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6397A1 -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6397A1
WO2021006397A1 PCT/KR2019/008530 KR2019008530W WO2021006397A1 WO 2021006397 A1 WO2021006397 A1 WO 2021006397A1 KR 2019008530 W KR2019008530 W KR 2019008530W WO 2021006397 A1 WO2021006397 A1 WO 20210063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coupling
mobile terminal
folda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5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용호
안광현
손영욱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85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06397A1/ko
Publication of WO20210063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63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that has a display panel and can be used by being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and to a terminal set including the same.
  •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mobile/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y can be moved. Again, mobile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handheld terminals and vehicle mounted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m.
  • such a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taking photo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and receiving games and broadcasts. It is being implemen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environment using two displays.
  •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wo displays by attaching an auxiliary device to a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displays can be folded and unfold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ucture of an auxiliary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case for a mobile terminal when a foldable cover is not used.
  • An auxiliary device includes a terminal case in which a first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a first direction, a foldable cover including a second display exposed through one surface, and an optional terminal case.
  • a hinge part that is connected or separated by, selectively connected or separated from the foldable cover, and is disposed in the terminal case to relatively rotate the terminal case and the foldable cover, and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
  • a case circui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circuit part at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foldable cov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circuit part, and the hinge It may include a hinge circuit formed in the branch, on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circuit portion, and the other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 circuit portion.
  • the hinge por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that has a pipe shape and has both ends and a center portion that share a rotation axis and relatively rotates,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and the foldable cover.
  •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oldable cover.
  •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through at least one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slidably coupled to one edge of the foldable cover.
  •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 a sliding rail is formed 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slid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ldable cover at one edge of the foldable cover, and the slid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 the hing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inge cap formed to cover an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closing the sliding rail.
  •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protrusion may have a shape that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in thickness as it protrudes from the foldable cover.
  • the case circuit unit includes a terminal coupling terminal provided in the terminal case and provided to contact an interface (I/F)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and a cable coupl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 Can include.
  •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mounted on th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 a slid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body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 sliding rail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foldable cover, and the slid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 various embodiments may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r environment by using two displays.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bine or remove an extended display as needed.
  •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second display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 the second display may be fixed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environment.
  • the remaining parts can be removed and the terminal case can be used independently.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e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case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foldab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various directions.
  • FIG. 6 is a view showing a hinge unit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 sequence of assembling a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d)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terminal set is unfolded. It is a figure show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terminal coupling terminal by cutting along the line A-A of FIG. 4A.
  • FIGS. 9A to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ide of a hinge portion to which a terminal case and a foldable cov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to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ide of a hinge portion to which a terminal case and a foldable cov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a) is a front view when the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FIG. 11(b) is a bottom view.
  • FIG. 12(a) is a front view when the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nd FIG. 12(b) is a bottom view.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n surrounding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G-sensor for example, camera (see 121)), microphone (microphone, see 122),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between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n input/output (video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delivery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1.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bar-shaped terminal body as shown in FIGS. 2A and 2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orm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mbined with an auxiliary device is sufficient.
  • a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may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case of the auxiliary device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watch mobile terminal, and the foldable cover is hinged to the terminal case so as to be rotatable.
  •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optionally covered.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ior.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 case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As illustrated,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s well.
  • Electronic componen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include a removable battery,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 memory card.
  • a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rear cover 103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when the rear case 102 is combined,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Meanwhile,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or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 These cases 101, 102,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ner space.
  • a unibody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rear may be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unit (not shown) that prevents water from permeating into the terminal body.
  • the waterproof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the combina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 light output unit 154, and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icrophone 122,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the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rather than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yp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is.
  •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o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a metal wire patterned direct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 ).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that transmits a call sound to the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is a loud speaker that outputs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 Can be implemented.
  • 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formed i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structures (eg,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 the externally formed hole for sound output is not visible or hidden,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ore simple.
  • the light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when an event occurs.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terminate the light output.
  • 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photograph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an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123 tha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have.
  •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while receiving a tactile feeling such as touch, push, and scroll.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also be employed in a mann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operated without a user's tactile feeling through proximity touch, hovering touch, or the like.
  •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is illustrated as being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push key (mechanical key)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variously set.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commands such as menu, home key, cancel, search, etc.
  •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is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152b.
  • Commands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sound and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nput.
  •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is rea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You can receive commands such as conversion of.
