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711B1 - 차량의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711B1
KR100613711B1 KR1020040073951A KR20040073951A KR100613711B1 KR 100613711 B1 KR100613711 B1 KR 100613711B1 KR 1020040073951 A KR1020040073951 A KR 1020040073951A KR 20040073951 A KR20040073951 A KR 20040073951A KR 100613711 B1 KR100613711 B1 KR 10061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topper
damper
front duc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048A (ko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711B1/ko
Priority to US11/195,816 priority patent/US7575510B2/en
Publication of KR2006002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의 회전범위를 스토퍼로써 감지하여 댐퍼의 개폐를 위한 노브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퍼를 탄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조작력을 고르게 전달하며, 작동감이 우수한 차량의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벤트는 전면에 좌 ·우 및 상 ·하로 회동되며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윙을 갖는 프론트 덕트와, 상기 프론트 덕트의 후측에 연결되며, 내면에 에어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리어 덕트와, 상기 프론트 덕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댐퍼를 작동하고, 측면에 통공을 형성한 노브와, 상기 노브의 통공에 대응되는 프론트 덕트에 형성되고, 탄동되며 노브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벤트, 프론트 덕트, 리어 덕트, 댐퍼, 노브, 스토퍼

Description

차량의 에어 벤트{air-vent of a automobile}
도 1은 종래 에어 벤트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 벤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에어 벤트 11,111: 노브
12,112: 댐퍼 23,123: 프론트 덕트
24,124: 리어 덕트 150: 통공
200: 각도 제한부 210: 하우징
220: 코일 스프링 230,260: 스토퍼
240,270: 스토퍼홈 250: 토션 스프링
251: 핀 252: 고정돌기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의 회전범위를 스토퍼로써 감지하여 댐퍼의 개폐를 위한 노브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퍼를 탄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조작력을 고르게 전달하며, 작동감이 우수한 차량의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 벤트(air vent)는 실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의 에어 토출수단으로서, 전면의 윙을 조절하여 에어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를 개폐하여 에어의 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 벤트(10)는 전면에 좌 ·우 및 상 ·하로 회동되는 윙(25)을 갖는 프론트 덕트(23)와, 내측에 댐퍼(12)를 갖는 리어 덕트(24)를 앞뒤로 결합하고, 댐퍼(12)의 개폐작동을 위한 수단들을 프론트 덕트(23)의 저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조작수단인 노브(11)는 프론트 덕트(23)의 저면 앞쪽으로 배치되면서 스크류로 체결되는 동시에 와셔(22)로 마감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에어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는 수단인 댐퍼(12)는 리어 덕트(24)의 내측으로 배치되면서 양단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댐퍼(12)의 한쪽 축(26)에는 제 1링크(16)가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축과 함께 동작될 수 있게 되고, 노브(11)의 후단부 일측에는 홀(27)이 형성되어 이곳에 제 2링크(18)의 한쪽이 핀(17a)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제 2링크(18)의 다른 한쪽은 제 1링크(16)와 핀(17b)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2링크(18)는 길이중간이 한번 절곡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절곡형태로 인해 노브(11)와 댐퍼(12) 간의 조립상의 높이 차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브(11)의 회전 조작력은 제 2링크(18)와 제 1링크(16) 간의 링크운동을 통해 댐퍼(12)로 전달되어 댐퍼(12)가 열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11)의 뒷쪽으로는 둘레면을 일부를 절개하여 만든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이동궤적 내에는 프론트 덕트(23) 벽면에 형성되는 스토퍼(20)가 위치되어 노브(11)의 조작범위를 위의 70°범위 내에서 제한한다.
