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72B1 -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72B1
KR101028272B1 KR1020090034160A KR20090034160A KR101028272B1 KR 101028272 B1 KR101028272 B1 KR 101028272B1 KR 1020090034160 A KR1020090034160 A KR 1020090034160A KR 20090034160 A KR20090034160 A KR 20090034160A KR 101028272 B1 KR101028272 B1 KR 10102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er
striker
striker body
rotated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70A (ko
Inventor
가즈유키 도미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to KR102009003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2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Abstract

(과제)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캐처(2)가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경우에 소기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조를 보다 효과적인 형태로 제공한다.
(해결수단) 회동체(D) 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체(1)와, 본체(H) 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동체(D)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전방측(F)에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는 캐처(2)를 구비한 래치장치(R)이다. 캐처(2)는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체(1)를 받아들이는 수용부(21)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수용부(21)의 전방에,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2)에 회동체(D)의 기준위치로 향한 회동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수단(24)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래치장치{Latch device}
본 발명은 기준위치에서 전개 가능하게 본체에 조립된 회동체가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로 향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조작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상기 회동체를 기준위치로 끌어당기도록 기능하는 래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인입기구(引入機構, DRAW-IN MECHANISM)로서, 도어 프레임에 구비됨과 아울러, 도어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체를 도어가 폐쇄되기 직전에 포착하는 캐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캐처는 스트라이커체의 걸림홈을 가지고 있으며, 이 걸림홈의 도입구를 전방측으로 향하게 한 대기위치에서 상기 도입구로부터 걸림홈 내로 스트라이커체를 받아들여서 이것을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캐처는 대기위치와 파지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위치의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이 대기위치 측으로 향한 탄지력이 작용하고, 이 중간위치보다 파지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이 파지위치 측으로 향한 탄지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의 폐 쇄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한 상태로부터 중간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캐처가 회동되면, 그 이후로는 캐처가 파지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도어는 폐쇄위치까지 끌어당겨져서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기구에 있어서는 도어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캐처가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경우에 소기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체를 스트라이커 베이스 내로 탄지에 저항하여 퇴피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도어를 폐쇄하면, 스트라이커체가 캐처에 맞닿아서 일단 스트라이커 베이스 내로 퇴피함과 동시에 도어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캐처에 스트라이커체를 포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국제공개 제2007/55204호 팜플렛(식별번호 0098 및 0099, 도 24 참조)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래치장치(특허문헌 1의 인입기구)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캐처가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경우에 소기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조를 보다 효과적인 형태로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래치장치를 이하의 (1)∼(3)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회동체 및 상기 회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 중 어느 일방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체와, 이것들 중 타방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동체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전방측에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는 캐처를 구비하며, 대기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여 파지위치까지 왕동(往動)회동하는 캐처에 의해서 회동체를 기준위치에 위치시키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2) 캐처는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체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3) 수용부의 전방에,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에 회동체의 기준위치로 향한 회동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를 걸어 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시키고 있다.
캐처가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회동체를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여 스트라이커체를 캐처의 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춘 후에 이 회동체를 전개위치로 회동조작함으로써, 상기 캐처를 다시 대기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걸어맞춤수단은 수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캐처의 대기위치로의 복귀조작시에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본체 및 회동체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생긴 경년변화(經年變化) 등에 의해서 래치장치의 설치후에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완전히 회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체를 기준위치까지 완전히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스트라이커체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캐처에 스트라이커체를 걸어맞추고, 그 후의 회동체의 전개위치로 향한 회동조작에 의해서 캐처를 소기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도 1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R)를 구성하는 캐처(2) 측을 본체(H)로서의 도어 프레임(Ha)에 구비시킴과 아울러, 스트라이커체(1)를 회동체(D)로서의 도어(Da)에 구비시킨 예를, 하측에서 본 상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도 5는 도 1의 요부를 각각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4는 캐처(2)가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5는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어(Da)를 폐쇄하면, 즉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시키면, 스트라이커체(1)가 대기위치에 있는 캐처(2)에 맞닿게 되고(도 3), 상기 캐처(2)는 이것을 포착하면서 중간위치로 회동하고(도 4), 그 후 중간위치를 넘으면, 탄지수단(4)의 탄지에 의해서 수용부(21)를 좁히면서 파지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스트라이커체(1)를 통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끌어당긴다(도 5).