  •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terminal body using the index fing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with a larger scree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and other sounds.
  •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 the interface unit 160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6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eg, earphones, external speakers),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g,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 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array camera'.
  • an image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n image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 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 the flash 124 illuminat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with the second camera 121b.
  •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formed in a case.
  • an antenna form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 may be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rough a wireless charger.
  •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 and foreign substances. It is illustrated.
  •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e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100 and an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auxiliary device 300 again includes a terminal case 310 and a foldable cover 320.
  • a first display 151 i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second display 321 is provided in the foldable cover 320, respectively.
  • the first display 15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splay unit 151 of FIGS. 1 to 2.
  • the controller 180 i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isplay 151 and the second display 321. That is,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in addition to this, also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second display 321.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physical form of a System-On-Chip (SOC).
  • AP application processor
  • SOC System-On-Chip
  • the memory 170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151 and furthermore the second display 321.
  • a gam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driven by signal processing and calcul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data for screen output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151 or an auxiliary device. It may be transmitted to 300 and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321.
  • the power supply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uppl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300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econd display 321 of the auxiliary device 300 may be driven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processor, the memory 17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 volatile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 small power supply unit, etc. may be provided, so that it may be used auxiliary for operation control.
  • the foldable cover 32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isplay control unit 322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econd display 321.
  • the second display control unit 322 may conver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output it to the second display 321 or perform other auxiliary tasks required for outputting the second display 321.
  • the auxiliary device 300 may include a touch pan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321 to generate, process, and transmit an input signal through the touch panel.
  •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re provided with a magnet and a hall sensor for sensing mutual coupling, and a user interface that starts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display 321 May b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151 or power supply to the second display 321 may be started.
  • the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and transmit/receive data.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splay 321 of the foldable cover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receive power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 the terminal case 310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both components between the foldable cover 32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 a circuit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foldable cover 320 for driving the second display 321 is defined as a cover circuit unit 323, and a circuit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terminal case 310 is defined as a case circuit unit 313.
  • the foldable cover 320 and the terminal case 310 may each have a coupling terminal to connect the cover circuit unit 323 and the case circuit unit 313.
  • the former is defined as a coupling terminal on the cover side and the latter as a coupling terminal on the case side.
  • the charging port 161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5 of the terminal case 310.
  • the terminal case 310 additionally has a cable coupling terminal 317 to provide a separate point at which an external cable can be connected.
  •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splay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faces. It can mean the front of 100).
  •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mea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have been defined and described to aid understand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ny one direction is changed, corresponding So the rest can be changed together.
  • an auxiliary device may include a terminal case 310, a foldable cover 320, and a hinge part 330.
  • FIG. 4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100 and a terminal cas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various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a) of FIG. 4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case 31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of FIG. 4 is a rear view, and (c) is a left side view, FIG. 4(d)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4(e) is a bottom view.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length direction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of FIG. 4A.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thickness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4C or 4D.
  • Such a direction reference i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as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an absolute reference. When any one direction reference is changed, the other direction reference is also can be changed.
  • the terminal case 310 is a cradl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unted, and is formed to cover the r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cept for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play 151 is located. I can.
  • the first display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terminal case 310 to face the first direction.
  •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may be fastened with the coupling portions 336, 337 (see FIG. 6) of the hinge portion 330 (see FIG. 6)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agnetic body is combined using an integrated latch structure.
  • Various methods such as can be used.
  • the terminal case 310 may include a case circuit unit (not shown).
  • One side of the case circuit part (313a, see FIG. 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and can be connected to other parts, and the other side (313b, see FIG. 3) is the mobile terminal 100 within the terminal case 310.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One side 313a of the case circuit part may be expos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336 (refer to FIG. 6) of the hinge part 330 to be described later or the second coupling part 337, FIG. 6 Referen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ither side. This may be defined as a case-side coupling terminal 313a.
  • the case circuit unit may receive power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eated in the terminal case 310 and transmit it to the foldable cover 320, or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foldable cover 320. It can also serve as a path.
  • FIG. 5 is a view showing a foldable cover 320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5 (a) is a front view of the foldable cover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rear view, Figure 5 (c) is a left side view 5(d)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5(e) is a bottom view.
  •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length direction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of FIG. 5A.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thickness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of FIG. 5C or 5D.