특히, 상기 홈(19)의 양측과 스토퍼(20)에는 서로 맞걸릴 수 있는 걸림턱(21a,21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노브(11)를 어느 한쪽 끝까지 조작하면, 각 걸림턱(21a,21b)이 서로 맞걸려지면서 이때의 노브(11) 위치를 구속할 수 있게 되므로, 댐퍼(12)의 열림 및 닫힘 각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벤트는 프론트 덕트의 측면에 형성된 스토퍼를 원호 형상인 노브의 홈 내부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나, 스토퍼의 마모시 노브의 회전각도를 쉽게 조절하거나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댐퍼의 개폐를 위해 일정 각도로 상 ·하 또는 좌 ·우 회전되는 노브의 회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스토퍼를 스프링에 의해 탄동되게 구비하며, 스프링의 탄성도 조정으로 노브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고, 조작력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우수한 작동감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 벤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좌 ·우 및 상 ·하로 회동되며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윙을 갖는 프론트 덕트와, 상기 프론트 덕트의 후측에 연결되며, 내면에 에어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리어 덕트와, 상기 프론트 덕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댐퍼를 작동하고, 측면에 통공을 형성한 노브와, 상기 노브의 통공에 대응되는 프론트 덕트에 형성되고, 탄동되며 노브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부로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 벤트를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써 상기 각도 제한부를 프론트 덕트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며, 일 끝단을 개방한 원형관 형상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끝단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동되며 통공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와,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며 스토퍼를 수용하여 댐퍼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통공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각도 제한부를 프론트 덕트의 측면에 중앙을 고정하며, 일단부를 통공의 내측면에 지지하여 축선에 대한 회전방향의 비틀림의 응력을 받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동되며 통공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와,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며 스토퍼를 수용하여 댐퍼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통공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 벤트(110)는 전면에 윙을 갖는 프론트 덕트(123)와 내측에 댐퍼(112)를 갖는 리어 덕트(124)가 앞뒤로 결합되고, 댐퍼(112)를 회전시키며 리어 덕트(124)를 개폐하기 위한 노브(11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윙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지된 것으로 한다.
상기 노브(111)는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면 전반부에 배치되면서 스크류로 체결되는 동시에 와셔(도시하지 않음)로 마감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에어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는 댐퍼(112)는 리어 덕트(124)의 내측으로 배치되면서 양단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댐퍼(112)의 한쪽 축에는 제 1링크(116)가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축과 함께 동작될 수 있게 되고, 노브(111)의 후단부 일측에는 제 2링크(118)의 일단이 핀(117a)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제 2링크(118)의 타단은 제 1링크(116)와 핀(117b)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노브(111)는 원형 판 형상으로 중앙에 통공(1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150)에 대응되는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면에는 노브(111)의 회전을 감지하며 마모시 저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는 각도 제한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 제한부(200)는 프론트 덕트(123)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며, 일 끝단을 개방한 원형관 형상인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끝단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 스프링(220)에 의해 탄동되며 통공(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230)와, 상기 노브(111)를 회전시키며 스토퍼(230)를 수용하여 댐퍼(11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통공(150)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노브(111)의 통공(150)에 대응되는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은 프론트 덕트(123)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 고, 별도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관 형상이고, 리어 덕트(124) 방향의 끝단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은 프론트 덕트(123)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코일 스프링(220)을 축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은 개방된 끝단부 내부에 스토퍼(230)를 삽입하여 코일 스프링(220)에 의해 탄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230)의 끝단은 통공(150)의 내주연과 접하며 노브(111)의 일정 각도 회전시 통공(150)의 내주연을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린다.
상기 스토퍼(230)는 끝단을 라운드(round)처리하여 통공(150)의 내주연과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마찰을 저감시킨다.
한편, 상기 통공(150)은 내주연에 한 쌍의 스토퍼홈(240)을 함몰 형성하여 스토퍼(2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홈(240)은 노브(111)의 회전시 리어 덕트(124) 내부에서 댐퍼(112)의 개폐되는 시점의 통공(150) 내주연 상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홈(240)은 일정한 외력에 의해 스토퍼(230)를 이탈시킬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밭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노브(111)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도 제한부(200)의 스토퍼(230)가 노브(111)의 통공(150)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스토퍼홈(240)에 안착되면서 댐퍼(112)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홈(240)은 통공(150)의 내주연에서 노브(111)의 조작범위를 70°로 제한하는 위치에 함몰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노브(111)를 어느 한쪽 끝까지 조작하면, 스토퍼(230)가 스토퍼홈(240)에 안착되며 노브(111) 위치를 구속할 수 있게 되므로, 댐퍼(112)의 열림 및 닫힘 각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30)는 코일 스프링(220)에 의해 탄동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노브(111)의 회전시 스토퍼홈(240)으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 벤트(110)는 프론트 덕트(123)와, 내측에 댐퍼(112)를 갖는 리어 덕트(124)가 앞뒤로 결합되고, 댐퍼(112)를 회전시키며 리어 덕트(124)를 개폐하기 위한 노브(111) 등으로 이루어짐은 도 3 및 도 4와 동일 구성요소이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때, 상기 노브(111)는 각도 제한부(200)에 의해 회전 각도를 구속받는다.
