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431A -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431A
KR20220074431A KR1020200162937A KR20200162937A KR20220074431A KR 20220074431 A KR20220074431 A KR 20220074431A KR 1020200162937 A KR1020200162937 A KR 1020200162937A KR 20200162937 A KR20200162937 A KR 20200162937A KR 20220074431 A KR20220074431 A KR 2022007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knob
frame
rotation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431A/ko
Priority to US17/504,713 priority patent/US11796179B2/en
Publication of KR2022007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2Means for securing the members on rotatable spindles or the lik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정렬(align)하기 용이하고 노브가 원활하게 작동되는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지지하는 부품과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부품이 일체를 이루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제1패널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제1패널의 앞면에 설치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제1조절축이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조절축을 탄성 지지(elastically support)하는 제1판스프링 구조와, 유니버설 조인트가 정 위치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2판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APPLIANCE HAVING KNOB ASSEMBLY}
본 발명은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력을 조절하는 노브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저지 구조를 구비한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에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노브가 구비된다. 특히 조리기기에 설치된 노브는 밸브나 회전 센서 등에 연결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노브는, 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의 조리기기 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로 열을 발생시키는 하이라이트 방식, 그리고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용기에서 직접 발열을 일으키는 유도가열 방식 등의 조리기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화구를 복수 개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경우, 화구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노브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전기기 중 특히 조리기기의 경우, 노브가 열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므로, 노브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회전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노브는, 노브를 축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돌려야 노브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도 1과 도 2에는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노브 조립체 구조에 적용된 종래의 회전 저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조리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패널(10)에는 노브링(68)이 설치되어 있고, 노브링(68)은 노브(30)의 제1샤프트(41)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관(676)을 구비한다. 제1샤프트(41)가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샤프트(41)는 그 축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그 회전 중심(RC)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소정의 탄성체에 의해 축방향 전방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즉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누르면 노브(30)가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노브(3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노브(30)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는다.
노브링(6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서 상기 패널(10)에는 전방으로 락커(20)가 돌출된다. 상기 락커(20)의 전방 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2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후면에 마련된 후면부재(33)에는 상기 락커(20)가 수용될 수 있는 홀(34)이 마련된다. 상기 홀(34)은 상기 락커(20)가 상기 노브(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홀(34)의 외주에는, 상기 홀(34)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확장된 보스 홈(35)이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브(30)가 축방향 후방으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보스(21)는 상기 보스 홈(35)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는 보스(21)가 노브(30)의 후면부재(33)에 원주방향(둘레방향)으로 간섭되기 때문에, 노브(30)를 돌리려고 해도 노브(30)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30)를 돌리기 위해서는,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눌러 보스(21)가 노브(30)의 내부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노브(30)를 회전시켜야 한다.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눌러서 회전시키면, 보스(21)의 뒷면은 노브(30)의 후면부재(33)의 전면과 전후방향으로 간섭되므로, 노브(30)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즉 보스(21)의 뒷면과 노브(30)의 후면부재(33)의 전면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러한 종래의 노브 회전 저지 구조는, 락커(20)를 패널(10)에 고정해야 하고, 또한 노브(30)에 후면부재(33)를 설치해야 구현 가능하다. 이는 부품수의 증가와, 조립 공수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보스(21)의 뒷면과 후면부재(33)의 전면이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마찰로 인해 마모가 일어날 수 있으며, 회전시켰던 노브(30)를 초기 위치로 되돌릴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노브(3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보스(21)가 보스 홈(35)으로 갑자기 복귀하면서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노브 회전 저지 구조는, 락커(20)가 노브링(6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므로, 제품의 유지 보수를 위해 노브링(68)을 분해할 때, 먼저 락커(20)를 분리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2133283호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21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 노브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부품에 노브 회전 저지 구조를 구현하여, 부품수와 조립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노브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또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노브의 작동 중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노브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또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간편한 노브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브와 밸브의 위치 편차를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인트에 노브 회전 저지 구조를 마련하여 부품 수의 증가와 조립 공수의 증가를 방지한다.
상기 노브 회전 저지 구조는, 조리기기의 패널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노브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노브는 샤프트와 연결되어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거동하고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거동하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고정된 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회전부재에, 소정의 둘레방향 위치와 축방향 위치에서 상호 맞물리고, 상기 위치를 벗어나면 맞물리지 않는 회전저지부를 마련한다.