  • Such a direction reference is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foldable cover 3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an absolute reference. When one direction reference is changed, the other direction reference may be changed accordingly.
  • the foldable cover 320 may include the second display 321 and may include either a sliding rail 337 (see FIG. 6) or a sliding protrusion 325.
  • the second display 321 may be expos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foldable cover 320.
  • the second display 321 may be us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terminal case 310.
  • a sliding protrusion 325 or a sliding rail 337 may be formed at a longitudinal edge of the foldable cover 320 to be coupled to a hinge portion 330 (see FIG. 6) to be described later.
  • the sliding protrusion 325 or the sliding rail 337 may be combined with the sliding rail 337 or the sliding protrusion 325 formed on the hinge part 330 to couple the foldable cover 320 to the hinge part 330.
  • a sliding protrusion 325 is formed on the foldable cover 320 and the sliding rail 337 is formed on the hinge part 330. ) Is formed.
  • one side 323a (refer to FIG.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321, and the other side 323b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ldable cover 320 so that other parts Can be connected with. More specifically, the other side 323b of the cover circuit part 323 is formed on the sliding protrusion 325 formed in the cover circuit par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ldable cover 32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hinge part 330 ( 336)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ither side. This may be defined as a cover-side coupling terminal 323b.
  • the cover circuit unit 323 drives the second display 321 of the foldable cover 320 by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second display ( 321 may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first display 151 (refer to FIG. 4) and the second display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output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 the first display 151 and the second display 321 may be mirrored and output, or a screen output on the first display 151 may be moved to the second display 321 for output.
  • an execution screen of one application or a plurality of linked applications may be divided and output on the two displays 151 and 321.
  • the controller of the game application may b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151 and the game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321.
  • the terminal s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like a singl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which may mean that the auxiliary device shares several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linked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151 and the second display 321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hinge unit 330 and a hinge circuit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 FIG. 6 is a view showing a hinge par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various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Figure 6 (a) is a front view of the hinge portion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b) is a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s 336, 337 of the hinge portion 330 It is a side view shown, and (c) of FIG. 6 is a bottom view.
  • a left-right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radial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length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6A.
  • Such a direction reference i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hinge unit 3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an absolute reference. When one direction reference is changed, the other direction reference may be changed accordingly.
  • the hinge portion 330 may include a body portion 331, coupling portions 336 and 337, and a hinge cap 339.
  • the hinge unit 330 is combined with the terminal case 310 (see FIG. 4) and the foldable cover 320 (see FIG. 5) to relatively rotate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to fold and unfold. You can do it.
  • the hinge unit 330 may be released from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to separate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 the body portion 331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such that both end portions 331a and the central portion 331b share a rotation axis and rotate relatively. Both end portions 331a and the central portion 331b of the body portion 331 may include a free stop function in which rotation is stopped and fixed at an arbitrary time point selected by the user.
  • the coupling portions 336 and 337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336 formed at both ends 331a of the body portion 33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37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331b. have.
  • first coupling portion 336 w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36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7 is coupled to the foldable cover 320,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31 ( When 331a and the central part 331b rotate relatively,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may be folded or unfolded.
  • first coupling portion 336 may be coupled to the foldable cover 3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7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310.
  • the first coupling unit 336 may be variously applied such as a magnetic material or a latch structure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 a sliding rail 337 or a sliding protrusion 32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337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protrusion 325 or the sliding rail 337 formed on the foldable cover 320.
  • the hinge cap 339 may close the sliding rail 337 while covering one end of the body portion 331. By closing the sliding rail 33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ldable cover 320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 one side may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unit 336 and the other side may be expos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unit 337.
  • One side of the hinge circuit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the case-side coupling terminal 313a (refer to FIG. 4), and the other side of the hinge circuit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the cover-side coupling terminal 323b (refer to FIG. 5).
  • this may be defined as a first coupling terminal and a second coupling terminal.
  • the hinge circuit part may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se circuit part and the cover circuit part. Power su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transferred to the foldable cover 320 to drive the second display 321, and the second display 321 is moved through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00.
  • FIG. 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a sequence of assembling a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d)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terminal set is unfolded. It is a figure shown.
  •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36 (see FIG. 6) of the hinge portion 330.
  •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336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magnetic material and a latch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 the sliding protrusion 325 (see FIG. 5) of the foldable cover 320 is a sliding rail 337 (see FIG. 6)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7 (see FIG. 6 ).
