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26B1 - 도어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326B1
KR101578326B1 KR1020150071807A KR20150071807A KR101578326B1 KR 101578326 B1 KR101578326 B1 KR 101578326B1 KR 1020150071807 A KR1020150071807 A KR 1020150071807A KR 20150071807 A KR20150071807 A KR 20150071807A KR 101578326 B1 KR101578326 B1 KR 10157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ever
moving bod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환
Original Assignee
신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환 filed Critical 신동환
Priority to KR102015007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02Faceplates or front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버를 돌리지 않고도 도어를 바깥방향으로 밀기만 해도 개방시킬 수 있어서 장애인, 몸이 불편한 환자, 어린아이 등이 굳이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손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외부레버를 갖는 외부몸체;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를 고정시키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내부레버를 갖는 내부몸체; 도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몸체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 및 외부레버 또는 내부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치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삽입체;로 구성된 도어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삽입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지지바가 이동체의 전방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지지체; 상기 이동체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바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도어가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걸리는 일방향 레치; 상기 이동체와 일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일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1스프링; 상기 외부레버 및 내부레버의 축에 삽입되어 외부레버와 내부레버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일방향 레치와 나란히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걸리도록 전방부위가 양쪽방향으로 경사진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양방향 레치; 상기 양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2스프링; 상기 이동체와 양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와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를 이동시키는 이동간;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 록킹 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인, 몸이 불편한 환자, 어린 아이 등이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보안 때문에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록킹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킹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킹 장치의 예로서, 공개특허 10-2006-0000011(디지털 도어록)의 기술을 들 수 있는데, 그 구조로서 도어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도어 내측에 부착된 장금장치를 개폐 작동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측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실외측 도어 개방장치는 도어에 부착하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통상 막대식 열쇠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식 열쇠몸체가 설치되며 열쇠뭉치의 열쇠구멍이 몸체 표면에 형성되며, 몸체 표면에는 충격 흡수 고무패드를 가지며, 몸체 상방에 키 입력 덮개를 로타리 힌지로 연결 체결하여, 키 입력 덮개가 열고 닫는 개폐작동과 동시에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키입력덮개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의 디지털 방식의 전면 키입력 수단과 후면 키 입력수단이 마련되어지며, 키 입력덮개 내측 공간부에는 상기 각각의 전후면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회로기판이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열쇠 또는 비밀번호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를 내부에서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록킹 해제버튼을 누른 다음 도어의 레버를 찾아 돌려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지만, 장애인, 몸이 불편한 환자, 어린아이 등은 도어 레버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하기가 매우 힘들어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서 레버를 돌리지 않아도 단지 도어를 미는 동작만으로도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록킹 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외부레버를 갖는 외부몸체;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를 고정시키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내부레버를 갖는 내부몸체; 도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몸체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 및 외부레버 또는 내부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치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삽입체;로 구성되며,
삭제
상기 도어 삽입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지지바가 이동체의 전방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지지체;
상기 이동체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바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도어가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걸리는 일방향 레치;
상기 이동체와 일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일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1스프링;
상기 외부레버 및 내부레버의 축에 삽입되어 외부레버와 내부레버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일방향 레치와 나란히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걸리도록 전방부위가 양쪽방향으로 경사진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양방향 레치;
상기 양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2스프링;
삭제
상기 이동체와 양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와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를 이동시키는 이동간;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버를 돌리지 않고도 도어를 바깥방향으로 밀기만 해도 개방시킬 수 있어서 장애인, 몸이 불편한 환자, 어린아이 등이 굳이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손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록킹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어 삽입체의 분해 구조도.
도3은 도2의 결합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도어 록킹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도어의 외부면에는 외부몸체(100)가 설치되고, 도어의 내부면에는 내부몸체(200)가 설치되며, 도어의 내측에는 도어 삽입체(300)가 설치된다.
외부몸체(100)의 키패드 커버(110)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외부레버(120)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몸체(200)는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10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내부레버(210)를 가지며, 배터리, 컨트롤러 등을 수용하고 있다.
