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24B1 -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24B1
KR100839924B1 KR1020070010968A KR20070010968A KR100839924B1 KR 100839924 B1 KR100839924 B1 KR 100839924B1 KR 1020070010968 A KR1020070010968 A KR 1020070010968A KR 20070010968 A KR20070010968 A KR 20070010968A KR 100839924 B1 KR100839924 B1 KR 10083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ir vent
vehicle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래
설환수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구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날개를 지지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누기 및 휘슬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공기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회동축이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 상기 날개의 양측 후방에 돌출된 고정돌출부;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돌출부를 구속하도록, 그의 회전궤적에 배치된 탄발지지구를 가지는 탄발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010968
에어벤트, 댐퍼, 로드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송풍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송풍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랴용 에어벤트의 요부인 연동로드 일측 탄성고정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상부날개 11b : 중앙날개
11c : 하부날개 13 : 고정돌출부
20 : 홀더부 21 : 탄발지지부재
30 : 하우징 31 : 송풍구
40 : 외측케이스 49 : 송풍유로
50 : 댐퍼 53 : 로드연동부
60 : 연동로드 62 : 탄성고정구
70 : 덕트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날개의 양측 후방에 돌출된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가 수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날개를 탄발지지하는 탄발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발생하는 소음발생,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시스템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공조시스템을 통하여 발생된 냉기 및 온기는 덕트를 통해서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설치된 공기 송풍구에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 송풍구를 통하여 유입된 냉기 및 온기의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송풍구에는 차량용 에어벤트가 설치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날개를 구비하고,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가 구비되며, 더욱이 상기 댐퍼를 개폐시키는 별도의 댐퍼노브가 구비된 외부형상이 장방형인 윙 타입(wing type)의 차량용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사용해 왔다.
또한, 상기 윙 타입(wing type)이 아닌 원형의 풀 클로즈 타입(Full close type)으로 단턱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송풍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단턱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를 구비함으로써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풍향을 조절하고,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풍량을 조절함은 물론이거니와, 송풍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댐퍼를 필요하지 않게 되어 댐퍼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단턱이 구비된 다수개의 날개가 회전됨에 따라 송풍구를 개폐시킬 수 있으나, 상기 날개가 수직상태로 상기 송풍구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이 되지 않고,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중 진동 등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며, 더욱이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별도의 댐퍼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송풍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에 의한 송풍이 완벽하게 차단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수직 및 수평날개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단위 부품이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며, 더욱이 이중으로 날개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넷째, 수직 및 수평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와 댐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댐퍼노브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풍향 및 풍량을 각각 조절을 해야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풍구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날개를 지지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누기 및 휘슬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공기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회동축이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 상기 날개의 양측 후방에 돌출된 고정돌출부;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돌출부를 구속하도록, 그의 회전궤적에 배치된 탄발지지구를 가지는 탄발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발지지구는 상기 날개가 수직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가 슬라이딩되어 탄발지지되는 반구형 돌기부와, 상기 반구형 돌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발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발지지부재는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탄발지지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날개에는 연동로드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동로드의 타단부에는 댐퍼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는 원주방향으로 세 개의 홈이 형성된 3등분 돌기로 형성되고, 결합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단턱이 구비된 탄성고정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는 상부날개, 중앙날개 및 하부날개의 세 개의 날개로 구비되고, 상기 날개들은 연동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연동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연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동링크의 연결부는 원주방향으로 세 개의 홈이 형성된 3등분 돌기로 구비되되, 결합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단턱이 구비된 탄성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송풍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송풍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랴용 에어벤트의 요부인 연동로드 일측 탄성고정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하우징(30), 홀더부(20), 날개(11), 고정돌출부(13), 댐퍼(50), 그리고 탄성지지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은 전면이 개방되어 공기 송풍구(31)가 형성되고, 외측 소정의 위치에 회동돌기부(33)가 원주면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케이스(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외측케이스(40)의 내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42)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테두리를 감싸는 외측케이스(40)는 전단 테두리부에 커버(43)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후단 테두리에는 실링부재(44)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44)가 구비됨에 따라 차량의 공조시스템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의 통로인 덕트(도 5의 70)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에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과 외측케이스(40) 사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4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0)을 회동시키면 상기 다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42)이 상기 하우징의 회동돌기부(33)에 안내되어 클릭감을 가지고 회동된다.
