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426B1 -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426B1
KR100743426B1 KR1020060084306A KR20060084306A KR100743426B1 KR 100743426 B1 KR100743426 B1 KR 100743426B1 KR 1020060084306 A KR1020060084306 A KR 1020060084306A KR 20060084306 A KR20060084306 A KR 20060084306A KR 100743426 B1 KR100743426 B1 KR 10074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lever
actuating
door lock
lo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식
Original Assignee
(주) 월드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월드크로스 filed Critical (주) 월드크로스
Priority to KR102006008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볼트와 레치볼트가 동시에 구성되는 도어록 어셈블리에서 출입문 내측에 설치된 레치작동용 손잡이를 작동시 레치는 물론이고 데드볼트도 함께 해정되도록 구성된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의 구성 요지로는, 레치작동 손잡이(3)에 의해 회전토록 하고 연결돌부(11)(11')를 각각 구성한 작동구(10)(10')와; 일측 작동구(10')의 연결돌부(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구성되고 데드볼트(3)를 후진시키는 작동레바(12)와; 연결돌부(11)(11')에 의해 걸리는 작동돌부(21)가 형성되고, 돌출캠부(22) 및 돌출턱(23)을 구성한 중간작동판(20)과; 상기 돌출캠부(22)에 의해 슬라이드판(40)을 끌어 올리는 회동레버(30)와, 하강을 하면 걸림핀(42)이 데드볼트(3)에 형성된 2개의 걸림요부(3a)(3b)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한 슬라이드판(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록, 어셈블리, 동시해정, 데드볼트, 래치볼트, 원터치

Description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Door lock assembly that equip one-touch way releas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데드볼트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치볼트의 작용으로 동시에 데드볼트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이 완료된 상태(평상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록 어셈블리 2: 레치볼트
3: 데드볼트 3a, 3b: 걸림요부
10, 10': 작동구 11, 11': 연결돌부
12: 작동레바 20: 중간작동판
21: 작동돌부 22: 돌출캠부
23: 돌출턱 24: 지지봉
30: 회동레바 40: 슬라이드판
41: 스프링 42: 걸림핀
43: 승강핀
본 발명은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드볼트와 레치볼트가 동시에 구성되는 도어록 어셈블리에서 출입문 내측에 설치된 레치작동용 손잡이를 작동시 레치는 물론이고 데드볼트도 함께 해정되도록 구성된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출입문을 문틀에 괘정 또는 해정하기 위한 도어록은 출입문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록 어셈블리와 출입문의 양쪽 외부에 설치되는 레버로 구성되고 있으며, 도어록 어셈블리에는 출입문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레치볼트가 구성되는데, 도어록의 종류에 따라서 출입문의 내부 측에서 레버를 회전시켜 완전히 잠글 수 있게 하고 외부에서는 열쇠로만 개방이 가능토록 한 데드볼트가 동시에 구성되는 도어록 어셈블리도 있다.
이와 같이 레치볼트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구성되는 도어록 어셈블리의 경우에 나타나는 단점으로는, 출입문을 닫고 실내에서 데드볼트를 작동시켜 도어록을 잠그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밖으로 나오려고 할 경우에 먼저 데드볼트를 작동하는 레버를 회전시키고 다시 레치볼트를 작동하는 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시 문을 열고 나오는데 시간이 소비되어 더욱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록 어셈블리는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실내에서 레치작동용 레버를 작동시 레치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문을 열고자 할 때 괘정된 데드볼트를 손으로 해정하고 다시 레치작동용 레버를 돌려서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도어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는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출입문 내측에서 레치볼트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면, 이러한 회전 작동이 작동구와 중간 작동판 및 작동레버 등으로 통하여 인근한 데드볼트를 후진시키는 작동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드볼트가 잠궈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치볼트의 작용으로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이 완료된 상태(평상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어셈블리(1)는 레치볼트(2)를 작용시키기 위해 레치작동 손잡이(3)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구(10)(10')를 2개 겹쳐서 설치하고, 각 작동구(10)(10')에는 중간작동판(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돌부(11)(11')를 각각 구성하며, 일측의 작동구(10')의 연결돌부(11')에는 회동가능한 작동레바(12)를 연결 구성하였다.
