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613B1 - 에어밴트 댐퍼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밴트 댐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613B1
KR100550613B1 KR1020040004504A KR20040004504A KR100550613B1 KR 100550613 B1 KR100550613 B1 KR 100550613B1 KR 1020040004504 A KR1020040004504 A KR 1020040004504A KR 20040004504 A KR20040004504 A KR 20040004504A KR 100550613 B1 KR100550613 B1 KR 10055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vent
protrusion
ai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499A (ko
Inventor
이현동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6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밴트 댐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축을 갖으며 양측으로 회전되는 두 개의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를 작동시킬 수 있는 댐퍼노브를 형성하며, 상기 댐퍼노브의 조작을 상기 제1댐퍼 및 제2댐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 회전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에어덕트를 완만한 경사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댐퍼, 댐퍼노브, 에어밴트

Description

에어밴트 댐퍼구조{Structure of damper in air-vent}
도 1은 종래 에어밴트 댐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어밴트 110 : 댐퍼노브
120 : 댐퍼로드 130 : 댐퍼링크
140 : 제1댐퍼 150 : 제2댐퍼
본 발명은 댐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축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두 개의 댐퍼를 구비하여 에어밴트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에어 밴트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에어덕트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밴트 댐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나 히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덕트가 크래쉬패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토출하는 에어밴트가 상기 에어덕트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밴트는 상기 크래쉬 패드의 표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설치된 댐퍼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며, 상기 댐퍼는 조절손잡이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1은 종래 에어밴트 댐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소정위치에 에어밴트(2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벤트(20)의 내측에는 에어댐퍼(50)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댐퍼(50)를 동작할 수 있는 댐퍼노브(3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댐퍼(50)는 에어밴트(20)에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그 외측에는 러버(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댐퍼(50)는 댐퍼링크(40)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링크(40)는 상기 댐퍼노브(30)와 연결되어 댐퍼노브(30)의 조작에 따라 에어댐퍼(50)가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에어댐퍼(50)는 그 회전축이 중간부에 형성됨으로 상기 에어밴트(20)의 길이를 상기 에어댐퍼(50)가 회동될 정도의 충분한 길이로 형성해야 된다.
한편, 공기조화용 공기가 이동되는 에어덕트(미 도시)는 상기 에어밴트(20)와 동일 선상에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밴트(20)와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에어밴트(2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상기 에어덕트의 굴곡부가 급격하게 형성됨으로 공기조화용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송풍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에어밴트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제1댐퍼와 제2댐퍼를 형성하여 에어밴트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에어밴트에 연결되는 에어덕트의 설치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는 에어밴트 댐퍼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에어밴트와; 상기 에어밴트의 내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밴트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댐퍼와; 상기 에어밴트의 내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댐퍼가 개폐하는 일부를 제외한 타 부위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2댐퍼와; 상기 제1댐퍼 및 제2댐퍼를 회동되도록 조절하는 댐퍼노브와; 상기 댐퍼노브와 제1댐퍼 및 제2댐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댐퍼노브의 조작을 상 기 제1댐퍼 및 제2댐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댐퍼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 및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 및 제2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 내측에 형성된 제1고정공 및 제2고정공과; 상기 제2댐퍼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설치공 및 제2설치공과;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 내측에 형성된 설치돌기와; 상기 제1댐퍼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와; 상기 제2설치공에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상기 에어밴트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에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과; 상기 제2설치공에 대응되도록 링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되도록 제1연결공이 형성된 댐퍼링크와; 상기 댐퍼링크에 일 단이 연결되며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댐퍼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댐퍼 회전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에어덕트를 완만한 경사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소정위치에 에어밴트(10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밴트(100) 내측에 에어댐퍼(140, 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밴트(100)의 하단부에는 