도 6은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의 형상을, 이것을 구성하는 메인부재(22)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을 때의 형상을 도 6과 마찬가지로 메인부재(22)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은 파지위치에 있는 캐처(2)를 도 1∼도 7과는 반대인 상측에서 본 상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 및 도 10은 스트라이커체(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스트라이커 베이스(1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위치까지 회동한 캐처(2)에 대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시킴으로써 그 걸어맞춤수단(24)에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춘 상태를,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회동 체(D)를 전개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여 캐처(2)를 다시 대기위치에 위치시킨 직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R)는, 기준위치에서 전개 가능하게 본체(H)에 조립된 회동체(D)가 전개위치에서 상기 기준위치로 향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조작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상기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끌어당기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래치장치(R)는 주택의 도어나 자동차의 도어, 각종 기기나 집기의 도어나 덮개 등, 각종 회동체(D)의 기준위치로의 끌어당김(draw-in)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장치(R)는 상기한 도어 등이 전개위치(전형적으로는 '개방위치')에서 기준위치(전형적으로는 '폐쇄위치')로 향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상기한 도어 등을 기준위치로 끌어당겨서 이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래치장치(R)는 스트라이커체(1)와 캐처(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라이커체(1)는 회동체(D) 및 이 회동체(D)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H) 중 어느 일방측에 구비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스트라이커체(1)는 회동체(D)로서의 도어(Da)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라이커체(1)는 스트라이커 베이스(10)에 출몰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탄지에 의해서 상기 스트라이커 베이스(10)에서 돌출된 것으로 되어 있다. 스트라이커 베이스(10)는 부착용 판부(10a)와 이 부착용 판부(10a)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부(10b)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라이커체(1)는 그 하단에 플랜 지(11a)가 형성되고 그 상단이 폐색된 원통형상 축체(11)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라이크체(1)의 상단부분{플랜지(11a)보다 상측이 되는 부분}이 탄지에 의해서 암부(10b)의 선단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c)을 통해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부(10b)에 상하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도 10).
암부(10b)의 내부에는, 암부(10b)의 선단 하부에 스프링의 일단을 접촉시키고 또한 스트라이커체(1)의 상단부분의 내부에 스프링의 타단을 접촉시킨 압축 코일 스프링(12)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 압축 코일 스프링(12)의 탄지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1)가 암부(10b)의 선단 상부에서 상측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되어 있다. 스트라이커 베이스(10)는 그 부착용 판부(10a)에 의해서 도어(Da)에 있어서의 도어 맞닿음대(Hd)에 맞닿는 면측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어(Da)를 기준위치(폐쇄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암부(10b)는 후술하는 캐처(2)의 지지 베이스(3)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 암부(10b)에서 돌출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체(1)는 지지 베이스(3) 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캐처(2)는 회동체(D) 및 본체(H) 중 타방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동체(D)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전방측(F)에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처(2)는 대기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여 파지위치까지 왕동회동하며, 이 파지위치에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는 지지 베이스(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3)에는 상기 캐처(2)의 탄지수단(4)과, 상기 캐처(2)의 파지위치로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수 단(6)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캐처(2)는 지지 베이스(3)를 통해서 회동체(D)로서의 도어(Da)에 대한 본체(H)로서의 도어 프레임(Ha)에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 베이스(3)는 그 상면을 도어 프레임(Ha)의 상측 프레임(Hb)에 대한 부착부(30)로 한 세장(細長)의 케이스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베이스(3)는 그 길이방향을 상측 프레임(Hb)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한 상태로 하여, 도어 프레임(Ha)의 경첩(Hc)이 설치된 측에 구비되어 있다. 캐처(2)는 상기 지지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간정도의 위치보다도 그 일단부(3')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되는 캐처(2)와 지지 베이스(3)의 타단부(3")와의 사이에 상기 탄지수단(4)과 제동수단(6)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31로 나타내는 것은 지지 베이스(3)의 상판(34)에 연속한 부착용 플랜지이고, 도면부호 32로 나타내는 것은 지지 베이스(3)의 상판(34)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일측 가장자리부에 걸쳐서 이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하측으로 드리워지는 전판(前板)이고, 도면부호 33으로 나타내는 것은 지지 베이스(3)의 상판(34)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타측 가장자리부에 걸쳐서 이 타측 가장자리부에서 하측으로 드리워지는 후판이다. 