상기 노브를 축방향으로 누르면 회전저지부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소정의 둘레방향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있으면, 상기 회전저지부는 서로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탄성체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받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브의 축방향 위치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조인트를 이루는 구조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인트는, 가전기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인트는, 밸브와 노브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노브의 위치를 정확히 규제하고, 노브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노브 회전 저지 구조는, 이러한 프레임과 조인트에 마련됨으로써, 부품 수의 증가와 조립 공수의 증가를 방지하고, 노브 조립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는, 관통부가 마련된 패널,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노브 조립체, 및 상기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패널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패널의 관통부를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제1축방향 위치 및 상기 제1축방향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축방향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패널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노브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저지부는 상기 프레임과 회전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부는,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제1둘레방향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제1회전저지부와,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제2둘레방향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는 제2회전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와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가 서로 대응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 중심의 둘레 방향으로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와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의 둘레 방향으로 간섭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와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가 서로 대응하지 아니하는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탄성체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제2둘레방향 위치가 상기 프레임의 제1둘레방향 위치와 대응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제2둘레방향 위치가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회전저지홈이고,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저지돌기일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노브에 연결된 제1샤프트 및 상기 밸브에 연결된 제2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조인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샤프트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축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축연결부일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2샤프트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2축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연결부는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축연결부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축연결부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연결부와 상기 제2축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축연결부와 상기 제2축연결부를 서로 축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조인트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인트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마련되고 후방으로 개방된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실린더의 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수용되는 소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 위치와 상기 제2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소경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대경부의 전방 단부는 상기 제1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실린더의 후방 단부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의 후방에서 상기 소경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대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경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저지돌기일 수 있다.
상기 패널의 외부에는 상기 노브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노브링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과 접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서포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노브링은 상기 서포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노브링은 회전링을 통해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노브링이 노브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노브링에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은 아우터 회전링과 이너 회전링으로 분할된 부품이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과 접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노브링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링은 상기 노브링프레임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노브링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별도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 노브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부품에 노브 회전 저지 구조를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노브 회전 저지 구조는, 부품 수와 조립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노브 조립체는, 노브 회전 저지 구조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노브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른 부품의 유지 보수를 위해 노브 회전 저지 구조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노브의 후면부재와 락커로 노브 회전저지 구조를 적용한 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브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노브 조립체가 설치된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설치된 노브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노브 조립체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서포트프레임과 노브링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조인트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프레임과 조인트에서 회전 저지 구조가 적용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두 부품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샤프트와 프레임 일부와 조인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노브를 후방으로 눌러 제1샤프트를 제2축방향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에서 제1샤프트가 제2축방향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3의 상태에서 프레임과 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에서 노브를 후방으로 더 눌러 제1샤프트를 제2축방향 위치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2샤프트를 제4축방향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밸브를 개방한 뒤 노브를 후방으로 누르던 힘을 해제하여, 제2샤프트가 제4축방향 위치에 위치하고, 제1샤프트가 제2축방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프레임과 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제2실시예의 노브 조립체가 설치된 조리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노브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축방향이라 함은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전방이라 함은 상기 샤프트에서 축방향을 따라 노브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샤프트에서 축방향을 따라 밸브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반경방향이라 함은 상기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원심방향)이거나 상기 샤프트에 가까워지는 방향(구심방향)을 의미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원주방향이라 함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를 감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샤프트가 회전하는 방향과 상응함을 이해할 수 있다.
[조리기기]
가전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의 노브 조립체는, 가령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오븐의 상부에 쿡탑이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의 전면 상부에 마련된 패널(10)에 상기 노브 조립체(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노브 조립체(3)는, 노브링(68)이 디스플레이(69)를 구비하고, 노브(30)와 노브링(68)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브 조립체(3)를 이용하여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고, 노브 조립체(3) 자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69)에, 조리기기(1)의 현재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노브 조립체(3)로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므로, 상기 조리기기(1)의 패널(10)에는, 물리적 입력 버튼을 생략한 커다란 별도의 메인 디스플레이(11)를 설치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노브 회전 저지 구조가 적용된 제1실시예의 노브 조립체를 설명한다.
노브 조립체(3)는, 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30)를 구비한다. 노브(30)는 원형의 바디부(31)와, 상기 바디부(3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파지부(32)를 포함한다.
노브 조립체(3)는 샤프트(4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40)는,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 사이에는 조인트(50)가 설치된다. 조인트(50)는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 사이의 간격 편차를 흡수하고,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의 축의 중심이 서로 편심되거나 일렬로 정렬되지 아니하더라도 그 오차를 흡수하며, 상기 제1샤프트(41)의 회전력을 상기 제2샤프트(42)에 전달한다.