한편,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하우징(3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날개(11)는 상기 홀더부(20)에 회동축(18)이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날개(11)는 상기 하우징(30)의 송풍구(3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부날개(11a), 중앙날개(11b) 및 하부날개(11c)로 각각 구 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날개(11)의 양측 후방에는 고정돌출부(13)가 회동축(18) 방향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은 소정의 위치에 각각 링크연동부(12)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연동부(12)에는 연동링크(14)의 탄성고정구(14a)가 삽입되어 상기 연동링크(14)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회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송풍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날개(11b)는 상기 홀더부(20) 중앙에 결합된 탄성지지부재(21)를 통하여 상기 홀더부(20)에 결합되고, 일측 소정의 위치에 로드연동부(1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날개(11b)의 로드연동부(16)에는 연동로드(60)가 연결되며, 상기 연동로드(60)에 의해 중앙날개(11b)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는 댐퍼(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댐퍼(50)는 상기 외측케이스(40)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연동로드(60)가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드 연결부(53)에는 상기 연결힌지(55)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힌지(55)의 연결홀(56)을 통하여 상기 연동로드(6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댐퍼(50)는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로드(60)에 의해 연결되는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테두리를 감싸는 밀폐부재(52)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측케이스(40)의 내부 소정의 위치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댐퍼(50)가 본체(51)의 테두리를 감싸는 밀폐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52)에 의해 상기 외측케이스(40)의 내측 송풍유로(49)를 폐쇄할 경우, 폐쇄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동로드(60) 양측에는 각각 상기 중앙날개(11b) 및 댐퍼(50)와 연결되는 탄성고정구(62) 및 연결볼(6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고정구(62)는 원주방향으로 세 개의 홈이 형성된 3등분 돌기로 구비되되, 결합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63)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63)의 일단에는 단턱(6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고정구(62)가 경사면(63)과 단턱(64)을 구비함으로써 조립시, 상기 경사면(63)을 따라 탄성을 가지고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턱(64)에 체결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볼(66)은 상기 댐퍼(50)에 결합되는 연결힌지(55)의 연결홀(56)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로드(60)에 의해 연동되어 송풍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50)가 구비됨으로써 송풍구(31)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송풍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날개(11b)의 일측에 연결된 탄성고정구(62)와 상기 연동링크(14)의 탄성고정구(14a)가 3등분 돌기로 구비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재(21)는 상기 중앙날개(11b)의 회동축(18)이 상기 홀더부(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20)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돌출부(13)의 회전궤적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날개(11b)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13)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탄발지지구(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발지지구(23)는 상기 중앙날개(11b)가 수직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13)가 슬라이딩되어 탄발지지되는 반구형 돌기부(23a)와 상기 반구형 돌기부(23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발지지부재(21)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탄발지지구(23)는 상기 회동축(18)을 중심으로 상기 탄발지지부재(21)의 양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방향성이 없이 상기 중앙날개(11b)의 회동축(18) 양측 어디에나 결합되어 상기 중앙날개(11b)의 고정돌출부(13)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발지지부재(21)가 구비됨으로써 날개(11)가 수직상태로 송풍구(31)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되고, 더욱이 댐퍼(50)와 연동되어 상기 댐퍼(50)가 상기 외측케이스(40)의 내측 송풍유로(49)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 진동 등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작동상태는 날개들(11a, 11b, 11c)이 회동함에 따라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30)의 공기 송풍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아울러 상기 날개들(11a, 11b, 11c) 중 중앙날개(11b)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로드(60)에 의해 연결된 댐퍼(50)가 연동되어 외측케이스(40)의 송풍유로(49)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더욱이,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회동하여 수직에 가까워지면, 상기 날개들(11a, 11b, 11c) 중 중앙날개(11b)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13)가 그의 회전궤적에 배치된 탄발지지부재(21)의 탄발지지구(23)에 의해 상기 고정돌출부(13)를 구속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 즉 송풍구(31)를 폐쇄한 상태로 지지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구(31) 및 송풍유로(49)가 개폐되며, 특히 폐쇄시에 상기 고정돌출부(13)가 상기 탄발지지구(23)에 의해 구속되어 지지고정되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날개(11a)의 상단에 수직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상기 상부날개(11a)와 연동링크(14)에 의해 연결된 중앙날개(11b) 및 하부날개(11c)가 연동되되, 상기 중앙날개(11b)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돌출부(13)가 상기 탄발지지부재(21)의 탄발지지구(23)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중앙날개(11b)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로 드(60)와 연결힌지(55)에 의해 연결된 댐퍼(50)가 연동되어 회동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전방에 구비된 송풍구(31)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회동하여 수평에 이르렀을 때, 상기 날개들(11a, 11b, 11c) 중 상부날개(11a)의 일단부가 하우징(30)의 내측에 돌설된 스토퍼(35)에 의해 회동이 멈추게 되고, 이때 상기 날개들이 수평으로 회동됨으로써 송풍구(31)가 개방되고, 아울러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되는 상기 댐퍼(50)가 송풍유로(49)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날개(11a)의 일단에 수직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상기 상부날개(11a)와 연동링크(60)에 의해 연결된 중앙날개(11b) 및 하부날개(11c)가 수직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중앙날개(11b)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로드(60)와 연결힌지(55)에 의해 연결된 댐퍼(50)가 연동되어 회동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전방에 구비된 송풍구(31)가 폐쇄된다.