상기 각도 제한부(200)는 중앙 및 일단부를 프론트 덕트(123)의 측면에 고정하여 축선에 대한 회전방향의 비틀림 응력을 받는 토션 스프링(250)과, 상기 토션 스프링(25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토션 스프링(250)에 의해 탄동되며 통공(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260)와, 상기 노브(111)를 회전시키며 스토퍼(260)를 수용 하여 댐퍼(11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통공(150)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2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션 스프링(250)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의 가압력에 의해 비틀림 응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250)은 노브(111)의 통공(150)에 대응되는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에 핀(251)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250)의 일단부는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돌기(25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250)의 타단부는 일단부와 일정각도 벌어져 있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250)의 타단부에는 스토퍼(260)가 삽입되어 있고, 그 끝단은 통공(150)의 내주연과 접하며 노브(111)의 회전시 원호 궤적을 그린다.
또한, 상기 통공(150)의 내주연에는 한 쌍의 스토퍼홈(270)을 함몰 형성하여 스토퍼(26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과 아울러 노브(111)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홈(270)은 통공(150)의 내주연에서 노브(111)의 회전으로 댐퍼(112)로써 리어 덕트(124)를 완전히 개방 또는 밀폐하는 시점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60)는 토션 스프링(250)의 탄동에 의해 스토퍼홈(270)에 안착되거나 이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벤트는 스프링에 의해 탄동되는 스토퍼를 노브의 통공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내주연 상의 스토퍼홈에 안착되어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노브의 회전에 따른 댐퍼의 개폐동작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 조절로써 조작력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작동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전면에 좌 ·우 및 상 ·하로 회동되며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윙을 갖는 프론트 덕트(123)와, 상기 프론트 덕트(123)의 후측에 연결되며 내면에 에어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112)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리어 덕트(124)와, 상기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댐퍼(112)를 작동하고 측면에 통공(150)을 형성한 노브(111)와, 상기 노브(111)의 통공(150)에 대응되는 상기 프론트 덕트(123)에 형성되고 탄동되며 상기 노브(11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부(200)로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 벤트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한부(200)는 상기 프론트 덕트(123)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며, 일 끝단을 개방한 원형관 형상인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끝단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220)에 의해 탄동되며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230)와;
    상기 노브(111)를 회전시키며 상기 스토퍼(230)를 수용하여 상기 댐퍼(11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24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벤트.
  3. 전면에 좌 ·우 및 상 ·하로 회동되며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윙을 갖는 프론트 덕트(123)와, 상기 프론트 덕트(123)의 후측에 연결되며 내면에 에어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112)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리어 덕트(124)와, 상기 프론트 덕트(123)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댐퍼(112)를 작동하고 측면에 통공(150)을 형성한 노브(111)와, 상기 노브(111)의 통공(150)에 대응되는 상기 프론트 덕트(123)에 형성되고 탄동되며 상기 노브(11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 제한부(200)로 이루어진 차량의 에어 벤트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한부(200)는 중앙 및 일단부를 상기 프론트 덕트(123)의 측면에 고정하여 축선에 대한 회전방향의 비틀림 응력을 받는 토션 스프링(250)과;
    상기 토션 스프링(25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250)에 의해 탄동되며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스토퍼(260)와;
    상기 노브(111)를 회전시키며 상기 스토퍼(260)를 수용하여 상기 댐퍼(11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 상에 함몰된 한 쌍의 스토퍼홈(27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 벤트.