상기 제1샤프트(41)의 전방 단부는 상기 노브(30)의 회전 중심(RC)에 연결된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상기 노브(3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상기 노브(3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연결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상기 패널(10)에 형성된 관통부(12)를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상기 관통부(12) 부근에서 상기 패널(10)에 설치된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회전 중심(RC)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과, 상기 패널(1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은, 후술할 서포트프레임(61), 고정프레임(65) 및 관프레임(66)일 수 있다. 상기 패널(1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성은, 이너 회전링(63), 아우터 회전링(67) 및 노브링(68)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의 관통부(12)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패널(10)의 후면에 접하며 고정되는 서포트프레임(61)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프레임(61)에는 상기 패널(10)의 관통부(12)와 대응하는 원형 저널(612)이 마련된다. 상기 원형 저널(612)에는 이너 회전링(6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너 회전링(63)은 상기 원형 저널(612)에 삽입되는 원형관(631)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 회전링(63)은 상기 원형관(631)의 후방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링 형상의 플랜지(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632)의 직경은, 원형 저널(612)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이너 회전링(63)은, 상기 원형관(631)의 후방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6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633)은 상기 플랜지(632)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632)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원형 저널(612)의 내주면은, 상기 원형 저널(612)의 후방에서 상기 원형 저널(612)에 끼워진 상기 원형관(631)과 직/간접적으로 접하며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아암(63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와 상기 서포트프레임(61)은 한 쌍의 용수철(64)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회전링(63)은, 상기 한 쌍의 용수철(64)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가 초기 위치가 된다. 상기 이너 회전링(63)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용수철(64)의 탄성력이 서로 달라져, 상기 이너 회전링(63)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서포트프레임(61)의 후면에는, 상기 원형 저널(612)의 주변이 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안착면(613)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면(613)은 상기 플랜지(632)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613)은 상기 아암(633)과 대응하는 형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613)에서 상기 아암(633)과 대응하는 형상은 상기 아암(633)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613)은 흡사 나비넥타이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플랜지(632)는 상기 안착면(613)에 안착되어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아암(633)도 상기 안착면(613)에 안착되어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아암(633)은 상기 안착면(613)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면(613)의 내주벽에 간섭되며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632)의 가장자리에는 제1피센싱부(634)가 마련된다. 이는 플랜지(632)의 하단부에 마련된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서포트프레임(61)에서 상기 원형 저널(612)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제1피센싱부(634)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1센서(6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가령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서포트프레임(61)의 후방에서 상기 서포트프레임(61)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65)은 상기 서포트프레임(61)을 통해 상기 패널(10)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65)은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65)은 대략 상기 안착면(613)과 대응하는 나비넥타이 형태의 폐루프 형상의 외측부재(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65)은 상기 플랜지(632)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이너 회전링(63)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아암(633)은 상기 고정프레임(65)의 폐루프 형상의 내부에 수용되어 소정의 회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65)과 간섭되어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65)은, 그 중앙부에서 상기 외측부재(651)와 연결되는 내측부재(652)를 더 구비한다. 상기 내측부재(652)에는 상기 제1샤프트(41)과 관통할 수 있는 홀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고정프레임(65)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프레임(65)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관프레임(66)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프레임(66)은 상기 고정프레임(65)과 서포트프레임(61)을 통해 상기 패널(10)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프레임(66)은 상기 고정프레임(65)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관(661)과, 상기 연장관(661)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 실린더(66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662)는 상기 연장관(661)의 직경이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린더(662)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보어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는 노브의 회전 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회전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회전저지홈(663)일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홈(663)은 상기 실린더의 둘레방향을 따라 1개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패널(10)의 관통부(12)를 통하여 상기 이너 회전링(63)과 결합되는 아우터 회전링(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의 후면 중앙부는 상기 이너 회전링(63)의 전방 단부와 연결된다. 즉 상기 아우터 회전링(67)과 이너 회전링(63)은 상기 패널(10)을 사이에 두고 안팎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지지관(676)이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은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은 상기 제1샤프트(41)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노브링(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8)은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노브링(68)은 상기 아우터 회전링(67)과 개별 부품으로 제작된 후 조립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노브링(68)이 상기 아우터 회전링(67)과 일체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의 상부와 상기 노브링(68)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69)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9)는 기판(691), 상기 기판(691)을 상기 노브링(68)과 아우터 회전링(67)에 고정하는 기판하우징(692),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9)의 화면을 덮으며 보호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커버(69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회전링(63)과 아우터 회전링(67)과 노브링(68)은 일체로 조립되어 일체로 거동한다. 이너 회전링(63)은 서포트프레임(61)에 의해 회전방향과 축방향 전방으로 지지되고 고정프레임(65)에 의해 후방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이너 회전링(63)과 아우터 회전링(67)과 노브링(68)은 서포트프레임(61)과 고정프레임(65)에 의해 축방향으로, 그리고 회전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상기 패널(10)의 전방에서 상기 노브(30)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과 상기 관프레임(66)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66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된다.
상기 패널(10)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80)가 설치된다. 밸브(80)의 내부에는 조절피스(8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조절피스(81)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가스의 유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42)의 후방 단부는 상기 밸브(8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밸브(8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2샤프트(42)의 후방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키(43)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피스(81)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키(43)가 끼워질 수 있는 키홈(82)이 마련된다. 상기 키홈(82)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키(43)의 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다. 상기 키(43)는 키홈(82)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2샤프트(42)의 회전과 상기 조절피스(81)의 회전은 상호 연동한다. 상기 밸브스프링(83)은 상기 제2샤프트(42)가 상기 조절피스(8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밸브(80)가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제2샤프트(42)가 밸브스프링(83)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상기 제2샤프트(42)가 밸브(80)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제3축방향 위치; 도 11의 P3 참조)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80) 내부에서 키(43)가 밸브의 하우징과 둘레방향으로 간섭되어, 제2샤프트(42)가 회전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상기 밸브스프링(83)의 탄성을 이기며 상기 제2샤프트(42)를 축방향 후방으로 소정 거리(Vd)만큼 눌러 제2샤프트(42)가 밸브(80)의 내부로 더 삽입되도록 한 상태(제4축방향 위치; 도 16의 P4 참조)에서는 키(43)가 밸브의 하우징과 둘레방향으로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2샤프트(42)의 회전이 허용된다.
