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111A -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111A
KR20140131111A KR20130050038A KR20130050038A KR20140131111A KR 20140131111 A KR20140131111 A KR 20140131111A KR 20130050038 A KR20130050038 A KR 20130050038A KR 20130050038 A KR20130050038 A KR 20130050038A KR 20140131111 A KR20140131111 A KR 2014013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eadbolt
dead bolt
operation leve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733B1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05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33B1/ko
Priority to CN201410181453.9A priority patent/CN104131746B/zh
Publication of KR2014013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중 잠금상태를 용이하게 해정시킬 수 있어 작동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 긴급대피가 가능한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데드볼트 작동레버;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이 가능한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회전과 함께 연동되는 연동레버; 상기 연동레버의 단부에 맞닿으며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중 잠금레버; 및 상기 이중 잠금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이 가능한 이중 잠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Unlock assembly for dou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중 잠금상태를 용이하게 해정시킬 수 있어 작동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 긴급대피가 가능한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이중 잠금이란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잠금 및 해정이 이루어지는 보조볼트(이중잠금볼트)와, 전자적인 작동에 의해 잠금 및 해정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는 외부에서 전자키, 암호버튼, 리모컨 등을 동작시키더라도 수동으로 작동하는 보조볼트(이중잠금볼트)가 해정된 상태를 이루지 않는다면, 디지털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 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중 잠금장치는 실내측 사용자가 이중 잠금버튼을 인위적으로 잡아 빼야만 이중 잠금이 해제되는 구조를 채택하거나, 손잡이 축을 해정시키는 동작 이외에 이중 잠금레버를 회동시켜야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중 잠금의 해정작업이 불편하고, 특히 기계적인 조작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더더욱 이중 잠금의 해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아울러, 화재 및 도둑의 침입 등의 긴급한 상황 시에도 이중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작업이 번거로워, 해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긴급한 대피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중 잠금상태를 해정시킬 수 있어 작동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 긴급대피가 가능한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데드볼트 작동레버;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이 가능한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회전과 함께 연동되는 연동레버; 상기 연동레버의 단부에 맞닿으며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중 잠금레버; 및 상기 이중 잠금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이 가능한 이중 잠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는 선단에 상기 데드볼트의 작동홈에 위치되는 제1레버, 및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타단에 상기 연동레버의 선단과 맞닿는 제2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제2레버가 상기 연동레버의 선단을 밀어 상기 연동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연동레버에 말단에 연결된 상기 이중 잠금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에는 내측 손잡이축이 장착되어 상기 내측 손잡이축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중 잠금레버의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의 선단의 일부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가 상기 데드볼트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동레버의 평탄면 상에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의 상기 제2레버가 수직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데드볼트와 이중 잠금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 긴급대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의 데드볼트와 이중 잠금볼트가 인출된 상태(잠김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의 해정되는 중간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의 데드볼트와 이중 잠금볼트가 인입된 상태(해정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데드볼트와 이중 잠금 볼트가 순차적으로 해정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8 내지 도 10은 데드볼트와 이중 잠금 볼트가 순차적으로 잠금상태에서 해정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잠금장치의 데드볼트 작동레버와 연동레버, 및 이중 잠금레버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데드볼트(20)와, 이중잠금 볼트(50)가 장착된 이중잠금 도어락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선단에는 제1레버(31)가 형성되고, 이의 타단에는 제2레버(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레버(31)는 데드볼트(20)의 작동홈(21) 내에 위치되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20)의 출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레버(32)와 간섭되도록 연동레버(70)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때 연동레버(70)는 회전축(71)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으로 선회가능하게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연동레버(70)의 선단에는 평탄면(72)이 형성되고, 연동레버(70)의 말단은 이중 잠금레버(60)와 간섭되는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어, 연동레버(70)가 선택적으로 이중 잠금레버(60)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중 잠금볼트(50)의 말단에는 이중 잠금레버(60)의 선단이 위치되는 작동홈(51)이 형성되고, 이 작동홈(51)에 이중 잠금레버(60)의 선단이 위치되어 이중 잠금레버(60)의 선회에 의해 이중 잠금볼트(50)을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는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데드볼트 작동레버(30)와,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에 일단이 연결되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선회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10)에서 출몰이 가능한 데드볼트(20)가 구비되고,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연동레버(70)가 구비되어 회전축(71)을 중심으로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회전과 함께 연동되고, 이중 잠금레버(60)는 연동레버(70)의 단부에 맞닿으며 상기 모티스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중 잠금볼트(50)는 이중 잠금레버(60)의 회전에 의해 모티스 본체(10)에서 출몰이 가능하다.
한편 데드볼트 작동레버(30)는 선단에는 제1레버(31)가 구비되어, 데드볼트(20)의 작동홈(21)에 위치된다. 또한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타단에는 제2레버(32)가 연동레버(70)의 선단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도 2에서 도 4로 전환됨),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레버(32)가 연동레버(70)의 선단을 밀어 연동레버(7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연동레버(70)에 말단에 연결된 이중 잠금레버(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이중 잠금볼트를 인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20)의 해정시키는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선회에 따라 연동레버(70)가 선회되고, 이 연동레버(70)를 통해 이중 잠금레버(60)를 선회시킬 수 있어, 데드볼트(20)의 인입 동작과 함께 이중 잠금볼트(50)의 인입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실내측 손잡이 축(미도시)을 데드볼트 작동레버(30)에 장착하여 선회시키는 것으로 데드볼트(20)와 이중 잠금볼트(50)의 동시 해정이 가능하여,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안티패닉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연동레버(70)의 선단의 일부에 형성된 평탄면(72)은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데드볼트(20)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연동레버(70)의 평탄면(72) 상에서 데드볼트 작동레버(20)의 제2레버(32)가 수직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상태에서는 이중 잠금레버(60)를 개방측으로 선회시키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연동레버(70)의 선단의 평탄면(72)에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 레버(32)가 수직한 위치를 이루게 됨으로써 연동레버(70)의 시계방향 선회를 방지하여, 이 상태에서 이중 잠금레버(60)의 개별 잠금상태의 설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데드볼트(20)와 이중 잠금볼트(50)가 해정된 상태에서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 레버(32)는 수직하방에 위치된다(이때 연동레버와 간섭은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중잠금레버(6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이중 잠금볼트(50)가 인출되어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이중 잠금레버(60)는 연동레버(70)의 단부를 회동시켜 연동레버(70)는 도 7과 같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 레버(32)의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도 7의 상태)에서 데드볼트(20)를 해정하고자 데드볼트 작동레버(3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제2레버(32)가 연동레버(70)의 선단을 밀어 연동레버(7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연동레버(70)의 말단이 도 8과 같이 이중 잠금레버(60)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의 인입과 동시에 이중 잠금볼트(50)도 모티스 본체(10)로 인입시킬 수 있어 동시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들의 연동작용은 도 11과 같이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레버(32)와 연동레버(70) 및 이중잠금레버(60)가 서로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티스 본체 20: 데드볼트
21: 작동홈 30: 데드볼트 작동레버
31: 제1레버 32: 제2레버
40: 에지볼트 50: 이중 잠금볼트
60: 이중 잠금레버 70: 연동레버
71: 회전축 72: 평탄면

