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845A -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 Google Patents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845A
KR20110122845A KR1020117021404A KR20117021404A KR20110122845A KR 20110122845 A KR20110122845 A KR 20110122845A KR 1020117021404 A KR1020117021404 A KR 1020117021404A KR 20117021404 A KR20117021404 A KR 20117021404A KR 20110122845 A KR20110122845 A KR 2011012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rotating body
engaging
base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436B1 (ko
Inventor
요스케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2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6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3Stepwise mo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Toys (AREA)

Abstract

도어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와,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어 도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 이동해서, 도어가 폐색위치로 왕동하는 것을 어시스트하는 수용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기구이다. 스트라이커를, 도어에 대한 부착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조정수단에 의해서 도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시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ASSIST MECHANISM FOR PIVOTING BODY}
본 발명은 왕동 종료위치를 향해서 왕동되는 회동체에 대하여,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왕동 종료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그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도록 기능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에 설치된 핀에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탄지수단에 의해 회동하여 도어의 폐쇄를 어시스트하는 걸어맞춤체를 도어 프레임측에 부착해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것과는 반대로, 핀을 도어 프레임측에 설치하고, 상기 핀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회동하여 도어의 폐쇄를 어시스트하는 암을 도어측에 부착해서 이루어지는 도어체 폐폐색장치가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종류의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측, 혹은 도어 프레임측, 혹은 이 양자에, 예를 들면 뒤틀림이나 휘어짐, 조립위치의 어긋남 등이 사후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도어를 소정의 위치까지 닫아도 상기 걸어맞춤체나 암의 걸어맞춤 개소에 핀이 적절하게 포착되지 않게 되어 왕동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구에서는 핀을 도어 혹은 도어 프레임에서 떼어내서 적절한 위치에 재부착할 수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7-17745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07-12014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어시스트기구에 있어서 수용부재에 포착되는 스트라이커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를, 회동체 및 이 회동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와, 이들 중 타측에 구비되어 회동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에 이동해서 회동체가 왕동 종료위치로 왕동하는 것을 어시스트하는 수용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기구로서,
스트라이커를,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대한 부착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조정수단에 의해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지지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회동체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스트라이커가 수용부재에 포착되고, 이 포착 후의 수용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스트라이커를 통해서 왕동 종료위치를 향한 회동체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그런데, 상기 왕동의 어시스트는 스트라이커와 수용부재가 각각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 회동체 측 혹은 지지체측, 혹은 이 양자에 예를 들면 뒤틀림이나 휘어짐, 조립위치의 어긋남 등이 사후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회동체를 왕동시켜도 수용부재에 스트라이커가 적절하게 포착되지 않게 되어 왕동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스트라이커베이스를 재부착하는 일 없이 조정하여, 상기한 어긋남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용부재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부적절한 배치를 교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를,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시켜두면, 스트라이커베이스를 재부착하는 일 없이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트라이커를,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시켜두면, 스트라이커베이스를 재부착하는 일 없이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트라이커를,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시켜두면,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적어도 2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수단을, 스트라이커를 가짐과 아울러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1 부재에,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시킨 피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의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2 부재를 조립시키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부 및 피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을 제 1 부재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복수 구비시켜서 구성해 두는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부재의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한 이동에 저항하는 탄지수단을 더 구비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였을 경우,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 2 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제 1 부재의 피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스트라이커가 적절한 포지션에 위치될 때까지 제 1 부재를 이동시킨 후에, 다시 걸어맞춤부를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탄지수단을 구비시켜 두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제 2 부재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조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피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또, 이 조작을 멈추면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출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베이스를, 스트라이커를 지지하는 주체부와,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대한 부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체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주체부에 조립된 마운트부재로 구성시키고, 또한 조정수단을, 상기 마운트부재에 형성시킨 피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의 주체부에 지지되는 가동부재를 상기 마운트부재에 조립시키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부 및 피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을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로 구비시켜서 구성해 두는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동부재의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한 이동에 저항하는 탄지수단을 더 구비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하였을 경우,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의 지지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가동부재의 걸어맞춤부와 마운트부재의 피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스트라이커가 적절한 포지션에 위치될 때까지 주체부를 이동시킨 후에, 다시 걸어맞춤부를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조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탄지수단을 구비하여 두면, 그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2 부재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조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피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이 조작을 멈추면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걸어맞춤부와 피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재에 포착되는 스트라이커의 위치조정을 스트라이커측을 분리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위치조정을 용이하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어시스트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며, 도어의 상부측을 하방에서 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어시스트기구의 수용부재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 수용부재를 하방에서 본 구성도이며, 수용부재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어시스트기구의 수용부재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 수용부재를 하방에서 본 구성도이며, 수용부재가 스트라이커를 포착해서 파지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를 경사방향 상방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종단면 구성도이며, 제 2 부재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압입 조작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를 경사방향 하방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다.
