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11Y1 -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11Y1
KR200319111Y1 KR20-2003-0012333U KR20030012333U KR200319111Y1 KR 200319111 Y1 KR200319111 Y1 KR 200319111Y1 KR 20030012333 U KR20030012333 U KR 20030012333U KR 200319111 Y1 KR200319111 Y1 KR 200319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locking
locking member
ho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3-0012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누름공(14)이 걸림턱(16)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양측에 작동공(18)이 형성된 몸체(10); 상부에 누름단(22)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이동홈(28)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공(14)에 설치되는 해정부재(20);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단(22)에 결합되는 보호부재(30); 일단에는 누름부(4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확장부(46)가 형성된 작동장공(44)이 형성되며, 걸림부재(50)에 괘해정되도록 각 작동공(18)에 설치되는 잠금부재(4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4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 탄성체(80)가 지지되는 고정부(72)가 형성되어 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70)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잠금부재(40)의 누름부(42)와 해정부재(20)를 원터치 방식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괘해정 작동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보호부재(30)에 의해 작동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고, 누름돌기(32,42A)에 의해 지압효과가 기대되며, 잠금부재(4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어서 도어 또는 창문의 유동시에도 잠금부재(40)가 해정되지 않아 방범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잠금장치{crescent for a window}
본 고안은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동작으로 괘해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해정부재에 합성수지재의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정부재와 잠금부재에 누름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누름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잠금부재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어서 방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또는 창문용 잠금장치는 문틀(창틀)에 잠금부재가 설치되고, 문짝(창문)에는 걸림부재가 설치되어(또는 그 반대) 잠금부재가 걸림부재에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잠금장치는 반달형의 잠금부재를 걸림부재 측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잠금장치는 창문을 살짝 들어올려 유격을 발생시키게 되면 잠금부재가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음으로써 창문이 탈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터치형의 경우에는 잠금부재에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창문을 탈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원터치 방식으로 괘해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잠금부재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하여 창문 또는 도어를 유동시키더라도 잠금부재가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방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창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창문용 잠금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4b,4c,4d는 본 고안 의한 창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잠금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4b는 잠금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4c는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4d는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4 : 누름공
16 : 걸림턱 18 : 작동공
20 : 해정부재 22 : 누름단
28 : 이동홈 30 : 보호부재
32 : 제 1누름돌기 40 : 잠금부재
42 : 누름부 42A : 제 2누름돌기
44 : 작동장공 44A: 보강단
46 : 확장부 50 : 걸림부재
60 : 탄성부재 70 : 커버부재
72 : 고정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누름공이 걸림턱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좌,우 양측벽에는 작동공이 각각 형성된 몸체; 상부에 누름단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중간부와 하부 사이에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단이 상기 누름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해정부재;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턱의 가장자리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단에 결합되는 보호부재; 일단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단이 통과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작동장공이 형성되며, 걸림부재에 걸림/해제되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작동공에 설치되는 잠금부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해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복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해정부재에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가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호부재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 1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에는 다수개의 제 2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장공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보강단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문용 잠금장치는 하부가 개구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누름공(14)에 설치되는 해정부재(20)와, 해정부재(20)에 설치되는 보호부재(30)와, 상기 몸체(10)의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부재(40)와, 상기 잠금부재(40)가 원상태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7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는 누름공(14)이 형성되고, 저면이 개구되며, 양측에는 조임용 나사가 관통하기 위한 나사 설치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공(14)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이져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는 나사 등에 의해 창문 등에 설치된다.
상기 해정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누름단(22)이 형성되고, 중간부는 누름단(22)보다 굵게 형성되어 단이지며, 하부는 중간부보다 가늘게(작은 직경) 형성된 형상을 갖으며, 하부와 중간부 사이에는 이동홈(28)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해정부재(20)는 그 누름단(22)이 몸체(10)의 내부측으로부터 누름공(14)으로 삽입되어 몸체(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상기 해정부재(20)의 누름단(22)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해정부재(20)의 중간부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해정부재(20)는 그 누름단(22)에 상기 보호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공(14)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보호부재(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 1누름돌기(32)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1누름돌기(32)는 이러한 제 1누름돌기(32)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압하거나, 누름단(2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몸체(10)의 작동공(18)에 설치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창문틀(또는 도어의 프레임) 등에 설치되는 걸림부재(50)에 걸림/해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누름부(4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홈(28)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단(26)이 통과되는 확장부(46)가 형성된 작동장공(4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5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잠금부재(40)가 길게 형성되어 걸림부재(50)에 깊게 걸리기 때문에 도어 또는 창문의 유동시에도 쉽게 걸림부재(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누름부(42)에는 다수개의 제 2누름돌기(42A)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지압효과를 제공하거나 누름부(4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장공(44)은 상기 이동홈(28)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일측은 좁고 길게 형성되고, 타측은 해정부재(20)의 하부가 통과되도록 확장부(4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잠금부재(40)의 저면 양측(상기 작동장공(44)의 양측에는 상기 해정부재(20)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보강단(44A)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각 보강단(44A)은 작동장공(44)의 양측 가장자리가 해정부재(20)에 직접 접촉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잠금부재(4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틀림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0)의 일단은 상기 몸체(10)의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40)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부재(40)가 원상태로 이동하도록 복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에는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끼움공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10)에도 끼움공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탄성부재(60)의 중간부는 몸체(10)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체결용 나사가 통과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탄성부재(60)와 잠금부재(40)와 해정부재(20)가 설치된 몸체(10)의 저면에 설치되어 그 저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그 중간부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체(80)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7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체(80)는 상기 해정부재(20)에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80)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72)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작동공(18)을 관통한 해정부재(20)의 저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호부재(30)가 결합된 해정부재(20)와 잠금부재(40)가 내설되고, 저면에는 커버부재(70)가 설치된 몸체(10)를 창문틀(또는 도어 프레임)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몸체(10)가 설치되는 위치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부재(5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몸체(10)가 단순 설치된 상태는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부재(20)의 이동홈(28)에 작동장공(28)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잠금부재(40)는 탄성부재(6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5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40)의 누름부(42)를 누르게 되면, 즉 누름부(42)를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40)는 탄성부재(60)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걸림부재(50)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 2누름돌기(42A)를 누르게 되므로 누름부(42)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부재(40)가 이동하면, 상기 해정부재(20)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나 상기 잠금부재(40)가 이동하므로 해정부재(20)의 위치는 작동장공(44)에서확장부(46)로 이동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상기 해정부재(20)는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측으로 이동하려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40)가 계속 이동하여 상기 해정부재(20)가 확장부(46)에 이르게 되고, 상기 잠금부재(40)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재(50)에 이르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40)는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해정부재(2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부재(20)가 확장부(46)에 이르게 되면 해정부재(20)의 이동홈(28)에서 작동장공(44)의 가장자리가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해정부재(20)의 하부가 확장부(46)의 가장자리(작동장공(44)측)에 접촉되면서 잠금부재(40)의 이동은 멈추게 된다.