댐퍼노브(110)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노브(110)에 일 단이 연결된 댐퍼로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댐퍼로드(120)와 에어댐퍼(140, 150)를 연결하도록 댐퍼링크(130)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노브(11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원의 중심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밴트(100)에 형성되며, 일 측에는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로드(120)의 일 단에는 상기 댐퍼노브(110)의 결합공(112)에 대응하는 제1결합돌기(122)가 형성되고, 타 단에는 제2결합돌기(124)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링크(130)의 일 단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124)에 대응하는 제2연결공(134)이 형성되고, 타 단은 타원 형상의 제1연결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링크(130)는 상기 제1연결공(132)이 형성된 타 단부가 소정각도로 굴절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절부에는 링크돌기(13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댐퍼는 제1댐퍼(140) 및 제2댐퍼(150)로 구성되어 에어밴트(100)에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1댐퍼(140)는 상단에 제1고정돌기(144)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고정돌기(146) 및 연결돌기(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댐퍼(140)는 상기 제1고정돌기(144)와 제2고정돌기(146)를 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42)는 상기 절곡된 짧은 측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짧은 측의 단부에는 댐퍼편(1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150)는 상단에 제1설치공(15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설치공(1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댐퍼(150)는 상기 에어밴트(100)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설치공(152)은 에어밴트(100)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설치공(156)은 상기 댐퍼링크(130)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밴트(10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제1설치공(152)에 대응되도록 설치돌기(10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댐퍼(140)의 제1고정돌기(144)에 대응되는 제1고정공(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밴트(100)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1댐퍼(140)의 제2고정돌기(146)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제1댐퍼(140)의 연결돌기(14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호 형상의 슬릿(108)이 형성되며, 상기 댐퍼링크(130)의 링크돌기(136)가 관통되어 상기 제2댐퍼(150)의 제2설치공(156)에 설치되도록 통공(10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밴트 댐퍼구조의 결합을 살펴보면, 먼저, 에어밴트(100) 내측에 제1댐퍼(140)를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고, 제2댐퍼(150) 를 회동 가능하도록 가고정시킨 후, 상기 에어밴트(100)의 하측에서 댐퍼링크(1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댐퍼(140) 및 제2댐퍼(1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댐퍼(140)는 상기 에어밴트(100)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2댐퍼(150)는 상기 에어밴트(100)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는 에어밴트(1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상기 댐퍼링크(130)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댐퍼링크(130)는 댐퍼로드(120)의 일 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댐퍼로드(120)는 댐퍼노브(1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다시 말해, 에어밴트(100) 상부 내측에는 제1고정공(104)과 설치돌기(10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고정공(106)과 슬릿(108) 및 통공(109)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공(104)과 제2고정공(106)은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108)은 상기 제2고정공(106)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109)은 상기 슬릿(108)의 바깥쪽으로 형성되되, 상기 설치돌기(102)와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댐퍼(140)의 상단에는 제1고정돌기(144)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고정돌기(146)와 연결돌기(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144)는 상기 제1고정공(10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고정돌기(144)는 상기 제2고정공(106)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돌기(142)는 상기 슬릿(108)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150)의 상단에는 제1설치공(152)이 형성되고, 하단에 는 제2설치공(15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공(152)은 상기 설치돌기(1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설치공(156)은 상기 통공(109)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댐퍼링크(130)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댐퍼링크(130)는 일 단부가 소정각도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제2설치공(156)에 대응되도록 링크돌기(136)가 형성되어 상기 제2댐퍼(150)와 댐퍼링크(1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댐퍼링크(130)는 상기 에어밴트(100)의 슬릿(108)에 삽입된 연결돌기(142)에 대응되도록 일 단에 타원 형상의 제1연결공(132)이 형성되고, 타 단에는 제2연결공(134)이 형성된다.
상기 댐퍼로드(120)는 상기 제2연결공(134)에 대응되도록 일 단에 제2결합돌기(124)를 형성하고, 타 단에는 제1결합돌기(122)를 형성된다.
그리고, 댐퍼노브(110)는 상기 제1결합돌기(122)에 대응되도록 일 측에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에서 상술한 돌기들과 상기 돌기들에 대응되는 대응공들은 상호 바뀔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노브(110)는 에어밴트(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퍼노브(110)의 일 측에는 댐퍼로드(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댐퍼로드(120)의 타 단은 댐퍼링크(130)의 일 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퍼링크(130)의 타 단은 제1댐퍼(140)와 연결된다.