도 8은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를 경사방향 하측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며, 제 2 부재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압입 조작해서 제 1 부재를 스트라이커베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를 구성하는 하부베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것을 경사방향 하방에서 본 사시 구성도다.
도 10은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다.
도 11은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에 있어서의 상부베이스 측을 도 10의 상태로부터 더욱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2는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경사방향 하방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3은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의 종단면 구성도이며, 스트라이커베이스의 주체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구성하는 마운트부재와 주체부를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며, 마운트부재를 회동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구성하는 마운트부재와 주체부를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6은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구성하는 마운트부재와 주체부를 조립하는 도중의 상태를 회동체의 부착부 측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7은 스트라이커 측의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이것을 구성하는 하부베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것을 경사방향 하방에서 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8은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구성하는 상부베이스 측을 도 17의 상태로부터 더욱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9(a) ~ 도 19(c)는 스트라이커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가 기준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는 모습과, 이 기준 위치보다 좌측으로 조정된 모습과 우측으로 조정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 도 19(c)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 ~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어시스트기구의 스트라이커(4) 측 부재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내며, 도 12 ~ 도 19(c)는 상기 스트라이커(4) 측 부재의 일부 변경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체(M)의 어시스트기구는, 왕동(往動) 종료위치를 향해서 왕동되는 회동체(M)에 대하여, 소정의 왕동위치에서부터 왕동종료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왕동을 어시스트(보조)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체(M)는 지지체(F)에 왕동회동 및 복동(復動)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전형적으로는 도어나 여닫이 문 등을 들 수가 있지만 지지체(F)에 왕동회동 및 복동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한 예에서는 어시스트기구를 도어(Ma)와 도어 프레임(Fa)에 구비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는, 지지체(F)로서의 도어 프레임(Fa)의 도어 맞닿음부(Fb)에 왕동시에 선두가 되는 일면(一面)(Mb)을 맞닿게 한 폐색위치(왕동 종료위치)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Fa) 내측의 개구부(Fc)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는 상기 개구부(Fc)를 폐색하지 않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색위치를 향하여 왕동 조작되면, 이 왕동의 과정에서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수용부재(1)에 어시스트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4)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폐색위치까지 어시스트기구의 작용을 받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스트라이커(4)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체(F)로서의 도어 프레임(Fa)측에 수용부재(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와는 별도로, 스트라이커(4)를 지지체(F)로서의 도어 프레임(Fa) 측에 설치하고, 수용부재(1)를 회동체(M)로서의 도어(Ma) 측에 구비하여도 상기 회동체(M)의 왕동을 그 도중에서부터 어시스트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스트라이커(4)는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의해서 도어(Ma)에 있어서의 왕동시에 선두가 되는 일면(Mb)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 상기 스트라이커(4)는 도어(Ma)의 도어 힌지(Mc) 측에 있어서 도어(Ma)의 상단 측에 구비되어 있다. 스트라이커베이스(5)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에 대한 부착부(5a)를 가짐과 아울러, 이 부착부(5a)의 전방에 위치되는 선단부(5b)에 있어서 스트라이커(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커(4)는 상기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선단부(5b)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스트라이커(4)의 상단은 도어(Ma)의 상단과 거의 같거나 이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되며, 도어(Ma)의 폐색위치 향한 왕동시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Fa)의 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수용부재(1)에 도어(Ma)가 폐색되기 직전에 있어서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선단부의 상면은 수용부재(1)를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후술하는 본체(2) 하부의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재(1)는 회동체(M)의 소정의 