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364B1 -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364B1
KR102331364B1 KR1020200188978A KR20200188978A KR102331364B1 KR 102331364 B1 KR102331364 B1 KR 102331364B1 KR 1020200188978 A KR1020200188978 A KR 1020200188978A KR 20200188978 A KR20200188978 A KR 20200188978A KR 102331364 B1 KR102331364 B1 KR 10233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housing
shaft
do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8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7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the bolt having an additional rotating bolt or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으로 레칫을 사용하거나 데드락을 포함하는 도어 모티스락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레칫볼트의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이 편리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레칫볼트의 축 돌기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구된 축홀을 형성하여 레칫볼트의 방향을 변경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레칫장치부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편리하게 방향전환 및 설치가 편리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Lat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으로 레칫을 사용하거나 데드락을 포함하는 도어 모티스락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레칫볼트의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이 편리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티스락은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가 있는 문 자물쇠로서 주로 현관문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데드볼트와 더불어 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래칫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통칭하고 있다.
상기 모티스락의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455783호(2014.11.04. 공고)에는 '제1출몰공이 형성된 전면판, 제1가이드부, 제1설치부 및 제1축설부를 포함하는 바디, 이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로 둘러싸인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바디의 제1출몰공을 드나드는 래칫, 이 래칫과 연결되고 바디의 수납부에 배열된 제1가이드바, 이 제1가이드바가 끼워지는 제1삽입공을 갖고 바디의 제1설치부에 결합된 걸림편, 제1가이드바에 외삽되고 래칫과 걸림편 사이에 배열되어 래칫의 상시 출몰 상태를 돕는 제1코일스프링, 바디의 제1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고 제1가이드바가 끼워지는 제2삽입공을 갖고 걸림편의 후방에 배열된 제1가이더를 포함하는 래칫볼트; 상기 래칫볼트의 제1가이드바와 연결되는 체결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바디의 제1축설부에 결합되는 제1스윙축과, 상기 제1스윙축에 형성된 제1축공을 갖는 제1레버; 제1레버의 제1축공에 결합되는 축봉과, 이 축봉에 결합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핸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칫볼트의 제1가이드바 후단에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한 정지단이 구비되어 있고, 제1가이더와 정지단 사이에는 제1코일스프링 보다 큰 탄성을 갖는 제2코일스프링이 제1가이드바에 외삽 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는 제1출몰공 반대편에 접근공이 형성되어 있어, 제1가이드바의 정지단 공구결합부에 접근공을 통하여 삽입된 공구의 가압으로 제2코일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제1가이드바 및 래칫이 돌출되고, 제1출몰공의 영역을 벗어난 래칫을 회전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전면판은 제2출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출몰공을 드나드는 데드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모티스락은 렛치 개폐장치와 데드락을 일체로 형성하여 창호도어, 시스템도어, 도어, 방화문 등에 일체로 사용하거나 레칫 개폐장치와 데드락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래칫 개폐장치는 레칫볼트의 위치에 따라 도어의 개페방향이 달라지므로 잘못 장착시에는 다시 탈착하여 재장착하거나 부품을 풀어서 다시 재결합한 후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조립시 위치를 설정해야 되므로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조개선을 통해 부품수를 줄이고, 래칫볼트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렛치볼트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홈과 반향전환을 위한 스프링을 형성하여 작동의 결함을 줄일 수 있는 도어용 레치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조립구가 형성된 본체와 덮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결합되면서 출입구가 형성된 쉴드; 상기 조립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는 원형 돌기와 요입돌기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양측에 손잡이 레버가 결합되는 몰드; 상기 하우징과 몰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몰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몰드의 일측면에 원형 돌기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몰드와 함께 회전하도록 관통구와 가이드홈이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가동레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전단은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는 한편, 후단에는 축 돌기과 축 돌기홈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 돌기를 축으로 회전하여 잠금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되,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은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레칫볼트;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가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을 작용을 하도록 형성한 제2스프링;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에 대응하는 양쪽에 각각 상/하부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홈가 끼워져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구된 축홀을 형성하여 레칫볼트의 방향을 변경시 회전할 수 있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어용 모티스락에 의하면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래칫볼트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사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어용 모티스락과 같이 적용하여 각 구성간 작동 및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동 불량률을 줄임과 동시에 편리하게 위치를 변경함으로 제조작업시 생산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의 분해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용 모티스락에 적용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조립구(340)가 형성된 본체(100)와 덮개(200)가 형성된 하우징(400);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결합되면서 출입구(110)가 형성된 쉴드(300); 상기 조립구(340)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는 원형 돌기(210)와 요입돌기(220)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양측에 손잡이 레버(190)가 결합되는 몰드(290); 상기 하우징(400)과 몰드(29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몰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120); 상기 몰드의 일측면에 원형 돌기(210)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몰드(29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구(380)와 가이드홈(390)이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가동레버(35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전단은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는 한편, 후단에는 축 돌기(510)과 축 돌기홈(5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 돌기(510)를 축으로 회전하여 잠금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되,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은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레칫볼트(500);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510)가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프레임(600); 및 상기 하우징(400)과 프레임(6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을 작용을 하도록 형성한 제2스프링(640);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하우징(400)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면에는 상부장공(330)과 하부장공(360)에 대응하는 양쪽에 각각 상/하부가이드돌기(610,63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레칫볼트(500)의 축 돌기홈(520)가 끼워져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350)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레칫볼트(500)의 축 돌기홈(5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구된 축홀(620)을 형성하여 레칫볼트(500)의 방향을 변경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몰드(290)는 결합구(380)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는 원형 돌기(2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양측에 손잡이 레버(19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몰드(290)는 도어에 형성되는 통상의 손잡이 레버가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레버에 의해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몰드(290)는 실시 예로서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몰드의 상하 또는 전후 중 어느 일단부의 회전반경 상에는 요입홈돌기(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0)에는 상기 요입홈돌기 상에 위치하는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120)은 상기 하우징(400)과 몰드(29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몰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한다. 즉, 상기 제1 스프링은 탄성력에 의해 몰드(290)에 결합된 손잡이 레버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가동레버(350)는 상기 몰드의 일측면에 원형 돌기(210)가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몰드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가동레버(350)는 상기 몰드와 함께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프레임(600)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레버(350)는 몰드(290)로 부터 일정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몰드(290)는 원형 돌기(210)의 외주연 일측에 요입홈돌기(22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동레버에는 상기 요입홈 돌기(220)가 끼워지는 상태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가이드 홈(390)이 형성된다.
상기 레칫볼트(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부에 설치되면서 전단은 상기 출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는 한편, 후단에는 축 돌기(510)과 축홈(5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 돌기를 축으로 회전하여 잠금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되,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은 출입구(110)를 완전히 빠져나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레칫볼트(500)는 그 자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별도의 스텐리스스틸 쉴드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설치 방향을 간편하게 하여 형성하거나 일체로 형성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칫볼트(500)는 스텐리스스틸 쉴드(390)가 하우징(4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출입구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고, 스텐리스스틸 쉴드(390)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마음대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 용이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하우징(400)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면에는 상/하부장공(330,360)에 대응하는 제1,2돌기(610,63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510)가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350)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를 일측면의 방향에서 간편하게 밀어끼우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스프링(640)은 상기 하우징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을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래칫볼트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사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출입구
200: 덮개 210: 원형돌기
220: 요입홈돌기 300: 쉴드
400: 하우징 500: 레칫볼트
600: 프레임

