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913B1 -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913B1
KR101641913B1 KR1020150046649A KR20150046649A KR101641913B1 KR 101641913 B1 KR101641913 B1 KR 101641913B1 KR 1020150046649 A KR1020150046649 A KR 1020150046649A KR 20150046649 A KR20150046649 A KR 20150046649A KR 101641913 B1 KR101641913 B1 KR 10164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erration
fixed
fixing body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2015004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수납부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후면 커버; 및 일단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 1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는 힌지고정몸체;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 2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및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내부에서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전면 커버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킬 수 있어 전면 커버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둘 수 있는바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whose Opening Angle can be fixed to a desired angle}
본 발명은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면 커버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컴퓨터기술 및 무선네트웍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모바일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테블릿 피씨 등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들 모바일 단말기는 크기는 작지만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btop) 컴퓨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고, 정보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스마트형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 패널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복잡하고 충격에 취약한 수많은 전자 소자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들고다니는 것인바 예기치 못한 떨어뜨림과 같은 사고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높다.
위와 같은 이유로 모바일 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이용된다. 다양한 타입의 보호 케이스가 알려져 있지만, 근래 들어서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다이어리형 보호 케이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한국등록특허 제10-124602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갖는 하드 케이스(즉, 하우징)와, 하드 케이스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스마트폰의 전면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커버(또는,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다이어리형 보호 케이스로는, 스마트폰의 전면 터치 패널이 커버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전화수신 및 기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커버에 뷰창(view window)을 형성한 것이 있다.
또한, 독일특허공개 DE202012102205는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워 사용자가 스마트폰 정면의 패널을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배면 또는 스마트폰이 수납된 하우지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제1 커버부와, 연결부에 의해 제1 커버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정면 터치패널을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는 일측 모서리에 가까우 제1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하우징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측 모서리에 가까운제2 부분은 스마트폰 또는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힌지선에 의해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그 힌지선과 연결부에 의해,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우는 삼각대 또는 스탠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스탠드 상태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는 구성을 결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이 수용된 하우징을 지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다이어리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닫힘 상태에서 고정하는 수단과 별도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이 수용된 하우징을 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경제성, 내구성, 커버 기능의 신뢰성, 더 나아가, 사용의 편이성이 모두 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6026호(공고일자 2013년 03월 26일) 독일 실용신안공개공보 DE202012102205호(공개일자 2012년 09월 27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면 커버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수납부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후면 커버; 및 일단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 1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는 힌지고정몸체;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 2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및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내부에서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축 수용공과 상기 제 2 회전축 수용공 내에 수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 2 세레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하나와 접하게 되는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게 되는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커버와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가 관통되어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버튼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수용공 내부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세리에션부가 각각 상기 제 1 고정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고정 세레이션부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편향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 토글버튼이,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지 않는 일측면의 외측으로 상기 누름 토글버튼의 버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세레이션부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수납부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후면 커버; 및 일단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 내에 고정되고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부가 형성되는 힌지고정몸체; 및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면이 상기 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게 되는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축부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하나에는,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지 않는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축부수용공 내측의 원주면에 래치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 기어부가 형성된 상기 힌지회전몸체의 상기 축부수용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축부의 단부에는 상기 축부의 단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일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노브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노브의 일측과 상기 래치부재의 타측은 연결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래치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래치 기어부와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의하면 전면 커버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전면 커버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둘 수 있는바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전면 커버를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킨 다음에 모바일 단말기를 가로로 세워둘 수 있는바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힌지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재가 힌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재가 힌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래치 기어부, 래치부재 및 슬라이딩 노브가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가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좌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슬라이딩 노브의 단면이 보이는 방향에서 슬라이딩 노브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수납부(30)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후면 커버(10); 및 일단부가 힌지유닛(40)에 의해 후면 커버(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커버(20);를 포함한다.