왕동위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4)를 포착한 후에 이동해서, 회동체(M)의 왕동 종료위치로의 왕동을 어시스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수용부재(1)는 대기위치와 파지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본체(2)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상부(2a)를 도어 프레임(Fa)의 프레임 상부에 대한 부착부로 하고 있으며, 수용부재(1)는 상기 본체(2)의 상부(2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축(2b)에 의해서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부채꼴 형상의 윤곽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부채꼴 형상의 사북부에 상기 수직축(2b)에 대한 축구멍(1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수용부재(1)에는 상기 부채꼴 형상의 호형상 가장자리(1b)에 있어서 개방됨과 아울러, 이 호형상 가장자리(1b)에서부터 축구멍(1a) 측을 향해서 움푹 파인 포착 오목부(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대기위치에 있어서 수용부재(1)의 포착 오목부(1c)의 입구(1d)가, 왕동 시에 있어서의 도어(Ma)가 접근하는 측, 즉 전방측을 향하게 됨과 아울러(도 2), 도어(Ma)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이 대기위치에 있는 수용부재(1)의 포착 오목부(1c)에 스트라이커(4)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상기 왕동 시에는, 대기위치에 있는 포착 오목부(1c)의 입구(1d) 측에 있는 오목부 내벽(1e,1f) 중, 전방측의 내벽(1e)은 스트라이커(4)의 이동 궤적(z)의 측방으로 어긋나고, 후방측의 내벽(1f)이 이 이동 궤적(z)(도 2)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포착 오목부(1c)에 스트라이커(4)가 삽입되면, 수용부재(1)가 포착 오목부(1c)의 입구(1d)를 후방측으로 향하게 하는 파지위치를 향해서 정회전됨과 아울러, 이 정회전에 그 도중에서부터 탄지수단(3)의 탄지력이 작용되어, 상기와 같이 정회전되는 수용부재(1)에 의해서 도어(Ma)의 왕동 종료위치를 향한 왕동이 어시스트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탄지수단(3)은 일측 단부(3b)를 수용부재(1)의 호형상 가장자리(1b) 측에 고정하고, 타측 단부(3c)를 본체(2)에 고정함과 아울러, 양측 단부(3b,3c) 사이의 치수가 수용부재(1)의 대기위치와 파지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가장 커지도록 본체(2)에 설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3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a)에 의해서 상기 도어(Ma)의 왕동을 어시스트하거나, 수용부재(1)가 대기위치 및 파지위치에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 상기 스프링(3a)은 양측 단부(3b,3c)와 수직축(2b)이 거의 동일한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중간위치에서 가장 인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스트라이커(4)를 포착 오목부(1c)에 수용한 수용부재(1)가 도어(Ma)의 왕동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중간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함께 이동되면, 중간위치를 넘어선 위치에서부터는 수용부재(1)가 파지위치까지 상기 스프링(3a)의 탄지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회전하여 도어(Ma)의 왕동을 어시스트한다. 또, 수용부재(1)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용부재(1)의 정회전이 상기 스프링(3a)의 인장을 초래하며, 또한, 수용부재(1)가 파지위치에 있을 때에도 수용부재(1)의 역회전이 상기 스프링(3a)의 인장을 초래하므로, 수용부재(1)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와 파지위치에 있는 상태는 각각 상기 스프링(3a)에 의해서 유지된다. 수용부재(1)의 상기 정회전에 도시하지 않는 댐퍼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해 두면, 어시스트되는 도어(Ma)의 왕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왕동 종료위치에 있는 도어(Ma)를 복동시키면, 스트라이커(4)를 포착하고 있는 수용부재(1)가 대기위치까지 스트라이커(4)와 함께 역회전되고,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포착 오목부(1c)에서 스트라이커(4)가 빠져나가 해방되어 도어(Ma)의 복동이 허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어시스트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4)는, 조정수단(6)에 의해서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지지되어 있다.
회동체(M)로서의 도어(Ma)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왕동시키면 스트라이커(4)가 수용부재(1)에 포착되고, 이 포착 후의 수용부재(1)의 이동에 의하여 스트라이커(4)를 통해서 왕동 종료위치를 향한 도어(Ma)의 왕동이 어시스트된다. 그런데, 상기 왕동의 어시스트는 스트라이커(4)와 수용부재(1)가 각각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실현할 수 없다. 회동체(M)로서의 도어(Ma) 측, 혹은 지지체(F)로서의 도어 프레임(Fa) 측, 혹은 이 양자에 있어서 예를 들면 뒤틀림이나 휘어짐, 조립위치의 어긋남 등이 사후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도어(Ma)를 왕동시켜도 수용부재(1)에 스트라이커(4)가 적절하게 포착되지 않게 되어 어시스트기구의 소기의 동작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동체(M)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스트라이커(4)의 지지위치를, 상기 조정수단(6)에 의해서 스트라이커베이스(5)를 재부착하는 일 없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한 어긋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용부재(1)에 대한 스트라이커(4)의 부적절한 배치를 교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수단(6)이 스트라이커(4)를 가지는 제 1 부재(61)와 제 2 부재(62)를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61)는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62)는 제 1 부재(61)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61a)에 대한 걸어맞춤부(62a)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61a)에 걸어맞춤부(62a)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의 이동조작이 가능하게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스트라이커베이스(5)는, 