Claims (5)

  1. 모티스 본체(10);
    상기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데드볼트 작동레버(30);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10)에서 출몰이 가능한 데드볼트(20);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축(71)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여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회전과 함께 연동되는 연동레버(70);
    상기 연동레버(70)의 단부에 맞닿으며 상기 모티스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중 잠금레버(60); 및
    상기 이중 잠금레버(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 본체(10)에서 출몰이 가능한 이중 잠금볼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는 선단에 상기 데드볼트(20)의 작동홈(21)에 위치되는 제1레버(31), 및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타단에 상기 연동레버(70)의 선단과 맞닿는 제2레버(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의 제2레버(32)가 상기 연동레버(70)의 선단을 밀어 상기 연동레버(7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연동레버(70)에 말단에 연결된 상기 이중 잠금레버(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에는 내측 손잡이 축이 장착되어 상기 내측 손잡이 축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중 잠금레버(60)의 작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70)의 선단의 일부에는 평탄면(72)이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30)가 상기 데드볼트(20)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동레버(70)의 평탄면(72) 상에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레버(20)의 상기 제2레버(32)가 수직한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1020130050038A 2013-05-03 2013-05-03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10163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038A KR101639733B1 (ko) 2013-05-03 2013-05-03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CN201410181453.9A CN104131746B (zh) 2013-05-03 2014-04-30 双重锁定装置的解锁装配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038A KR101639733B1 (ko) 2013-05-03 2013-05-03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11A true KR20140131111A (ko) 2014-11-12
KR101639733B1 KR101639733B1 (ko) 2016-07-15

Family

ID=5180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038A KR101639733B1 (ko) 2013-05-03 2013-05-03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9733B1 (ko)
CN (1) CN104131746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KR100743426B1 (ko) * 2006-09-01 2007-07-30 (주) 월드크로스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254B1 (fr) * 1991-11-06 1994-01-07 Messier Bugatti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securite a crochet basculant.
JP4852544B2 (ja) * 2004-08-10 2012-01-11 マグナ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ワー解除式二重ロックラッチ
DE102008015655A1 (de) * 2008-03-25 2009-10-01 Beyer & Müller GmbH & Co. KG Panikschloss
CN201526189U (zh) * 2009-09-21 2010-07-14 杭州金指码实业有限公司 主锁舌自动上锁和快速开锁的锁体
ES2400557B1 (es) * 2011-04-15 2013-08-01 Talleres De Escoriaza, S.A. Cerradura converti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KR100743426B1 (ko) * 2006-09-01 2007-07-30 (주) 월드크로스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733B1 (ko) 2016-07-15
CN104131746A (zh) 2014-11-05
CN104131746B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CA2806376C (en) Door lock with removable handle and puck lock
JP3616352B2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5521138B2 (ja) 自動施錠型錠前
KR10171637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 잠금 해제 구조체
KR101639733B1 (ko)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101653781B1 (ko)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KR100667446B1 (ko) 차량의 도어래치구조
KR102302406B1 (ko) 조합식 잠금장치를 이용한 출구 장치 도깅
KR20100104600A (ko) 안티패닉형 문 잠금장치용 문 내측 손잡이
JP3903414B2 (ja) 施解錠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JP4702682B2 (ja) サムタ−ン装置
JP4231606B2 (ja) 施錠装置
JP6951843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JP2018112041A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JP4530802B2 (ja) サムターンカバー
KR200463035Y1 (ko) 안티패닉형 도어락의 내측 손잡이 구조체
JP2006233706A (ja) 錠構造
KR20090105110A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
JP3080645B2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