상기 확장부(46)에서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해정부재(20)의 하부는 그 직경이 작동장공(44)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에 작동장공(44)의 가장자리가 걸려 잠금부재(40)가 탄성부재(06)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이동하려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해정부재(20)가 확장부(46)로 이동하여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보호부재(30)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작동공(18)의 걸림턱(16)에 접촉된다
따라서, 해정부재(20)가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른속도로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보호부재(30)가 상기 걸림턱(16)의 가장자리에접촉되므로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40)의 일단은 걸림부재(50)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재(50)에 깊숙하게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되므로 창문 또는 도어를 유동시키더라도 잠금부재(40)가 걸림부재(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상태를 해정시키기 위하여 도 4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누름단(22)을 누르게 되면, 상기 해정부재(20)는 탄성체(80)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홈(28)과 작동장공(44)의 양측 가장자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해정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동홈(28)과 작동장공(44)의 양측 가장자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잠금부재(40)의 이동을 고정시켰던 해정부재(20)의 하부가 확장부(46)에서 벗어남을 의미하는 것이고, 따라서 잠금부재(40)는 탄성부재(6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5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는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원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단(44A)에 해정부재(20)의 하부 외주연이 면접촉되므로 충격이 일부분에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40)가 해정부재(20)의 해정동작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잠금상태는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도어는 물론, 창문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창문용 잠금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괘해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잠금부재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하여 창문 또는 도어를 유동시키더라도 잠금부재가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방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합성수지재로 된 보호부재에 의해 작동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누름공(14)이 걸림턱(16)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좌,우 양측벽에는 작동공(18)이 각각 형성된 몸체(10);
    상부에 누름단(22)이 단이지게 형성되고, 중간부와 하부 사이에는 이동홈(28)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단(22)이 상기 누름공(14)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해정부재(20);
    상기 지지부(24)의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턱(16)의 가장자리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단(22)에 결합되는 보호부재(30);
    일단에는 누름부(4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홈(28)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단(26)이 통과되는 확장부(46)가 형성된 작동장공(44)이 형성되며, 걸림부재(50)에 걸림/해제되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작동공(18)에 설치되는 잠금부재(4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부재(40)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40)가 해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복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60);
    상기 해정부재(20)에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80)가 지지되는 고정부(7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 1누름돌기(3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42)에는 다수개의 제 2누름돌기(42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공(44)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보강단(44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KR20-2003-0012333U 2003-04-22 2003-04-22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19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33U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4-22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33U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4-22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11Y1 true KR200319111Y1 (ko) 2003-07-07

Family

ID=4941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333U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4-22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46B1 (ko) 2010-06-17 2012-06-08 이철기 창문용 잠금장치
KR101958223B1 (ko) 2018-11-26 2019-03-14 주식회사 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46B1 (ko) 2010-06-17 2012-06-08 이철기 창문용 잠금장치
KR101958223B1 (ko) 2018-11-26 2019-03-14 주식회사 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5596A1 (en) Flush handle latch mechanism
US6280110B2 (en) Pressing device for a pen
US7250579B2 (en) Large actuation area switching device
US6381997B1 (en) Combination padlock
KR2003191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WO2014148221A1 (ja) スイッチ装置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US20110016935A1 (en) Pushbutton lock
JPH0842227A (ja) 扉用スライド錠
KR200221597Y1 (ko) 버튼 조립기
CN111258372A (zh) 卡扣结构
KR0115697Y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200188878Y1 (ko) 성형프레스의 조작버튼박스 회전장치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JP6603172B2 (ja) 引戸用指挟み防止具
JP5414145B2 (ja) 蓋付き装置
JPH02255197A (ja) 洗濯機のふた
JP4398918B2 (ja) スイッチ装置
KR940000722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920000272Y1 (ko) 가방용 자물쇠
KR0129348Y1 (ko) 전원 놉 구조
KR200143466Y1 (ko) 탄성을 이용한 도어 개폐 장치
JP4694872B2 (ja) 集合玄関機
KR880001056Y1 (ko) 프린터(printer)의 폼트랙터(forms tractor) 록킹장치
JP4394823B2 (ja) 蓋の補助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