도어(Ma)의 일면(Mb)에 대한 부착부(5a)가 되는 세로방향의 부착판부(51a)와, 이 부착판부(51a)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덮개판부(51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부베이스(51)와, 하부베이스(51)의 부착판부(51a)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세로방향판부(52a)와, 이 세로방향판부(52a)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면을 개방시킨 케이스부(52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부베이스(52)를 조립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부재(61)는 상기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며, 또한, 제 2 부재(62)는 상기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또한 제 2 부재(62)의 후술하는 탄지수단(63)을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에 수납한 상태에서, 하부베이스(51)의 부착판부(51a)의 전면(前面)(51b)에 상부베이스(52)의 세로방향 판부(52a)를 장착시키고, 또한 상기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의 하면을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에 의해 폐색하도록 해서, 하부베이스(51)와 상부베이스(52)를 조립시키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부베이스(52)와 하부베이스(51)를 조립시킨 상태에서 양자를 도면 부호 51f,52i로 나타낸 나사구멍을 이용해서 나사 고정함으로써 일체화시키고 있다.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의 돌출 단부에는 제 1 부재(61)를 통과시키는 개방부(52j)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부재(61)는 상기 개방부(52j)에서 그 전단부(61b) 측을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조립되어 있다. 스트라이커(4)는, 상기 개방부(52j)를 통해서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부재(61)의 전단부(61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 부재(61)는 그 전후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부터 후단까지에 걸친 개소를 좌우로 분할시키고 있으며, 분할된 좌우 벽부(61c,61c) 사이에 제 2 부재(62)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의 상부 내면(52h)과 제 2 부재(62)의 사이에는 탄지수단(63)으로서의 압축코일스프링(63a)이 수납되어 있으며, 통상은 제 2 부재(62)의 하부(62b)가 이 스프링(63a)에 의해서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의 내면(51d) 측으로 내리눌려서 걸어맞춤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제 2 부재(62)의 하부의 중앙에는 조작용 볼록부(62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에는 이 조작용 볼록부(62c)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창구멍(5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부(62a) 및 피 걸어맞춤부(61a) 중 적어도 일측이 제 1 부재(61)의 이동방향(y)에 있어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제 1 부재(61)에는 그 이동방향(y)에 있어서 피 걸어맞춤부(61a)가 복수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부재(62)에도 제 1 부재(61)의 이동방향(y)에 있어서 걸어맞춤부(62a)가 복수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스트라이커(4)의 지지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a)와 제 1 부재(61)의 피 걸어맞춤부(61a)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스트라이커(4)가 적절한 포지션에 위치될 때까지 제 1 부재(61)를 이동시킨 후에, 다시 걸어맞춤부(62a)를 피 걸어맞춤부(61a)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서 상기 조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부재(61)의 피 걸어맞춤부(61a)가, 상기 좌우 벽부(61c,61c) 내면{타측의 벽부(61c)와 마주한 측의 면}의 하측에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63)으로서의 스프링(63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2 부재(62)를 상방으로 이동 조작하면, 상기 피 걸어맞춤부(61a)와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이 조작을 멈추면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맞춤부(62a)와 피 걸어맞춤부(61a)를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조정수단(6)은 제 2 부재(62)가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저항하는 탄지수단(6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조정을 위한 제 2 부재(62)의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한 이동조작을, 상기 창구멍(51e)을 통해서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으로 조작용 볼록부(62c)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하방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8).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에는 상기 개방부(52j)에서부터 세로방향 판부(52a)에 걸쳐서 제 1 부재(61)를 안내 수납하는 안내 수납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61)는 그 후단부가 세로방향 판부(52a)의 내면에 맞닿은 위치에 있어서, 개방부(52j)로부터 돌출된 치수가 가장 작아지도록 한다. 제 1 부재(61)의 전후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각각의 좌우 벽부(61c,61c)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61d)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안내 수납부(52d)에 있어서의 개방부(52j) 측에는 제 1 부재(61)를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볼록부(61d)가 후방에서 맞닿는 빠짐방지부(52e)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11), 제 1 부재(61)는 상기 볼록부(61d)가 빠짐방지부(52e)에 맞닿은 위치에 있어서, 개방부(52j)로부터 돌출된 치수가 가장 커지도록 한다.
