽에 연결축(51)이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축(51)의 선단부에 피동체(67)를 체결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스프링(65)은 피동체(67)와 스프링 하우징(55)의 스프링 지지턱(63) 사이에 구속된다. 연결축(51)의 선단부에 피동체(67)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53) 위쪽의 연결축(51) 부분은 스프링 하우징(55)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 돌출된 연결축(51)의 선단부에 피동체(67)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0)과 가동부(30)에 체결되기 전의 피동 유닛 조립체(50)는 스프링(65)이 스프링 지지턱(63)과 피동체(67) 사이에 위치하지만, 탄성적으로 지지되지는 않는다. 슬라이더(53) 위에 스프링 하우징(55)이 접촉된 상태일 때, 피동체(67)는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피동 유닛 조립체(50)를 가이드 하우징(10)과 가동부(30)에 체결하면, 스프링 가이드를 중심으로 슬라이더(53)를 포함한 연결축(51)의 하단부가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65)은 스프링 지지턱(63)과 피동체(67)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피동체(67)는 하단부가 스프링 하우징(55) 안쪽으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더(53)의 제2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피동체(67)가 스프링 하우징(55)의 삽입 공간(56)으로 삽입되거나 삽입 공간(56)에서 일부가 돌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다양한 기구, 예를 들어 푸시 풀 타입의 도어 록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힘 전달 블록(45,47)은 도어의 손잡이의 기능을 갖고, 피동 유닛 조립체는 래치 볼트 조립체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피동 유닛 조립체의 피동체가 래치 볼트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도 1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재(70)에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의 조립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가 설치될 설치부재(70)를 보여준다. 설치부재(70)는 제1 축 방향으로 가이드 하우징(10)이 삽입되는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축 방향으로 피동 유닛 조립체(5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피동 유닛 조립체 장착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에 피동 유닛 조립체 장착 구멍(73)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부재(70)는 도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재(70)의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에 가이드 하우징(10)을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이 피동 유닛 조립체 장착 구멍(73)을 향하도록, 가이드 하우징(10)을 설치부재(70)의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에 삽입한다. 가이드 하우징(10)의 양단부가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의 밖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덮개(2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결합하여 가이드 하우징(10)을 설치부재(70)에 고정한다. 즉 설치부재(70)의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71) 밖으로 돌출된 가이드 하우징(10)의 양단부에 각각 덮개(20)를 결합하여 가이드 하우징(10)을 설치부재(7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하우징(10)에 가동부(30)를 삽입한다. 즉 가이드 하우징(10)의 일측 개방부(11)를 통하여 가동부(30)를 삽입하여, 가동부(30)의 가동 몸체(31)를 가이드 하우징(10) 안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제2 힘 전달 블록(47)이 분리된 가동부(30)의 제2 연결대(42) 부분을 가이드 하우징(10)의 일측 개방부(11)를 통하여 삽입하여 가이드 하우징(10)의 타측 개방부(11)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돌출된 제2 연결대(42)에 체결 핀(49)을 이용하여 제2 힘 전달 블록(47)을 고정한다.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가이드 하우징(10)의 회전 방지면(13)에 가동부(30)의 제1 접촉면(32)이 향하게 위치를 정렬한 것으로,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될 가동부(30)의 위치를 쉽게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하우징(10)에 가동부(30)의 위치를 정렬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0)에 가동부(30)를 삽입할 때,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에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이 정렬되도록 삽입한다. 예컨대 슬라이드 구멍(37)이 V자형 구멍으로 형성된 경우, V자형 구멍의 골 부분(38)이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 쪽을 향하도록 가동부(30)를 가이드 하우징(10)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재(70)의 피동 유닛 조립체 장착 구멍(73)을 통하여 피동 유닛 조립체(50)를 삽입한다. 이때 서로 일치하게 위치가 정렬된 가이드 하우징(10)의 슬라이더 삽입 구멍(17)과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에 피동 유닛 조립체(50)의 슬라이더(53)를 삽입한다. 즉 슬라이더(53) 아래의 연결축(51) 하단부부터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을 통하여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으로 삽입된 후, 슬라이더(53)가 슬라이더 삽입 구멍(17)을 통하여 가동부(30)의 삽입 구멍(35)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하우징(55)을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스프링 하우징(55)의 체결부(62)를 가이드 하우징(10)의 결합 구멍(16)에 체결한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를 가동부(30)의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에 걸어줌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즉 먼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체(67)를 가이드 하우징(10)이 위치한 제2 축의 - 방향으로 눌러 슬라이더(53)를 삽입 구멍(35)과 및 슬라이드 구멍(37)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53) 아래의 연결축(51)의 하단부가 가이드 하우징(10)의 가이드 구멍(19) 밖으로 돌출될 때까지, 피동체(67)를 눌러 연결축(51)을 삽입한다. 이 경우 피동체(67)는 스프링(6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체(67)를 제2 축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시켜 가동부(30)의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체(67)에 작용했던 힘을 제거하면, 수축된 스프링(65)이 펴지면서 피동체(67)를 제2 축의 +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피동체(67)에 체결된 연결축(51)과 슬라이더(53) 또한 제2 축의 +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 구멍(37)의 경사면(39)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스프링(65)은 스프링 하우징(55)의 스프링 지지턱(63)과 피동체(67)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 구멍(37)의 골 부분(38)에 위치한다.