  • both end portions 331a (see FIG. 6) and the central portion 331b (see FIG. 6) of the hinge portion 330 rotate relatively, so that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can be folded or unfolded.
  •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cut along line A-A of FIG. 4A.
  • the other side of the case circuit unit may include a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and a cable coupling terminal 319.
  •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may be inserted into an interfac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receive power and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receive the cover circuit unit ( 323).
  • the interfac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ypically be a USB-C type terminal, and correspondingly,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may also be formed of a USB-C typ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power and data transmission are possible.
  • the cable coupling terminal 319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 the cable coupling terminal 319 may be an external input terminal enabling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case 310.
  • the cable coupling terminal 319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cable for external input is inserted and fixed, or may be provided in a manner in which a 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by the force of a magnetic body.
  • the coupling method using a magnetic material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terminal,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cable and the cable coupling terminal 319 can be easily connected or separated.
  • the terminal coupling terminal 3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rotatably disposed in a part of the terminal case 310, inserted into the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n rota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terminal case 310. Can be settled.
  • FIGS. 9A to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ide of the hinge part 330 to which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a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protrusion 325 may have a groove formed by decreasing and increasing in thickness as it protrudes from one edge of the foldable cover 320.
  • the sliding rail 337 of the hinge portion 330 may als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liding protrusion 325. 9(a) to 9(b),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chang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325 protrudes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water droplet),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325 becomes the sliding rail 337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departur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device.
  • 10A to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ide of the hinge part 330 to which the terminal case 310 and the foldable cover 320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10(a) to 10(b) can show a cas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sliding rail 337 and the sliding protrusion 325 are formed opposite to those of FIGS. 9(a) to 9(b). have.
  • the sliding protrusion 325 By arranging the sliding protrusion 325 on the hinge portion 330 side, the appearance of the foldable cover 320 can be formed more neatly.
  • FIG. 11(a) is a front view when the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FIG. 11(b) is a bottom view.
  • the fold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state of FIG. 11(a), and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321 of the foldable cover 320 faces the first display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mean.
  • the foldable cover 320 may be used as a cove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 FIG. 12(a) is a front view when the terminal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nd FIG. 12(b) is a bottom view.
  • the unfolded state may mean a state of FIGS. 12A to 12B.
  • the body portion 331 of the hinge portion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ree stop function capable of stopping and fixing rotation at an arbitrary angle selected by the user. 2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y fre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3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의 제1디스플레이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되는 단말기 케이스,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커버,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폴더블 커버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힌지부,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 회로부, 상기 폴더블 커버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연결되며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회로부 및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힌지 회로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8.07.2019]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이동 단말기 구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보조 장치를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두개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하고, 두개의 디스플레이가 폴딩 및 언폴딩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서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장치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더블 커버를 활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를 위한 독립된 케이스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장치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제1디스플레이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되는 단말기 케이스,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커버,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폴더블 커버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힌지부,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 회로부, 상기 폴더블 커버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연결되며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회로부 및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힌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양측 단부와 중앙부가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폴더블 커버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몸통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폴더블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와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폴더블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어느 일측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패쇄하는 힌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단면은 상기 폴더블 커버에서 돌출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회로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I/F) 단자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결합 단자 및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 결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와 연결된 후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의 회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몸통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결합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2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이용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더블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나머지 부품을 제거하여 단말기 케이스를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 케이스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커버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조립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d)는 조립된 단말기 세트가 언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a)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단말기 결합 단자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와 폴더블 커버가 결합하는 힌지부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와 폴더블 커버가 결합하는 힌지부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폴딩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1의 (b)는 저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언폴딩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2의 (b)는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이동 단말기(100)가 보조 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일 예로, 스마트 워치 형태의 이동 단말기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 장치의 단말기 케이스는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하고, 폴더블 커버는 단말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덮개 구비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 세트는 이동 단말기(100)와 보조 장치(300)로 나뉘며, 보조 장치(300)는 다시 단말기 케이스(310) 및 폴더블 커버(32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제1디스플레이(151)가, 폴더블 커버(320)에는 제2디스플레이(321)가 각각 구비된다.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디스플레이(151)는 도 1 내지 도 2의 디스플레이부(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제1디스플레이(151) 및 제2디스플레이(3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더하여 제2디스플레이(321)의 출력에 관한 동작까지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의 물리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메모리(170)는 제1디스플레이(151), 나아가 제2디스플레이(321)의 동작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제어부(180)의 신호처리 및 연산에 의해 구동되고, 화면 출력을 위한 데이터는 제1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거나 보조 장치(300)로 전송되어 제2디스플레이(321)에 출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190)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 구성의 동작뿐 아니라 보조 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전력도 공급할 수 있다.