상기 안내 수납부(52d) 내인 한편, 이 안내 수납부(52d) 내에 위치되는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의 사이가 되는 개소에, 세로방향 판부(52a)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안내 벽부(52f)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부재(62)는 상기 안내 벽부(52f)와 세로방향 판부(52a)의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도 5). 도시한 예에서 제 2 부재(62)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상의 쟁반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홈(62d)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안내 벽부(52f)와 세로방향 판부(52a)에는 각각 상기 홈(62d)에 삽입되는 리브(52b,52g)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가 형성된 개소의 상하방향의 치수는 상부베이스(52)의 케이스부(52c)의 상부 내면(52h)과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의 내면(51d) 사이의 치수와 거의 같고, 한편, 제 2 부재(62)의 상하방향의 치수는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가 형성된 개소의 상하방향 치수의 대략 절반 정도의 치수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재(61)의 피 걸어맞춤부(61a)는 상기 좌우 벽부(61c,61c)의 상하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고,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a)는 그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61)의 피 걸어맞춤부(61a)는 각각 좌우 벽부(61c,61c)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피 걸어맞춤부(61a)를 좌우 벽부(61c,61c)에 있어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피 걸어맞춤부(61a)와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시키고 있다. 각 피 걸어맞춤부(61a)는 횡단면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산(山)형상으로해서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피 걸어맞춤부(61a)로 이루어지는 횡단면형상을 물결형상으로하는 래크형상부(61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a)는 각각 그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서 각각 돌출되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부(62a)를 상기 양 측부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부(62a)와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시키고 있다. 각 걸어맞춤부(62a)는 횡단면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산형상으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2 부재(62)의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도 각각 복수의 걸어맞춤부(62a)로 이루어지는 횡단면형상을 물결형상으로 하는 래크형상부(62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의 래크형상부(61e)에 대응하는 제 2 부재(62)의 래크형상부(62e)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즉, 제 1 부재(61)가 전후방향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의 사이에 제 2 부재(62)가 위치되며, 제 1 부재(61)의 좌우 벽부(61c,61c)에 형성된 래크형상부(61e)에 각각 제 2 부재(62)에 형성된 대응하는 래크형상부(62e)가, 서로 인접하는 피 걸어맞춤부(61a,61a)의 사이에 걸어맞춤부(62a)가 수납되고,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부(62a,62a)의 사이에 피 걸어맞춤부(61a)가 수납되도록 되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부재(61)를 각 조정위치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게 되어 있다. 즉, 제 2 부재(62)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조작(도시한 예에서는 상방으로의 압입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복수의 걸어맞춤부(62a)와 피 걸어맞춤부(61a)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제 2 부재(62)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조작해서 제 1 부재(61)의 스트라이커베이스(5)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한 후, 이 이동조작을 멈추면 상기 탄지수단(63)으로서의 스프링(63a)의 탄지력에 의하여 제 2 부재(62)의 래크형상부(62e)가 제 1 부재(61)의 래크형상부(61e)에 다시 맞물리게 되면서 걸어맞춤위치로 이동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 스트라이커(4)는 제 1 부재(61)의 전단부(61b)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구멍(61f)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스트라이커(4)는 원기둥형상체의 하단부에 플랜지(4a)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수납구멍(61f)의 상부 구멍부에는 상기 플랜지(4a)에 맞닿는 맞닿음부(61g)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납구멍(61f)의 하부 구멍부를 폐색하는 커버(61h)와 스트라이커(4)를 구성하는 원기둥형상체의 하단의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61i)이 장착되어 있으며, 스트라이커(4)는 상기 스프링(61i)의 탄지력에 의하여 원기둥형상체에 있어서의 플랜지(4a)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수납구멍(61f)의 상부 구멍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제 1 부재(61)에 구비되어 있다(도 5).
상기 스트라이커베이스(5)를, 회동체(M) 및 지지체(F) 중 어느 일측에 대한 부착부(5a)를 구비한 고정측 부재와, 스트라이커(4)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측 부재에 대해서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립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는 가동측 부재로 구성되도록 해 두면, 스트라이커(4)의 위치조정을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전후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도 용이하고 적절하게 이룰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상부베이스(52)와 하부베이스(51)에 의해서 상기 가동측 부재를 구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동측 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고정측 부재에 조립하고, 상기 고정측 부재를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M)로서의 도어(Ma)에 설치하도록 한다.
