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01B1 -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01B1
KR102186601B1 KR1020190045100A KR20190045100A KR102186601B1 KR 102186601 B1 KR102186601 B1 KR 102186601B1 KR 1020190045100 A KR1020190045100 A KR 1020190045100A KR 20190045100 A KR20190045100 A KR 20190045100A KR 102186601 B1 KR102186601 B1 KR 10218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knob
shaft
universal joint
adjustm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174A (ko
Inventor
하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601B1/ko
Priority to US17/603,301 priority patent/US11967473B2/en
Priority to PCT/KR2020/095070 priority patent/WO2020214014A1/ko
Publication of KR2020012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정렬(align)하기 용이하고 노브가 원활하게 작동되는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지지하는 부품과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부품이 일체를 이루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제1패널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제1패널의 앞면에 설치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이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조절축을 탄성 지지(elastically support)하는 제1판스프링 구조와, 유니버설 조인트가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판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APPLIANCE HAVING KNOB ASSEMBLY}
본 발명은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정렬(align)하기 용이하고 노브가 원활하게 작동되는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에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노브가 구비된다. 특히 조리기기에 설치된 노브는 밸브 등에 연결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화구를 복수 개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경우, 화구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노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제조 과정에서의 치수 오차나 및 조립 과정에서의 조립 편차로 인해 복수 개의 노브가 가지런히 정렬되지 못하여, 외관을 헤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회전중심이, 패널 외부에 설치되는 노브의 회전중심이 정확히 정렬되지 않으면, 노브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밸브의 위치와 관계 없이 노브의 위치가 프론트 패널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 노브 조립체 구조를 제안되었다. 제안된 구조에 따르면, 밸브에 연결되는 밸브 축과, 노브에 연결되는 노브 축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구조에 따르면, 유니버설 조인트를 지지하는 부품은 프론트 패널의 뒷면에 고정 설치되고, 노브를 지지하는 구조는 프론트 패널 전방에 설치되어 있어서, 유니버설 조인트나 밸브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노브 조립체의 거의 모든 부품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노브의 정렬이 한층 쉬워지기는 하였으나, 유니버설 조인트를 지지하는 부품과 노브 축을 지지하는 부품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 부품들이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의 조립과 정렬 작업이 여전히 까다로운 면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543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 노브를 정위치에 정확히 정렬하며 조립할 수 있는 노브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회전중심과 밸브의 회전중심이 어긋나더라도 노브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노브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간편한 노브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지지하는 부품과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부품이 일체를 이루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제1패널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제1패널의 앞면에 설치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이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조절축을 탄성 지지(elastically support)하는 제1판스프링 구조와, 유니버설 조인트가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판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노브 조립체는 관통부(111)가 마련된 제1패널(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관통부(111)를 덮으며 상기 제1패널(11)의 앞면에 고정되는 브래킷(40)과, 상기 브래킷(40)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축지지부재(43)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조인트 지지부재(46)를 포함하는 지지정렬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와 브래킷(40)의 전방에서 상기 제1패널(11) 외부에는 노브(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에는 노브(2)의 둘레를 둘러싸는 노브링(6)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11)의 후방 공간에는, 밸브 조립체(8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7)는 상기 제1패널(11)의 후방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는 상기 밸브조립체(8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2)의 후방으로는 제1조절축(9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조절축(91)의 전방 단부는 상기 노브(2)에 연결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축(91)은 상기 노브(2) 및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축(91)은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삽입되어 상기 축 지지부재(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의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7)와 밸브(8)는 제2조절축(9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조절축(92)의 전방 단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2단부부재(76)에 연결되고, 제2조절축(92)의 후방 단부는 상기 밸브조립체(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축을 제1단부부재(75)에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소정 위치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축을 제1단부부재(75)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플랜지(461)와, 상기 플랜지(4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실린더(46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62)의 내경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실린더(46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축 연결부재(75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 연결부재(751)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삽입경사면(75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62)의 내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수용경사면(4623)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용경사면(4623)의 후방 단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경사면(7511)의 후방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초기 조립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은, 상기 제1패널(11)의 앞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제1부재(41)와, 상기 제1부재(4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링(6)과 고정되는 제2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1)는 상기 노브(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노브(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41)는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노브(2)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41)는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1)는 상기 제1부재(41)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체결부재(S)에 의해 상기 제1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브래킷(40)의 탈착이 편리하다.
상기 제1조절축(91)과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널보다 전방에서 노브(2)와 제1조절축(91)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축(91)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 제1지지면(441)에 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912)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 제2지지면(451)에 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소경부(91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축(91)을 축지지부재(43)에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대경부(912)와 소경부(913)는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부(9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축(91)을 축지지부재(43)에 끼우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상기 축지지부재(43)는, 상기 브래킷(4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44)와, 상기 브래킷(4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상기 제2지지부재(45)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두 지점을 가장 멀리 배치시킬 수 있는 방안일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1슬릿(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축(91)의 둘레를 지지하는 제2지지면(4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상기 제1조절축(91)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451)의 내경은, 상기 제1조절축(91)에서 상기 지지면(45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913)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판 스프링 구조가 구현되어, 제1조절축(91)을 정렬과 지지 효과가 더욱 커진다.