또한,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회동하여 수직에 이르렀을 때, 상기 중앙날개(11b)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돌출부(13)가 그의 회전궤적에 배치된 탄발지지구(23)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날개(11b)를 수직상태로 구속하여 지지고정시킨다.
더욱이, 상기 날개들(11a, 11b, 11c) 중 상부날개(11a)의 일단부가 외측케이 스(40)에 결합된 커버(43)에 의해 차량의 실내 측으로 회동되지 않으며, 이때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수직으로 회동됨에 따라 송풍구(31)가 폐쇄되어 상기 고정돌출부(13) 및 탄발지지구(23)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중앙날개(11b)와 연동되는 상기 댐퍼(50)가 송풍유로(49)를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공조시시템으로부터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들(11a, 11b, 11c)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댐퍼(50)가 연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구(31) 및 송풍유로(49)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유입 및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중앙날개(11b)의 고정돌출부(13)와 탄발지지부재(21)의 탄발지지구(23)에 의해 상기 송풍구(31)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에어벤트에서 발생하는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발지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날개들이 수직상태로 송풍구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중 진동 등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중앙날개와 연동로드에 의해 연동되어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송풍구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송풍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누기 및 휘슬(whist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연동링크에 구비된 탄성고정구와 연동로드 일측에 구비된 탄성고정구가 3등분 돌기로 구비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하우징과 외측케이스 사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동됨에 따라 클릭감을 가지게 되어 풍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공기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회동축이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
    상기 날개의 양측 후방에 돌출된 고정돌출부;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돌출부를 구속하도록, 그의 회전궤적에 배치된 탄발지지구를 가지는 탄발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지지구는 상기 날개가 수직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가 슬라이딩되어 탄발지지되는 반구형 돌기부와,
    상기 반구형 돌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발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지지부재는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탄발지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에는 연동로드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동로드의 타단부에는 댐퍼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는 원주방향으로 세 개의 홈이 형성된 3등분 돌기로 형성되고, 결합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단턱이 구비된 탄성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부날개, 중앙날개 및 하부날개의 세 개의 날개로 구비되고, 상기 날개들은 연동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연동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연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동링크의 연결부는 원주방향으로 세 개의 홈이 형성된 3등분 돌기로 구비되되, 결합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단턱이 구비된 탄성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070010968A 2007-02-02 2007-02-02 차량용 에어벤트 KR10083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968A KR100839924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968A KR100839924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24B1 true KR100839924B1 (ko) 2008-06-20

Family

ID=3977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968A KR100839924B1 (ko) 2007-02-02 2007-02-02 차량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895A (zh) * 2013-06-25 2013-11-13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出风口开闭结构
KR20190048008A (ko) * 2017-10-30 2019-05-09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풀 에어벤트 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140A (ja) 1997-12-24 1999-07-06 Howa Kasei Kk レジスタの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140A (ja) 1997-12-24 1999-07-06 Howa Kasei Kk レジスタの操作機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895A (zh) * 2013-06-25 2013-11-13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出风口开闭结构
CN103388895B (zh) * 2013-06-25 2015-12-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出风口开闭结构
KR20190048008A (ko) * 2017-10-30 2019-05-09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풀 에어벤트 노브
KR102001162B1 (ko) 2017-10-30 2019-07-17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풀 에어벤트 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118B1 (ko) 에어벤트 장치
KR101409532B1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듀얼 댐퍼 장치
CN105402874B (zh) 用于空调器的导风板组件及空调器
KR20050017879A (ko) 자동차의 에어밴트 개폐장치
CN111237869A (zh) 涡环发生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5631123B2 (ja) 空気調和機
KR10083992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10064475A (ko) 자동차용 도어의 에어 벤트 구조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625930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31447B1 (ko) 차량의 에어벤트
CN111720991A (zh) 蜗壳组件及风管机
CN114030337B (zh) 空调箱结构、空调器以及具有其的车辆
WO2022244056A1 (ja) 空調装置
KR20150030818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CN215675462U (zh) 空调器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219243738U (zh) 空调器
CN220186953U (zh) 一种出风方向可调的空调器
CN220624181U (zh) 一种壁挂式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619980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50613B1 (ko) 에어밴트 댐퍼구조
CN111089337B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