제4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제2샤프트(42)를 회전시켜 상기 조절피스(81)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키(43)의 전방 단부가 밸브의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간섭되어, 상기 밸브스프링(83)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샤프트(42)가 제4축방향 위치(P4)를 유지하게 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일단 제2샤프트(42)와 조절피스(81)를 돌려 밸브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제2샤프트(42)가 제4축방향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2샤프트(42)를 축방향 후방으로 더 누르지 않더라도 제2샤프트(42)를 회전시켜 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밸브(8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80)를 잠그기 위해 제2샤프트(42)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밸브의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간섭되던 상기 키(43)가 더 이상 간섭되지 아니하여, 상기 제2샤프트(42)는 밸브스프링(83)의 탄성에 의해 제4축방향 위치(P4)로부터 제3축방향 위치(P3)로 복귀하게 된다(도 13 참조).
상기 밸브(80)의 전방에서 상기 제2샤프트(42)의 둘레에는, 상기 제2샤프트(42)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9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센서(90)는, 상기 밸브(80)에 고정된 센서프레임(91)과, 상기 센서프레임(91)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지만 회전은 하지 못하는 기판프레임(92)과, 상기 기판프레임(92)에 고정된 센서기판(93)과, 상기 센서기판(93)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94)과, 상기 센서프레임(91)과 기판프레임(9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프레임(92)을 상기 회전판(94) 쪽으로 밀어붙이는 센서스프링(9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94)은 제2샤프트에 직접 고정되어도 좋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50)의 제2축연결부(52)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도 좋다.
상기 회전판(94)이 상기 제2샤프트(42)에 직접 고정되면, 상기 회전판(94)은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94)이 상기 제2샤프트(42)에 대해 회전 구속되도록 축설된 상태에서 상기 제2축연결부(52)에 의해 지지되면, 제2샤프트(42)가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축연결부(52)가 상기 회전판(94)을 밀어주어 상기 회전판(94)이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샤프트(42)와 회전판(94)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샤프트(42)가 회전하면 회전판(94)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42)가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센서스프링(95)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판(94)이 상기 제2축연결부(52)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기판(93)과 기판프레임(92)은 상기 제2샤프트(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샤프트(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2샤프트(4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회전판(94)과 센서기판(93) 사이의 간격은 변하지 않고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 제2샤프트(42)가 회전하면 회전판(94)은 이와 함께 회전하지만 센서기판(93)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센서(90)는, 제2샤프트(42)의 축방향 이동 및 축방향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회전판(94)과 센서기판(93) 사이의 간격이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샤프트(42)의 회전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41)는 상기 패널(10)에 고정된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샤프트(42)는 상기 패널(10)의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밸브(80)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립 공차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의 축방향 위치와 반경방향 위치 등이 서로 잘 정렬되지 않고 어긋나거나 틀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는 조인트(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50)는 상기 제1샤프트(4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제1축연결부(51), 상기 제2샤프트(42)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 제2축연결부(52),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축연결부(52)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된 하우징(5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축연결부(51)는 상기 제1샤프트(41)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샤프트(41)와 함께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축연결부(52)는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하우징(55)에는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인트스프링(56)이 내장된다. 상기 조인트스프링(56)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축연결부(5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 단부가 제2축연결부(5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55)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5)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서로 가장 멀리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가 하우징(55)에 대해 모두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됨이 예시된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는 모두, 실질적인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소경부(53)와, 상기 소경부(53)와 연결되고 그 직경이 확장된 형태의 대경부(5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는, 각각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의 소경부(53)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의 대경부(54)는 서로 마주하고, 두 대경부(54) 사이에 조인트스프링(56)이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
상기 대경부(54)에는, 상기 대경부(54)의 둘레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축(541)이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슬롯축(541)은 상기 대경부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55)에는 상기 슬롯축(541)이 끼워지는 슬롯(551, 552)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55)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축연결부(51)의 슬롯축(541)이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슬롯(551)과,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축연결부(52)의 슬롯축(541)이 끼워지는 한 쌍의 제2슬롯(552)이 마련된다.
상기 제1슬롯(551)과 상기 제2슬롯(552)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슬롯축(541)과 슬롯(551, 552)이 둘레 방향으로 상호 간섭되므로, 상기 제1축연결부(51)의 회전력은 상기 하우징(55)에 전달되고, 상기 하우징(55)의 회전력은 상기 제2축연결부(52)에 전달된다.
상기 슬롯축(541)은 상기 슬롯(551, 55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의 상대적인 축방향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는, 각각 그들의 슬롯축(541)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55)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대경부(54)에 마련된 한 쌍의 슬롯축(541)은, 그 슬롯축(541)이 끼워진 한 쌍의 슬롯(551 또는 552)에서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동함으로써, 샤프트(40)의 축방향과 상기 슬롯축(541)의 축방향에 모두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50)가 상기 제1샤프트(41)와 상기 제2샤프트(4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는 축방향으로 서로 어느 정도 간격(Jg; 도 11 참조)이 있지만 상기 조인트스프링(56)이 초기 상태보다는 약간 압축된 상태가 된다. 즉 조인트(50)가 샤프트(40)에 설치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51, 552)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에서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가 가장 멀리 배치되지만,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 사이에 조인트(50)를 설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가 도 5 및 도 6의 상태보다 더 가깝게 배치되고, 조인트스프링(56)은 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의 소경부(53)는 상기 프레임(6)의 실린더(662)의 보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축연결부(51)의 대경부(54)는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와 접한다. 초기 상태보다 압축된 조인트스프링(56)은 상기 제1축연결부(51)를 상기 실린더(662) 쪽으로 더 세게 밀어붙인다.
