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946B1 -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946B1
KR101153946B1 KR1020100057404A KR20100057404A KR101153946B1 KR 101153946 B1 KR101153946 B1 KR 101153946B1 KR 1020100057404 A KR1020100057404 A KR 1020100057404A KR 20100057404 A KR20100057404 A KR 20100057404A KR 101153946 B1 KR101153946 B1 KR 10115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elease
locking member
window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457A (ko
Inventor
이철기
Original Assignee
이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기 filed Critical 이철기
Priority to KR102010005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9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창 및 내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잠김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구조상 내부의 락/해지 조작은 간편하나 외부에서의 조작은 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강제 침입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도모 할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외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내창에 설치되는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걸림수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를 해지하기 위한 해지부재 및 걸림부재의 측부에는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가 걸림수단에 잠김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창 및 내창에 각각 걸림수단 및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강제로 창문을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의 락/해지 사용이 간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현관문과 환기를 위해 각 공간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현관문이나 창문에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여도 불안하여 보조장치나 안전고리 같은 보조 잠금장치를 더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기를 위한 창문에는 외측으로 방법창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창은 창문을 잠겨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창문 자체에 설치된 자물쇠와 함께 강제 열림 시도를 방지하게 된다.
특히, 창문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실내에서만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환기 등의 필요에 따라 방법창의 창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의 방법창이나 창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는 그 구조가 외부에서도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창문 또는 방범창에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강제적인 침입을 시도할 시 상기 경보기가 울려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을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경보시스템 또한, 방법창 및 창문의 열리는 정도에 의해 경보가 울리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경보시스템이 울리는 것이 없앨 수 있으므로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해결하기 위해 안전하고도 사용이 편리한 잠금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서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 및 방법창등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창 및 내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잠김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구조상 내부의 락/해지 조작은 간편하나 외부에서의 조작은 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강제 침입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도모 할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용 잠금장치는, 외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내창에 설치되는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수단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걸림수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를 해지하기 위한 해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의 측부에는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가 걸림수단에 잠김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되, 몸체의 전방은 걸림수단이 밀려들어 오도록 테이퍼진 경사부가 형성되며, 몸체의 후방은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몸체를 전방으로 항시 밀도록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는 해지부재에 밀착되어 해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해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의 몸체 측부에는 걸림부재가 검림수단에 잠김상태에서 강재로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돌기가 더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해지부재는 해지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가 후방에 위치되게 고정하며 이를 해지하여 전진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버튼부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해지블럭으로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걸림부재의 측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걸림부재가 걸림수단에서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해지바 및 상기 잠금해지바의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를 락/해지 하는 잠금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용 잠금장치는 내부에서는 락/해지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되며, 외부에서는 전혀 조작을 할 수 구성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강제적 침입을 방지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및 해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및 해지부재, 잠금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및 해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잠금장치(10)는 외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100)과, 내창에 설치되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수단(100)은 외창에 설치되게 설치부(110)가 구비되며, 설치부의 선단으로는 잠금수단의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걸림고리(20)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고리(120)는 끝단부 양단이 테이퍼지게 이루어져 잠금수단(220)의 잠금쇠가 원활히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200)은 본체(210)의 내부로 전.후 슬라이딩 되어 상기 걸림수단(100)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220)와, 상기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220)를 해지하기 위한 해지부재(230)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덮개(211)가 결합되어 진다.