후면 커버(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호하는 커버이고, 전면 커버(20)는 터치 패널이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면을 보호하는 커버로서, 인조 가죽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강성을 갖는 보강 심재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이나 STS 304 박판 등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단말기 수납부(30)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피씨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후면 커버(10)의 내측면에 접합 고정된다. 다만, 후면 커버(10)와 단말기 수납부(30)의 접합은 접착제로 접합할 수도 있고, 후면 커버(10) 및 단말기 수납부(30)에 벨크로를 접합 고정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단말기 수납부(30)는 하나의 구성예를 보인 것일 뿐이며, 단말기 수납부(30)의 형상이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공지된 수납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힌지유닛(40)은 후면 커버(10)와 전면 커버(20) 사이게 결합되어 후면 커버(10)에 대해 전면 커버(2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키는 것으로서, 후면 커버(10)와 전면 커버(20)는 힌지유닛(40)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유닛(40)은, 힌지고정몸체(41),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및 회전방지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힌지유닛(4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힌지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재가 힌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재가 힌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힌지고정몸체(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회전방지부재(45)의 회전축(451)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 수용공(41a)이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제 1 회전축 수용공(41a)은 힌지고정몸체(4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하나(도 3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와 접하게 되는 힌지고정몸체(41)의 일측면에는 보다 큰 직경의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412)이 형성되게 된다.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에는 힌지고정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41c)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고정몸체(41)는 키홈(41c)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키(key)에 의해 후면 커버(10)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11) 내에 고정된다. 즉, 후면 커버(10)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11)는 고리 형상으로 말아진 부분으로서 힌지고정몸체(41)를 감싸는 형태로 힌지고정몸체(41)와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힌지 커버(11)가 투명한 재질이 아닌 이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고정몸체(41)가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에 힌지고정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튼부 관통공(4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면 커버(10)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11)의 외주면에는 힌지고정몸체(41)의 버튼부 관통공(41b)과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힌지 커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튼부 관통공(11b)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관통하여, 힌지고정몸체(41) 내에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45)의 슬라이딩 버튼부(457)가 힌지고정몸체(41) 및 힌지 커버(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사용자가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따라 슬라이딩 버튼부(457)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회전방지부재(45)의 회전축(451)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회전축 수용공(42a)이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제 2 회전축 수용공(42a)은 힌지회전몸체(4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내부에서 회전방지부재(45)의 회전축(451)이 힌지회전몸체(42)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힌지고정몸체(4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힌지고정몸체(41)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힌지고정몸체(41)와 접하게 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나머지 하나(도 3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의 일측면에는 제 2 회전축 수용공(42a)보다 큰 직경의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424)이 형성되게 된다.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의 외주면에는 힌지회전몸체(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41c)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키홈(42c)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키(key)에 의해 전면 커버(20)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21) 내에 고정된다. 즉, 전면 커버(20)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21)는 고리 형상으로 말아진 부분으로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감싸는 형태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와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물림고리부(21)가 투명한 재질이 아닌 이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가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가 물림고리부(2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 커버(10)에 대해 전면 커버(20)의 각도를 조절하면 전면 커버(20)가 움직이면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방지부재(45)는,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몸체(41)와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연결시키고, 필요에 따라 힌지고정몸체(41)와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사이의 상대 회전을 막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회전방지부재(45)는 회전축(451),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451)은 힌지고정몸체(41)와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관통하면서 상대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축(451)은 제 1 회전축 수용공(41a) 및 제 2 회전축 수용공(4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회전축 수용공(41a) 및 제 2 회전축 수용공(42a) 내에서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전축(451)의 일측부에는 회전축(451)과 같이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제 1 세레이션부(453)가 마련되며, 회전축(451)의 타측부에는 회전축(451)과 같이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제 2 세레이션부(455)가 마련된다.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는, 일반적인 스퍼 기어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직경이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타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방지부재(45)는 힌지고정몸체(41)와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1) 중에서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부에 배치되게 되고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힌지고정몸체(41)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세레이션부(453)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하나(도 3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와 접하게 되는 힌지고정몸체(4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412) 내에 배치되게 되고, 제 2 세레이션부(455)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나머지 하나(도 3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424) 내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방지부재(45)가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세레이션부(453)는 힌지고정몸체(4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41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 2 세레이션부(455)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나머지 하나(도 3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424)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412)의 내측 단부에는 제 1 세레이션부(453)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가 형성되고,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424)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세레이션부(455)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가 형성된다.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는 직경이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타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바,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회전방지부재(45)는 제 1 세레이션부(453)와 제 2 세레이션부(455) 사이에서 회전축(451)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부(457)를 더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 회전방지부재(45)가 설치될 때에, 슬라이딩 버튼부(457)는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과 힌지 커버(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관통하여 힌지고정몸체(41) 및 힌지 커버(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따라 슬라이딩 버튼부(457)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도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 슬라이딩 버튼부(457)가 구비된 회전방지부재(45)가 설치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과 힌지 커버(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버튼부 관통공(11b, 41b)은 비교적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전방으로 버튼부 관통공(11b, 41b)이 노출되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180°이하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밀어서 움직이기 쉬운 위치에 슬라이딩 버튼부(457)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된다.
