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136Y1 - 원터치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136Y1
KR200259136Y1 KR2020010030310U KR20010030310U KR200259136Y1 KR 200259136 Y1 KR200259136 Y1 KR 200259136Y1 KR 2020010030310 U KR2020010030310 U KR 2020010030310U KR 20010030310 U KR20010030310 U KR 20010030310U KR 200259136 Y1 KR200259136 Y1 KR 200259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interlocking
han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202001003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136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이나 일반 건물 및 아파트의 비상구 출입문, 방화문 및 일반 출입문에 사용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한 상황이나 화제 발생시 한번의 핸들(손잡이) 동작으로 괘정간과 괘해정간을 동시에 작동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터치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모든 도어록은 내부에서 문을 잠글려면 문이 닫힌 상태에서 괘정관의 잠금 레바를 돌려 문을 잠그게 된다.
또한 이렇게 잠긴 문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괘정관의 잠금 레버를 돌려 문을 열고 다시 괘해정관과 연결되어 있는 핸들(손잡이)을 돌려야만 문을 열 수 있는 구성을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도어록의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종래 도어록의 다단계의 잠금 장치 해제 과정을 간소화 시켜 종래의 도어록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며 내부에서 잠겨 있는 문을 열 경우 종래의 도어록의 잠금장치와 달리 해제 과정을 간소화시켜 한번의 핸들(손잡이) 동작만으로 문을 열 수 있는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잇다

Description

원터치형 도어록 {The one touch door lock}
본 고안은 주택이나 일반 건물 및 아파트의 비상구 출입문, 방화문 및 일반 출입문에 사용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한 상황이나 화제 발생시 한번의 핸들(손잡이) 동작으로 괘정간과 괘해정간을 동시에 작동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터치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모든 도어록은 내부에서 문을 잠글려면 문이 닫힌 상태에서 괘정관의 잠금 레바를 돌려 문을 잠그게 된다.
또한 이렇게 잠긴 문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괘정관의 잠금 레버를 돌려 문을 열고 다시 괘해정관과 연결되어 있는 핸들(손잡이)을 돌려야만 문을 열 수 있는 구성을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모든 도어록들은 내부에서 잠긴 문을 열고자 할 때 상기와 같이 여러 과정을 거쳐야만 문을 열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도어록의 여러 단계에 걸친 잠금 장치 해제 과정은 긴급한 상황 (화재시) 발생시에 사람이 집안 내부에서 탈출하는 시간을 지연 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탈출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아파트나 가정집에서의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당황을하고 성급히 대피하려고 도어록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핸들(손잡이)만을 돌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일부 사람들은 너무 긴장한 나머지 아주 간단한 동작법도 잊어 버려 대피하지 못하고 피해를 입는 경우도 많이 있다.
또한 법적으로는 비상구 출입문에 잠금 장치를 설치 할 수 없는데도 많은 단란 주점이나 유흥 업소에서는 도난방지나 영업 및 관리상의 이유로 비상구에 잠금 장치를 설치하여 비상구 출입문을 잠거두고 필요시에만 개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상구 출입문의 잠금 장치 설치는 화재 발생시 비상 탈출구를 봉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천 단란주점 화재 사건과 같은 대형 참사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도어록의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종래 도어록의 다단계의 잠금 장치 해제 과정을 간소화 시켜 종래의 도어록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며 내부에서 잠겨 있는 문을 열 경우 종래의 도어록의 잠금장치와 달리 해제 과정을 간소화시켜 한번의 핸들(손잡이) 동작만으로 문을 열 수 있는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외부에서 잠겨있는 도어록의 잠금 장치를 해제 할 경우 종래의 도어록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만 문을 열 수 있는 원터치형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괘정구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쪽에서 문을 열 때 파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깥쪽에서 문을 열 때 파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8a, 8b, 8c, 8d는 본 고안에 의한 괘정구의 레버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보인 살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9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괘정간 몸체 2: 괘해정간
3: 괘정간 유닛 4: V자형 작동편
5: 안내 받침편 6: 힌지
7: 괘정 걸림쇠편 8: 걸림 돌기
9: ''자형 스프링 10: 당김부
11: 작동공 12: 안내공
13: 걸림홈 14: 괘정 걸림쇠
16: 걸림링 17: 당김편
18: 안내축 19: 걸림공
20: 홈구 21: 데드암 돌기
22: 데드암 23: 괘정 뭉치
24: 걸림턱 100: 손잡이 (핸들)
이하에서는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괘정구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안쪽에서 문을 열 때 파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깥쪽에서 문을 열 때 파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며 도 7a, 7b, 7c, 7d는 본 고안에 의한 괘정구의 레버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보인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어록에 있어서, 본 고안은 괘정간 몸체(1) 상부에 괘해정간 (2)의 안정적인 작동을 돕기 위하여 괘해정간(2) 중앙에 괘해정간 안내공(12)을 형성하여 괘정간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축(18)에 삽입하되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받침편(5)에 상기 괘해정간(2)이 걸치도록 설치하고 괘해정간과 괘정간 유닛이 한번의 손잡이 (핸들) 작동으로 동시에 작동 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16)가 형성된 괘정 걸림쇠(14)를 괘정간 몸체의 안내 받침편 사이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괘정 걸림쇠편(7)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쇠(14)의 걸림 돌기(15)와 괘정 뭉치(24)의 걸림홈(13)을 엇갈리게 결착하여 그 중앙에 작동공(11)을 형성하여 설치 하되 데드 암(22)에 형성된 데드 암 돌기(21)가 괘해정간 홈구(21)에 삽입 되도록 설치하고 그 하부에 V자형 작동편(4)의 걸림홈이 걸림쇠(14)의 걸림링 (16)에 결합되도록하고 상기 V형 작동편(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19)이 괘정간 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괘정간 유닛(3)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부(10)의 당김편(17)에 체결 되도록하여 손잡이(핸들)(100)의 작동시 V자형 작동편(4)이 아래로 움직이며 당김편(17)을 눌러 괘해정간을 당겨준다.
본 고안은 도시되지 않은 걸림환을 괘정 뭉치(23)의 걸림 돌기(21)와 V자형 작동편(4)의 걸림턱(24)에 결착하여 괘해정간92)과 괘정 뭉치(23), 괘정 걸림쇠 (14)가 안정적으로 작동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 (핸들) (100) 작동으로 괘해정간(2)의 잠금 해제 후 다시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 토션 스프링 대신 ''형 스프링(9)을 사용하여 괘해정간의 잠금시에 ''형 스프링(9)의 굴곡 부분에 괘정 뭉치의 데드암(22)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6)가 걸리도록하고 괘해정간(2)의 잠금 해제시 ''형 스프링(9)의 ''부분이 힌지(6)를 눌러 줌으로 괘해정간(2)의 재잠금을 방지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에서 한번의 손잡이 (핸들) 작동으로 괘해정간과 괘정간을 열수 있는 원더치형 도어록을 제공함으로서 내부에서는 종래의 도어록 보다는 간편하고 빠르게 문을 열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화재 발생시나 긴급 상황 시에 탈출 및 대피 시간을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에서는 종래의 도어록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만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도어록과 동일한 도난 방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록에 있어서, 괘해정간(2)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하여 괘해정간(2) 중앙에 괘해정간 안내공(12)을 형성하여 괘정간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축(18)에 삽입하되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받침편(5)에 상기 괘해정간(2)이 걸치도록 설치하고 괘해정간(2)과 괘정간 유닛(3)이 한번의 손잡이 (핸들) (100) 작동으로 동시에 작동 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16)가 형성된 괘정 걸림쇠(14)를 괘정간 몸체의 안내 받침편 사이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괘정 걸림쇠편(7)에 설치하되 상기 걸림쇠(14)의 걸림 돌기(15)와 괘정 뭉치(23)의 걸림홈(13)을 엇갈리게 결착하여 그 중앙에 작동공(11)을 형성하여 설치 하되 데드 암(22)에 형성된 데드 암 돌기(21)가 괘해정간 홈구(20)에 삽입 되도록 설치하고 그 하부에 V자형 작동편(4)의 걸림홈이 걸림쇠(14)의 걸림링(16)에 결착 되도록하고 상기 V형 작동편(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19)이 괘정간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괘정간 유닛(3)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부(10)의 당김편(17)에 체결 되도록하고 상기 걸림쇠(14) 와 괘정 뭉치를 안정적으로 결착시키기 위하여 괘정 뭉치의 걸림 돌기(8)와 V자형 작동편(4) 걸림턱(24)에 걸림환을 결착하고 괘해정간(2)의 잠금 해제 후 재잠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 토션 스프링(9)을 안내축(18)에 삽입 시키되 스프링의 한쪽이 괘정간 몸체 상부에 다른 한편이 괘정 뭉치(23)의 데드 암(22)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6)에 걸리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터치형 도어록.
KR2020010030310U 2001-10-05 2001-10-05 원터치형 도어록 KR200259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10U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0-05 원터치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10U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0-05 원터치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136Y1 true KR200259136Y1 (ko) 2001-12-29

