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598B1 - 도어 안전 고리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안전 고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598B1
KR101657598B1 KR1020150094136A KR20150094136A KR101657598B1 KR 101657598 B1 KR101657598 B1 KR 101657598B1 KR 1020150094136 A KR1020150094136 A KR 1020150094136A KR 20150094136 A KR20150094136 A KR 20150094136A KR 101657598 B1 KR101657598 B1 KR 10165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opper
foot
safety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혁
Original Assignee
윤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혁 filed Critical 윤민혁
Priority to KR102015009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with special means for release, e.g. automatic release by further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Abstract

도어 안전 고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 안전 고리 장치는, 도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길이 방향으로 홀더 홀을 갖는 안전 고리 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스 본체; 안전 고리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 또는 실내벽에 마련되어 안전 고리 홀더를 홀딩하는 홀더 홀딩 바디가 구비된 홀더 홀딩부;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안전 고리 홀더를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 스위치; 및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이 터치 시 안전 고리 홀더를 홀더 홀딩 바디에 체결시키거나 그 체결을 해제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발터치 작동부를 포함하고, 스토퍼 스위치는 홀더 홀딩 바디에 마련된 타격 로드에 의해 타격 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안전 고리 장치{DOOR SAFETY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안전 고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안전 고리를 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기타 주택이나 건물의 출입문에는 주 도어락 장치와 더불어 보조적으로 출입문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출입문 안전고리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약간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방문자가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문틈을 통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거나 문앞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출입문 안전고리에는 여닫이 형식의 출입문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일측 단부에는 문틀 또는 실내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이 출입 될 수 있도록 핀출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중앙에는 출입문을 열거나 닫는 경우 핀출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고정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외곽 부위에는 둘레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홈의 중앙에는 말단이 둥글게 만곡 된 상태로 끊긴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출입문을 닫은 상태에서 안전고리를 회동시키면, 핀출입구를 통하여 고정핀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문을 여는 경우 안전고리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핀이 안내홈 내측을 지나 안전고리의 말단부 둘레벽에 걸림으로 인해 출입문이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출입문을 다시 닫았다가 여는 경우에는 고정핀이 칸막이의 말단 만곡부에 접촉 후 칸막이 타측의 안내홈으로 안내됨으로써 고정핀이 핀출입구를 통하여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출입문의 완전 개방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종래 출입문 안전고리에 따르면 출입문의 완전 개방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다만 핀출입구가 비교적 넓기 때문에, 출입문을 약간 개방한 상태에서 신용카드와 같은 얇은 플라스틱판 등의 도구를 문틈으로 삽입한 후 안전 고리를 미는 경우, 핀출입구를 통하여 고정핀이 빠져나옴에 따라 안전 고리가 해제되어 출입문이 완전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전의 출입문 안전고리는 모두 손으로 작동되어 불편하고, 도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절단이 용이하다. 즉 기존의 안전고리는 사람의 상체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도어를 여는 순간 절단기를 이용해 절단해 버리는 범죄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2453호(최하웅) 2011. 02. 2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안전 고리를 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절단 위험성을 차단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길이 방향으로 홀더 홀을 갖는 안전 고리 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안전 고리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 또는 실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홀딩하는 홀더 홀딩 바디가 구비된 홀더 홀딩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 스위치;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이 터치 시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상기 홀더 홀딩 바디에 체결시키거나 그 체결을 해제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발터치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스위치는 상기 홀더 홀딩 바디에 마련된 타격 로드에 의해 타격 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축 결합 되는 홀더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토퍼 스위치가 삽입 고정되는 스토퍼 홈을 갖는 스토퍼 돌출부가 구비된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타격 로드의 타격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 후크; 상기 스위치 몸체에 상기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후크의 잠금 또는 해제에 의해 상기 스토퍼 홈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 로드; 상기 스위치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후크의 상기 스토퍼 로드 잠금 해제 시 상기 스토퍼 로드를 후진 이동시키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후크의 상기 스토퍼 로그 잠금 해제 시 상기 스토퍼 로드를 전진 이동시키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몸체에는 상기 스토퍼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터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터치되는 발 터치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발 터치부와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링크;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되는 회전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동캠; 