지지 베이스(3)는 그 타단부(3")가 경첩(Hc) 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3)는 그 전판(32)을 도어(Da)의 도어 맞닿음대(Hd)에 연속시키도록 도어 프레임(Ha)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판(32)은 캐처(2)의 전방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도어(Da)를 기준위치로 향해서{즉, 도어(Da)가 상기 도어 맞닿음대(Hd)에 전방에서 맞닿는 폐쇄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면, 상기 도어(Da)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체(1)가 전방에서 이동되어 와서 지지 베이스(3)에 지지되어 있는 캐처(2)에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베이스(3)의 하부는, 전판(32)과 후판(33)의 사이에 걸쳐지는 폭을 구비함과 아울러 스트라이커체(1)의 삽입을 허용하는 절결부를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커버에 의해서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캐처(2)는 상기 지지 베이스(3)에 대기위치와 파지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캐처(2)는 지지 베이스(3)의 상판(34)에 상단을 일체로 접합시켜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축체(35)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캐처(2)는, 이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축체(35)에 의한 회동조립위치(20)에서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전방측 암부(23a)와, 이 전방측 암부(23a)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수용부(21)가 되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이 전방측 암부(23a)의 후방에 위치하고, 이 전방측 암부(23a)와 거의 평행하게 돌출되는 후방측 암부(22d)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기위치에서는 전방측 암부(23a)와 후방측 암부(22d)를 지지 베이스(3)의 전판(32)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서 양자의 선단부(22e,23b)를 상기 회동조립위치(20)를 통과하는 가상의 전후방향의 직선(L1)보다도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으로 접근시키는 상태로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2, 도 3). 도시한 예에서는,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그 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와 단말부(23d)와의 사이가 되는 개소가 후방에서 맞닿는 회전저지부(36)가 지지 베이스(3)에 형 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그 수용부(21)의 입구{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와 후방측 암부(22d)의 선단부(22e)와의 사이}가 회동체(D)로서의 도어(Da)에 구비된 스트라이커체(1)의 이동궤적(s)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대기위치에 있어서, 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는 상기 이동궤적(s)보다도 지지 베이스(3)의 타단부(3") 측에 위치하여 수용부(21)로의 스트라이커체(1)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후방측 암부(22d)의 선단부(22e)는 상기 이동궤적(s)상에 위치하여 회동체(D)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어 왔을 때에 상기 스트라이커체(1)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도 1, 도 2).
그리고, 상기 캐처(2)는 후술하는 탄지수단(4)에 의해서, 상기 대기위치와 파지위치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도 대기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대기위치 측으로 향한 탄지력이 작용하고, 또한 대기위치와 파지위치와의 사이의 중간위치보다도 파지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파지위치 측으로 향한 탄지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체(D)가 기준위치로 향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조작될 때까지는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회동체(D)가 기준위치로 향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조작되면, 이것에 의해서 전방측(F)에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체(1)를 대기위치에 있는 캐처(2)에 의해서 포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D)의 회동조작에 의해서 중간위치를 넘도록 캐처(2)가 회동되면, 캐처(2)는 탄지에 의해서 파지위치로 향해서 회동되며, 이것에 의해서 스 트라이커체(1)를 통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끌어당길 수 있다. 회동체(D)가 전개위치로 향해서 다시 회동조작될 때까지는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회동체(D)는 기준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캐처(2)는 메인부재(22)와 서브부재(23)를 이것들 사이에 수용부(21){즉,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체(1)를 받아들이는 수용부(21)}를 형성하도록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후방측 암부(22d)를 상기 메인부재(22)에 구비시키고, 또한 상기 전방측 암부(23a)를 상기 서브부재(23)에 구비시키고 있다. 또한, 양 부재(22,23)의 맞닿음부(25,26)를 캐처(2)의 회동방향(y)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서 2개소에 구비시키고,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일방의 맞닿음부(25)가 맞닿아서 수용부(21)가 넓혀지고,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의 맞닿음부(26)가 맞닿아서 수용부(21)가 좁혀지도록 하고 있다(도 6, 도 7).