다만,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과 힌지 커버(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버튼부 관통공(11b, 41b)은 필요에 따라 비교적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에 가까운 위치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1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경우에,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회전방지부재(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여져 있게 된다. 이 경우,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상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에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통해 노출된 슬라이딩 버튼부(457)의 상단부를 아래로 밀어서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가 각각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와 맞물리게 하면 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딩 버튼부(457)의 상단부를 아래로 밀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회전방지부재(45)가 아래로 움직이게 되고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가 각각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 1 세레이션부(453)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5)는 힌지 커버(11)에 고정된 힌지고정몸체(41)와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제 2 세레이션부(455)와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5)는 물림고리부(21)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와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회전방지부재(45)와의 맞물림에 의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는 상태가 되는바,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180°이하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세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100)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가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100)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부 관통공(11b, 41b)을 통해 노출된 슬라이딩 버튼부(457)의 상단부를 원위치로 밀어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회전방지부재(45)는 제 1 세레이션부(453)와 제 2 세레이션부(455) 사이에서 회전축(45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부(459)를 더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고정몸체(41)의 내부에는 스프링 수용공(419)이 형성되며,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 회전방지부재(45)가 설치될 때에, 스프링 걸림부(459)는 스프링 수용공(419) 내에서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스프링 수용공(419) 내부에는,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가 각각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방지부재(45)가 편향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50)이 설치된다.
한편,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하나에는 회전방지부재(45)를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 토글버튼(60)이 설치된다. 이때, 누름 토글버튼(60)은, 버튼부(60a)가 힌지고정몸체(41)와 접하지 않는 힌지회전몸체(42)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다만, 버튼부(60a)가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 토글버튼(60)이 설치되는 힌지회전몸체(42)를 다른 힌지회전몸체(42)보다 짧게 제조하면, 힌지회전몸체(42)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60a)가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걸리적거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누름 토글버튼(60)은 원터치 토글 방식 볼펜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스프링(50)과 함께 사용되는 것인바, 한번 누르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회전방지부재(45)를 도 5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한번 더 누르면 회전방지부재(45)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누름 토글버튼(60)의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098호(공고일자 2010년 06월 09일)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 그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지는 않기로 하겠다.
상기에서는, 회전방지부재(45)의 제 1 세레이션부(453)와 제 2 세레이션부(455) 사이에 스프링 걸림부(459)가 구비되고, 힌지고정몸체(41)의 내부에 스프링 수용공(419)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 걸림부(459) 및 스프링 수용공(419)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2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경우에,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회전방지부재(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여져 있게 된다. 이 경우,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상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에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힌지회전몸체(42)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부(60a)를 눌러서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가 각각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와 맞물리게 하면 된다.
사용자가 누름 토글버튼(60)의 버튼부(60a)를 한번 누르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에서 회전방지부재(45)가 아래로 움직이게 되고 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가 각각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 1 세레이션부(453)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5)는 힌지 커버(11)에 고정된 힌지고정몸체(41)와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제 2 세레이션부(455)와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5)는 물림고리부(21)에 고정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와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회전방지부재(45)와의 맞물림에 의해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는 상태가 되는바,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180°이하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세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100)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가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100)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 토글버튼(60)의 버튼부(60a)를 다시 한번 눌러서 1 세레이션부(453) 및 제 2 세레이션부(455)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413) 및 제 2 고정 세레이션부(42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래치 기어부, 래치부재 및 슬라이딩 노브가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가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좌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슬라이딩 노브의 단면이 보이는 방향에서 슬라이딩 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3 실시예의 경우, 힌지유닛(40)은,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부(417)가 형성되는 힌지고정몸체(41)와, 힌지고정몸체(4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3 실시예의 경우, 힌지고정몸체(41)는 원통형 구조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힌지유닛(4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축부(417)가 형성되게 된다(도 6 참조). 