일단부는 상기 회동캠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전 고리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상기 홀더 홀딩부로 체결시키거나 체결을 해제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 터치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3 탄성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상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4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터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 터치부를 스토핑 시키며,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스토핑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홀은 일측부가 타측부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에 하단부에 안전 고리 홀더와 홀더 홀딩부를 마련하여 범죄자가 절단을 하려면 몸을 숙이는 등 절단의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 인해 절단 시간이 기존에 비해 오래 걸리므로 대처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을 시 타격 로드에 의해 스토퍼 스위치의 안전 고리 홀더의 잠금이 해제되고, 발터치 작동부를 발로 터치하여 안전 고리 홀더를 홀더 홀딩부에 체결하거나 그 체결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안전 고리 장치가 도어와 문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본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 고리 홀더가 스토퍼 스위치에 의해 잠금 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채용되는 스토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홀더 홀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채용되는 발터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 터치부가 스토핑 바에 의해 스토핑 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안전 고리 장치가 도어와 문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본체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 고리 홀더가 스토퍼 스위치에 의해 잠금 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채용되는 스토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홀더 홀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채용되는 발터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 터치부가 스토핑 바에 의해 스토핑 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안전 고리 장치(1)는, 도어(D)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길이 방향으로 홀더 홀을 갖는 안전 고리 홀더(130)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스 본체(100)와, 안전 고리 홀더(13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 프레임(DF) 또는 실내벽에 마련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홀딩하는 홀더 홀딩 바디(210)가 구비된 홀더 홀딩부(20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 스위치(30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이 터치 시 안전 고리 홀더(130)를 상기 홀더 홀딩 바디(210)에 체결시키거나 그 체결을 해제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발터치 작동부(400)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도 2에 도시된 체결홀(110)을 통해 도어(D)에 나사 결합 되는 볼트에 의해 도어(D)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20)이 한 쌍 마련될 수 있고, 이 한 쌍의 지지암(120)에는 안전 고리 홀더(130)가 홀더 홀딩 바디(210)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안전 고리 홀더(1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축(131)이 마련되며, 이 홀더축(131)은 한 쌍의 지지암(120)에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안전 고리 홀더(1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홈(132a)을 갖는 스토퍼 돌출부(132)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돌출부(132)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로 돌출 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스토퍼 홈(132a)에는 스토퍼 스위치(300)의 스토퍼 로드(330)가 삽입된 상태로 있으므로 스토퍼 로드(330)의 인출이 없으면 안전 고리 홀더(130)는 홀더 홀딩 바디(210) 방향으로 회동 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안전 고리 홀더(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홀더 홀딩 바디(210)가 통과되는 홀더 홀이 안전 고리 홀더(13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 본체(100)의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홀(140)이 마련되며, 이 플레이트홀(140)은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터치 시 발 터치부(410)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홀더 홀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DF)에 마련되어 도어(D)의 닫힘 시 스토퍼 스위치(300)의 스토퍼 후크(320)를 타격하여 안전 고리 홀더(130)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홀더 홀딩부(200)는, 문틀(DF)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되며 안전 고리 홀더(130)를 홀딩하는 홀더 홀딩 바디(21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홀딩 바디(210)에 마련되는 타격 로드(220)를 포함한다.
홀더 홀딩부(200)의 홀더 홀딩 바디(210)에는 돌출된 영역이 마련되고, 이 돌출된 영역은 안전 고리 홀더(130)의 홀더 홀에 삽입된 후 걸림 지지 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홀더 홀딩부(200)의 타격 로드(220)는, 스토퍼 스위치(300)의 스토퍼 후크(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도어(D)의 잠금 시 스토퍼 후크(320)를 타격하여 안전 고리 홀더(130)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 스위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가 홀더 홀딩 바디(210) 방향으로 회동 되지 못하도록 안전 고리 홀더(130)를 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 스위치(300)의 해제 전에는 안전 고리 홀더(130)는 홀더 홀딩 바디(210) 방향으로 회동 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스위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위치 몸체(310)와, 스위치 몸체(3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측부가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부로 노출되며 하측부에 뾰족한 돌기가 마련되는 스토퍼 후크(320)와, 안전 고리 홀더(130)의 스토퍼 돌출부(13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위치 몸체(310)에 마련되며 스토퍼 후크(320)의 뾰족한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홈(331)을 갖는 스토퍼 로드(330)와, 스위치 몸체(310)에 마련되어 스토퍼 로드(330)의 일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체(340)와, 제1 탄성체(340)와 반대되는 방향의 스위치 몸체(310)에 마련되어 스토퍼 로드(330)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 탄성체(350)와, 스위치 몸체(310)에 마련되어 스토퍼 후크(320)를 탄성 지지하는 제3 탄성체(360)를 포함한다.
