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554B1 -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554B1
KR100693554B1 KR1020050122589A KR20050122589A KR100693554B1 KR 100693554 B1 KR100693554 B1 KR 100693554B1 KR 1020050122589 A KR1020050122589 A KR 1020050122589A KR 20050122589 A KR20050122589 A KR 20050122589A KR 100693554 B1 KR100693554 B1 KR 10069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knob
link
air v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구조에 의해 작동되게 함으로써,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상이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풀 클로즈(FULL CLOSE) 및 오픈 모드(OPEN MODE)가 스트로크의 끝단에 존재하여 승객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밴트 댐퍼에 있어서, 제 1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작동되는 제 1댐퍼, 상기 제 1덕트의 하측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제 2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댐퍼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부; 상기 덕트 하우징부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댐퍼를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노브; 상기 제 1댐퍼와 제 2댐퍼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부와 연결 설치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댐퍼, 덕트, 에어벤트, 노브, 링크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Air vent dampe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대한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덕트 11 : 제 1댐퍼
12 : 덕트 하우징부 12' : 제 2덕트
12a : 프론트 덕트 12b : 리어 덕트
12c : 제 2댐퍼 13 : 노브
14 : 볼 조인트 17 : 판스프링
20 : 링크부 22,24 : 제1,제2링크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상이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풀 클로즈(FULL CLOSE) 및 오픈 모드(OPEN MODE)가 스트로크의 끝단에 존재하게 함으로써, 승객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갖게한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벤트는 실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의 에어 토출수단으로서, 전면의 댐퍼를 조절하여 에어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를 개폐하여 에어의 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에어벤트 덕트를 조작하기 위한 종래의 작동구조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전면으로 설치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내측의 댐퍼와, 상기 노브의 조작력을 댐퍼로 전달하는 로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브의 돌출부가 상기 로드의 슬롯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댐퍼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벤트 댐퍼 작동구조는 노브 돌출부가 링크 홀을 움직이기 때문에 노브와 로드가 서로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노브 작동시 유격이 심하기 때문에 소음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 노브 작동시 로드 연결부위가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을 때에는 작동감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작동구조는 기구 구조상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평행해야만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상이한 가로방향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작동구조는 풀 오픈 모드(FULL OPEN MODE)가 중립 스트로크(STROKE) 상에 존재함으로써, 승객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없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상이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풀 클로즈(FULL CLOSE) 및 오픈 모드(OPEN MODE)가 스트로크의 끝단에 존재하여 승객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 1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작동되는 제 1댐퍼, 상기 제 1덕트의 하측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제 2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댐퍼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부; 상기 덕트 하우징부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댐퍼를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노브; 상기 제 1댐퍼와 제 2댐퍼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부와 연결 설치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의 외주면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는 노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와 제 1댐퍼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 1링크와 연결되는 슬롯공이 형성된 제 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의 일측에는 요철부와 면접촉되게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에 대한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1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덕트(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작동되는 제 1댐퍼(11)와, 상기 제 1덕트(10)의 하측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제 2덕트(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댐퍼(12c)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덕트(12')는 프런트 덕트(12a)와 리어덕트(12b)가 앞뒤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덕트 하우징부(12)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댐퍼(11,12c)를 작동 가능하도록 노브(13)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13)의 외주면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댐퍼(11)와 제 2댐퍼(12c) 사이에는 상기 노브(13)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부(20)는 노브(13)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13)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 1링크(22)와, 상기 제 1링크(22)와 제 1댐퍼(11)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되는 슬롯공(24a)이 형성된 제 2링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노브(13)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부(20)와 연결 설치되는 볼조인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13)의 일측에는 요철부와 면접촉되게 설치되는 판스프링17)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밴트 댐퍼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밴트 댐퍼가 풀 클로즈(FULL CLOSE)로 작동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 의해 노브(13)의 일측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13)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볼 조인트(14)가 상기 노브(13)의 작동과 연동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하향 작동된다.
상기 볼 조인트(1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볼 조인트(14)와 연결된 링크부(20)의 제 1링크(22)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 설치된 제 2링크(24)는 슬롯공(24a)을 통해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설치되되, 풀 클로즈(FULL CLOSE)로 작동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공(24a)의 일측에 상기 제 1링크(22)의 연결축(22a)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2링크(24)가 작동되지 않으며, 제 1댐퍼(11) 또한 작동되지 않아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시키게 되면, 첨부된 도 2a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댐퍼(11)와 제 2댐퍼(12c)모두 클로즈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던 차량용 에어밴트 댐퍼를 메인밴트만을 오픈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작동시킨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상태로 작동된 노브(13)를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13)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볼 조인트(14)가 상기 노브(13)의 작동과 연동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상향 작동된다.