즉 가이드 하우징(10)에 가동부(30)가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하우징(10)과 가동부(30)에 형성된 슬라이더 삽입 구멍(17) 및 삽입 구멍(35)을 통하여 슬라이더(53)가 연결된 연결축(51)을 삽입 후 회전하여 가동부(30)의 경사면(39)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피동 유닛 조립체(50)를 가이드 하우징(10) 및 가동부(30)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쉽게 설치부재(70)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제1 및 제2 힘 전달 블록(45,47)에 제1 축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면, 가동부(30)는 힘이 전달되는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부(30)와 연동하여 피동체(67)가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즉 가동부(30)가 힘이 전달되는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동체(67)는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스프링 하우징(55) 안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푸시 풀 타입으로 작용하는 힘의 전달 방향, 즉 직선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힘을 전환하여 전달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가이드 하우징(10), 가동부(30), 피동 유닛 조립체(50) 및 덮개(2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직선 방향 운동을 직각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의 작동 예를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힘 전달 장치(100)는 가동부(30)에 슬라이드 구멍(37)이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동부(3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슬라이더(53)는 슬라이드 구멍(37)의 골 부분(38)에 위치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이 제1 또는 제2 힘 전달 블록(45,47)을 통하여 제1 축의 + 방향으로 작용하면, 가동부(30)는 가이드 하우징(10)을 따라서 제1 축의 +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53)는 제1 경사면(39a)을 타고 골 부분(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3)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에서 멀어진다. 피동체(67)는 제2 축의 -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스프링 하우징(55) 안으로 삽입된다. 피동체(67)의 스프링 하우징(55) 안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65)은 수축된다.
작용했던 힘이 제거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30)는 수축된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축의 ??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축된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53)는 제1 경사면(39a)을 타고 골 부분(38)으로 이동한다. 피동체(67)는 제2 축의 +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원래의 위치인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 돌출된다. 피동체(67)의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65)은 늘어나면서 이전의 형태로 복원된다.
반대로 힘이 제1 또는 제2 힘 전달 블록(45,47)을 통하여 제1 축의 - 방향으로 작용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30)는 가이드 하우징(10)을 따라서 제1 축의 -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53)는 제2 경사면(39b)을 타고 골 부분(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3)는 가이드 하우징(10)의 설치 구멍(15)에서 멀어진다. 피동체(67)는 제2 축의 -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스프링 하우징(55) 안으로 삽입된다. 피동체(67)의 스프링 하우징(55) 안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65)은 수축된다.