Claims (4)

  1. 조립구(340)가 형성된 본체(100)와 덮개(200)가 형성된 하우징(400);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결합되면서 출입구(110)가 형성된 쉴드(300);
    상기 조립구(340)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는 원형 돌기(210)와 요입돌기(220)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양측에 손잡이 레버(190)가 결합되는 몰드(290);
    상기 하우징(400)과 몰드(29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몰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120); 상기 몰드(290)는 결합구(380)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는 원형 돌기(2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양측에 손잡이 레버(19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몰드(290)는 도어에 형성되는 통상의 손잡이 레버가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레버에 의해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몰드에 형성된 원형 돌기(210)와 요입돌기(220)와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몰드(29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구(380)과 가이드홈(390)이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가동레버(350); 상기 가동레버에 의해 출입되도록 형성하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전단은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는 한편, 후단에는 축 돌기(510)과 축 돌기홈(5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돌기(510)를 축으로 회전하여 잠금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되,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은 출입구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레칫볼트를 포함하는 레칫장치부;로 이루어진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칫장치부는
    상기 레칫볼트의 축 돌기(510)가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프레임(600); 및 상기 하우징(400)과 프레임(6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을 작용을 하도록 형성한 제2스프링(640);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하우징(400) 내부에 설치하되, 양측면에는 상부장공(330)과 하부장공(360)에 대응하는 양쪽에 각각 상/하부가이드돌기(610,63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레칫볼트(500)의 축 돌기홈(520)에 끼워져 축 결합되는 한편, 후방은 상기 가동레버(350)의 하단이 밀착하여 후방으로 밀리도록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600)은 레칫볼트(500)의 축 돌기홈(5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구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축홀(620)을 형성하고,
    상기 축홀에 장착된 레칫볼트(500)의 방향을 변경시 회전할 수 있도록 레칫볼트(500)의 프레임의 축 돌기홈(5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구된 축홀(620)을 형성하여 사이에 가압스프링(650)을 더 삽입하여 상기 가압스프링으로 밀어주어 레칫볼트(500)가 헐렁해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레칫장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덮개(200)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와 덮개는 각각 프레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칫장치부를
    자물쇠뭉치(710)와 데드볼트(720)를 포함하는 데드락(700)을 하우징(400)내에 배열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KR1020200188978A 2020-12-31 2020-12-31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KR10233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78A KR102331364B1 (ko) 2020-12-31 2020-12-31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78A KR102331364B1 (ko) 2020-12-31 2020-12-31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364B1 true KR102331364B1 (ko) 2021-11-24

Family

ID=7874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978A KR102331364B1 (ko) 2020-12-31 2020-12-31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3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CN204060191U (zh) * 2014-07-11 2014-12-31 吴昌景 一种房门电子锁
KR200476646Y1 (ko) * 2014-02-20 2015-03-18 주식회사 대현상공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KR200476646Y1 (ko) * 2014-02-20 2015-03-18 주식회사 대현상공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CN204060191U (zh) * 2014-07-11 2014-12-31 吴昌景 一种房门电子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929B2 (en) Lid open-close apparatus
US7108300B2 (en) Reversible latch bolt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2331364B1 (ko)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US7293807B2 (en) Door handle assembly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US20050151380A1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KR101549511B1 (ko) 도어 핸들
KR20110122845A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US4508377A (en) Door handle unit
US6536248B1 (en) Door lock-and-handle assembly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2284732B1 (ko) 도어용 모티스락 일체형 케이스
KR101003230B1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GB2230049A (en) Securing apparatus e.g. for doors and windows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20100008839U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KR100997918B1 (ko) 수동키를 갖는 도어락 장치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KR102284735B1 (ko) 도어용 그립감을 갖는 기능성 데드락
KR20180071916A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US20220112744A1 (en) Gate latch
KR102318630B1 (ko)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