도시한 예에서는, 메인부재(22)는 축받이 판부(22a)와 상기 후방측 암부(22d)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축받이 판부(22a)는 그 중앙에 축구멍(22b)을 구비함과 아울러, 지지 베이스(3)의 상판(34)과 마주보는 측에 상기 축구멍(22b)에 끼워져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22c)를 가지고 있다. 축받이 판부(22a)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후방측 암부(22d)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으며, 후방측 암부(22d)와 축받이 판부(22a)는 이들 후방측 암부(22d)의 하면과 축받이 판부(22a)의 하면을 동일 면에 위치시키도록 함으로써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후방측 암부(22d)는 상기 선단부(22e)를 가지는 스트레이트부(22f)와 이 스트레이트부(22f) 에 연이어서 상기 축구멍(22b)을 에워싸는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부(22h)를 구비하고 있으며, 축받이 판부(22a)는 만곡부(22h)의 단말부(22i)에서 스트레이트부(22f)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까지에 걸쳐서 후방측 암부(22d)에 연접되어 있다.
서브부재(23)는 전방측 암부(23a)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23b)와 상기 단말부(23d)와의 사이에 메인부재(22)의 슬리브(22c)가 축으로서 끼워지는 축구멍(23g)을 구비하고 있다. 서브부재(23)는 그 상하방향의 두께를 메인부재(22)의 축받이 판부(22a)의 상면과 후방측 암부(22d)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용되는 치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서브부재(23)는 상기 축구멍(23g)에 메인부재(22)의 슬리브(22c)를 끼워넣음으로써 이 슬리브(22c)를 중심으로 한 회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메인부재(22)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조립상태에 있어서, 메인부재(22)의 만곡부(22h)의 단말부(22i)와 서브부재(23)의 전방측 암부(23a)의 단말부(23d)는 캐처(2)의 회동방향(y)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도 6).
또, 서브부재(23)는 그 축구멍(23g)의 후방측에, 메인부재(22)의 스트레이트부(22f)에 있어서의 만곡부(22h)와 연접하는 측의 내측면(22g)과 캐처(2)의 회동방향(y)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23h)을 구비하고 있다(도 6).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의 회동방향(y)에 있어서, 메인부재(22)의 단말부(22i)와 내측면(22g)의 사이의 치수(x)보다도 서브부재(23)의 단말부(23d)와 내측면(23h)의 사이의 치수(x')가 약간 커지도록 되어 있다(도 8).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서브부재(23)의 단말부(23d)가 메인부재(22)의 단말부(22i)에 전방에서부터 억눌려서 맞닿게 됨으로써 캐처(2)가 파지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됨과 아울러, 서브부재(23)의 내측면(23h)과 메인부재(22)의 내측면(22g)과의 사이에 상기 치수(x)와 치수(x')의 차이 만큼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수용부(21)의 입구측을 넓히도록 하고 있다(도 6).
한편, 캐처(2)가 파지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서브부재(23)의 내측면(23h)이 메인부재(22)의 내측면(22g)에 전방에서부터 억눌려서 맞닿게 됨으로써 캐처(2)가 대기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서브부재(23)의 단말부(23d)와 메인부재(22)의 단말부(22i)와의 사이에 상기 치수(x)와 치수(x')의 차이 만큼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수용부(21)의 입구측을 좁히도록 하고 있다(도 7).