상기 걸림부재(220)는 몸체(221)의 후방으로 손잡이(223)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223)의 하단에는 스프링(224)이 구비되어 스프링(224)에 의해 몸체(221)가 항상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21)의 측방에는 해지돌기(225)가 구비되되, 상기 해지돌기(225)는 후방부가 경사지게 경사부(22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21)의 전방은 측부가 경사진 경사부(222)가 형성되어 걸림수단(100)의 걸림고리(120)에 끼워질 때 몸체(221)가 후방으로 스프링(224)을 압축시키면서 밀려들어가 끼워져 다시 몸체가 전방으로 밀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걸림부재(220)의 측방에는 걸림부재(220)의 걸림수단(100)에서 해지 된 뒤로 밀려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해지부재(2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해지부재(230)는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버튼(231)과,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해지블럭(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231)은 전방 일측이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231a)가 형성되어, 버튼(231)을 누르면 경사부(231a)가 상기 해지블럭(232)을 밀어 일측으로 밀려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지블럭(232)은 측부로 상기 해지돌기(225)를 잡아주기 위한 돌기(233)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233)의 상기 해지돌기(225)의 경사부(225a)와 동일한 경사부(233a)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지블럭(232)의 하단면(버튼"231"의 경사부"231a"가 맞닿는 부위)은 버튼의 경사부(231a)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게 경사부(23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버튼(231)의 경사부(231a)의 타측에는 스프링(234)이 설치되어 버튼(231)이 항시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해지블럭(232)의 하단에는 스프링(235)이 설치되어 해지블럭(232)을 항시 걸림부재(220)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20)로 밀착된 해지블럭(232)은 버튼(231)을 누르면 해지블럭(232)이 측부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잠금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3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창(1)에는 걸림수단(100)이 설치되고, 내창(2)에는 잠금수단(200)이 설치된다.
평상시 창문의 단속시에는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의 걸림고리(120)로 삽입되어 창문을 단속하고 있다.(도 3내지 4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20)의 손잡이(223)를 잡아당기면, 걸림부재(220)가 스프링(224)을 압축시키면서 걸림고리(120)에서 빠지게되고, 이때, 해지돌기(225)가 해지블럭(232)의 돌기(233)를 밀어 해지블럭(232)이 타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해지블럭(232)은 스프링(235)을 압축하면서 일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해지돌기(225)가 돌기(233)를 지나쳐 나가면 스프링(235)의 탄성에 의해 해지블럭(232)이 다시 걸림부재(220)로 밀려 들어가 돌기(233)가 해지돌기(225)에 선단으로 위치하여 걸림부재(220)가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유지시킨 후 창문을 열고 실내를 환기시키면 되는 것이고, 환기후 다시 창문을 잠그기 위해서는 버튼(231)을 눌러 걸림부재(220)를 해지시키면 된다.
즉,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31)을 누르면, 버튼(231)은 스프링(234)를 압축하면서 선단 경사부(231a)가 해지블럭(232)의 경사부(232a)를 가압하여 해지블럭(232)이 측부로 밀려나게 되고, 이때, 돌기(233)에 탄지된 해지돌기(225)가 빠져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으로 향하여 걸림고리(12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20)가 걸림고리(120)로 전진하여 걸린 상태에서는 버튼(231)을 놓으면, 버튼(231)은 스프링(234)에 의해 원상복귀 되며, 해지블럭(232) 또한, 스프링 (235)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걸림부재(220)로 향하게 된다.
(제 2실시예)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및 해지부재, 잠금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는 외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100)과, 내창에 설치되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수단(100)은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잠금수단(200)은 본체(210)의 내부로 전.후 슬라이딩 되어 상기 걸림수단(100)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220)와, 상기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220)를 해지하기 위한 해지부재(230)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걸림부재(220)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재(2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덮개(211)가 결합 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수단(200)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걸림부재(220) 및 해지부재(230)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240)가 구비되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락돌기(2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설치되는 잠금부재(240)는 상기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에 잠긴 상태에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걸림부재(220)의 해지를 방지하기 위한 대비수단이다.
이러한 잠금부재(240)는 걸림부재(220)의 해지를 완전히 차단하는 잠금블럭(244)과, 상기 잠금블럭(244)을 락/해지 하는 잠금해지바(241)로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해지바(241)는 선단으로 편심캠(243)이 설치되며, 상기 편심캠(243)을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24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블럭(244)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부재(220)를 락/해지하게 구성된다.