도 12 ~ 도 19(c)는 상기 가동측 부재로서의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주체부(5’)를 상기 고정측 부재로서의 마운트부재(53)를 통해서 회동체(M) 측에 구비시킨 일부 변경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일부 변경예에서 스트라이커베이스(5)는, 상기 스트라이커(4), 하부베이스(51), 상부베이스(52) 및 조정수단(6)을 구비한 주체부(5’)와, 마운트부재(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운트부재(53)에 회동체(M)에 대한 부착부(5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커(4)는 상기 조정수단(6)에 의해서, 적어도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주체부(5’)가 마운트부재(53)에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마운트부재(53)는 좌우방향으로 길고 상하방향으로 짧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마운트부재(53)의 좌우 양단의 사이에는 그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긴 관통구멍(53a)이 2개 형성되어 있으며, 마운트부재(53)는 상기 관통구멍(53a)을 이용해서 그 일면측을 회동체(M)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회동체(M)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도 14). 즉,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상기 마운트부재(53)의 일면이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상기 부착부(5a)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마운트부재(53)의 부착부(5a)의 반대측인 전면부에 후술하는 피 걸어맞춤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일부 변경예에서 하부베이스(51)는 도 1 ~ 도 11에 나타낸 기본 구성예와 달리 부착판부(51a)를 가지지 않는다. 이 일부 변경예에서 하부베이스(51)는 덮개판부(51c)의 후측단 가장자리에, 이 후측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저지 리브(51g)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일부 변경예에서 상부베이스(52)는 세로방향 판부(52a)의 상단 전체에 걸쳐서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차양형상부(52k)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차양형상부(52k)의 후측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저지 리브(52m)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의 상면측에 있어서의 저지 리브(51g)의 전방에, 상부베이스(52)의 세로방향 판부(52a)의 하단부를 수납하는 홈부(51h)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51h)에 세로방향 판부(52a)의 하단부를 수납해서 조립시킨상태에 있어서, 상부베이스(52)의 저지 리브(52m) 및 하부베이스(51)의 저지 리브(51g)와 상부베이스(52)의 세로방향 판부(52a)의 사이에 마운트부재(53)의 상하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이 형성되고, 상부베이스(52)의 차양형상부(52k)와 하부베이스(51)의 덮개판부(51c)의 사이에 마운트부재(53)의 폭에 상당하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도 13).
그리고,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동체(M)에 마운트부재(53)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 마운트부재(53)를, 상부베이스(52)의 저지 리브(52m)와 하부베이스(51)의 저지 리브(51g) 및 상부베이스(52)의 세로방향 판부(52a)의 사이에 형성된 마운트부재(53) 삽입공간(5c)에 삽입함으로써,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주체부(5’)가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마운트부재(53)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14에 있어서의 주체부(5’)의 좌측에 있어서, 상부베이스(52)의 저지 리브(52m)와 하부베이스(51)의 저지 리브(51g)의 사이에는 삽입공간(5c)으로 마운트부재(53)를 도입하는 도입구(5d)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운트부재(53)의 도 14에 있어서의 우측단부를 상기 도입구(5d)에서부터 삽입공간(5c) 내로 삽입하여 도 14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주체부(5’)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마운트부재(53)와 주체부(5’)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삽입공간(5c)에 있어서의 도입구(5d)의 반대측은 폐색되어 있으며, 주체부(5’)는, 상기와 같이 주체부(5’)에 조립된 마운트부재(53)의 도 14에 있어서의 그 우측단부가 상기 폐색된 개소에 맞닿는 위치까지 좌측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조정수단(6)이, 상기 마운트부재(53)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53b)에 대한 걸어맞춤부(62f)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53b)에 걸어맞춤부(62f)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지지되는 가동부재를 상기 마운트부재(53)에 조립시켜서 이루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1 ~ 도 11에 나타낸 기본 구성예의 제 2 부재(62)에 상기 마운트부재(53)에 대한 걸어맞춤부(62f)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부재(62)가 상기 가동부재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상부베이스(52)의 세로방향 판부(52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주체부(5’)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절결부(52n)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52n)를 통해서 상기 삽입공간(5c) 내에 제 2 부재(62)의 후단부(62g)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후단부(62g)에 상기 걸어맞춤부(62f)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절결부(52n)는 그 좌우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남겨진 상기 리브(52b)를 구비한 세로방향 판부(52a)의 I자형상부(52o)에 의해서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62)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후방{부착부(5a)측}에 위치되는 후단부(62g)와 조작용 볼록부(62c)의 사이에, 상기 제 2 부재(6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62h)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부재(62)는 상기 세로방향 판부(52a)의 I자형상부(52o)를 상기 가이드 구멍(62h)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부베이스(5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상기 걸어맞춤부(62f) 및 피 걸어맞춤부(53b)의 쌍방이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에 있어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마운트부재(53)의 피 걸어맞춤부(53b)는 그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 걸어맞춤부(53b)는 전면부에서 돌출되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피 