Family

ID=7310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10U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0-05 원터치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13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97B1 (ko) * 2002-02-20 2004-06-30 이중재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100743426B1 (ko) 2006-09-01 2007-07-30 (주) 월드크로스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KR100817019B1 (ko) 2006-09-27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일체형 도어정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97B1 (ko) * 2002-02-20 2004-06-30 이중재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100743426B1 (ko) 2006-09-01 2007-07-30 (주) 월드크로스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KR100817019B1 (ko) 2006-09-27 2008-03-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일체형 도어정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07082A (ja) 引き戸式パティオドアのラッチ機構
JP2002502002A (ja) 対向するスライドを有するスラムラッチ
KR200259136Y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US20180320415A1 (en) Fence gate latch assembly
US4709566A (en) Single cylinder deadbolt lock mechanism
US4788837A (en) Hasp-type latch with combination lock
US430072A (en) James dowd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20100104600A (ko) 안티패닉형 문 잠금장치용 문 내측 손잡이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216755Y1 (ko) 출입문 잠금장치
KR20170000113A (ko) 실내 및 실외에서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US2995394A (en) Lock
JPH024992Y2 (ko)
JP2002250189A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AU753293B2 (en) A sash lock
JP2001329729A (ja) ドア用開度規制錠装置
KR200216756Y1 (ko) 출입문 잠금장치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0285555B1 (ko) 출입문 잠금장치
JP2680531B2 (ja) 遮蔽装置のロック保安装置
JP3094369U (ja)
US20180171675A1 (en) Gravity operated two-way gate latch
KR200216758Y1 (ko) 출입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