상기 실린더(662)는 상기 대경부(54)와 간섭되어 상기 제1샤프트(41)의 축방향 위치를 정렬한다. 이에 따라, 패널(10)에 대한 노브(30)의 축방향 위치는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662)에는 소경부(53)가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662)의 원형의 내주벽은 상기 소경부(53)의 원형의 외주벽과 접하며 상기 소경부(53)의 중심을 정렬한다. 따라서 패널(10)에 대한 노브(30)의 축의 중심 역시 정확히 정렬된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에는 상기 실린더(662)의 제1회전저지부(663)와 맞물릴 수 있는 제2회전저지부(54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542)는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저지홈(663)에 끼워지거나 빠져나오는 회전저지돌기일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돌기(542)는, 상기 소경부(53)와 대경부(54)의 경계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돌기(542)는 상기 대경부(5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이면서, 상기 소경부(5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저지돌기(542)의 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돌기(542)는 둘레방향을 따라 1개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30)가 회전되지 아니한 초기 위치, 가령 OFF 위치(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위치, 밸브를 닫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저지홈(663)과 회전저지돌기(542)의 둘레방향 위치가 서로 대응하여, 상기 회전저지돌기(542)가 상기 회전저지홈(663)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홈(663)은 상기 실린더(662)에 대해 제1둘레방향 위치(C1)에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저지돌기(542)는 상기 제1축연결부(51)에 대해 제2둘레방향 위치(C2)에 마련된다.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1축연결부(51)는 상기 패널(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C2)는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1축연결부(51)의 회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와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저지돌기(542)는 도 1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저지홈(663)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샤프트(41)와 제1축연결부(51)는 제1축방향 위치(P1; 도 11 참조)에 위치한다.
이처럼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와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일치하여 상기 제1샤프트(41)가 제1축방향 위치(P1)에 있을 때, 상기 제2샤프트(42)도 제3축방향 위치(P3)에 위치하여, 밸브(8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상태는, 노브(30)가 초기 위치에 있고, 제1샤프트(41)가 제1축방향 위치에 있으며, 제2샤프트(42)가 제3축방향 위치에 있고, 밸브(80)가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회전저지돌기(542)가 회전저지홈(663)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힘이 노브(30)에 가해져도 노브(30)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누르면서 회전시켜야 노브(30)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밸브(80)를 열기 위해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눌러,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41)가, 회전저지돌기(542)가 회전저지홈(663)으로부터 막 빠져나오게 되는 제2축방향 위치(P2)까지 이동하면, 프레임(6)의 실린더(662)와 조인트(50)의 제1축연결부(51) 간의 둘레방향 간섭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와 상기 제2축방향 위치(P2) 간의 축방향 거리(Md; 이는 상기 회전저지돌기의 축방향 길이와 대응함)보다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 사이의 거리(Jg)보다 더 길기 때문에, 제1축연결부(51)의 후방 단부는 제2축연결부(52)의 전방 단부에 아직 닿지 않은 상태가 되고, 제2샤프트(42)는 여전히 제3축방향 위치(P3)에 위치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41)는 제2축방향 위치(P2)에 있고 제2샤프트(42)는 제3축방향 위치(P3)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샤프트(42)가 밸브(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여전히 노브(30)를 회전시킬 수는 없다.