도시한 예에서는, 도어(Da)가 폐쇄되면, 대기위치에 있는 캐처(2)의 메인부재(22)의 후방측 암부(22d)의 선단부(22e)에 스트라이커체(1)가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단말부(22i)와 단말부(23d)끼리의 맞닿음에 의해서 캐처(2)는 도 3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왕동회동하게 된다.
캐처(2)가 중간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회동하게 되면,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서브부재(23)의 전방측 암부(23a)가 스트라이커체(1)에 전방에서부터 억눌려서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단말부(22i)와 단말부(23d)와의 사이에는 상기 치수(x)와 치수(x')의 차이 만큼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내측 면(22g)과 내측면(23h)이 서로 맞닿게 되며, 따라서 좁혀진 수용부(21)의 내측에 스트라이커체(1)를 유지시킨 상태로 캐처(2)가 파지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도어(Da)는 강제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완전히 폐쇄된 도어(Da)를 개방조작함에 의해서 파지위치에 있던 캐처(2)가 복동(復動)회동하여 중간위치를 넘으면,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캐처(2)가 대기위치로 강제적으로 복동회동하게 되고, 수용부(21)가 넓혀져서 스트라이커체(1)가 릴리스됨으로써 도어(Da)가 프리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메인부재(22)의 단말부(22i)와 서브부재(23)의 단말부(23d)가 상기 일방의 맞닿음부(25)로서 기능하고, 상기 메인부재(22)의 내측면(22g)과 서브부재(23)의 내측면(23h)이 상기 타방의 맞닿음부(26)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도 6).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위치에 있는 캐처(2)의 대기위치로의 복동회동에 수반하여 서브부재(23)를 수용부(21)가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캐처(2)의 파지위치에서는 수용부(21)의 폭을 스트라이커체(1)가 요동없게 수납되는 치수로 설정하면서, 캐처(2)의 대기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체(1)의 이동궤적(s)에 약간의 편차나 오차가 생긴 경우에서도 수용부(21) 내로 스트라이커체(1)를 적절히 삽입할 수 있다. 이 수용부(21)의 조정은 캐처(2)의 회동에 수반되는 상기 맞닿음부(25,26)의 맞닿음에 의해서 실현되기 때문에, 캐처(2)의 회동이 저해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또 구조의 복잡화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장치(R)를 도어(Da)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Da)나 도어 프레임(Ha)에 생긴 경년변화 등에 의해서 래치장치(R)의 설치 후에 스트라이커체(1)의 이동궤적(s)에 약간의 편차나 오차가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캐처(2)의 수용부(21)의 입구를 대기위치에서 약간 더 넓힘으로써, 회동체(D)로서의 도어(Da)를 기준위치로 회동시킴에 수반하여 상기 수용부(21)에 스트라이커체(1)를 삽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지수단(4)이 캐처(2)의 서브부재(23)와 이 캐처(2)의 지지 베이스(3)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캐처(2)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 이 탄지수단(4)에 가장 큰 탄지력이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캐처(2)가 중간위치보다 대기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수용부(21)를 넓힌 상태로 서브부재(23)를 통해서 캐처(2)를 전체적으로 대기위치에 위치시키고, 또 캐처(2)가 중간위치보다 파지위치 측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수용부(21)를 좁힌 상태로 서브부재(23)를 통해서 캐처(2)를 전체적으로 파지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치장치(R)는, 일단측이 캐처(2)의 서브부재(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이 캐처(2)의 지지 베이스(3)에 지지된 링크부재(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탄지수단(4)은 상기 링크부재(5)에 있어서의 상기 서브부재(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부(50)와 상기 지지 베이스(3)에 지지되는 지지부(37b)와의 사이의 치수를 크게 하는 방향으로 링크부재(5)를 탄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캐처(2)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 이 캐처(2)의 회동축이 되는 상기 축체(35)와 회전지지부(50)와 지지부(37b)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치수가 가장 작게 되도록 되어 있다(도 4).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지수단(4)의 탄지력을 링크부재(5)를 통해서 캐처(2)에 작용시킴으로써, 캐처(2)를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탄지수단(4)을 압축 코일 스프링(40)에 의해서 구성시키고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 베이스(3)에 있어서의 캐처(2)와 지지 베이스(3)의 타단부(3")와의 사이에 이너부재(37)가 조립되어 있다. 이너부재(37)는 지지 베이스(3)를 전후로 2분할하는 가상의 좌우방향의 직선(L2)을 사이에 둔 후방측을 원통형상을 이루는 제동수단(6)의 유지부(37a)로 함과 아울러, 이 직선(L2)을 사이에 둔 전방측에 링크부재(5)의 지지부(37b)를 구비하고 있다(도 2).