걸어맞춤부(53b)와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피 걸어맞춤부(53b)는 횡단면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산(山)형상으로해서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14에 있어서의 마운트부재(53)의 우측단부에서부터 그 좌우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까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피 걸어맞춤부(53b,53b)로 이루어지는 횡단면형상을 물결형상으로 하는 래크형상부(5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 걸어맞춤부(53b)의 상하 치수는 제 2 부재(62)의 두께와 거의 같고, 제 2 부재(62)가 걸어맞춤위치에 있을 때에는 피 걸어맞춤부(53b)와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f)가 서로 맞물리지만, 제 2 부재(62)가 비 걸어맞춤위치로 압입되면 양자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f)는 그 후단부(62g)에서 돌출되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부(62f)와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부(62f)는 횡단면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산형상으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2 부재(62)의 후단부(62g)에도 복수의 걸어맞춤부(62f,62f)로 이루어지는 횡단면형상을 물결형상으로 하는 래크형상부(62i)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마운트부재(53)의 래크형상부(53c)에 제 2 부재(62)의 래크형상부(62i)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즉, 마운트부재(53)에 형성된 래크형상부(53c)에, 제 2 부재(62)에 형성된 대응하는 래크형상부(62i)가, 서로 인접하는 피 걸어맞춤부(53b)의 사이에 걸어맞춤부(62f)를 수납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부(62f)의 사이에 피 걸어맞춤부(53b)를 수납하도록 해서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주체부(5’)를, 마운트부재(53)의 래크형상부(53c)와 제 2 부재(62)의 래크형상부(62i)가 서로 맞물리는 범위에서,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각 조정위치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 2 부재(62)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조작(도시한 예에서는 상방으로의 압입조작)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제 2 부재(62)의 복수의 걸어맞춤부(62a,62a…)와 제 1 부재의 복수의 피 걸어맞춤부(61a,61a…)가 걸어맞춰지게 함과 아울러, 제 2 부재(62)의 복수의 걸어맞춤부(62f,62f…)와 마운트부재(53)의 복수의 피 걸어맞춤부(53b,53b…)가 걸어맞춰지게 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부재(62)를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조작시켜서 스트라이커베이스(5)의 주체부(5’), 즉, 스트라이커(4)의 지지위치를 좌우로 조정시킨 후에 상기 이동조작을 멈추면, 상기 탄지수단(63)으로서의 스프링(63a)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부재(62)가 그 래크형상부(62e,62i)를 제 1 부재(61)의 래크형상부(61e) 및 마운트부재(53)의 래크형상부(53c)에 다시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걸어맞춤위치로 이동된다.
즉, 본 일부 변경예에서 스트라이커(4)는, 조정수단(6)에 의해서 회동체(M)의 회동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동체(M)의 회동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x’)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5)에 지지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제 2 부재(62)의 후단부(62g)와, 길이방향의 양측부 중 일측과의 사이의 코너부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2j)에 의해서, 상기 후단부(62g)의 좌우방향의 치수, 즉, 래크형상부(62i)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있다. 상기 래크형상부(62i)의 길이를 길게 하면, 스트라이커(4)의 좌우방향으로의 지지위치 조정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마운트부재(53)의 래크형상부(53c)에 있어서, 도 16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는 피 걸어맞춤부(53b)와 마운트부재(53)의 좌측 단부의 사이에, 피 걸어맞춤부(53b)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정상부(53e)를 향할수록 점차 높아지는, 우측을 향한 경사면(53f)이 형성된 캠부(53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M)에 부착부(5a)로써 마운트부재(53)를 부착한 후, 상기 삽입공간(5c)에 마운트부재(53)를 삽입시킬 때에, 상기 캠부(53d)의 경사면(53f)이 제 2 부재(62)의 걸어맞춤부(62f)에 먼저 맞닿음으로써, 상기 스프링(63a)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제 2 부재(62)가 비 걸어맞춤위치로 압입되어 삽입공간(5c) 내로 마운트부재(53)가 삽입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부재(62)의 래크형상부(62i)에 있어서, 도 16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는 걸어맞춤부(62f)보다도 좌측에 캠부(53d)의 정상부(53e)가 위치되면, 상기 스프링(63a)의 탄지력에서 의해서 제 2 부재(62)가 걸어맞춤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원터치로 마운트부재(53)와 주체부(5’)와 조립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일부 변경예에서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스트라이커(4)의 지지위치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삽입공간(5c)의 도입구(5d)의 입구 가장자리에 마운트부재(53)의 도 19(a) ~ 도 19(c)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마운트부재(53)의 좌측 단부가 이보다 돌출되었을 경우{도 19(c)}에는 기준위치보다 우측으로 스트라이커(4)가 위치조정되고 또, 마운트부재(53)의 좌측 단부가 이보다 인입되었을 경우{도 19(a)}에는 기준 위치보다 좌측으로 스트라이커(4)가 위치조정된 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부 변경예의 나머지의 구성은 도 1 ~ 도 11에 나타낸 기본 구성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일부 변경예에 있어서의 기본 구성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도 1 ~ 도 11의 기본 구성예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2009년 2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29978호 및 2009년 5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125211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8)

  1. 회동체 및 이 회동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와, 이들 중 타측에 구비되어 회동체의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포착한 후에 이동해서 회동체가 왕동 종료위치로 왕동하는 것을 어시스트하는 수용부재를 구비한 어시스트기구로서,