외부몸체(100)와 내부몸체(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일반적인 도어 록킹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다.
도어 삽입체(300)는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문틀과의 걸림을 해제하거나 또는 도어를 폐쇄하도록 문틀에 걸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박스형태의 하우징(301)의 내측에 이동체(302), 지지체(306), 일방향 레치(310), 솔레노이드(311), 회전체(312), 이동간(315), 양방향 레치(317)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동체(302)는 하우징(301)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ㄷ'자의 형태를 가지며, 그 전면에는 관통공(303)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부(304)가 형성되어 솔레노이드(311)와 접촉된다.
또한, 타측면에는 이동간(315)의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절개된 형태의 삽입홈(305)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06)는 이동간(315)와 같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전방부위에는 지지바(308)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지지바(308)가 이동체(302)의 관통공(303)으로 삽입되어 이동체(302)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그 지지바(308)의 전방부위에는 나사부(30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일방향 레치(310)의 후면에 나사결합된다.
지지체(306)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걸림홈(307)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체(312)의 걸림쇠(314)가 걸림홈(307)에 삽입되어 걸림홈(307)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체(312)는 그 중심에 외부레버(120) 및 내부레버(210)의 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3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돌출된 걸림쇠(314)가 형성되어 그 걸림쇠(314)가 지지체(306)의 걸림홈(307)에 삽입됨으로써 외부레버(120) 또는 내부레버(210)의 조작에 의해 지지체(306)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걸림홈(307)은 지지체(306)가 후진할 때 회전체(312)를 회전시키기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일방향 레치(310)는 하우징(301)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하우징(301)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동체(302)와의 사이에서 지지바(308)의 외측에 끼워진 제1스프링(320)에 의해 이동체(302)로부터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된다.
솔레노이드(311)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이동체(302)를 자장에 의해 붙잡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을 해제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양방향 레치(317)는 일방향 레치(3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2스프링(319)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되며, 그 전방부위가 도2에서와 같이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걸리도록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동간(315)은 그 중심부위에 회전축(316)을 가져서 하우징(30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일측은 이동체(302)에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05)에 삽입되고, 타측은 양방향 레치(317)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18)이 삽입됨으로써 이동체(302)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317)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a)와 같이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311)가 이동체(302)를 구속함으로써 이동체(302)와 지지체(306), 그리고 일방향 레치(310)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가 잠기게 된다.
이로인해 이동간(315)은 이동체(302)와는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317)의 후진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일방향 레치(310)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여 종래의 기술과 같이 록킹 해제버튼을 눌러 솔레노이드(311)의 구속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키게 되면, 이동체(302)가 구속해제 되며, 제2스프링(319)에 의해 양방향 레치(317)가 전진하면서 이동간(315)에 의해 이동체(302), 지지체(306), 그리고 일방향 레치(310)가 후진함으로써 도4(b)와 같이 양방향 레치(317)에 의해 내부레버(21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내측에서 도어를 밀어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양방향 레치(317)가 문틀을 벗어나면서 문틀에 의해 눌려져 후진하게 되고, 이로인해 이동체(302), 지지체(306), 일방향 레치(310)가 전진하여 도4(c)와 같은 상태가 되며, 솔레노이드(311)에 의해 이동체(302)가 다시 구속됨으로써 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어가 닫혀질 때 도4(d)와 같이 일방향 레치(310)가 문틀에 눌려지게 되면, 일방향 레치(310)와 지지체(306)는 후진하지만, 이동체(302)는 솔레노이드(311)에 의해 구속되어 전진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인해 양방향 레치(317)가 후진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문틀을 벗어나게 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면 도4(e)와 같이 제1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 레치(310)와 지지체(306)가 전진하여 도어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수동으로 외부레버(120) 또는 내부레버(210)를 조작하여 문을 개방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5(a)와 같이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311)가 이동체(302)를 구속함으로써 이동체(302)와 지지체(306), 그리고 일방향 레치(310)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가 잠기게 된다.