도시한 예에서는, 링크부재(5)는 봉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일단측을 서브부재(23)의 단말부(23d) 측에, 캐처(2)의 회동축이 되는 상기 축체(35)와 평행을 이루는 회동축(5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키고 있다. 링크부재(5)의 지지부(37b)는 이너부재(37)에 형성된 오목부(37c){즉, 링크부재(5)의 타단측을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오목부}의 입구(37d)에 구비된 구면(球面) 축받이부재(51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면 축받이부재(51a)는 반구(半球)형상을 이루며, 그 볼록 구면부(51b) 측을 오목부(37c)의 입구(37d)에 형성된 이것과 상보적형상을 이루는 오목 구면부(37e)에 끼워넣음으로써 오목부(37c)의 입구(37d)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3, 도 4). 구면 축받이부재(51a)의 볼록 구면부(51b)의 중앙과 이 볼록 구면부(51b)의 반대측의 시트면(51c)과의 사이에는 링크 부재(5)의 타단측을 통과시켜서 상기 오목부(37c) 내로 유도하는 관통구멍(51d)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부재(5)의 일단측에는 융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구면 축받이부재(51a)의 시트면(51c)과 상기 융기부(52)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부재(5)에 감겨진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캐처(2)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지지부(50)와 지지부(37b)와의 사이의 간격이 가장 작게 되어, 링크부재(5)의 타단측이 상기 오목부(37c) 내에 끼워지는 치수가 가장 커지게 됨과 아울러,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가장 크게 탄성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치장치(R)는 캐처(2)의 파지위치로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를 통해서 회동체(D)의 기준위치로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여 이 회동체(D)의 회동속도를 기준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저하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회동체(D)로서의 도어(Da)가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동수단(6)은 가동부(60)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가동부(60)의 동작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처(2)와 제동수단(6)은, 캐처(2)의 파지위치로 향한 회동시에 제동수단(6)의 가동부(60)를 동작시키는 연계부재(7)에 의해서 연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동수단(6)은 실린더(61)와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이 피스톤의 실린더(61) 내로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피스톤 댐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동력은, 전형적으로는, 실린더(61) 내에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를 봉입하고, 피스톤의 실린더(61) 내로의 이동시에는 피스톤 측에 형성한 오리피스를 통해서 점성유체가 그 이동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이너부재(37)의 유지부(37a)에는 피스톤 댐퍼가 그 피스톤에 접속된 피스톤 로드(62)를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하여 수납되어 있으며, 피스톤 댐퍼의 실린더(61) 측이 지지 베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피스톤이 상기 가동부(60)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 댐퍼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수납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62)를 통한 피스톤의 압입력이 제거되면, 이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피스톤은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연계부재(7)는 이너부재(37)의 유지부(37a) 내에 상기 피스톤 로드(62)보다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슬라이더(70)와, 일단이 슬라이더(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메인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계로드(7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계로드(71)의 타단은 메인부재(22)의 만곡부(22h)의 외측에 있어서의 스트레이트부(22f)와 연접하는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캐처(2)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70)가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으로 가장 많이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62)가 실린더(61) 내에서 가장 길게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캐처(2)가 대기위치에서 파지위치로 향해서 왕동회동하게 되면, 연계로드(71)를 통해서 슬라이더(70)가 지지 베이스(3)의 타단부(3")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스톤 로드(62)가 압입되기 때문에, 캐처(2)의 회동에 제동 력이 작용하게 된다. 