상기 조인트지지부재(46)에는, 상기 제1슬릿(47)과 다른 위치에서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2슬릿(4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조인트지지부재(46) 자체가 또 하나의 판 스프링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는 각각 제1지지면(441)과 제2지지면(451)이 마련되고, 제1지지면(441)의 내경이 제2지지면(451)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축지지부재(43)의 내주면은 상기 제2지지면(451)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구간(452)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제1조절축의 삽입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상기 제2조절축(92)은 상기 밸브(8)를 누른 누름 위치(P1)와, 상기 밸브(8)를 누르지 않은 누름 해제 위치(P2) 사이의 제1거리(D1)만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축(92)이 누름 해제 위치(P2)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단부부재(76)에 간섭되는 제3위치(P3)와,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상기 조인트지지부재(46)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4위치(P4) 사이의 제2거리(D2)만큼,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제2단부부재(76)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노브(2)와 제1조절축(91)은, 상기 제1거리(D1)와 상기 제2거리(D2)를 합한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더 긴 거리만큼, 상기 브래킷(40)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의 크기는 상기 유니버설조인트(7)의 크기보다 더 커서 관통부(111)를 통해 유니버설 조인트(7)를 넣고 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노브가 제1패널에 정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노브와 유니버설조인트를 하나의 브래킷으로 정렬하며 지지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가전기기의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브래킷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노브 조립체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적용된 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노브 조립체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밸브조립체를 생략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결합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에서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흡수되는 제1조절축과 제2조절축의 정렬 오차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유니버설 조인트가 노브 조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축과 제2단부부재의 회전중심선(C2)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축과 제1단부부재의 회전중심선(C1)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브래킷의 전방 사시도, 후방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조인트 지지부재와 제1단부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노브조립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브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조립체는 노브(2)를 회전하여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노브(2)를 회전하여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대표적인 가전기기로서는 가스레인지를 들 수 있다. 노브(2)의 회전 변위는 밸브(8)의 개방 정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즉 노브(2)의 회전각도가 클수록 밸브(8)가 더 많이 개방된다. 가스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밸브의 최초 개방 시, 상기 노브(2)를 축 방향으로 누르며 회전시켜야, 밸브(8)가 개방된다.
가전기기는 하우징(1)에 의해 그 대략적인 형태가 결정된다. 상기 하우징(1)의 앞면은 제1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은, 상기 제1패널(11)과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규정하는 제2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축방향(axis direction)은 조절축(9)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은 상기 축(axis)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원주 방향 또는 둘레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이라 함은 상기 축(axis)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브(2)와 밸브(8)를 관통하는 축을 따르는 두 방향에서, 밸브(8)로부터 노브(2)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frontward)이라 하고, 노브(2)로부터 밸브(8)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rearward)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과 후방을 가전기기를 기준으로 정의하자면, 가전기기를 조작할 때 사람이 접근하는 공간이 가전기기의 전방이라 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이라 할 수 있다.
위(up)라 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아래(down)라 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와 아래의 개념은, 실시예의 가전기기가 사용을 위해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별도의 부품을 이루고, 밸브(8)와 노브(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며 조립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패널(11)의 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브(2)들의 정렬을 매우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노브(2)와 밸브(8)를 연결하는 조절축(9)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제1패널(11)에는 복수 개의 관통부(111)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111)의 전방에는 각각 노브(2)가 설치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111)는 원형의 구멍일 수 있다. 관통부(111)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제1나사공(113)이 형성된다. 제1나사공(11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S)와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나사공(113)이 축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가 예시된다.
제1패널(11)에서 상기 관통부(111)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는 한 쌍의 제2나사공(114)이 마련된다. 제2나사공(11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S)와 체결될 수 있다.
제1패널(11)에서 상기 관통부(111)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는 임시정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시정렬홀(112)에 지지정렬부재(4)의 임시고정돌기(49)가 끼워짐으로써, 지지정렬부재(4)가 제1패널(11)에 임시 고정되고 임시 정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2나사공(114)과 임시정렬홀(112)이 관통부(111)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임시정렬홀(112)이 제2나사공(114)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 배치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제2나사공(114)과 임시정렬홀(11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상기 제1패널(11)보다 후방의 공간이면서,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는 밸브조립체(80)가 배치된다. 밸브조립체(80)는 조리기기의 밑면을 규정하는 제2패널(12)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조립체(80) 내부에는 밸브(8)가 내장된다. 밸브(8)의 전방에는 제2조절축(92)이 설치된다.
제2조절축(92)은 밸브조립체(80) 내부에 내장된 탄성체(83)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제2조절축(92)은, 탄성체(83)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누름 해제 위치(P2)와, 상기 탄성체(8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제2조절축(92)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누름 위치(P1) 사이에서 제1거리(D1)만큼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제2조절축(92)이 후방으로 눌려 누름 위치(P1)에 있게 되면, 상기 밸브(8)와 상기 제2조절축(92)은 회전방향으로 서로 구속된다. 그러나 상기 제2조절축(92)이 누름 해제 위치(P2)에 있게 되면, 상기 제2조절축(92)과 밸브(8)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조절축(92)을 누름 위치(P1)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밸브(8)가 조절되지만, 제2조절축(92)이 누름 해제 위치(P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조절축(92)을 회전시켜도 밸브(8)는 조절되지 않는다.
제2조절축(92)의 전방 단부는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2단부부재(76)에 연결된다.
유니버설 조인트(7)는 조절축(9)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70)와, 실린더부재(7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제1단부부재(75)와, 실린더부재(70)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제2단부부재(76)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70)에 대해 제1단부부재(75)와 제2단부부재(76)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두 단부부재(75, 76)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77)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77)는 두 단부부재(75, 7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두 단부부재(75, 76)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1단부부재(75)는 조절축(9)의 축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두 축(C1, Q1; 도 8 및 도 9 참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설치된다. 두 축(C1, Q1) 역시 서로 수직을 이룬다. 제2단부부재(76)는 조절축(9)의 축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두 축(C2, Q2; 도 8 및 도 9 참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설치된다. 두 축(C2, Q2) 역시 서로 수직을 이룬다.
반면, 제1단부부재(75)는, 조절축(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대해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구속된다. 그리고 제2단부부재(76)도, 조절축(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대해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구속된다.
상기 제2조절축(92)의 전방 단부에는, 제2회전방향 구속형상(921), 소위 D컷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단부부재(76)에도 상기 제2조절축(92)의 D컷 형상을 수용하는 D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부부재(75)에는 제1조절축(9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조절축(91)의 후방 단부에는,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911), 소위 D컷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부부재(75)에도 상기 제1조절축(91)의 D컷 형상을 수용하는 D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조절축(91)의 전방 단부에는 노브(2)가 연결된다. 노브(2)는 제1패널(11)보다 앞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노브(2)를 회전시켜 제1조절축(91)에 가해지는 회전력(torque)은, 상기 실린더 부재(70)를 거쳐 상기 제2단부부재(76)에 전달된다.