상기 작동레바(12)는 데드볼트(3)에 연결되어 작동레바(12)가 젖혀지면 데드볼트(3)를 후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중간작동판(20)에는 작동구(10)(10')가 회전시 연결돌부(11)(11')에 의해 걸리도록 한 작동돌부(21)가 형성되고, 슬라이드판(40)을 상승시키기 위한 돌출캠부(22)와 작동레바(12)를 젖히기 위한 돌출턱(23)을 구성하였다.
상기 돌출캠부(22)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레버(30)는 회동에 의해 슬라이드판(40)을 끌어올리는 기능을 하고, 그러한 작동이 중지되면 슬라이드판(40)은 스프링(41)에 의해 하강한다.
슬라이드판(40)은 하강을 하면 걸림핀(42)이 데드볼트(3)에 형성된 2개의 걸림요부(3a)(3b)에 선택적으로 걸려 데드볼트(3)가 돌출상태 또는 후진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레버(30)에 근접한 위치에는 승강핀(43)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작동판(20)의 작동돌부(21)는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2개의 작동구(10)(10') 중에서 어느 하나 작동구의 연결돌부(11)(11')에만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동시에 지지봉(24)을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하였는데, 그 이유는 출입문의 설치여건에 따라 도어록 어셈블리가 내부 측과 외부 측이 반대로 설치되는 경우에 내외부 측의 기능이 반대로 작용토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1', 1"는 케이스, 2a는 레치볼트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3c는 데드볼트(3)의 전후진을 위한 작동요부, 4는 데드볼트를 작동시키는 잠금구, 5는 레치작동 손잡이, 15는 작동구(10)(10')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어셈블리(1)의 작용을 살펴본다.
평상시의 상태는 도 3과 같이 레치볼트(2)는 돌출되어 있고 데드볼트(3)는 후진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서, 출입문을 닫게 되면 레치볼트(2)가 밀려들어 갔다가 다시 돌출되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입문을 잠그고자 할 때는 출입문의 내부에서 잠금구(4)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잠금구(4)가 슬라이드판(40)을 밀어 올리면서 데드볼트(3)의 작동요부(3c)를 걸고 밀어줌으로써 데드볼트(3)가 전진하여 선단이 문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 즉,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과 같은 잠금 상태에서 출입문의 내부 측에서 개방을 하고자 하면 데드볼트(3)는 작동시킬 필요없이 레치볼트(2)의 작동만으로 데드볼트(3)를 후진시키게 되는데, 상세히 살펴보면, 레치작동 손잡이(5)를 젖히면 출입문 내부 측에 위치한 일측 작동구가(10) 회전하면서 연결돌부(11)가 중간작동판(20)의 작동돌부(21)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중간작동판(20)의 회전으로 돌출캠부(22)가 회동레버(30)를 젖히면서 슬라이드판(40)의 승강핀(43)을 끌어올리게 되고, 이러한 작용과 동시에 중간작동판(20)의 돌출턱(23)이 데드볼트(3)를 밀어 후진시키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상기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간작동판(20)의 돌출캠부(22)가 회동레버(30)를 젖히게 되면, 회동레버(30)가 회동하면서 슬라이드판(40)을 끌어올리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판(40)의 걸림핀(42)이 데드볼트(3)의 걸림요부(3b)로부 터 이탈하여 데드볼트(3)가 움직일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이러한 동작과 동시에 중간작동판(20)의 돌출턱(23)이 데드볼트(3)에 걸려있던 작동레바(12)를 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작동레바(12)가 데드볼트(3)를 후진시키게 됨으로써 데드볼트(3)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도 2와 같이 데드볼트(3)가 잠긴 상태에서 출입문의 내부 측에서 레치볼트(2)를 작동시키면 데드볼트(3)가 동시에 해제되는 동작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레치볼트(2)를 개방하는 작용이 출입문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데드볼트(3)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출입문의 외부 측에서 레치작동 손잡이(5)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작동구(10)(10') 중에서 외부 측의 작동구(10')가 회전하게 되고, 중간작동판(20)은 일측 즉, 내부 측 작동구(10')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외부 측 작동구(10')는 중간작동판(20)을 회동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외부 측에서는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구(4)를 회전시키지 않는 한 데드볼트(3)를 개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용이 출입문의 내부 측과 외부 측에서 반대로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중간작동판(20)을 이동시켜 작동돌부(21)가 다른 작동구(10')에 근접하도록 하면, 그러한 쪽의 작동구(10')를 회전시킬 때 데드볼트(3)를 개방할 수 있게 되고 다른 쪽의 작동구(10)를 회전할 때는 레치볼트(2)만 밀어주는 작용을 할 뿐 데드볼트(3)는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성으로 출입문의 내부 측에서 레치작동을 위한 도어록 레버를 작동시 레치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해정되도록 하여 문을 신속하게 열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 것으로서,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며, 특히 화재 등 유사시에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레치볼트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설치되는 도어록 어셈블리(1)에 있어서,