스토퍼 스위치(300)의 스위치 몸체(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로드(3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더(311)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스위치(300)의 스토퍼 후크(320)는, 타격 로드(220)의 가압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점선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스토퍼 로드(330)의 고정홈(331)에 삽입되어 스토퍼 로드(330)를 스토핑(stopping) 시킨 스토퍼 후크(320)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스토퍼 로드(330)는 도 4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스위치(300)의 제1 탄성체(340)는, 도 4를 기준으로 스토퍼 로드(330)의 돌출 부분 전방에 배치되고, 제2 탄성체(350)는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는 스토퍼 후크(320)의 스토퍼 로드(330)의 잠금 해제 시 스토퍼 로드(330)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이를 위해 제1 탄성체(340)의 탄성력은 제2 탄성체(350)의 탄성력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력의 차이는 스프링 상수와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해서 해결할 수 있다.
스토퍼 스위치(300)의 제3 탄성체(3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후크(320)의 회동축보다 후방에 위치되되 스토퍼 후크(320)의 저면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 후크(320)가 회동 되더라도 제3 탄성체(36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스토퍼 스위치(3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실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스토퍼 스위치(300)가 안전 고리 홀더(130)를 잠금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스토퍼 후크(320)가 회동되어 스토퍼 로드(330)의 스토핑이 해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스토퍼 후크(320)에 가압력이 가해져 회동 되기 전인 경우 스토퍼 로드(330)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몸체(3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탄성체(340)는 수축된 상태에 있고, 제2 탄성체(350)는 제1 탄성체(340)보다 느슨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후크(320)에 외력 예를 들어 타격 로드(220)의 타격이 가해지면 스토퍼 후크(320)는 후방으로 회동 되어 스토퍼 로드(330)의 홀딩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탄성체(340)가 늘어나면서 스토퍼 로드(33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으로 이동된 스토퍼 로드(330)는 제3 탄성체(36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스토퍼 후크(320)에 의해 다시 스토핑 된다.
즉 스토퍼 로드(330)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홈(331) 중 도 4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고정홈(331)에 스토퍼 후크(32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스토퍼 로드(330)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제2 탄성체(350)는 수축된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 후크(320)에 다시 외력을 가하면 스토퍼 로드(330)는 도 4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다시 잠금 할 수 있다.
발터치 작동부(4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발을 터치 시 안전 고리 홀더(130)를 홀더 홀딩 바디(210) 방향으로 회동시켜 홀더 홀딩 바디(210)에 체결시키며, 사용자가 발을 재 터치 시 홀더 홀딩 바디(210)의 체결을 해제시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발터치 자동부는 스토퍼 스위치(300)의 안전 고리 홀더(130)의 해제시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발터치 작동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터치되는 발 터치부(410)와, 케이스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발 터치부(410)와 연결되는 제1 링크(420)와, 케이스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제1 링크(420)와 연결되어 제1 링크(420)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링크(43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제2 링크(430)와 연결되어 제2 링크(4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44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며 회전바(44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동캠(450)과, 일단부는 회동캠(4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안전 고리 홀더(130)에 연결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홀더 홀딩부(200)로 체결시키거나 체결을 해제시키는 연결부재(46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발 터치부(410)를 탄성 지지하는 제4 탄성체(47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제1 링크(420)의 상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5 탄성체(480)와, 케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발 터치부(410)를 스토핑 시키며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스토핑 바(490)를 포함한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발 터치부(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플레이트홀(1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발 터치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발 터치부(410)의 후방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핑 바(49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이 돌기가 스토핑 바(490)의 스토핑 돌기(491)에 걸림 지지되어 발 터치부(410)는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제1 링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 본체(100)의 벽체에 축 결합 될 수 있고, 하단부는 발 터치부(410)의 후방부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링크(420)는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발로 터치 시, 도 6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되며, 제1 링크(420)의 전방 회동에 의해 제2 링크(430)는 후방으로 회동 