상기 제1조절축(91)과 유니버설 조인트(7)는 지지정렬부재(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정렬부재(4)는 제1패널(11)의 앞면에 접하며 고정되는 원판 형상의 브래킷(40)을 구비한다. 브래킷(40)은 상기 제1패널(11)의 관통부(111)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정렬부재(4)는, 상기 브래킷(40)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44) 및 상기 브래킷(40)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45)를 포함하는 축지지부재(43)를 구비한다. 축지지부재(43)는 상기 관통부(111)를 관통한다.
상기 축지지부재(43)에는 상기 제1조절축(91)이 관통한다. 상기 축지지부재(43)는 상기 제1조절축(91)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제1조절축(91)의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한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는 조인트 지지부재(46)가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회전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상기 제1단부부재(75)를 지지한다.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단부부재(75)의 위치는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지지된다.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소정의 위치(P4)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조인트 지지부재(46)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접근하여,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지지되며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제4위치(P4)에 있고, 상기 제2조절축(92)이 누름 해제 위치(P2)에 있을 때, 상기 제1단부부재(75)와 상기 제2단부부재(76)는 축방향으로 제2거리(D2)만큼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1단부부재(75)가 상기 제4위치(P4)로부터 가장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거리는,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과 같다.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제2단부부재(76)와 맞닿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조립체(80)의 탄성체(83)의 스프링상수보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탄성체(77)의 스프링상수가 더 낮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2)를 후방으로 눌러 제1단부부재(75)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조절축(92)이 제1거리(D1)만큼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상기 제2단부부재(76)와 먼저 맞닿게 된다.
상기 브래킷(40)은 상기 제1패널(11)의 앞면에 맞대어진 채로 상기 제1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은 상기 제1패널(11)과 맞닿아 고정되는 제1부재(41)를 포함한다. 제1부재(41)는 상기 축지지부재(4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1)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는 제2부재(4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재(42)는 노브링(6)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노브링(6)은 상기 제2부재(42)의 앞에서 상기 제2부재(42)에 고정된다. 노브링(6)의 내주면(62)은 상기 노브(2)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노브(2)의 위치를 규제한다. 상기 노브링(6)의 내주면(62)은, 상기 노브(2)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노브링(6)의 내주면(62)은 상기 노브(2)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노브(2)는 제1조절축(91)의 전방에서 상기 제1조절축(91)의 전방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노브(2)는 상기 제1조절축(91)과 고정되어, 상기 제1조절축(91)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1조절축(91)과 일체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제4위치(P4)로부터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노브(2) 역시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만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노브(2)가 후방으로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노브(2)가 회전하면, 밸브(8)는 조절되지 않는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노브(2)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구조가 적용된다.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제1패널(11)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3)와, 상기 노브(2)의 뒷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스토퍼(3)와 간섭되는 제2스토퍼(23)를 포함한다. 노브(2)가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스토퍼(23)는 제6위치(P6)에 위치한다. 제2스토퍼(23)가 제6위치(P6)에 있으면, 상기 제2스토퍼(23)와 제1스토퍼(3)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섭된다. 노브(2)가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상기 노브(2)가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만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제2스토퍼(23)와 상기 제1스토퍼(3)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2)를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만큼 후방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노브(2)를 회전시켜 밸브(8)를 조절할 수 있다.
노브 조립체에서 상기 노브(2)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D3)는 제1거리와 제2거리의 합(D1+D2)과 같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된다.
[유니버설 조인트]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7)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축(91)과 제2조절축(92)이 동일 축 상에서 정렬되고, 두 축(91, 92)이 기준 거리(L0)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 조립체(80)와 노브(2)의 상대적인 위치가 편차가 발생함에 따라, 도 5의 (b), (c), (d) 및 (e)와 같은 형태의 정렬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두 축(91, 92)이 거리 오차(l)가 발생한 거리(L1)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의 (c)에는 두 축(91, 92)의 축의 중심이 편심(e)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의 (d)에는 두 축(91, 92)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k)만큼 기울어진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e)에는, 두 축(91, 92)이 거리 오차(l)가 발생한 거리(L1)만큼 이격 배치되고, 두 축의 중심이 편심(e)되고, 두 축(91, 92)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k)만큼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의 유니버설 조인트(7)는 이러한 오차를 모두 흡수하고, 제1조절축(91)의 회전 동작이 제2조절축(92)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해준다.
유니버설 조인트(7)는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70)를 포함한다.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70)의 일측은 개방된 형태의 개방단부(71)를 이루고, 타측은 막힌 형태의 마감단부(72)를 이룬다. 마감단부(72)의 중앙부에는 관통홀(721)이 뚫려 있다. 실린더 부재(70)의 둘레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슬롯(73, 7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슬롯(73)은 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 쌍의 제2슬롯(74)은 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 쌍의 제1슬롯(73)을 포함하는 평면과, 한 쌍의 제2슬롯(74)을 포함하는 평면은, 실린더 부재(70)의 중심축에서 서로 직교한다. 제2슬롯(74)은 제1슬롯(73)보다 마감단부(72)를 향해 더 길게 연장된다.
제2단부부재(76)는 상기 개방단부(71)를 통해 상기 실린더 부재(70) 내부에 삽입된다. 제2단부부재(76)는 대략 원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 연결부재(761)와, 상기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드축(76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2슬라이드축(762)은 한 쌍의 제2슬롯(74)에 끼워진다. 제2슬롯(74)의 폭은 제2슬라이드축(762)의 직경과 대응한다. 상기 제2축 연결부재(761)는 상기 마감단부(72)의 관통홀(721)을 통해 노출된다. 관통홀(721)의 내경은 제2축 연결부재(761)의 외경보다 커서, 실린더 부재(70)에 대한 제2단부부재(76)의 회전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허용한다.