힌지고정몸체(41)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축부(417)는 각각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내의 축부 수용공(427)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때, 힌지고정몸체(41)의 하측면(도 6의 하측)에 형성되는 축부(417)는 힌지회전몸체(42)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힌지고정몸체(41)의 상측면(도 6의 상측)에 형성되는 축부(417)는 힌지회전몸체(4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힌지고정몸체(41)의 외주면에는 힌지고정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41c)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고정몸체(41)는 키홈(41c)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키(key)에 의해 후면 커버(10)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11) 내에 고정된다. 즉, 후면 커버(10)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11)는 고리 형상으로 말아진 부분으로서 힌지고정몸체(41)를 감싸는 형태로 힌지고정몸체(41)와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힌지 커버(11)가 투명한 재질이 아닌 이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고정몸체(41)가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3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원통형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힌지고정몸체(41)의 축부(417)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축부 수용공(427)이 형성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힌지고정몸체(4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힌지고정몸체(41)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 중의 하나(도 6의 상측)에는, 힌지고정몸체(41)와 접하지 않는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축부 수용공(427) 내측의 원주면에 래치 기어부(429)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의 외주면에는 힌지회전몸체(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41c)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키홈(42c)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키(key)에 의해 전면 커버(20)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21) 내에 고정된다. 즉, 전면 커버(20)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21)는 고리 형상으로 말아진 부분으로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를 감싸는 형태로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와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물림고리부(21)가 투명한 재질이 아닌 이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기어부(429)가 형성된 상측 힌지회전몸체(42)의 축부 수용공(42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고정몸체(41)의 상측 축부(417)의 단부에는, 래치부재(70)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래치부재(70)는 핀결합 등에 의해 일측이 상측 축부(417)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후면 커버(10)의 일측(도 6의 상측) 모서리에는, 후면 커버(10)의 일측(도 6의 상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노브(8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의 일측(도 6의 상측) 모서리에는 도브테일 형상과 유사한 돌출부가 모서리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게 되고, 슬라이딩 노브(80)는 후면 커버(10) 일측(도 6의 상측) 모서리의 돌출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C'와 유사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노브(80)의 일측과 래치부재(70)의 타측은 연결 링크(90)에 의해 연결되어, 슬라이딩 노브(80)의 움직임에 따라 래치부재(70)가 회동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때, 래치부재(70) 또는 슬라이딩 노브(80)와 연결 링크(90) 사이는 핀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상측 힌지회전몸체(42)에 래치 기어부(429)가 형성되고 힌지고정몸체(41)의 상측 축부(417)의 단부에 래치부재(70)가 설치되며 후면 커버(10)의 상측 모서리에 슬라이딩 노브(80)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는, 하측 힌지회전몸체(42)에 래치 기어부(429)가 형성되고 힌지고정몸체(41)의 하측 축부(417)의 단부에 래치부재(70)가 설치되며 후면 커버(10)의 하측 모서리에 슬라이딩 노브(80)가 설치는 구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제 3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경우에, 래치부재(70) 및 슬라이딩 노브(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힌지고정몸체(41) 및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42)는 상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후에 전면 커버(20)의 개방각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후면 커버(10)의 상측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 노브(80)를 밀어서 래치부재(70)가 힌지고정몸체(41)의 상측 축부(417)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면 된다.
래치부재(70)가 회동되면 래치부재(70)의 뾰족한 일단부가 래치 기어부(429)의 급경사부와 맞물리게 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전면 커버(20)의 후면 커버(10)에 대한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전면 커버(20)을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전면 커버(20)의 후면 커버(10)에 대한 각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전면 커버(20)을 회전시키는 것은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100)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후면 커버(10)의 상측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 노브(80)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래치부재(70)가 원래 위치로 회동되게 하면 된다. 다만, 슬라이딩 노브(80)를 반대 방향으로 밀지 않아도 전면 커버(20)의 후면 커버(10)에 대한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전면 커버(20)을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의 전면 커버(20)를 그냥 빠르게 닫을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래치 기어부(429) 등이 형성되는 경우, 전면 커버(20)의 후면 커버(10)에 대한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전면 커버(20)가 회전되는 것은 막을 수 있으나, 전면 커버(20)의 후면 커버(10)에 대한 각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전면 커버(20)가 회전되는 것은 막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가로로 거치해 둘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전면 커버(20)를 후면 커버(10)에 대하여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를 가로로 거치해 둘 수는 없게 되는바, 모바일 단말기(100)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두고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는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전면 커버를 원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전면 커버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둘 수 있는바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 커버를 270°가 넘는 각도로 개방한 후 개방각의 변화가 없도록 전면 커버의 개방각을 고정시킨 다음에 모바일 단말기를 가로로 세워둘 수 있는바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둔 상태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0: 후면 커버
11: 힌지 커버 11b: 버튼부 관통공
20: 전면 커버 21: 물림고리부
30: 단말기 수납부
40: 힌지유닛
41: 힌지고정몸체 41a: 제 1 회전축 수용공