된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제2 링크(4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 본체(100)의 벽체에 축 결합 될 수 있고, 하단부는 제1 링크(42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링크(430)는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발로 터치 시, 도 6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 되며, 제2 링크(430)의 후방 회동에 의해 회전바(440)는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된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회전바(44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 되며, 제2 링크(430)의 회전력을 회동캠(4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링크(430)의 우측 회동 시 회동캠(450)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 예는 회전바(440)의 회전에 의해 회동캠(450)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회전바(440)와 회동캠(45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마련할 수도 있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회동캠(450)은, 회전바(440)의 작은 회전력으로 연결부재(460)를 많이 당길 수 있도록 편심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편심캠의 중심축은 회전바(44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연결부재(4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회동캠(4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안전 고리 홀더(130)의 스토퍼 돌출부(132)에 연결되며 회동캠(450)의 회전력을 안전 고리 홀더(130)로 전달하여 안전 고리 홀더(13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460)는 와이어나 바(bar)로 마련될 수 있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제4 탄성체(470)는,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터치 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발 터치부(410)에 의해 수축되고, 제5 탄성체(480)는 전방으로 회동되는 제1 링크(420)에 의해 팽창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탄성체(470)와 제5 탄성체(480)는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재 터치 시 발 터치부(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재 터치하면 발 터치부(410)가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된 후 다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4 탄성체(470)는 수축되었다가 팽창되고, 제5 탄성체(480)는 늘어났다가 원래 길이로 수축되므로 제4 탄성체(470)와 제5 탄성체(480)의 합력에 의해 발 터치부(410)는 스토핑 바(490)의 스토핑 돌기(491)를 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발터치 작동부(400)의 스토핑 바(49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발 터치부(410)를 스토핑 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핑 바(49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고, 스토포 돌기의 경사각은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의 경사각(α1)이 우측의 경사각(α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발 터치부(410)의 걸림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탄성체(470)와 제5 탄성체(480)의 합력에 의해 발 터치부(410)가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이렇게 경사각을 마련해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발터치 작동부(4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터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터치부(410)는 우측으로 이동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핑 바(490)의 스토핑 돌기(491)에 걸림 지지된다.
발 터치부(41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420)는 좌측으로 회동되고 제2 링크(430)는 우측으로 회동 된다. 또한 제2 링크(430)와 연결된 회전바(440)는 우측으로 회전 되고, 회전바(440)의 회전에 의해 회동캠(450)은 도 6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회동캠(450)은 연결부재(460)에 의해 안전 고리 홀더(130)에 의해 연결되므로 안전 고리 홀더(130)는 도 6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홀더 홀딩 바디(2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 터치부(410)를 다시 터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탄성체(470)와 제5 탄성체(480)의 합력에 의해 발 터치부(410)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발 터치부(410)와 연결된 전술한 구성들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회동 된다.
그 결과 회동캠(45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전 고리 홀더(130)를 원위치 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안전 고리 홀더(130)는 도 2에 도시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안전 고리 홀더(130)의 잠금은 사용자가 스토퍼 후크(320)에 다시 힘을 가하면 된다. 즉 스토퍼 후크(320)에 힘을 가하면 스토퍼 로드(330)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토퍼 로드(330)가 안전 고리 홀더(130)의 스토퍼 돌출부(132)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토퍼 홈(132a)에 체결되므로 안전 고리 홀더(130)를 다시 록킹(locking)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어에 하단부에 안전 고리 홀더와 홀더 홀딩부를 마련하여 범죄자가 절단을 하려면 몸을 숙이는 등 절단의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 인해 절단 시간이 기존에 비해 오래 걸리므로 대처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을 시 타격 로드에 의해 스토퍼 스위치의 안전 고리 홀더의 잠금이 해제되고, 발터치 작동부를 발로 터치하여 안전 고리 홀더를 홀더 홀딩부에 체결하거나 그 체결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도어 안전 고리 장치
100 : 케이스 본체 110 : 체결홀
120 : 지지암 130 : 안전 고리 홀더
131 : 홀더축 132 : 스토퍼 돌출부
132a : 스토퍼 홈 140 : 플레이트홀
200 : 홀더 홀딩부 210 : 홀더 홀딩 바디
220 : 타격 로드 300 : 스토퍼 스위치
310 : 스위치 몸체 311 : 가이더
320 : 스토퍼 후크 330 : 스토퍼 로드
331 : 고정홈 340 : 제1 탄성체
350 : 제2 탄성체 360 : 제3 탄성체
400 : 발터치 작동부 410 : 발 터치부
420 : 제1 링크 430 : 제2 링크