제2단부부재(76)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개방단부(71)를 통해 압축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77)가 삽입되고, 제1단부부재(75)가 삽입된다. 제1단부부재(75)는 대략 원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 연결부재(751)와, 상기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드축(75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1슬라이드축(752)은 한 쌍의 제1슬롯(73)에 끼워진다. 제2슬롯(74)의 폭은 제2슬라이드축(762)의 직경과 대응한다. 상기 제1축 연결부재(751)는 상기 개방단부(71)를 통해 노출된다. 제1슬라이드축(752)에는 제1슬라이드축(752)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각 스토퍼(7521)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각 스토퍼(7521)는 상기 제1슬롯(73)의 내벽과 간섭되어, 제1단부부재(75)가 소정의 각도 범위를 넘어 회전하지 못하게 제한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70), 제1단부부재(75) 및 제2단부부재(76)는 사출 성형을 통해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축 연결부재(751)에는 제1조절축(91)의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911)과 대응하는 D홀이 구비된다. 상기 D홀은 금속 재질의 제1조절축(9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므로, 강도 보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금속 재질의 D형 통 형상의 제1보강인서트(754)가 D홀의 내주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제1보강캡(753)이 제1축 연결부재(751)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제1보강캡(753)은 제1축 연결부재(751)의 모든 길이방향을 다 덮지 않고, 선단부만 덮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구조는, 제2보강캡(763), 제2보강인서트(764)를 제2축 연결부재(761)에 인서트 사출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부재(75)와 제2단부부재(76)는 탄성체(77)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각각 제1슬롯(73)의 일측 단부와 제2슬롯(74)의 타측 단부까지 이동한 위치까지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부부재(75)와 제2단부부재(76)는 서로 간섭되는 위치까지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축(91)와 제2조절축(92) 간의 거리 오차{l; 도 5의 (a), (b), (e) 참조}는 유니버설 조인트(7)에 의해 흡수된다.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한 쌍의 제1슬라이드축(752)의 중심축(central axis)(C1)을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한 쌍의 제1슬라이드축(752)이 상기 제1슬롯(73)에 대해 서로 다른 거리(M1; 도 9 참조)만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의 실린더 부재(70)의 축과 제1슬라이드축(752)의 축(C1)에 모두 수직한 축(Q1; 도 8 참조)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단부부재(76)는, 한 쌍의 제2슬라이드축(762)의 중심축(central axis)(C2)을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부재(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부부재(76)는, 한 쌍의 제2슬라이드축(762)이 상기 제2슬롯(74)에 대해 서로 다른 거리(M2; 도 8 참조)만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단부부재(76)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의 실린더 부재(70)의 축과 제2슬라이드축(762)의 축(C2)에 모두 수직한 축(Q2; 도 9 참조)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7)는, 제1조절축(91)와 제2조절축(92) 간의 중심 정렬 오차{e; 도 5의 (a), (c), (e) 참조}와, 제1조절축(91)와 제2조절축(92) 간의 각도 정렬 오차{e; 도 5의 (a), (d), (e) 참조}를 정렬할 수 있다.
[노브-제1조절축]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노브(2)는 노브부재(20)를 구비한다. 노브부재(20)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1)를 구비하고, 원통형의 외주면(22)을 구비한다. 노브부재(20)의 이면 중앙부에는 제1조절축(91)이 연결된다. 노브부재(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1조절축(91)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노브부재(20)의 뒷면은 전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2스토퍼(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패널(11)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3) 역시 노브부재(20)의 후방에 마련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노브부재(20)와 제1조절축(91)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되고, 제1조절축(91)과 유니버설 조인트(7)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노브(2)를 조립할 때, 제1패널(11)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지지정렬부재(4)의 축지지부재(43)로 제1조절축(91)을 삽입하여, 제1조절축(91)과 유니버설 조인트(7)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조절축(91)은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에 억지 끼움(press fitted) 될 수 있다. 노브(2)를 분리할 때에는, 노브(2)를 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지지정렬부재(4)의 조인트 지지부재(46)가 유니버설 조인트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제1조절축(91)이 제1단부부재(7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노브부재(20)와 제1조절축(91)이 억지 끼움 되고, 제1조절축(91)과 유니버설 조인트(7)는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면 노브(2)를 조립할 때, 지지정렬부재(4)의 축지지부재(43)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된 제1조절축(91)의 전방 단부에 노브부재(2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노브(2)를 분리할 때에는, 노브(2)를 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지지정렬부재(4)의 조인트 지지부재(46)가 유니버설 조인트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노브부재(20)가 제1조절축(9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노브부재(20)와 연결되는 제1조절축(91)은,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노브부재(20)와 결합되는 삽입부(915), 상기 삽입부(915)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912), 상기 대경부(912)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부(914), 상기 경사부(914)와 연결되고 상기 대경부(9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경부(913) 및 상기 소경부(913)의 형상의 일부를 D컷 한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911)을 포함한다.
[지지정렬부재-노브링]
이하 도 9 내지 도 13,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지지정렬부재에 대해 살펴본다.
지지정렬부재(4)는 상기 제1조절축(91)을 정렬하고 지지한다. 지지정렬부재(4)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판 스프링 구조에 적합한 재질이라 할 수 있다.