즉, 잠금블럭(244)은 상기 락돌기(226)의 하단으로 밀착되어 걸림부재(220)가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4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245)의 후방 직각방향으로는 잠금해지바(241)에 의해 잠금블럭(244)을 걸림부재(220)에서 해지하기 위한 해지돌기(246)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245)의 측부는 락돌기(226)의 경사면과 동일하게 경사부(245a)를 가지며, 상기 해지돌기(246)의 상부 또한, 경사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블럭(244)의 하단에는 스프링(247)이 설치되어 항시 잠금블럭(244)을 걸림부재(220)로 밀착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지바(241)의 일방향 회동에 따라, 잠금블럭(244)은 하단의 스프링(247)을 압축하면서 측부로 밀려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잠금장치(100)는 첨부 도면 9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창(1)에는 걸림수단(100)이 설치되고, 내창(2)에는 잠금수단(200)이 설치된다.
평상시 창문의 단속시에는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의 걸림고리(120)로 삽입되어 창문을 단속하고 있다. 또한, 측부의 잠금부재(240)의 잠금블럭(244)이 걸림부재(220)로 밀착되어 돌기(245)가 락돌기(226)를 받쳐주고 있어 걸림부재(220)가 강제로 후방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도 9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잠금해지바(24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편심캠(243)이 해지돌기(246)를 가압하여 잠금블럭(244)이 스프링(247)을 압축하며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한다.
이때 잠금블럭(244)이 후방으로 밀려나면 락돌기(226)를 받치고 있던 돌기(245)가 해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부재(220)의 손잡이(223)를 잡아당기면, 걸림부재(220)가 스프링(224)을 압축시키면서 걸림고리(120)에서 빠지게되고, 이때, 해지돌기(225)가 해지블럭(232)의 돌기(233)를 밀어 해지블럭(232)이 타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해지블럭(232)은 스프링(235)을 압축하면서 일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해지돌기(225)가 돌기(233)를 지나쳐 나가면 스프링(235)의 탄성에 의해 해지블럭(232)이 다시 걸림부재(220)로 밀려 들어가 돌기(233)가 해지돌기(225)에 선단으로 위치하여 걸림부재(220)가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유지시킨 후 창문을 열고 실내를 환기시키면 되는 것이고, 환기후 다시 창문을 잠그기 위해서는 잠금부재(240)의 잠금해지바(24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블럭(244)을 해지한 후, 버튼(231)을 눌러 걸림부재(220)를 해지시키면 된다.
즉,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지바(241)를 타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해지돌기(246)를 가압하고 있던 편심캠(243)이 해지되면서 잠금블럭(244)이 스프링(247)에 의해 걸림부재(220)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231)을 누르면, 버튼(231)은 스프링(234)를 압축하면서 선단 경사부(231a)가 해지블럭(232)의 경사부(232a)를 가압하여 해지블럭(232)이 측부로 밀려나게 되고, 이때, 돌기(233)에 탄지된 해지돌기(225)가 빠져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으로 향하여 걸림고리(120)에 걸리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220)의 전진시 락돌기(226)는 잠금블럭(244)의 돌기(245)의 경사부(245a)를 밀어 잠금블럭(244)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락돌기(226)가 돌기(245)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다시 잠금블럭(244)은 걸림부재(220)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20)가 걸림고리(120)로 전진하여 걸린 상태에서는 버튼(231)을 놓으면, 버튼(231)은 스프링(234)에 의해 원상복귀 되며, 해지블럭(232) 또한, 스프링 (235)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걸림부재(220)로 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내부에서는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 되며, 외부에서는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함으로서 외부에서 강제로 잠금장치를 해지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10: 잠금장치 100: 걸림수단
200: 잠금수단 210: 본체
220: 걸림부재 230: 해지부재
240: 잠금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창에 설치되는 걸림수단(100) 및 내창에 설치되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지는 창문용 잠금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0)은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걸림수단(100)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220)와, 상기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220)를 해지하기 위한 해지부재(230)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재(220)의 측부에는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에 잠김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240)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220)는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되, 몸체(221)의 전방은 걸림수단(100)이 밀려들어 오도록 테이퍼진 경사부(222)가 형성되며, 몸체(220)의 후방은 손잡이(223)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몸체(221)를 전방으로 항시 밀도록 스프링(224)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221)의 측부는 해지부재(230)에 밀착되어 