KR1020040073951A 2004-09-15 2004-09-15 차량의 에어 벤트 KR10061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51A KR100613711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의 에어 벤트
US11/195,816 US7575510B2 (en) 2004-09-15 2005-08-03 Vehicle air-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51A KR100613711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의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48A KR20060025048A (ko) 2006-03-20
KR100613711B1 true KR100613711B1 (ko) 2006-08-21

Family

ID=3603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951A KR100613711B1 (ko) 2004-09-15 2004-09-15 차량의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5510B2 (ko)
KR (1) KR100613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2450A (zh) * 2006-07-27 2009-09-02 国际汽车配件集团北美公司 提供扩散的通风口
KR100750313B1 (ko) * 2006-11-28 2007-08-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형 댐퍼
US7817430B2 (en) * 2007-06-12 2010-10-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irflow adjustment in an electronic module enclosure
US8113229B2 (en) * 2008-07-24 2012-02-14 Honda Motor Co., Ltd. Gear operated shut valve for a ventilation system
FR2960829B1 (fr) * 2010-06-04 2012-07-13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sortie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deflecteur
EP2400470B1 (en) * 2010-06-22 2013-06-0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Arrangement for closing an opening for the output and/or input of notes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9110492B2 (en) * 2013-04-30 2015-08-18 Global Ip Holdings, Llc Assembly having a soft-touch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ve position of a device which controls the flow of air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KR101409532B1 (ko) * 2013-06-05 2014-06-1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에어벤트의 듀얼 댐퍼 장치
KR102078983B1 (ko) * 2013-07-24 2020-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에어벤트
JP5892127B2 (ja) * 2013-08-28 2016-03-23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6185818B2 (ja) * 2013-10-22 2017-08-23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KR200474744Y1 (ko) * 2013-12-02 2014-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JP6381900B2 (ja) * 2013-12-05 2018-08-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開閉機構
JP6524410B2 (ja) * 2015-01-20 2019-06-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風向変更装置
DE102015118548B4 (de) * 2015-05-28 2017-05-0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mit einer Steuereinrichtung
KR101704916B1 (ko) * 2015-08-18 2017-0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듀얼댐퍼장치
JP6499609B2 (ja) * 2016-03-31 2019-04-10 しげる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レジスタ装置
US10160293B2 (en) * 2016-04-21 2018-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flow outlet
JP6858528B2 (ja) * 2016-10-13 2021-04-14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のダイヤルノブ装置
US10780765B2 (en) * 2017-06-08 2020-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friction ride plate for operating an airflow damper of a vehicle HVAC register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10919366B2 (en) 2017-08-15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adjustable air register
KR102394798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벤트의 노브 일체형 댐퍼 개폐 장치
KR102598528B1 (ko) * 2018-05-16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CN109649120B (zh) * 2018-12-29 2022-02-01 曼德电子电器有限公司 汽车空调气路控制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217U (ja) 1984-02-21 1985-09-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ダンパ−開閉装置
JPH0327545U (ko) * 1989-07-21 1991-03-19
KR970026090A (ko) * 1995-11-23 1997-06-24 전성원 자동차 실내 통기구 구조
KR19990020210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공기 조화시스템의 에어 노즐 장착구조
KR20040033850A (ko) * 2002-10-16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벤트그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654A (en) * 1992-06-30 1993-07-27 Siemens Automotive Limited Diffuser air outlet register
JP3019713B2 (ja) * 1994-02-21 2000-03-13 豊田合成株式会社 操作ノブの組付け構造
US5752877A (en) * 1996-02-28 1998-05-19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Popup A/C outlet
JP2000264051A (ja) 1999-03-19 2000-09-26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レジスタ
EP1291209B1 (en) * 2001-09-07 2005-11-09 Nihon Plast Co., Ltd. Ventilator
US20030079564A1 (en) * 2001-10-29 2003-05-01 Thiengtham Pete P. Variable length automotive gear shifter
JP2003341356A (ja) 2002-05-28 2003-12-03 Howa Kasei Kk レジスタにおけるダンパの開閉装置
KR20050017879A (ko) 2003-08-11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밴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217U (ja) 1984-02-21 1985-09-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ダンパ−開閉装置
JPH0327545U (ko) * 1989-07-21 1991-03-19
KR970026090A (ko) * 1995-11-23 1997-06-24 전성원 자동차 실내 통기구 구조
KR19990020210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공기 조화시스템의 에어 노즐 장착구조
KR20040033850A (ko) * 2002-10-16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벤트그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38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7952A1 (en) 2006-03-16
KR20060025048A (ko) 2006-03-20
US7575510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711B1 (ko) 차량의 에어 벤트
US9821631B2 (en) Air vent dial for automobile
US5069112A (en) Damper control arrangement
US20050048905A1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car air vents
WO2006085461A1 (ja) 扉開閉装置
EP3665023B1 (en) Air ventilator for an automobile
KR102186601B1 (ko)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20190046055A (ko) 가변형 에어벤트
US11173770B2 (en) Register
US7945991B2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CN115139755A (zh) 出风装置及包括其的车辆
KR10069355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KR20180049405A (ko) 자동차용 고감성 에어벤트
KR200490350Y1 (ko)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US7271358B2 (en) Switching hinge
KR101866043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CN110978960B (zh) 风向调整装置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4951236B2 (ja) 風向調整装置
JP4701023B2 (ja) ヒンジ構造
KR20190091756A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KR102106850B1 (ko) 자체텐션을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벤트
SE509916C2 (sv) Drivmekanism för spjället till en luftkonditioneringsanordning för fordon
KR100550613B1 (ko) 에어밴트 댐퍼구조
JPS5928887Y2 (ja) 車両用機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