지지정렬부재(4)는 상기 제1패널(11)의 관통부(111)를 덮는 브래킷(40)을 포함한다. 브래킷(40)은 대략 원형 평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브래킷(40)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임시고정돌기(49)를 구비할 수 있다. 임시고정돌기(49)는 브래킷(40)의 중앙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널(11)의 임시정렬홀(112) 역시 관통부(111)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정렬부재(4)를 제1패널(11)에 고정하는 조립 과정 중 임시고정돌기(49)를 제1패널(11)의 임시정렬홀(112)에 끼워 넣었을 때, 지지정렬부재(4)가 임시정렬홀(112)에 매달린 구조가 되며, 지지정렬부재(4)의 자중에 의해 관통부(111)에 대한 지지정렬부재(4)의 임시 고정 위치가 상당히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지지부재(43)가 마련된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관통부(111)를 덮고 상기 관통부(111) 주변의 제1패널(11) 부위와 접하는 제1부재(41)가 마련된다. 제1부재(41)의 뒷면은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패널(11) 역시 앞면이 평평할 수 있다. 이는 지지정렬부재(4)가 임시정렬홀(112)에 매달린 상태에서, 지지정렬부재(4)가 임시정렬돌기(49)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지지정렬부재(4)의 자중이 지지정렬부재(4)의 임시 고정 위치를 상당히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부재(41)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1체결홀(410)이 마련된다. 제1체결홀(410)은 스크류(S)의 나사산 부위는 관통하고 스크류의 머리는 통과하지 못하는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홀(410)과 제1패널(11)의 제1나사공(113)이 정렬된 상태에서, 제1패널(11)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1체결홀(410)을 관통하여 스크류(S)를 제1나사공(113)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체결홀(410)은 4개 마련되는데, 축지지부재(43)의 상부이면서 축지지부재(43)보다 측방으로 벗어난 위치, 그리고 축지지부재(43)의 하부이면서 축지지부재(43)보다 측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제1체결홀(410)이 축지지부재(43)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작업자의 시야에 잘 들도록 하여 제1패널(11)에 대한 지지정렬부재(4)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제1부재(41)에는 개구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1)는 축지지부재(43)보다 상부이면서 상기 임시고정돌기(49)의 하부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시야에 잘 보인다. 개구부(411)를 통해서는 제1패널(11)의 제2나사공(114)이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패널(11)의 전방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411)를 통해 제1스토퍼(3)를 스크류(S)로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1)에는 서비스 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서비스 홀(412)은 제1부재(41)의 일측에 위치한다. 서비스홀(412)은 상기 관통부(111)와 마주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밸브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서비스홀(412)을 통해 밸브조립체(8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는 제2부재(42)가 마련된다. 제2부재(42)는 브래킷(4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부재(41)보다 두껍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42)의 뒷면은 상기 제1부재(41)의 뒷면이 반경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부재(41)의 뒷면과 제2부재(42)의 뒷면은 동일 평면을 구성할 수 잇다. 반면 제2부재(42)의 앞면은 제1부재(41)의 앞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부재(41)에서 상기 제1체결홀(410)이 형성된 부분의 주위에는, 제1부재(41)의 앞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두툼한 리브(413) 구조가 적용되어,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리브(413)는 상기 제2부재(42)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42)의 전방에는 링 형상의 노브링(6)이 결합될 수 있다. 노브링(6)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임시고정돌기(49)는 상기 제2부재(42)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부재(42)의 후방으로 돌출됨은 물론, 제2부재(42)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노브링(6)의 배면(63)에는 임시고정돌기(49)가 삽입되는 홈(631)이 형성될 수 있다. 임시고정돌기(49)와 홈(631)은 제2부재(42)와 노브링(6)을 정렬한다.
제2부재(42)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제2체결홀(4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체결홀(410)은 지지정렬부재(4)를 제1패널(11)에 고정하므로 좀 더 강한 고정을 위해 4개 구비되는 반면, 제2체결홀(420)은 노브링(6)을 고정하면 족하므로 3개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재(42)와 노브링(6)을 한번 고정한 뒤에는, 조립 과정이나 유지 보수 과정에서 더 이상 제2부재(42)와 노브링(6)을 분리할 상황이 없다. 또한 제2부재(42)와 노브링(6)의 고정 작업은 지지정렬부재(4)를 제1패널(11)에 고정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축지지부재(43)가 제2부재(42)와 노브링(6)의 고정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제2체결홀(420)은, 정확히 축지지부재(43)의 하부, 그리고 임시고정돌기(49)을 피하는 위치인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상부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2체결홀(420)보다 뒤쪽에는, 스크류(S)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부(422)가 마련된다. 노브링(6)의 배면에는 상기 제2체결홀(4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홈(632)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2부재(42)의 후방 공간으로부터 제2체결홀(420)을 통해 스크류(S)를 관통시켜 노브링(6)의 나사홈(632)에 나사 결합하면, 스크류의 머리부분은 함몰부(422)에 숨어, 제2부재(42)의 뒷면보다 더 뒤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부재(41)의 뒷면과 제2부재(42)의 뒷면은 제1패널(11)의 앞면에 밀착될 수 있다.
노브링(6)의 배면(63)은 상기 제2부재(42)의 앞면과 접할 수 있다. 노브링(6)의 외주면은 상기 제2부재(42)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제2부재(42)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브링(6)의 앞면과 외주면은, 외관을 위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의 내주면(62)은 실린더의 보어와 같은 형상으로서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노브부재(20)의 외주면(22)과 마주한다. 상기 노브링(6)의 내주면(62)은 노브부재(2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도, 노브부재(20)의 외주면(22)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노브링(6)이 제2부재(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부재(41)의 제1체결홀(410), 개구부(411) 및 서비스 홀(41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브(2)가 설치되면, 제1부재(41)는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지지정렬부재(4)의 중앙에 마련된 축지지부재(4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지지부재(43)는, 상기 제1부재(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44)와, 상기 제1부재(4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44)와 제2지지부재(45)는 매끈하게 연결되는 형태이다. 제1지지부재(44)의 내주면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축(91)의 대경부(912)와 대응하되, 그보다 아주 약간 큰 내경의 제1지지면(441)이 마련된다. 상기 제1지지면(441)은, 적어도 상기 제1조절축(91)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대경부(912)가 위치하게 되는 범위까지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5)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축(91)의 소경부(913)와 대응하되, 그보다 아주 약간 작은 내경의 제2지지면(451)이 마련된다. 제1조절축(91)에서 소경부(913)에 형성되는 축방향 범위는, 상기 제1조절축(91)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지지면(451)과 접하는 범위 이상일 수 있다.