상기 댐퍼링크(130)는 타 단이 소정각도로 굴절 형성되며, 상기 굴절부에는 링크돌기(136)가 형성되어 상기 제2댐퍼(150)와 고정된다.
냉기 또는 온기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댐퍼노브(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댐퍼노브(110)가 상기 댐퍼로드(120)를 밀어 내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된 상기 댐퍼로드(120)는 상기 댐퍼링크(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링크(130)는 상기 제2댐퍼(150)와 고정되는 링크돌기(13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댐퍼링크(1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댐퍼(150)는 댐퍼링크(130)와 고정되었기 때문에 동일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어 에어밴트(100) 내 측에 형성된 차단턱(101)에 닿아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댐퍼(140)의 연결돌기(142)가 상기 댐퍼링크(130)의 제1연결공(132)과 연결되어 댐퍼링크(130)의 회전에 의해 제1댐퍼(140)가 회전하게 되어 에어밴트(100) 내 측에 형성된 차단턱(101)에 닿아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댐퍼(140)는 제1고정돌기(144)와 제2고정돌기(146)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댐퍼(140)의 연결돌기(142)는 에어밴트(100)에 형성된 슬릿(108)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슬릿(108)의 크기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댐퍼는 그 회전 영역이 적으므로 상기 에어밴트(10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밴트 댐퍼구조에 의하면, 댐퍼 회전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에어밴트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에어덕트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덕트를 완만한 경사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덕트를 완만한 경사로 설치함에 따라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에어밴트와;
    상기 에어밴트의 내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밴트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댐퍼와;
    상기 에어밴트의 내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댐퍼가 개폐하는 일부를 제외한 타 부위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2댐퍼와;
    상기 제1댐퍼 및 제2댐퍼를 회동되도록 조절하는 댐퍼노브와;
    상기 댐퍼노브와 제1댐퍼 및 제2댐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댐퍼노브의 조작을 상기 제1댐퍼 및 제2댐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밴트 댐퍼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댐퍼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 및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 및 제2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 내측에 형성된 제1고정공 및 제2고정공과;
    상기 제2댐퍼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설치공 및 제2설치공과;
    상기 제1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 내측에 형성된 설치돌기와;
    상기 제1댐퍼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와;
    상기 제2설치공에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상기 에어밴트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밴트에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과;
    상기 제2설치공에 대응되도록 링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되도록 제1연결공이 형성된 댐퍼링크와;
    상기 댐퍼링크에 일 단이 연결되며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댐퍼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밴트 댐퍼구조.
KR1020040004504A 2004-01-20 2004-01-20 에어밴트 댐퍼구조 KR10055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504A KR100550613B1 (ko) 2004-01-20 2004-01-20 에어밴트 댐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504A KR100550613B1 (ko) 2004-01-20 2004-01-20 에어밴트 댐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499A KR20050076499A (ko) 2005-07-26
KR100550613B1 true KR100550613B1 (ko) 2006-02-09

Family

ID=3726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504A KR100550613B1 (ko) 2004-01-20 2004-01-20 에어밴트 댐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27B1 (ko) * 2007-12-14 2014-1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499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88125A (ja) 空気通路切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2040800B1 (ko)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0747305B1 (ko) 외기 모드시 내기가 유입되는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KR100550613B1 (ko) 에어밴트 댐퍼구조
KR100736981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KR100728732B1 (ko) 에어벤트의 댐퍼도어 축 결합구조
ES2207421A1 (es) Acondicionador de aire.
JP2001088542A (ja) 空気吹出口装置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083992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90007164A (ko) 송풍조절장치
JP3507950B2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JP3799141B2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JP4951236B2 (ja) 風向調整装置
JPH09263123A (ja) ベンチレータ
KR100728727B1 (ko) 에어벤트의 댐퍼 구조
KR10059484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모드 전환장치
KR100419117B1 (ko) 차량용 밴트그릴장치
JP4396431B2 (ja) 空気通路切替え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154002Y1 (ko) 패키지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523580B1 (ko) 글로브 박스용 쿨 박스의 개폐구조
KR0113926Y1 (ko) 자동차 에어벤트루버노즐(Air vent Louver Nozzle)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0683568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0535984B1 (ko) 에어벤트의 댐퍼 회전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