즉 보조 장치(300)의 제2디스플레이(321)는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170) 및 전원 공급부(190)에 의존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소형 전원 공급부 등을 구비하여 동작 제어에 보조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폴더블 커버(320)에는 제2디스플레이(321)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322)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2디스플레이(321)에 출력시키거나, 기타 제2디스플레이(321) 출력에 필요한 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 장치(300)는 제2디스플레이(321)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여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신호를 생성, 처리 및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 장치(300)와 이동 단말기(100)에는 상호 결합을 센싱하는 마그넷(magnet) 및 홀 센서(hall sensor)를 구비하여 제2디스플레이(321)와의 연동을 시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1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도 있고, 제2디스플레이(321)에의 전력 공급이 시작될 수도 있다.
보조 장치(300)와 이동 단말기(100)는 전력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폴더블 커버(320)의 제2디스플레이(321)는 이동 단말기(10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을 받고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310)는 폴더블 커버(320)와 이동 단말기(100)의 사이에서 양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디스플레이(321)의 구동을 위해 폴더블 커버(320)에 구비되는 회로 구성을 커버 회로부(323), 단말기 케이스(310)에 구비되는 회로 구성을 케이스 회로부(313)라 정의한다.
폴더블 커버(320)와 단말기 케이스(310)는 각각 결합 단자를 가져 커버 회로부(323)와 케이스 회로부(313)를 연결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전자를 커버측 결합 단자, 후자를 케이스측 결합 단자로 정의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충전 포트(161)는 단말기 케이스(310)의 단말기 결합 단자(315)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케이스(310)는 케이블 결합 단자(317)를 추가적으로 가져 외부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별도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300) 및 단말기 세트(10)를 설명함에 있어 제1방향이란, 이동 단말기(100)의 제1디스플레이(151)가 향하는 방향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방향이란,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300) 및 단말기 세트(10)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고자 제1방향 내지 제2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방향이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나머지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310), 폴더블 커버(320) 및 힌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단말기 케이스(310)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가 안착된 단말기 케이스(310)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배면도이며, 도 4의 (c)는 좌측면도이고, 도 4의 (d)는 우측면도이며, 도 4의 (e)는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300)의 단말기 케이스(310)를 설명함에 있어, 도 4의 (a)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도 4의 (c) 또는 도 4의 (d)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기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단말기 케이스(310)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나머지 방향 기준도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310)는 이동 단말기(100)가 안착되는 크래들(cradle) 형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1디스플레이(151)가 위치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디스플레이(151)는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단말기 케이스(310)에 안착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측면은 후술할 힌지부(330, 도 6참조)의 결합부(336, 337, 도 6참조)와 체결될 수 있으며, 자성체를 통합 결합 랫치(latch) 구조를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310)는 케이스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회로부는 일측(313a, 도 3참조)이 단말기 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313b, 도 3 참조)은 단말기 케이스(310)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 회로부의 일측(313a)은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측면 노출될 수 있으며, 후술할 힌지부(330)의 제1결합부(336, 도 6 참조) 또는 제2결합부(337, 도 6 참조) 중 어느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케이스측 결합 단자(313a)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케이스 회로부는 단말기 케이스(31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폴더블 커버(320)에 전달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00)와 폴더블 커버(320)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경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커버(320)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폴더블 커버(320)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배면도이며, 도 5의 (c)는 좌측면도이고, 도 5의 (d)는 우측면도이며, 도 5의 (e)는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300)의 폴더블 커버(320)를 설명함에 있어, 도 5의 (a)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도 5의 (c) 또는 도 5의 (d)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기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커버(320)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나머지 방향 기준도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커버(320)는 제2디스플레이(321)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레일(337, 도 6 참조) 또는 슬라이딩 돌기(325) 중 어느 일측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321)는 폴더블 커버(320)의 일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321)는 단말기 케이스(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활용될 수 있다. 폴더블 커버(320)의 길이방향 모서리에는 후술할 힌지부(330, 도 6 참조)와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325) 또는 슬라이딩 레일(33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25) 또는 슬라이딩 레일(337)은 힌지부(33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337) 또는 슬라이딩 돌기(325)와 결합하여 폴더블 커버(320)를 힌지부(3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337) 및 슬라이딩 돌기(325)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폴더블 커버(320)에 슬라이딩 돌기(325)가 형성되고, 힌지부(330)에 슬라이딩 레일(337)이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회로부(미도시)는 일측(323a, 도 3 참조)이 제2디스플레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323b)이 폴더블 커버(320)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회로부(323)의 타측(323b)은 커버 회로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325)에 형성되어 폴더블 커버(3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힌지부(330)의 제1결합부(336) 또는 제2결합부(337) 중 어느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커버측 결합 단자(323b)라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회로부(323)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활용하여 