41b: 버튼부 관통공 41c: 키홈
412: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 413: 제 1 고정 세레이션부
417: 축부 419: 스프링 수용공
42: 힌지회전몸체
42a: 제 2 회전축 수용공 42c: 키홈
424: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 425: 제 2 고정 세레이션부
427: 축부 수용공 429: 래치 기어부
45: 회전방지부재 451: 회전축
453: 제 1 세레이션부 455: 제 2 세레이션부
457: 슬라이딩 버튼부 459: 스프링 걸림부
50: 스프링
60: 누름 토글버튼 60a: 버튼부
70: 래치부재 80: 슬라이딩 노브
90: 연결 링크

Claims (6)

  1. 삭제
  2. 모바일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수납부가 내측면에 고정되는 후면 커버; 및
    일단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후면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힌지 커버 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 1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는 힌지고정몸체;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 2 회전축 수용공이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전면 커버에서 연장되는 물림고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및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내부에서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축 수용공과 상기 제 2 회전축 수용공 내에 수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 2 세레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하나와 접하게 되는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수용공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게 되는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수용공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커버와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가 관통되어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버튼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와 상기 제 2 세레이션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고정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수용공 내부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세리에션부가 각각 상기 제 1 고정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고정 세레이션부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편향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회전몸체 중의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상기 힌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 토글버튼이, 상기 힌지고정몸체와 접하지 않는 일측면의 외측으로 상기 누름 토글버튼의 버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레이션부 및 상기 제 2 세레이션부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6. 삭제
KR1020150046649A 2015-04-02 2015-04-02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64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49A KR101641913B1 (ko) 2015-04-02 2015-04-02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49A KR101641913B1 (ko) 2015-04-02 2015-04-02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913B1 true KR101641913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49A KR101641913B1 (ko) 2015-04-02 2015-04-02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46B1 (ko) * 2019-03-19 2019-07-25 주대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WO2021006397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2646227B1 (ko) * 2022-11-11 2024-03-1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거치대 겸용 지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690A (ja) * 1998-07-31 2000-02-22 Make Srl 卓上容器
KR20040051999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오라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기반의 즉시대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4522U (ko)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케이스
DE202012102205U1 (de) 2012-06-15 2012-08-07 Fu-Yi Hsu Lederschutzhülle
KR101246026B1 (ko) 2012-10-24 2013-03-26 이휘경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20140007049A (ko) * 2012-07-06 2014-01-16 박요섭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690A (ja) * 1998-07-31 2000-02-22 Make Srl 卓上容器
KR20040051999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오라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기반의 즉시대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4522U (ko)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케이스
DE202012102205U1 (de) 2012-06-15 2012-08-07 Fu-Yi Hsu Lederschutzhülle
KR20140007049A (ko) * 2012-07-06 2014-01-16 박요섭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46026B1 (ko) 2012-10-24 2013-03-26 이휘경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46B1 (ko) * 2019-03-19 2019-07-25 주대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WO2021006397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2646227B1 (ko) * 2022-11-11 2024-03-1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거치대 겸용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291B2 (en) Hinge device
US8145283B2 (en) Wireless earphon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396982B1 (en)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US20160269516A1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10298730B2 (en) Multi-function handle for electronic device
US20140084770A1 (en) Door assembly
EP1589239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US8111511B2 (en) Electronic device physical security component
US20050137000A1 (en) Rotatable latch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41913B1 (ko)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9077436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JP2006233998A (ja)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205367B2 (ja) 電子機器
US8064971B2 (en) Mobile phone
GB2445326A (en) Mouse with a damped pivoting back door, side clasp buttons and a movable carrier for a wireless receiver
US9292050B2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portion
US20080134468A1 (en) Pivotal device
TW567283B (en) Hinges for electronic instrument and the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is hinges
US8078236B2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I361251B (ko)
KR20150001868U (ko)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JP2001241254A (ja) 折り畳みヒンジ部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製ハウジング
KR20120002185U (ko) 거치대 기능을 갖는 태블릿 컴퓨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