파지위치에 있는 캐처(2)가 전개위치로 복동회동하게 되면, 슬라이더(70)가 지지 베이스(3)의 일단부(3')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62)가 압입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는 상기 수용부(21)의 전방에,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2)에 회동체(D)의 기준위치로 향한 회동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수단(24)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처(2)가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여 스트라이커체(1)를 캐처(2)의 걸어맞춤수단(24)에 걸어맞춘 후에 이 회동체(D)를 전개위치로 회동조작함으로써, 상기 캐처(2)를 다시 대기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걸어맞춤수단(24)은 수용부(21)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캐처(2)의 대기위치로의 복귀조작시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회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본체(H) 및 회동체(D)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생긴 경년변화(經年變化) 등에 의해서 래치장치(R)의 설치 후에 회동체(D)를 기준위치까지 완전히 회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2)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수단(24)은 캐처(2)를 구성하는 서브부 재(23)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수단(24)은 캐처(2)를 구성하는 상기 서브부재(23)에 형성된 오목형상부(24a)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브부재(23)에는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회동체(D)를 전개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대기위치로 향해서 회동되는 캐처(2)의 상기 오목형상부(24a)에서 스트라이커체(1)를 빼내는 유도부(24c)가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오목형상부(24a)는, 서브부재(23)의 하부에 있어서 그 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에서 축구멍(23g) 측으로 향해서 형성된 홈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형상부(24a)는 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에서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캐처(2)가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파지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시키면, 스트라이커체(1)가 전방측 암부(23a)의 전방측 가장자리부(23e)에 맞닿아서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스트라이커 베이스(10) 내로 퇴피함으로써 상기 전방측 가장자리부(23e)와 오목형상부(24a)와의 사이를 타고 넘어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탄지에 의해서 다시 돌출됨으로써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있어서의 축구멍(23g) 측의 단부(24b)에 삽입되어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도 11).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체(1)가 상기 오목형상부(24a) 내로 타고 넘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 안내면(23f)이 서브부재(23)의 전방측 암부(23a)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어맞춤상태에서 회동체(D)를 전개위치로 향해서 회동시키면, 캐처(2)를 대기위치로 향해서 회동시킴과 동시에, 대기위치에 이르른 캐처(2)의 서브부재(23)의 선단부(23b)에서 오목형상부(24a)에 삽입되어 있던 스트라이커체(1)가 빠져 나옴으로써, 그 후는 회동체(D)가 프리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도 12).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연속하여 상기 유도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와는 별도로, 오목형상부(24a)를 구멍형상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도부(24c)를 이와 같이 구성한 오목형상부와 전방측 암부(23a)의 선단부(23b)와의 사이에 걸쳐서, 또한 이 선단부(23b)로 향하여 감에 따라서 점차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서 구성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 도시한 예와는 별도로, 오목형상부(24a)에 있어서의 캐처(2)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벽을, 캐처 베이스{도시한 예에서는 서브부재(23)}에 출몰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탄지에 의해서 상기 캐처 베이스{서브부재(23)}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에 저항한 퇴피에 의해서 오목형상부(24a)로의 스트라이커체(1)의 삽입을 허용하는 돌기부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부재(23)의 하부에 있어서 그 전방측 암부(23a)의 전방측 가장자리부(23e)와 오목형상부(24a)와의 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돌기부를 설치하고, 이 돌기부에 의해서 오목형상부(24a)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스트라이커체(1)를 상기한 바와 같이 탄지에 의해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래치장치(R)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래치장치(R)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도{캐처(2)의 대기위치}
도 4는 래치장치(R)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도{캐처(2)의 중간위치}
도 5는 래치장치(R)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도{캐처(2)의 파지위치}
도 6은 캐처(2)의 일부 파단 저면도
도 7은 캐처(2)의 일부 파단 저면도
도 8은 캐처(2)의 사시도
도 9는 스트라이커체(1) 및 스트라이커 베이스(10)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래치장치(R)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래치장치(R)의 요부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본체 D - 회동체
R - 래치장치 F - 전방측
1 - 스트라이커체 2 - 캐처
21 - 수용부 24 - 걸어맞춤수단

Claims (5)