제1지지면(441)과 대비하여, 제2지지면(451)의 전후 방향 범위는 더욱 좁다. 제2지지부재(45)와 조인트 지지부재(46)에는, 제2지지부재(45)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끝까지 절개된 형태의 제1슬릿(47)이 마련된다. 실시예에서는 축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양쪽에 한 쌍의 제1슬릿(47)이 형성된 구조가 예시된다. 제1슬릿(47)은 상기 제2지지부재(45)가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이 작용하도록 해준다. 제1조절축(91)의 소경부(913)가 상기 제2지지면(451)에 삽입되면, 제1슬릿(47)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재(45)는 상기 제2지지면(451)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45)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조절축(91)을 기준 위치에 정확히 정렬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지지부재(43)는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고, 전방으로는 노브 쪽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는 조인트 지지부재(46)까지 연장되어 그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며, 그 양측 단부에 제1지지면(441)과 제2지지면(451)이 마련되어 제1조절축(91)을 충분히 먼 두 위치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정렬부재(4)에 대한 제1조절축(91)의 정렬은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441)과 제2지지면(451) 사이에는, 제1지지면으로부터 제2지지면으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간(452)이 구비된다. 이러한 테이퍼 구간(452)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축지지부재(43)가 판 스프링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 구간(452)은 상기 제1조절축(91)이 상기 축지지부재(43)에 끼워지는 것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제1조절축(91) 역시, 대경부(912)에서 소경부(913)에 이르는 구간에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부(914)가 마련되므로, 제1조절축(91)을 축지지부재(43)에 끼우는 작업은 한층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는, 조인트 지지부재(46)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축지지부재(46)는,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61)와, 상기 플랜지(461)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462)를 구비한다.
실린더(462)의 내경은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축 연결부재(751)의 외경과 대응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린더(462)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미세하게 내경이 커지는 수용경사면(462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축 연결부재(751)의 제1보강캡(753)은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삽입경사면(7511)을 구비한다. 수용경사면(4623)의 후방 단부가 가지게 되는 수용경사면(4623)의 가장 큰 직경(N1)은 삽입경사면(7511)의 후방 단부가 가지게 되는 삽입경사면(7511)의 가장 큰 직경(N2)보다 아주 약간, 약 0.2mm 정도 크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축 연결부재(751)를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삽입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다. 그리고, 삽입이 이루어진 뒤에는, 제1축 연결부재(751)의 외주면이 실린더(462)의 내주면에 접한다.
상기 제1보강캡(753)과 삽입경사면(7511)의 구조는, 제2축 연결부재(76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보강캡(763)도,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삽입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2단부부재(76)가 전방에 배치되어 제1조절축과 결합되고, 제1단부부재(75)가 전방에 배치되어 제2조절축에 결합되도록 유니버설 조인트(7)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조절축은 제1단부부재와 체결되어야 하고, 제2조절축은 제2단부부재와 체결되어야 하도록, 유니버설 조인트에 방향성을 둘 수도 있다. 가령 제1조절축과 제2조절축의 직경을 달리 하거나,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911)과 제2회전방향 구속형상(912)이 서로 다른 형상이나 크기를 하면, 유니버설 조인트에 방향성이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의 실린더(462)에서 상기 제1슬릿(47)과 다른 위치에는 제2슬릿(48)이 형성되어 있다. 제2슬릿(48)은 축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상을 구비한다. 제2슬릿(48)은 조인트 지지부재(46)에만 형성되고, 축지지부재(43)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후방으로 트여진 절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슬릿(48)은 실린더(46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슬릿(48)은 실린더(462)에 하단부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슬릿(48)은 조인트 지지부재(46) 자체를 또 하나의 판 스프링 구조로 만들어준다. 제1슬릿(47)에 의해 작동하는 판 스프링 구조는 제2지지면(451)이 제1조절축(91)을 지지하고 정렬하도록 해주는 탄성을 제공한다. 반면 제2슬릿(48)은, 제2지지부재(45)와는 독립적인,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한 판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의 제1축 연결부재(751)가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의 실린더(462)의 보어 형상에 수용되면, 제2슬릿(48)에 의해 실린더(462) 부위가 벌어지는 탄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제2슬릿(48)이 벌어지는 현상은 축지지부재(43)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실린더(462)가 제1축 연결부재(751)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제2지지면(451)이 벌어져 제1조절축(91)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슬릿(48)에 의해 독자적인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지지부재(46)의 탄성은 상기 제1축 연결부재(751)를 지지한다. 제1축 연결부재(751)의 선단부에는 삽입경사면(7511)이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462)에는 수용경사면(4623)이 마련되므로, 제1축 연결부재(751)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실린더(462)에 더 깊이 삽입될수록 제1축 연결부재(751)의 위치가 정확히 정렬된다.
실린더(462)의 길이는, 제1축 연결부재(751)의 길이보다 더 길다. 상기 제1축 연결부재(751)의 삽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상기 실린더(462)의 단부에 닿을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실린더(462)의 길이가 제1축 연결부재(751)의 길이보다 더 짧게 하여, 제1축 연결부재(751)의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461)에 닿을 때까지, 제1축 연결부재(751)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노브 조립체의 조립]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노브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패널(12)의 전방에 제1패널(11)이 설치되고, 제2패널(12)에는 밸브 조립체(80)가 고정 설치되며, 밸브 조립체(80)에는 제2조절축(92)이 끼워진다. 제2조절축(92)은 밸브 조립체(80)에 끼워진 상태로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축(92)의 전방 단부에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2단부부재(75)가 끼워진다. 유니버설 조인트(7)의 방향성이 없는 경우에는, 제2조절축(92)의 전방 단부에 제1단부부재(74)가 끼워질 수도 있다.
지지정렬부재(4), 즉 브래킷(40)에는 노브링(6)이 체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제1패널(11)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제1패널(11)의 관통부(111)를 통해 제2지지부재(45)를 집어 넣으면서, 상기 제2지지부재(45)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4)를 끼운다. 유니버설 조인트(7)의 방향성이 없는 경우에는, 제2단부부재(75)가 조인트 지지부재(46)에 끼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브래킷(40)의 제2부재(42)의 후면에 마련된 임시고정돌기(49)를 제1패널(11)의 임시정렬홀(112)에 끼운다. 이어서 브래킷(40)의 제1부재(41)의 제1체결홀(410)과 제1패널(11)의 제1나사공(113)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스크류(S)를 사용하여 브래킷(40)을 제1패널(11)에 고정한다. 그러면 유니버설 조인트(7)는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정렬되고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제1부재(41)의 개구부(411)를 통해 노출되는 제1패널(11)의 제2나사공(114)에, 제1스토퍼(3)를 고정한다.