폴더블 커버(320)의 제2디스플레이(321)를 구동하고, 이동 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통해 제2디스플레이(321)를 이동 단말기(100)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151, 도 4참조) 및 제2디스플레이(321)는 상호 연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151)와 제2디스플레이(321)가 미러링되어 출력되거나, 제1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을 제2디스플레이(321)에 이동시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계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두 디스플레이(151, 321)에 나눠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는 제1디스플레이(151)에 게임 컨텐츠는 제2디스플레이(321)에 출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 세트(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하나의 장치처럼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여러 구성을 보조 장치가 공유함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디스플레이(151)와 제2디스플레이(321)의 연계된 동작은 후술할 힌지부(330) 및 힌지 회로부(미도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0)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0)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힌지부(330)의 결합부(336, 337)를 중심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의 (c)는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힌지부(330)를 설명함에 있어, 도 6의 (a)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반지름 방향이라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기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0)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나머지 방향 기준도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0)는 몸통부(331), 결합부(336, 337) 및 힌지 캡(339)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30)는 단말기 케이스(310, 도 4 참조) 및 폴더블 커버(320, 도 5 참조)와 결합하여 단말기 케이스(310) 및 폴더블 커버(32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폴딩 및 언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330)는 단말기 케이스(310) 및 폴더블 커버(320)와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단말기 케이스(310) 및 폴더블 커버(32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331)는 파이프 형상으로써 양측 단부(331a)와 중앙부(331b)가 회전축을 공유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331)의 양측 단부(331a)와 중앙부(331b)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회전을 정지하고 고정되는 프리 스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른 결합부(336, 337)는 몸통부(331)의 양측 단부(331a)에 형성된 제1결합부(336) 및 중앙부(331b)에 형성된 제2결합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336)가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측면에 결합하고, 제2결합부(337)가 폴더블 커버(3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몸통부(331)의 양측 단부(331a)와 중앙부(331b)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단말기 케이스(310)와 폴더블 커버(320)가 폴딩 또는 언폴딩 될 수 있다. 또는 제1결합부(336)가 폴더블 커버(320)에 결합하고, 제2결합부(337)가 단말기 케이스(310)에 결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제1결합부(336)는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측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자성체 또는 Latch구조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결합부(337)에는 폴더블 커버(320)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325) 또는 슬라이딩 레일(337)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레일(337) 또는 슬라이딩 돌기(325)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2결합부(337)에 슬라이딩 레일(337)이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339)은 상기 몸통부(331)의 어느 일측 단부를 덮으며 슬라이딩 레일(337)을 폐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337)을 폐쇄함으로써 폴더블 커버(320)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회로부(미도시)는 일측이 제1결합부(336)를 통해 노출되고, 타측이 제2결합부(337)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힌지 회로부의 일측은 케이스측 결합 단자(313a, 도 4 참조)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힌지 회로부의 타측은 커버측 결합 단자(323b, 도 5 참조)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제1결합단자, 제2결합단자로 정의할 수 있다. 힌지 회로부는 케이스 회로부와 커버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폴더블 커버(320)에 전달하여 제2디스플레이(321)를 구동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통해 제2디스플레이(321)를 이동 단말기(100)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조립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d)는 조립된 단말기 세트가 언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측면이 힌지부(330)의 제1결합부(336, 도 6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310)와 제1결합부(336)의 연결은 전술한바와 같이 자성체, 랫치 구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폴더블 커버(320)의 슬라이딩 돌기(325, 도 5 참조)는 제2결합부(337, 도 6 참조)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337, 도 6참조)에 삽입됨으로써 힌지부(3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힌지 캡(339)을 통해 슬라이딩 레일(337)을 폐쇄함으로써 단말기 케이스(310)와 폴더블 커버(32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힌지부(330)의 양측 단부(331a, 도 6 참조)와 중앙부(331b , 도 6 참조)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단말기 케이스(310)와 폴더블 커버(320)를 폴딩 또는 언폴딩 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a)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단말기 결합 단자(317)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회로부의 타측은 단말기 결합 단자(317) 및 케이블 결합 단자(3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결합 단자(317)는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단자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력 및 데이터를 전달받아 커버 회로부(32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단자는 대표적으로 USB-C타입 단자가 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 결합 단자(317) 또한 USB-C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형태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결합 단자(319)는 단말기 결합 단자(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 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 단자(319)는 단말기 케이스(310)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 입력 단자일 수 있다. 