이에, 사용자가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더 눌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연결부(51)가 제2축연결부(52)에 닿은 후 제2축연결부(52)를 축방향 후방으로 더 밀어, 제2샤프트(42)가 제4축방향 위치(P4)까지 이동하도록 하면, 제2샤프트(42) 역시 밸브(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노브(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눌러, 제1샤프트(41)가 제2축방향 위치(P2)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샤프트(42)가 제4축방향 위치(P4)까지 이동하면, 사용자는 노브(30)를 회전시켜 밸브(80)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30)를 회전시켜 밸브(80)를 개방하면, 회전저지돌기(542)의 제2둘레방향 위치(C2)는 제1둘레방향 위치(C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30)를 후방으로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샤프트(42)는 밸브(80)로부터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4축방향 위치(P4)를 유지하지만, 제1샤프트(41)는 조인트스프링(56)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저지돌기(542)의 전방 단부가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 접하는 제2축방향 위치(P2)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17과 도 18에는 노브(3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려, 회전저지돌기(542)의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도 돌아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상태는, 노브(30)를 축방향 후방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회전저지돌기(542)의 전방 단부가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 접하는 상태, 즉 회전저지돌기(542)가 회전저지홈(663)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고, 또한 밸브(80)가 열린 상태이므로, 노브(30)의 회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제2샤프트(42)가 제4축방향 위치(P4)에 있고 제1샤프트(41)가 제2축방향 위치(P2)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80)를 잠그기 위해 노브(30)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저지돌기(542)의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회전저지홈(663)의 제1둘레방향 위치와 일치하게 되어 제1샤프트(41)가 조인트스프링(56)의 탄성에 의해 제1축방향 위치(P1)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샤프트(42) 역시 밸브(80)의 잠금 위치로 복귀되므로, 밸브스프링(83)에 의해 제3축방향 위치(P3)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는 도 10 내지 도 12의 상태로 복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노브(30)는 그 후방의 중심이 샤프트 지지관(676)의 전방에 닿을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이 허용된다. 즉 노브(30) 자체는 노브(30)와 샤프트 지지관(676) 사이의 거리(Nd)만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인트(50)가 노브 조립체(3)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인트(50) 내에서 제1축연결부(51)가 제2축연결부(52)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제1축연결부(51)가 제2축연결부(52) 사이의 간격(Jg)과 대응한다. 또한, 제2샤프트(42)를 밸브(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2샤프트(42)가 초기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눌려야 하는 거리는 제3축방향 위치(P3)와 제4축방향 위치(P4) 사이의 거리(Vd)가 된다. 따라서
Nd ≥ Jg + Vd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노브 조립체(3)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제1샤프트(41)가 제2축방향 위치(P2)보다도 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샤프트(41)가 가장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제1축연결부(51)의 소경부(53)는 실린더(662)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즉 상기 실린더(662)는 제1샤프트(41)가 위치할 수 있는 모든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소경부(53)와 접하며 상기 제1축연결부(51)를 회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41)와 제1축연결부(51)는 노브(30)의 작동 과정에서도 축의 중심이 정확히 정렬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80)가 열린 상태에서는, 노브(30)를 회전시킬 때 회전저지돌기(542)가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와 접하며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노브(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회전저지돌기(542)와 실린더(662) 간의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80)가 닫힌 상태, 즉 노브(3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 사이의 거리(Jg)에 대응하는 만큼 조인트스프링(56)이 압축된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제1축연결부(51)를 전방으로 민다. 그리고 도 17을 참조하면, 밸브(8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 사이의 거리(Jg+Vd-Md)에 대응하는 만큼 조인트스프링(56)이 압축된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제1축연결부(51)를 전방으로 민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축연결부(51)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클수록, 회전저지돌기(542)가 회전저지홈(663)에 더 강하게 맞물리므로, 노브에 대한 회전 저지력이 커진다. 반면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축연결부(51)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작을수록, 회전저지돌기(542)와 실린더(662)의 후단면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Vd > Md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노브에 대한 회전 저지력은 커지면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노브를 회전시킬 때 회전저지돌기와 실린더 간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조인트스프링(56)의 스프링상수는 밸브스프링(83)의 스프링상수보다 더욱 작게 설정된다. 즉 밸브스프링(83)은 상당히 큰 탄성력을 가지지만, 조인트스프링(56)은 작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41)가 제1축방향 위치(P1)에 있는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41)가 제2축방향 위치(P2)에 있는 상태로 노브(30)를 누를 때, 밸브스프링(83)은 거의 압축되지 않고 조인트스프링(56)이 먼저 압축된다. 이는 의도치 않은 외력이 노브(30)를 누르더라도, 밸브(80)의 조절에 관여하는 제2샤프트(42)가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준다.
제1축방향 위치(P1)와 제2축방향 위치(P2) 사이의 거리(Md)는 도 11에 도시된 제1축연결부(51)와 제2축연결부(52) 사이의 거리(Jg)보다 더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Jg > Md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노브를 돌리기 위해 노브를 누를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연결부(51)가 제2축연결부(52)에 닿기 전에 회전저지돌기(542)가 회전저지홈(663)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완전히 빠져나온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30)의 회전 저지 구조를 해제하기 위해 노브(30)를 누를 때 조인트스프링(56)을 압축할 수 있는 정도의 힘만을 가하며 노브(30)를 눌러도 노브(30)의 회전 저지 구조는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면,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의 축방향 위치가 어떠한 위치가 되고 노브(30)가 어떤 위치로 회전하더라도, 회전저지돌기(542)가 실린더(662)와 접하는 상태에서는 밸브스프링(83)의 강한 탄성력이 직접적으로 회전저지돌기(542)에 작용하지 않아, 회전저지돌기(542)와 실린더(66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노브 회전 저지 구조가 적용된 제2실시예의 노브 조립체를 설명한다. 다만 제1실시예와 반복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가령 제2실시예의 노브(30), 샤프트(40) 및 밸브(80)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노브 조립체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노브링(68)이 고정된 구조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프레임(6)에 있어서 노브링(68)의 회전을 위해 제1실시예가 구비하였던 구성이 제2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노브 조립체의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의 관통부(12)를 덮는 형태로 상기 패널(10)의 전면에 접하며 고정되는 노브링프레임(71)을 포함한다. 상기 노브링프레임(71)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지지관(676)이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은 상기 노브링프레임(7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노브링프레임(7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은 제1샤프트(41)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6)은 상기 노브링프레임(7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노브링(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링(68)은 상기 노브링프레임(71)의 전면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상기 노브링(68)은 상기 노브링프레임(71)과 개별 부품으로 제작된 후 조립 연결되거나, 처음부터 일체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의 후방 단부에는 실린더(662)가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662)는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의 직경이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린더(662)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보어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는 노브의 회전 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회전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회전저지보스(664)일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보스(664)는 상기 실린더의 둘레방향을 따라 1개소 마련될 수 있다.