그리고 작용했던 힘이 제거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30)는 수축된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축의 +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수축된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53)는 제2 경사면(39b)을 타고 골 부분(38)으로 이동한다. 피동체(67)는 제2 축의 +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원래의 위치인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 돌출된다. 피동체(67)의 스프링 하우징(55) 밖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65)은 늘어나면서 이전의 형태로 복원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가이드 하우징 11 : 개방부
13 : 회전 방지면 14 : 곡면
15 : 설치 구멍 16 : 결합 구멍
16a : 암나사산 17 : 슬라이더 삽입 구멍
18 : 숫나사산 19 : 가이드 구멍
20 : 덮개 21 : 암나사산
30 : 가동부 31 : 가동 몸체
32 : 제1 접촉면 33 : 제2 접촉면
34 : 힘 전달체 35 : 삽입 구멍
37 : 슬라이드 구멍 38 : 골 부분
39 : 경사면 39a : 제1 경사면
39b : 제2 경사면 41 : 제1 연결대
42 : 제2 연결대 43 : 핀 구멍
45 : 제1 힘 전달 블록 47 : 제2 힘 전달 블록
48 : 핀 구멍 49 : 체결 핀
50 : 피동 유닛 조립체 51 : 연결축
52 : 숫나사산 53 : 슬라이더
55 : 스프링 하우징 56 : 삽입 공간
57 : 하우징 몸체 59 : 연결축 삽입구멍
61 : 숫나사산 62 : 체결부
63 : 스프링 지지턱 65 : 스프링
67 : 피동체 68 : 암나사산
69 : 체결 구멍 70 : 설치부재
71 : 가이드 하우징 장착 구멍 73 : 피동 유닛 조립체 장착 구멍
100 : 힘 전달 장치

Claims (16)

  1. 제1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한 쪽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하고, 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슬롯 형태의 설치 구멍과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를 따라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으로 운동하되, 상기 설치 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삽입 구멍에 연통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은 내측에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가동부;
    일측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과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위치한 후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경사면에 걸리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선단에 피동체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제1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따라서 상기 피동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피동 유닛 조립체;
    를 포함하는 힘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는,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구멍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일단에 가까운 쪽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과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위치한 후 상기 제2축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경사면에 걸리는 슬라이더;
    상기 연결축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결합 구멍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
    상기 연결축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연결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피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길게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의 제1 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과 슬라이더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일정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어 제2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안내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상기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면과, 상기 회전 방지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설치 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의 내측에 각각 회전 방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상기 회전 방지면을 연결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 구멍은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스프링 하우징이 결합되는 결합 구멍과, 상기 결합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결합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슬라이더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 삽입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결합 구멍과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설치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부분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삽입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의 제1 축 방향으로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삽입 구멍 및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는 가동 몸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가동 몸체의 적어도 한 쪽에 구비되며 상기 가동 몸체에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힘 전달체;
    를 포함하는 힘 전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몸체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상기 회전 방지면에 접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곡면에 접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구멍이 V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V자형 구멍의 골 부분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설치 구멍 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 안으로 삽입된 피동 유닛 조립체의 슬라이더가 상기 삽입 구멍 및 슬라이드 구멍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삽입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이 중첩하는 영역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전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양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이 삽입되는 설치부재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을 고정하는 한 쌍의 덮개;
    를 더 포함하는 힘 전달 장치.
KR1020150135649A 2015-09-24 2015-09-24 힘 전달 장치 KR10174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649A KR101740621B1 (ko) 2015-09-24 2015-09-24 힘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649A KR101740621B1 (ko) 2015-09-24 2015-09-24 힘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460A KR20170036460A (ko) 2017-04-03
KR101740621B1 true KR101740621B1 (ko) 2017-05-29

Family

ID=5858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649A KR101740621B1 (ko) 2015-09-24 2015-09-24 힘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6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769B1 (ko) 2010-09-07 2012-10-02 김영희 안전 도어록
KR101327413B1 (ko) 2010-08-27 2013-11-08 김영희 힘 전달기구
KR101327412B1 (ko) 2012-02-24 2013-11-08 김영희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13B1 (ko) 2010-08-27 2013-11-08 김영희 힘 전달기구
KR101185769B1 (ko) 2010-09-07 2012-10-02 김영희 안전 도어록
KR101327412B1 (ko) 2012-02-24 2013-11-08 김영희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460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3391B2 (ja) ブラインドファスナ用のリベット、それと関連する取付け工具およびそのようなリベットを取付けるための方法
US11261629B2 (en) Safety locking device
EP2606811B1 (en) Bending operation device for endoscope and the endoscope
KR102443072B1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JP6131103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US10799024B2 (en) Holding device for a front panel of a drawer
US10253889B2 (en) Gate valve
EP2169239B1 (en) Clamp
KR101740621B1 (ko) 힘 전달 장치
KR20110000582A (ko) 커플링 장치
US11605927B2 (en) Crimping handtool
KR102186601B1 (ko)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EP3809548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KR20190128872A (ko)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JP6445550B2 (ja) 電動歯ブラシハンドル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取り付けの方法
KR200483220Y1 (ko) 슬라이딩식 잠금장치 및 상기 슬라이딩식 잠금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펜
US20050044663A1 (en) Freely adjustable hinge devic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1259387B1 (ko) 토크 인가 및 해제 장치
CN109788966B (zh) 处置器具用旋转机构
CN209632868U (zh) 一种试孕纸卡壳在凸轮分割器上定位装置
CN217390860U (zh) 防抖的器械驱动组件以及机器人手术系统
CN116942259B (zh) 用于微创手术的手术器械
TWI687955B (zh) 具限位功能之開關組件
KR20170058646A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구 고정장치
KR200481739Y1 (ko) 창호잠금장치용 마운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