상기 볼 조인트(1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볼 조인트(14)와 연결된 링크부(20)의 제 1링크(22)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 설치된 제 2링크(24)는 슬롯공(24a)(도 2a 참조)을 통해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설치되되, 메인밴트만을 오픈시키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공(24a)을 따라 상기 제 1링크(22) 연결축(22a)이 이동하여 상기 슬롯공(24a)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게 되면, 첨부된 도 2b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댐퍼(11)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 2댐퍼(12c)가 오픈 작동된다.
첨부된 도 2c는 제 1,2댐퍼(11,12c) 모두 오픈 작동되는 풀 오픈 모드(FULL OPEN MODE)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2b의 상태에서 노브(13)를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노브(13)가 회전되면서, 볼 조인트(14)의 일단부는 상향 작동되고, 상기 볼 조인트(14)와 연결된 제 1링크(2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작동된다.
상기 제 1링크(22)가 상기 볼 조인트(14)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제 1링크(22)와 연결된 제 2링크(24)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되, 상기 제 2링크(24)의 슬롯공(24a)(도 2a 참조)에 결합된 연결축(22a)이 슬롯공(24a)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 1댐퍼(11)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면, 제 1댐퍼(11)와 제 2댐퍼(12c) 모두 오픈되어 차 실내로 공기가 토출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밴트 댐퍼는 볼 조인트에 의해 노브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이 상이한 경우도 적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풀 크로스(FULL CLOSE) 및 오픈 모드(OPEN MODE)가 스트로크의 끝단에 존재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이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밴트 댐퍼에 있어서,
    제 1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작동되는 제 1댐퍼, 상기 제 1덕트의 하측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제 2덕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댐퍼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부;
    상기 덕트 하우징부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댐퍼를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노브;
    상기 제 1댐퍼와 제 2댐퍼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부와 연결 설치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외주면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노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와 제 1댐퍼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 1링크와 연결되는 슬롯 공이 형성된 제 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일측에는 요철부와 면접촉되게 설치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KR1020050122589A 2005-12-13 2005-12-13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KR10069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589A KR100693554B1 (ko) 2005-12-13 2005-12-13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589A KR100693554B1 (ko) 2005-12-13 2005-12-13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554B1 true KR100693554B1 (ko) 2007-03-14

Family

ID=3810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589A KR100693554B1 (ko) 2005-12-13 2005-12-13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5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64Y1 (ko) * 2015-10-26 2016-11-21 (주) 코스텍 차량용 에어벤트
CN106364284A (zh) * 2016-08-25 2017-02-01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模拟关节控制进行风门联动机构
EP3366503A1 (de) * 2017-02-23 2018-08-29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817A (ja) * 1989-03-14 1990-09-26 Nippondenso Co Ltd 内外気切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817A (ja) * 1989-03-14 1990-09-26 Nippondenso Co Ltd 内外気切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64Y1 (ko) * 2015-10-26 2016-11-21 (주) 코스텍 차량용 에어벤트
CN106364284A (zh) * 2016-08-25 2017-02-01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模拟关节控制进行风门联动机构
EP3366503A1 (de) * 2017-02-23 2018-08-29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0098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069355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KR100571755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086249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WO2024022143A1 (zh) 出风装置及包括其的车辆
US20200231022A1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CN113602060A (zh) 车辆通风口手动控制组件
US11173770B2 (en) Register
KR20024424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에어벤트 댐퍼
JPH10297247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作動装置
JP2004066839A (ja) 風向調整装置
CN209920994U (zh) 具有球口翻转驱动机构的空调出风口
KR100422844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4165219B2 (ja) 風向調整装置
JP3550738B2 (ja) 空気流路切替装置
KR101220977B1 (ko)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100764723B1 (ko) 차량의 에어밴트 댐퍼 작동구조
US20220250445A1 (en) Vehicle air vent apparatus with direct and indirect multifunction
KR100683568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309815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200280256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1016164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스위치
JPS6134166Y2 (ko)
JP4351018B2 (ja) 内外気切替え用ダンパ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