제1샤프트(41)는 상기 패널(10)의 전방에서 상기 노브(30)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관(676)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66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된다.
상기 패널(10)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80)가 설치된다. 밸브(80)에는 제2샤프트(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샤프트(41)와 제2샤프트(42)는 조인트(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조인트(50)의 제1축연결부(51)에는 상기 실린더(662)의 제1회전저지부(664)와 맞물릴 수 있는 제2회전저지부(543)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543)는 축방향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저지보스(664)가 끼워지거나 빠져나오는 회전저지그루브(543)일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그루브(543)는, 제1축연결부(51)의 대경부(54)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저지그루브(543)는 둘레방향을 따라 1개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실시예의 회전 저지 구조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돌기와 홈이 서로 반대로 구비됨이 예시된다. 즉 실시예의 회전 저지 구조는, 제1실시예와 같이 실린더에 홈 형상이 구비되고 회전부재인 제1축연결부에 돌기 형상이 구비되어도 좋고, 제2실시예와 같이 실린더에 보스 형상이 구비되고 제1축연결부에 그루브 형상이 구비되어도 좋다.
제1샤프트(41)의 제1축방향 위치와 제2축방향 위치 사이의 거리(Md)가, 제1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51)의 회전저지돌기(542)의 축방향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제2실시예에서는 프레임(6)의 회전저지보스(664)의 축방향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사항 외에는, 제2실시예의 회전 저지 구조의 작동 원리와 작용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노브링이 고정되어 있을 뿐, 노브의 작동 원리는 모두 동일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기기
10: 패널
11: 메인 디스플레이
12: 관통부
20: 락커
21: 보스
3: 노브 조립체
30: 노브
31: 바디부
32: 파지부
33: 후면부재
34: 홀
35: 보스 홈
40: 샤프트
41: 제1샤프트
P1: 제1축방향 위치
P2: 제2축방향 위치
RC: 회전 중심
C2: 제2둘레방향 위치
42: 제2샤프트
P3: 제3축방향 위치
P4: 제4축방향 위치
43: 키
50: 조인트
51: 제1축연결부(회전부재)
52: 제2축연결부
53: 소경부
54: 대경부
541: 슬롯축
542: 회전저지돌기(제2회전저지부)
543: 회전저지그루브(제2회전저지부)
55: 하우징
551: 제1슬롯
552: 제2슬롯
56: 조인트스프링(탄성체)
6: 프레임
61: 서포트프레임
612: 원형 저널
613: 안착면
615: 제1센서
63: 이너 회전링
631: 원형관
632: 플랜지
633: 아암
634: 자석(제1피센싱부)
64: 용수철
65: 고정프레임
651: 외측부재
652: 내측부재
66: 관프레임
661: 연장관
662: 실린더
C1: 제1둘레방향 위치
663: 회전저지홈(제1회전저지부)
67: 아우터 회전링
676: 샤프트 지지관
68: 노브링
69: 디스플레이
691: 기판
692: 기판하우징
693: 디스플레이커버
71: 노브링프레임
676: 샤프트 지지관
662: 실린더
C1: 제1둘레방향 위치
664: 회전저지보스(제1회전저지부)
80: 밸브
81: 조절피스
82: 키홈
83: 밸브스프링
90: 제2센서
91: 센서프레임
92: 기판프레임
93: 센서기판
94: 회전판
95: 센서스프링

Claims (12)

  1. 관통부(12)가 마련된 패널(10);
    상기 패널(10)에 설치되는 노브 조립체; 및
    상기 패널(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80);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패널(10)의 관통부(12)를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제1축방향 위치(P1) 및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축방향 위치(P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중심(RC)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샤프트(40);
    상기 패널(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40)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40)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는 노브(30);
    상기 패널(10)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6);
    상기 샤프트(40)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40)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40)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 중심(RC)에 대한 제1둘레방향 위치(C1)에서 상기 프레임(6)에 마련된 제1회전저지부(663, 664);
    상기 회전 중심(RC)에 대한 제2둘레방향 위치(C2)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와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서로 대응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에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663, 664)와 맞물려 상기 회전 중심(RC)의 둘레 방향으로 간섭되고, 상기 제2축방향 위치(P2)에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663, 664)와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중심의 둘레 방향으로 간섭되지 아니하는 제2회전저지부(542, 543); 및
    상기 샤프트(40)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와 대응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둘레방향 위치(C2)가 상기 제1둘레방향 위치(C1)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제2축방향 위치(P2)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는 상기 프레임(6)을 관통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프레임(6)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회전저지홈(663)이고,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저지돌기(542)인, 조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는:
    상기 노브(30)에 연결된 제1샤프트(41);
    상기 밸브(80)에 연결된 제2샤프트(42); 및
    상기 제1샤프트(41)와 상기 제2샤프트(42)를 연결하는 조인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50)는:
    상기 제1샤프트(41)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샤프트(41)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샤프트(41)와 함께 회전하는 제1축연결부(51);
    상기 제2샤프트(42)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샤프트(42)와 함께 회전하는 제2축연결부(52); 및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축연결부(52)와 회전 구속되도록 연결된 하우징(55);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축연결부(51)인,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55)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인트(50)는:
    상기 하우징(55)에 구비되고, 상기 제1축연결부(51)와 상기 제2축연결부(52)를 서로 축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조인트스프링(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인트스프링(56)인, 조리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마련되고 후방으로 개방된 실린더(662)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에 상기 제1회전저지부(663, 664)가 구비된, 조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실린더(662)에 수용되는 소경부(53)를 구비하며,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와 상기 제2축방향 위치(P2)에서, 상기 소경부(5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실린더(662) 내에 수용된 상태인, 조리기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실린더(662)의 내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54)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방향 위치(P1)에서 상기 실린더(662)의 후방 단부가 상기 대경부(54)의 전방 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소경부(53)의 후방에서 상기 소경부(53)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662)의 내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54)를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대경부(5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경부(53)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저지돌기(542)인, 조리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의 외부에서 상기 노브(30)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노브링(68)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과 접하며 상기 패널(10)에 고정되는 서포트프레임(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링(68)은 아우터 회전링(67)을 통해 상기 서포트프레임(6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 회전링(67)은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을 지지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은, 상기 패널(10)과 접하며 상기 패널(10)에 고정되는 노브링프레임(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링(68)은 상기 노브링프레임(71)에 고정되고,
    상기 노브링프레임(71)은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을 지지하는, 조리기기.
KR1020200162937A 2020-11-27 2020-11-2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20220074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37A KR20220074431A (ko) 2020-11-27 2020-11-2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7/504,713 US11796179B2 (en) 2020-11-27 2021-10-19 Home appliance with knob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37A KR20220074431A (ko) 2020-11-27 2020-11-2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31A true KR20220074431A (ko) 2022-06-03

Family

ID=8175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937A KR20220074431A (ko) 2020-11-27 2020-11-27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96179B2 (ko)
KR (1) KR202200744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283B1 (ko) 2018-11-08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00122174A (ko) 2019-04-17 2020-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7592A (en) * 1952-09-03 1957-07-02 Patent Button Company Of Tenne Appliance knobs
US2780333A (en) * 1953-02-03 1957-02-05 Reiser Hyman Child-proof gas cock controls
US3362635A (en) * 1967-01-30 1968-01-09 Robertshaw Controls Co Temperature controlling means for ovens and the like
US3986409A (en) * 1975-07-07 1976-10-19 Raytheon Company Push-to-engage device
US4549716A (en) * 1983-12-15 1985-10-29 Warren Timothy P Control handle arrangement for a fluid control valve
ES2016707A6 (es) * 1989-07-25 1990-11-16 Corbero Sa Mecanismo auto-ajustable de mando para aparatos domesticos.
US5513831A (en) * 1995-05-17 1996-05-07 Seward; Alfred L. Safety control knob for hot water valve
US5771878A (en) * 1995-09-25 1998-06-30 Lewis; Luke E. Safety knob
US5839426A (en) * 1997-11-26 1998-11-24 Fagor, S. Coop Gas distribution box to stove burners
US7285738B2 (en) * 2006-02-15 2007-10-23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knob and control panel
US10401035B2 (en) * 2016-02-10 2019-09-03 Wolf Appliance, Inc. Vertically mounted gas cooktop control knob
US10114405B2 (en) * 2016-02-15 2018-10-3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afety control lockout knob
KR102101415B1 (ko) * 2017-07-24 202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0732666B2 (en) * 2017-02-17 2020-08-04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KR101912932B1 (ko) * 2017-02-22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935249B2 (en) * 2017-02-1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WO2018151571A1 (ko) * 2017-02-17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174849B1 (ko) * 2017-07-26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버설 조인트와 이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가전기기
KR102208354B1 (ko) 2017-02-17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913927B1 (ko) * 2017-02-17 201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3367003B1 (en) * 2017-02-22 2023-04-05 LG Electronics Inc. Knob assembly for cook top
KR102106845B1 (ko) * 2017-07-26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283B1 (ko) 2018-11-08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00122174A (ko) 2019-04-17 2020-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0641A1 (en) 2022-06-02
US11796179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8533B2 (ja) 回転式のロック/ロック解除制御装置を具備する圧力調理装置
US11143412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231179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340648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20090151505A1 (en) Auto-alignable knob
US20220026070A1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566792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0684021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KR102174849B1 (ko) 유니버설 조인트와 이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가전기기
EP3399234A1 (en) Knob assembly for cooktop
US11635782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231180B2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KR20220074431A (ko) 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20190012134A (ko) 유니버설 조인트와 이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가전기기
KR20190011143A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20190012133A (ko) 유니버설 조인트와 이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가전기기
KR20190067057A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