노브(2)는 제1조절축(91)과 조립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지지부재(44)를 통해 제1조절축(91)을 삽입하여 제1조절축(91)의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911)을 유니버설 조인트의 제1축 연결부재(751)에 억지 끼우면, 노브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제1조절축(91)을 억지 끼울 때, 제1단부부재(75)는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부부재(75)가 제2단부부재(76)와 맞닿으면서, 제1단부부재(75)와 제2단부부재(76)가 함께 후방을 밀릴 수 있다. 제1단부부재(75)가 제1거리(D1)와 제2거리(D2)의 합(D1 + D2)만큼 이동하면, 제1단부부재(75)는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조절축(91)을 더욱 후방으로 누르면, 제1조절축(91)이 제1축 연결부재(751)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다.
[노브 조립체의 유지 보수]
본 발명의 노브 조립체 구조는 이하 설명할 바와 같이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밸브 조립체(80)와 제2조절축(92)은 금속으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높다. 이에 반해, 유니버설 조인트(7)는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토션을 전달하는 등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지지정렬부재(4) 역시 유지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제1조절축(91)과 유니버설 조인트(7)의 움직임을 지지하므로,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지지정렬부재(4) 및/또는 유니버설 조인트(7)를 유지 보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노브(2)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노브(2)와 제1조절축(91)을 노브 조립체에서 분리한다. 유니버설 조인트(7)는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소정의 위치보다 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억지 끼워져 있던 제1조절축(91)은 제1축 연결부재(7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노브(2)와 제1조절축(91)을 분리하면, 제1부재(41)와 제1스토퍼(3)가 노출되므로, 스크류(S)를 풀어 제1스토퍼(3)와 지지정렬부재(4)를 제1패널(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정렬부재(4)를 유지보수하기 쉽다.
지지정렬부재(4)를 분리함으로써 노출되는 제1패널(11)의 관통부(111)를 통해 작업자는 유니버설 조인트(7)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111)의 크기가 유니버설 조인트(7)의 크기보다 더 크면, 유니버설 조인트(7)를 상기 관통부(111)를 통해 제1패널(11)의 전방으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7)의 유지 보수 역시 쉽다.
이처럼 실시예는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을 포함하는 하우징(1)의 해체 없이 조리기기의 전방 공간에서 노브 조립체를 간단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하우징(housing)
11: 제1패널(first panel)
111: 관통부(through opening)
112: 임시정렬홀(temporary alignment hole)
113: 제1나사공(first threaded hole)
114: 제2나사공(second threaded hole)
12: 제2패널(second panel)
2: 노브(knob)(조절부)(adjusting part)
20: 노브부재(knob member)
21: 손잡이(handle)
22: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제2스토퍼(second stopper)
3: 제1스토퍼(first stopper)
4: 지지정렬부재(support-alignment member)
40: 브래킷(bracket)
41: 제1부재(first member)
410: 제1체결홀(first mounting hole)
411: 개구부(opening)
412: 서비스 홀(service hole)
413: 리브(rib)
42: 제2부재(second member)
420: 제2체결홀(second mounting hole)
422: 함몰부(recess)
43: 축지지부재(shaft supporting member)
44: 제1지지부재(first supporting member)
441: 제1지지면(supportiin surface)
45: 제2지지부재(second supporting member)
451: 제2지지면(supporting surface)
452: 테이퍼 구간(taper sector)
46: 조인트 지지부재(joint supporting member)
461: 플랜지(flange)
462: 실린더(cylinder)
4623: 수용경사면(accommodating taper surface)
47: 제1슬릿(first slit)
48: 제2슬릿(second slit)
49: 임시고정돌기(temporary fixation boss)
6: 노브링(knob ring)
60: 링부재(ring member)
62: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63: 배면(rear surface)
631: 홈(groove)
632: 나사홈(threaded groove)
7: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70: 실린더 부재(cylinder member)
71: 개방단부(opening end)
72: 마감단부(closing end)
721: 관통홀(through hole)
73: 제1슬롯(first slot)
74: 제2슬롯(second slot)
75: 제1단부부재(first end member)
751: 제1축 연결부재(first shaft connecting member)
7511: 삽입경사면(tapered insertion surface)
752: 제1슬라이드축(first slide shaft)
7521: 회전각스토퍼(rotational angle stopper)
753: 제1보강캡(first enforcing cap)
754: 제1보강인서트(first ecforcing insert)
76: 제2단부부재(second end member)
761: 제2축 연결부재(second shaft connecting member)
762: 제2슬라이드축(second slide shaft)
763: 제2보강캡(second enforcing cap)
764: 제2보강인서트(second ecforcing insert)
77: 탄성체(spring)
8: 밸브(valve)(피조절부)(adjusted member)
80: 밸브조립체(valve assembly)
83: 탄성체(spring)
9: 조절축(adjust shaft)
91: 제1조절축(first adjust shaft)
911: 제1회전방향 구속형상(first rotational engaging shape)
912: 대경부(large diameter portion)
913: 소경부(small diameter portion)
914: 경사부(inclined portion)
915: 삽입부(insert portion)
92: 제2조절축(second adjust shaft)
921: 제2회전방향 구속형상(second rotational engaging shape)
S: 체결부재(스크류)

Claims (14)

  1. 관통부(111)가 마련된 제1패널(11);
    상기 관통부(111)를 덮으며 상기 제1패널(11)의 앞면에 고정되는 브래킷(40);
    상기 브래킷(40)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축지지부재(43);
    상기 관통부(111)와 브래킷(40)의 전방에서 상기 제1패널(11) 외부에 배치되는 노브(2);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고 상기 노브(2)의 둘레를 둘러싸는 노브링(6);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조인트 지지부재(46);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니버설 조인트(7);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후방에 배치된 밸브조립체(80);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삽입되어 상기 축 지지부재(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의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방 단부가 상기 노브(2)에 연결되고 후방 단부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2) 및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와 함께 회전하는 제1조절축(91); 및
    전방 단부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2단부부재(76)에 연결되고, 후방 단부가 상기 밸브조립체(80)에 연결되는 제2조절축(92);을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재(43)와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1슬릿(47)을 구비하고,
    상기 축지지부재(43)는, 상기 제1슬릿(47)이 형성된 구간으로서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단부에, 상기 제1조절축(91)의 둘레를 지지하는 제2지지면(451)을 구비하고,
    상기 축지지부재(43)에 상기 제1조절축(91)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면(451)의 내경은 상기 제1조절축(91)에서 상기 제2지지면(45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913)의 직경보다 더 작고,
    상기 조인트지지부재(46)는, 상기 제1슬릿(47)과 다른 위치에서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의 제2슬릿(48)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되 소정 위치보다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가전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고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플랜지(461)와, 상기 플랜지(4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실린더(462)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462)의 내경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의 내경보다 큰 가전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실린더(46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축 연결부재(75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 연결부재(751)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삽입경사면(7511)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462)의 내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수용경사면(4623)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경사면(4623)의 후방 단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경사면(7511)의 