해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해지돌기(225)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220)의 몸체(220) 측부에는 걸림부재가 검림수단(100)에 잠김상태에서 강재로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돌기(226)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돌기(225)는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락돌기(226)는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지부재(230)는 해지돌기(225)가 형성되는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재(220)가 후방에 위치되게 고정하며 이를 해지하여 전진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버튼부(231)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해지블럭(232)으로 구비되되, 상기 버튼부(231)는 측방이 테이퍼지게 경사부(231a)가 형성되며, 타측은 스프링(234)이 구비되어 항시 버튼부(231)를 후방으로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해지블럭(232)은 측부로 상기 해지돌기(225)를 잡아주기 위한 경사부(233a)를 갖는 돌기(233)가 형성되고, 버튼부(231)의 경사부가 밀착되는 부위에 동일한 경사면을 갖게 경사부(233a)가 형성되며, 해지블럭(232)의 하단에는 항시 해지블럭을 걸림부재(220)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2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240)는 걸림부재(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걸림부재(220)가 걸림수단(100)에서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해지바(241) 및 상기 잠금해지바(241)의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220)를 락/해지 하는 잠금블럭(24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해지바(241)는 손잡이(242)와 선단에 편심캠(2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블럭(244)은 편심캠(243)의 가압에 의해 잠금블럭(244)이 측부로 밀러나도록 해지돌기(246)가 구비되고, 일 측부에는 걸림부재(220)의 락돌기(226)를 잡아주는 돌기(2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100057404A 2010-06-17 2010-06-17 창문용 잠금장치 KR10115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04A KR101153946B1 (ko) 2010-06-17 2010-06-17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04A KR101153946B1 (ko) 2010-06-17 2010-06-17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57A KR20110137457A (ko) 2011-12-23
KR101153946B1 true KR101153946B1 (ko) 2012-06-08

Family

ID=4550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04A KR101153946B1 (ko) 2010-06-17 2010-06-17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77Y1 (ko) * 2012-12-27 2014-11-26 장만동 도어 잠금장치
KR20160128104A (ko) * 2015-04-28 2016-11-07 김경남 창문 자동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54B1 (ko) * 2012-11-23 2014-02-17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장치
KR200492142Y1 (ko) * 2017-12-26 2020-08-14 나경 울타리용 문고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60A (ja) 1996-12-24 1998-07-14 Chuo Spring Co Ltd 引き戸のロック装置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7-0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60A (ja) 1996-12-24 1998-07-14 Chuo Spring Co Ltd 引き戸のロック装置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7-0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77Y1 (ko) * 2012-12-27 2014-11-26 장만동 도어 잠금장치
KR20160128104A (ko) * 2015-04-28 2016-11-07 김경남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1702010B1 (ko) 2015-04-28 2017-02-02 김경남 창문 자동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57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946B1 (ko) 창문용 잠금장치
US20040261473A1 (en) Anti -theft device for portable computers
US7966849B2 (en) Sliding padlock
KR200452863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11220836B2 (en) Door lock mortise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011045B1 (ko)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JP6113765B2 (ja) 打掛錠
US20150026926A1 (en) Interior deadbolt lock cover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KR200459647Y1 (ko)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160146416A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495992B1 (ko) 도어 이중 잠금장치
KR101578326B1 (ko) 도어 록킹 장치
KR101332401B1 (ko) 창호 잠금장치
JP3985421B2 (ja)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20020078553A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20080022285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TWI609126B (zh) Improved door lock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1657598B1 (ko) 도어 안전 고리 장치
KR200184225Y1 (ko) 철문셔터용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