    레치작동 손잡이(3)에 의해 회전하도록 2개가 겹쳐서 설치되고 중간작동판(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돌부(11)(11')를 각각 구성한 작동구(10)(10')와;
    일측 작동구(10')의 연결돌부(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구성되고 타단은 데드볼트(3)와 연결되어 작동레바(12)가 젖혀지면 데드볼트(3)를 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레바(12)와;
    상기 작동구(10)(10')가 회전시 연결돌부(11)(11')에 의해 걸리도록 한 작동돌부(21)가 형성되고, 회동레버(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돌출캠부(22)와 작동레바(12)를 젖히기 위한 돌출턱(23)을 구성한 중간작동판(20)과;
    상기 돌출캠부(22)에 의해 작동하면서 슬라이드판(40)을 끌어 올리는 기능을 하는 회동레버(30)와,
    하강을 하면 걸림핀(42)이 데드볼트(3)에 형성된 2개의 걸림요부(3a)(3b)에 선택적으로 걸려 데드볼트(3)가 돌출상태 또는 후진상태를 유지하고, 회동레버(30)에 근접한 위치에는 승강핀(43)을 구성한 슬라이드판(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작동판(20)의 작동돌부(21)는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2개의 작동 구(10)(10') 중에서 어느 하나 작동구의 연결돌부(11)(11')에만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동시에 지지봉(24)을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20060084306A 2006-09-01 2006-09-01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74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06A KR100743426B1 (ko) 2006-09-01 2006-09-01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06A KR100743426B1 (ko) 2006-09-01 2006-09-01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426B1 true KR100743426B1 (ko) 2007-07-30

Family

ID=3849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06A KR100743426B1 (ko) 2006-09-01 2006-09-01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1746A (zh) * 2013-05-03 2014-11-05 株式会社易保 双重锁定装置的解锁装配体
WO2021184678A1 (zh) * 2020-03-18 2021-09-23 深圳市智芯物联科技有限公司 机械解锁空转游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2-29 주식회사 현대금속 원터치형 도어록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380743Y1 (ko) 2004-12-30 2005-04-07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2-29 주식회사 현대금속 원터치형 도어록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80743Y1 (ko) 2004-12-30 2005-04-07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1746A (zh) * 2013-05-03 2014-11-05 株式会社易保 双重锁定装置的解锁装配体
KR20140131111A (ko) *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101639733B1 (ko) * 2013-05-03 2016-07-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WO2021184678A1 (zh) * 2020-03-18 2021-09-23 深圳市智芯物联科技有限公司 机械解锁空转游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US11359412B2 (en) Latch arrangement having a stop latch
US6209931B1 (en) Multi-point door locking system
US7878034B2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hinged panel
US20090078011A1 (en) Mortise Lock
JP4538001B2 (ja) ドアー錠におけるラッチ・ボルトの錠掛けのガイド構造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US9988830B2 (en) Latch arrangement having a handle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PT92819B (pt) Fechadura de trinco e ferrolho com abertura antipanico
KR100743426B1 (ko)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908685B1 (ko)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WO2011131971A1 (en) Rotatable or pivotable door handle locking device
US1090772A (en) Knob-lock.
AU2012201867B2 (en) Lock body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EP1443163A2 (en) Lock assembly
CN219451766U (zh) 防火门天地锁的斜舌控制机构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EP0579003A1 (en) Burglar-proof device for a lock with swivel bolt
KR100817017B1 (ko)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AU700983B2 (en) Improvement in pivot arm locks
EP3252252B1 (en) Lock with dead bolt and latch bolt
JP2002250189A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AU772488B2 (en) A lock for a sliding door or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