후방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가전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은, 상기 제1패널(11)의 앞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제1부재(41)와, 상기 제1부재(4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링(6)과 고정되는 제2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41)는 상기 노브(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노브(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41)는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노브(2)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41)는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부재(41)는 상기 제1부재(41)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체결부재(S)에 의해 상기 제1패널(11)에 고정되는 가전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축(91)과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가전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축(91)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 제1지지면(441)에 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912)와,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 제2지지면(451)에 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소경부(913)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912)와 소경부(913)는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부(914)에 의해 연결되는 가전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재(43)는, 상기 브래킷(4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44)와, 상기 브래킷(4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지지부재(46)는 상기 제2지지부재(45)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가전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재(43)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축(91)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451)이 마련되고,
    상기 축지지부재(43)의 내주면은 상기 제2지지면(451)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구간(452)을 구비하는 가전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축(92)은 상기 밸브조립체(80)의 밸브(8)를 누른 누름 위치(P1)와, 상기 밸브(8)를 누르지 않은 누름 해제 위치(P2) 사이의 제1거리(D1)만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제2조절축(92)이 누름 해제 위치(P2)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7)의 제1단부부재(75)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단부부재(76)에 간섭되는 제3위치(P3)와, 상기 제1단부부재(75)가 상기 조인트지지부재(46)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4위치(P4) 사이의 제2거리(D2)만큼, 상기 제1단부부재(75)는 상기 제2단부부재(76)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노브(2)와 제1조절축(91)은, 상기 제1거리(D1)와 상기 제2거리(D2)를 합한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더 긴 거리만큼, 상기 브래킷(40)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가전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111)의 크기는 상기 유니버설조인트(7)의 크기보다 더 큰 가전기기.
KR1020190045100A 2019-04-17 2019-04-1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218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00A KR102186601B1 (ko) 2019-04-17 2019-04-1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7/603,301 US11967473B2 (en) 2019-04-17 2020-04-16 Home appliance including knob assembly
PCT/KR2020/095070 WO2020214014A1 (ko) 2019-04-17 2020-04-16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00A KR102186601B1 (ko) 2019-04-17 2019-04-1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74A KR20200122174A (ko) 2020-10-27
KR102186601B1 true KR102186601B1 (ko) 2020-12-03

Family

ID=7283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00A KR102186601B1 (ko) 2019-04-17 2019-04-1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67473B2 (ko)
KR (1) KR102186601B1 (ko)
WO (1) WO2020214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431A (ko) 2020-11-27 2022-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WO2023022374A1 (ko) * 2021-08-20 2023-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1748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제조 공정에서 유닛셀과 폴딩 분리막 적층을 위한 서브 롤러 및 이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7175A1 (de) 1988-02-05 1989-08-09 Bauknecht Hausgeräte GmbH Drehknopf für Steuergeräte o. dgl.
US20190032921A1 (en) 2017-07-26 2019-01-31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06Y1 (ko) * 1996-10-14 1999-05-01 김광호 코크 어셈블리와 노브 연결 구조
KR200253012Y1 (ko) 2001-08-04 2001-11-23 주식회사 파세코 가스오븐레인지의 노브링 회전 방지 구조
US11635782B2 (en) * 2017-02-17 2023-04-2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231180B2 (en) * 2017-02-17 2022-01-2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EP3591495B1 (en) * 2017-02-17 2021-09-29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101912932B1 (ko) * 2017-02-22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18151571A1 (ko) * 2017-02-17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935249B2 (en) * 2017-02-1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KR102103016B1 (ko) * 2017-02-17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345514B2 (en) * 2017-02-22 2019-07-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and illuminated knob assembly
KR102106840B1 (ko) * 2017-02-22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3367003B1 (en) * 2017-02-22 2023-04-0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7175A1 (de) 1988-02-05 1989-08-09 Bauknecht Hausgeräte GmbH Drehknopf für Steuergeräte o. dgl.
US20190032921A1 (en) 2017-07-26 2019-01-31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and applian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74A (ko) 2020-10-27
US20220196245A1 (en) 2022-06-23
WO2020214014A1 (ko) 2020-10-22
US11967473B2 (en)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601B1 (ko)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CN109950083B (zh) 用于炉灶面的旋钮组件
US10508468B2 (en) Door lock chassis assembly
US8662102B2 (en) Apparatus for reducing knob wobble
CN110033979B (zh) 用于炉灶面的旋钮组件
CN110017515B (zh) 用于炉灶面的旋钮组件
US20150102031A1 (en) Misfueling Preventing Apparatus
KR100613711B1 (ko) 차량의 에어 벤트
US20070175098A1 (en) Housing for receiving a cable drum
JP6835981B2 (ja) 固定構造
US8429796B2 (en) Tilt hinge
EP2535604B1 (en)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having a terminal body with a transverse opening
US20210121907A1 (en) High-Pressure Washer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High-Pressure Washer
US9958807B1 (en) Toner cartridge
JP5809431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589439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EP3643862A1 (en) Hinge device
CN113227593A (zh) 用于装配至车身的车辆内部部件
WO2014136613A1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2006257659A (ja) 蝶番
JP2011153685A (ja) ヒンジ構造
JP6943831B2 (ja) 嵌合構造
KR10175889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 지지구조
US11796179B2 (en) Home appliance with knob assembly
KR102248002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