이로인해 이동간(315)은 이동체(302)와는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317)의 후진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일방향 레치(310)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여 외부레버(120) 또는 내부레버(21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312)가 회전하여 지지체(306)를 후진시키게 되며, 이때 이동체(302)는 솔레노이드(311)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일방향 레치(310)가 도5(b)와 같이 후진하게 되며, 양방향 레치(317)는 이동체(302)가 구속되어 있으므로 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일방향 레치(310)와 양방향 레치(317)가 모두 후진상태가 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어가 문틀을 벗어나면서 사용자가 외부레버(120) 또는 내부레버(210)를 놓게 되면, 지지체(306)가 제1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로인해 일방향 레치(310)도 전진하므로 도5(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도어가 닫혀질 때 일방향 레치(310)가 문틀에 눌려지게 되면, 도4(d)와 같이 일방향 레치(310)와 지지체(306)는 문틀에 의해 후진하고, 문틀을 벗어나게 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면 도5(e)와 같이 제1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 레치(310)와 지지체(306)가 전진하여 도어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100 : 외부몸체 110 : 키패드 커버
120 : 외부레버 200 : 내부몸체
210 : 내부레버 300 : 도어 삽입체
301 : 하우징 302 : 이동체
303 : 관통공 304 : 접촉부
305 : 삽입홈 306 : 지지체
307 : 걸림홈 308 : 지지바
309 : 나사부 310 : 일방향 레치
311 : 솔레노이드 312 : 회전체
313 : 축삽입공 314 : 걸림쇠
315 : 이동간 316 : 회전축
317 : 양방향 레치 318 : 삽입홈
319 : 제2스프링 320 : 제1스프링

Claims (1)

  1.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외부레버를 갖는 외부몸체;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를 고정시키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내부레버를 갖는 내부몸체; 도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몸체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 및 외부레버 또는 내부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치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삽입체;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삽입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지지바가 이동체의 전방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지지체;
    상기 이동체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바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도어가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걸리는 일방향 레치;
    상기 이동체와 일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일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1스프링;
    상기 외부레버 및 내부레버의 축에 삽입되어 외부레버와 내부레버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일방향 레치와 나란히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걸리도록 전방부위가 양쪽방향으로 경사진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양방향 레치;
    상기 양방향 레치를 탄성을 가지고 지지하는 제2스프링;
    상기 이동체와 양방향 레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와 반대방향으로 양방향 레치를 이동시키는 이동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KR1020150071807A 2015-05-21 2015-05-21 도어 록킹 장치 KR10157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07A KR101578326B1 (ko) 2015-05-21 2015-05-21 도어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07A KR101578326B1 (ko) 2015-05-21 2015-05-21 도어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326B1 true KR101578326B1 (ko) 2015-12-16

Family

ID=5508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07A KR101578326B1 (ko) 2015-05-21 2015-05-21 도어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3313A (zh) * 2018-01-22 2018-07-31 苏州地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采用同一模具加工设计的智能电子门锁的前壳和后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3313A (zh) * 2018-01-22 2018-07-31 苏州地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采用同一模具加工设计的智能电子门锁的前壳和后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797B2 (ja) ロック装置
JP3485892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ロック装置
KR101641784B1 (ko) 전자식 잠금장치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1578326B1 (ko) 도어 록킹 장치
KR20080022284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110008878A (ko) 디지털 도어록
JP2016199937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6385576B2 (ja) 映像表示機器
KR20160090731A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641913B1 (ko)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2450932B1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WO2020102799A8 (en) Collar with integrated device attachment
KR20110137457A (ko) 창문용 잠금장치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20160031258A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1460172B1 (ko) 개량된 시건 구조를 갖는 도어록
JP2015055094A5 (ko)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950948B1 (ko) 세이프 핸들 장치
KR200486251Y1 (ko) 양방향 잠금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0702440B1 (ko)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KR102567718B1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