440 : 회전바 450 : 회동캠
460 : 연결부재 470 : 제4 탄성체
480 : 제5 탄성체 490 : 스토핑 바
491 : 스토핑 돌기 D : 도어
DF : 문틀

Claims (7)

  1. 도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길이 방향으로 홀더 홀을 갖는 안전 고리 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안전 고리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 또는 실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홀딩하는 홀더 홀딩 바디가 구비된 홀더 홀딩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 스위치;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이 터치 시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상기 홀더 홀딩 바디에 체결시키거나 그 체결을 해제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발터치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스위치는 상기 홀더 홀딩 바디에 마련된 타격 로드에 의해 타격 되어 작동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축 결합 되는 홀더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토퍼 스위치가 삽입 고정되는 스토퍼 홈을 갖는 스토퍼 돌출부가 구비된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포함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위치 몸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타격 로드의 타격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 후크;
    상기 스위치 몸체에 상기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후크의 잠금 또는 해제에 의해 상기 스토퍼 홈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 로드;
    상기 스위치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후크의 상기 스토퍼 로드 잠금 해제 시 상기 스토퍼 로드를 후진 이동시키는 제1 탄성체;
    상기 스위치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후크의 상기 스토퍼 로드 잠금 해제 시 상기 스토퍼 로드를 전진 이동시키는 제2 탄성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후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에는 상기 스토퍼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터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터치되는 발 터치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발 터치부와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링크;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되는 회전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동캠;
    일단부는 상기 회동캠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전 고리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고리 홀더를 상기 홀더 홀딩부로 체결시키거나 체결을 해제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 터치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4 탄성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상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5 탄성체를 포함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터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 터치부를 스토핑 시키며,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스토핑 바를 더 포함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홀은 일측부가 타측부 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 고리 장치.
KR1020150094136A 2015-07-01 2015-07-01 도어 안전 고리 장치 KR10165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36A KR101657598B1 (ko) 2015-07-01 2015-07-01 도어 안전 고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36A KR101657598B1 (ko) 2015-07-01 2015-07-01 도어 안전 고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98B1 true KR101657598B1 (ko) 2016-09-19

Family

ID=5710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136A KR101657598B1 (ko) 2015-07-01 2015-07-01 도어 안전 고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5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557A (ja) * 1994-08-04 1996-04-16 Ryobi Ltd ドアガード
KR200452453Y1 (ko) 2010-04-24 2011-03-02 최하웅 출입문 안전고리
JP2011117178A (ja) * 2009-12-03 2011-06-16 Rohm Co Ltd ドアガード駆動装置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557A (ja) * 1994-08-04 1996-04-16 Ryobi Ltd ドアガード
JP2011117178A (ja) * 2009-12-03 2011-06-16 Rohm Co Ltd ドアガード駆動装置
KR200452453Y1 (ko) 2010-04-24 2011-03-02 최하웅 출입문 안전고리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8146961B2 (en) Exit device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US3946460A (en) Releasable door stop and strike plate assembly for a bidirectional swinging door
KR101657598B1 (ko) 도어 안전 고리 장치
JPH0317362A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JP2007159833A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012149476A (ja) 開き扉の開閉装置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JP3145858B2 (ja) 宅配ボックスの閉じ込め防止装置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KR101250554B1 (ko) 강화유리 도어의 락킹장치
JP4675119B2 (ja) 引き戸の施錠装置
US20070182167A1 (en) Door handle with built-in string latch actuation mechanism for door opening
US5775143A (en) Resettable double-bit lock
KR200477478Y1 (ko) 전자기기 도난 방지 장치
KR101929231B1 (ko)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JP2003035061A (ja) 窓障子の施錠装置
JPH11210277A (ja) 平面ハンドル
JP4094326B2 (ja) 非常解錠装置
JP6401822B1 (ja) 内開き戸の施錠装置
JP3693773B2 (ja) スライド扉用ロック装置
JP3544194B2 (ja) 引き違い戸用プッシュ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