케이블 결합 단자(319)는 외부 입력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자성체의 힘에 의해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자성체를 활용한 결합 방식은 단자의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케이블과 케이블 결합 단자(319)를 쉽게 접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결합 단자(317)는 단말기 케이스(310)의 일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에 삽입된 후 회동하여 단말기 케이스(310)에 이동 단말기(100)가 안착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310)와 폴더블 커버(320)가 결합하는 힌지부(330)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돌기(325)의 단면은 폴더블 커버(320)의 일측 모서리에서 돌출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다가 증가함으로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330)의 슬라이딩 레일(337) 또한 슬라이딩 돌기(325)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돌기(325)가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돌기의 두께가 변화(예: 물방울 모양)함으로서, 슬라이딩 돌기(325)가 슬라이딩 레일(337)에 삽입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310)와 폴더블 커버(320)가 결합하는 힌지부(330)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b)는 도 9의 (a) 내지 도 9의 (b)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레일(337)과 슬라이딩 돌기(325)의 위치가 반대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25)를 힌지부(330)측에 배치함으로써, 폴더블 커버(320)의 외관을 보다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폴딩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1의 (b)는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란 도 11의(a) 상태로서, 폴더블 커버(320)의 제2디스플레이(32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1디스플레이(151)와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블 커버(320)를 이동 단말기(100)를 보호하는 커버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세트가 언폴딩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2의 (b)는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b)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0)의 몸통부(3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하고 고정될 수 있는 프리 스탑 기능을 포함하는바,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151)와 제2디스플레이(321)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이동 단말기의 제1디스플레이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되는 단말기 케이스;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커버;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폴더블 커버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힌지부;
    상기 단말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 회로부;
    상기 폴더블 커버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연결되며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회로부; 및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케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힌지 회로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양측 단부와 중앙부가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폴더블 커버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몸통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폴더블 커버와 결합되는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폴더블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보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어느 일측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패쇄하는 힌지 캡;을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단면은 상기 폴더블 커버에서 돌출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상인 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회로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I/F) 단자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결합 단자; 및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 결합 단자;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와 연결된 후 상기 단말기 결합 단자의 회동에 따라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보조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몸통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폴더블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보조 장치.
PCT/KR2019/008530 2019-07-10 2019-07-10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10063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8530 WO2021006397A1 (ko) 2019-07-10 2019-07-10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8530 WO2021006397A1 (ko) 2019-07-10 2019-07-10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397A1 true WO2021006397A1 (ko) 2021-01-14

Family

ID=7411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530 WO2021006397A1 (ko) 2019-07-10 2019-07-10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00639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077A (ko) * 2009-02-18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2738B1 (ko) * 2013-11-08 2014-12-16 엄문회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79887B1 (ko) * 2014-10-16 2015-12-23 유석근 보조디스플레이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077A (ko) * 2009-02-18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2738B1 (ko) * 2013-11-08 2014-12-16 엄문회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1579887B1 (ko) * 2014-10-16 2015-12-23 유석근 보조디스플레이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54883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03036A1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WO2017007076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5191A1 (en) Mobile terminal
WO2016167483A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WO2016167437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53101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04685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07101A1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45272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17018591A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56730A1 (en) Mobile terminal
WO2020235899A1 (ko) 카메라 팝업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034083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74615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94716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31747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09444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17039064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22896A1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WO2021010526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1045273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1006397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2054986A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71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71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