    스트라이커는,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대한 부착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조정수단에 의해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는,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는,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는, 조정수단에 의해서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조정수단은,
    스트라이커를 가짐과 아울러 회동체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1 부재에,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에 지지되는 제 2 부재를 조립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부 및 피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이 제 1 부재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복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 2 부재의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한 이동에 저항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베이스는, 스트라이커를 지지하는 주체부와, 회동체 및 지지체 중 어느 일측에 대한 부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체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주체부에 조립된 마운트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정수단은, 상기 마운트부재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비 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게 스트라이커베이스의 주체부에 지지되는 가동부재를 상기 마운트부재에 조립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부 및 피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이 회동체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비 걸어맞춤위치를 향한 이동에 저항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KR1020117021404A 2009-02-12 2009-12-24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KR101254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9978 2009-02-12
JPJP-P-2009-029978 2009-02-12
JP2009125211A JP5225199B2 (ja) 2009-02-12 2009-05-25 回動体のアシスト機構
JPJP-P-2009-125211 2009-05-25
PCT/JP2009/071485 WO2010092734A1 (ja) 2009-02-12 2009-12-24 回動体のアシスト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845A true KR20110122845A (ko) 2011-11-11
KR101254436B1 KR101254436B1 (ko) 2013-04-12

Family

ID=4256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404A KR101254436B1 (ko) 2009-02-12 2009-12-24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7632A4 (ko)
JP (1) JP5225199B2 (ko)
KR (1) KR101254436B1 (ko)
CN (1) CN102317559B (ko)
WO (1) WO2010092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407625T3 (en) * 2011-10-05 2017-05-01 V Zug Ag Automatic door lock for a home appliance
JP5874386B2 (ja) * 2011-12-27 2016-03-02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操作力軽減装置
JP5943600B2 (ja) * 2011-12-27 2016-07-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ポジショニング機構、及びポジショニング方法
WO2013162001A1 (ja) * 2012-04-27 2013-10-31 株式会社ニフコ 扉のアシスト機構
JP5913354B2 (ja) * 2012-06-04 2016-04-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座金位置調節機構及びこの座金位置調節機構が組み込まれる家具
GB2586354B (en) * 2018-03-23 2022-04-20 Sugatsune Kogyo Retracting device and retracting device s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566U (ko) * 1978-11-02 1980-05-13
JPH0645588Y2 (ja) * 1990-07-23 1994-11-24 コーエイ産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H0645588A (ja) * 1992-07-23 1994-02-18 Sony Corp オーミック電極及びその形成方法
JP4796816B2 (ja) 2005-10-28 2011-10-19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
JP4661592B2 (ja) * 2005-12-27 2011-03-30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
CN101131061B (zh) * 2006-08-25 2012-01-11 上海科星五金有限公司 手摇开窗器
JP2009029978A (ja) 2007-07-30 2009-02-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9125211A (ja) 2007-11-21 2009-06-11 Olympia:Kk スロットマシン及び遊技システム
JP5377227B2 (ja) * 2009-10-30 2013-12-25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アシスト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7559A (zh) 2012-01-11
WO2010092734A1 (ja) 2010-08-19
JP2010209673A (ja) 2010-09-24
CN102317559B (zh) 2014-07-02
KR101254436B1 (ko) 2013-04-12
JP5225199B2 (ja) 2013-07-03
EP2397632A1 (en) 2011-12-21
EP2397632A4 (en)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36B1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JP4751607B2 (ja)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JP5544333B2 (ja) リッド開閉装置
US8272166B2 (en) Self-propelled forward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and sliding door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US20140312632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7543409B2 (en) Door pull and sash window having the door pull
JP5789438B2 (ja) ラッチ装置
JP5141372B2 (ja) 窓用ロック装置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JP2834115B1 (ja) 自動ロック型錠装置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5132942B2 (ja) キャビネット
JP4149383B2 (ja) 窓等開閉器
JP4514076B2 (ja) 鎌錠
JP3980369B2 (ja) フラップ扉付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5943600B2 (ja) ポジショニング機構、及びポジショニング方法
CN108729774B (zh) 手柄扣
JP4291250B2 (ja) スライド蝶番
JP6542682B2 (ja) ドアクローザ
JP4693535B2 (ja) 施錠装置
JP2963098B1 (ja) 自動ロック型錠装置
KR101028272B1 (ko)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