  1. 회동체(D) 및 상기 회동체(D)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본체(H) 중 어느 일방측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체(1)와, 이것들 중 타방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동체(D)를 전개위치에서 기준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전방측(F)에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오는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는 캐처(2)를 구비하며, 대기위치에서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여 파지위치까지 왕동회동하는 캐처(2)에 의해서 회동체(D)를 기준위치에 위치시키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캐처(2)는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체(1)를 받아들이는 수용부(21)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수용부(21)의 전방에, 스트라이커체(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위치로 회동된 캐처(2)에 회동체(D)의 기준위치로 향한 회동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수단(24)을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걸어맞춤수단(24)은 캐처(2)에 형성된 오목형상부(2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오목형상부(24a)에 스트라이커체(1)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회동체(D)를 전개위치로 향해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대기위치로 향해서 회동되는 캐처(2)의 상기 오목형상부(24a)에서 스트라이커체(1)를 빼내는 유도부(24c)가 상기 오목형상부(24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트라이커체(1)가 스트라이커 베이스(10)에 출몰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탄지에 의해서 상기 스트라이커 베이스(10)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에 저항한 스트라이커체(1)의 퇴피에 의해서 오목형상부(24a)로의 스트라이커체(1)의 삽입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오목형상부(24a)에 있어서의 캐처(2)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벽이, 캐처 베이스에 출몰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탄지에 의해서 상기 캐처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에 저항한 퇴피에 의해서 오목형상부(24a)로의 스트라이커체(1)의 삽입을 허용하는 돌기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
KR1020090034160A 2008-04-24 2009-04-20 래치장치 KR10102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60A KR101028272B1 (ko) 2008-04-24 2009-04-20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3600 2008-04-24
KR1020090034160A KR101028272B1 (ko) 2008-04-24 2009-04-20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70A KR20090112570A (ko) 2009-10-28
KR101028272B1 true KR101028272B1 (ko) 2011-04-11

Family

ID=4155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60A KR101028272B1 (ko) 2008-04-24 2009-04-20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KR20070049591A (ko) * 2005-11-08 2007-05-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충격흡수기구
JP2009185467A (ja) 2008-02-04 2009-08-20 Nifco Inc 開閉補助機構
JP2009203651A (ja)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開き戸のソフトクローズ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KR20070049591A (ko) * 2005-11-08 2007-05-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충격흡수기구
JP2009185467A (ja) 2008-02-04 2009-08-20 Nifco Inc 開閉補助機構
JP2009203651A (ja)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開き戸のソフトクロー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70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010B2 (en) Retracting mechanism and fixing structure
KR101211262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KR101933729B1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JP5295074B2 (ja)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CN107847049B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推出装置
JP4291427B2 (ja)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KR101254436B1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WO2009131172A1 (ja) ラッチ装置
KR101028272B1 (ko) 래치장치
KR101028283B1 (ko) 래치장치
JP7086033B2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4951582B2 (ja) ラッチ装置
JP5044534B2 (ja) ドア引き込み装置
JP6817626B2 (ja) 引き戸用クローザ
KR102046665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기구
JP5139875B2 (ja) ラッチ機構
JP2001012126A (ja) 引き戸錠
KR20100024896A (ko) 래치기구
JP5054658B2 (ja) ドア引き込み装置
JP3140207U (ja) 開きドアー指詰戸当り
JP2021031983A (ja) 開閉体緩衝装置
JPH11229699A (ja) 地震時ロック機能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に用いる地震時ロック装置
JP5743563B2 (ja) 可動体の往動機構
JP2008174997A (ja) 開き戸の開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