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4986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4986A1
WO2022054986A1 PCT/KR2020/012230 KR2020012230W WO2022054986A1 WO 2022054986 A1 WO2022054986 A1 WO 2022054986A1 KR 2020012230 W KR2020012230 W KR 2020012230W WO 2022054986 A1 WO2022054986 A1 WO 20220549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de
hinge
state
mobile terminal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2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용호
안광현
한재영
손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22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54986A1/ko
Publication of WO20220549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49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bodies rotate with each other.
  • 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for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 of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 terminals are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is being implemented.
  •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 the terminal requires a large screen to faithfully perform the function as the multimedia device, and light, thin and small physical specifications for easy portability.
  • a representative of these attempts is a foldable (fodable) method in which a body constituting the device is selectively implemented to be folded and unfolded.
  • the foldable type terminal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shape of the display is variable. That is,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flexible display is provided over a plurality of bodies so that the display is selectiv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ody, and a method in which a display is individual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bodies to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deformation.
  • the foldable terminal uses an in-folding method or an out-folding method depending on whether the displays constituting the large screen face each other inward or outward when the body is folded. can be divided into
  • Such a foldable terminal usually has a hinge structure for repeatedly performing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body.
  • the hinge structure is operated by connecting adjacent sides of the two bodies to each other.
  • the hinge diameter of a single rotation axis must be sufficiently large or a hinge having multiple rotation axes must be implemented.
  • the terminal is configured with such a large hing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display in the area where the hinge is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bezel area of the terminal is inevitably wide.
  • a camera (more precisely, a lens of the camera)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is provided, which is used for self-shot or video chat using the front camera. ) function, etc.
  • a front camera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notch bezel or a punch-hole is inevitably generated due to a limitation on an area in which the display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ody area.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a foldable mobile terminal that cannot implement a light, thin and simple structure due to a hinge.
  • Another objec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ront camera lens is disposed on the display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front camera and the bezel minimization to block the view of the displa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in which a user has to put a lot of effort in order to change a shape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or inconvenient for a user to recognize each state because there is no sense of distinction for each state.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ving a display on each side, and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re respectively fastened
  •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hinge-slide assembly having a hinge structure for rotational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a slide structure for extending or reducing a gap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hinged by a slide combination,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overlapped correspondingl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slid.
  • the slide state in which the gap is extended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otated and unfolded, and the expanded state in which the extended gap is at least partially reduced by the slide is sequentially implemented, and the extension or reduction of the gap is the hinge-slide combination
  • a mobile terminal implemented by a slide structure, and wherein rotation is implemented by a hinge structure of a hinge-slide assembly.
  • the hinge-slide assembly is slidably fasten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the second rotat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wo slide members fixed to the body, wherein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constitute a hinge structure,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the slide member constitute a slide structure.
  • the hinge-slide assembly is provided on the rail and the slide member provided along the slid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to wrap the outside of both rails and move along the rail to form a slide structure.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lider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 shape to implement.
  • the hinge-slide assembly is provided in the first slot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member and the slide member to move along the first slot, and in each of the folded state, the slide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guider fixed to a specific point of the first slot.
  • the guider moves during the first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guider during the first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slide state, and the guider during the second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slide state to the unfolded state.
  •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second trajectory and a third trajectory on which the guider moves during a third process of switching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 the hinge-slide assembly includes a second slot provided on the slide member to allow the guider to suppress the movement in the slide direction on the slide member and allow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direction.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 the hinge-slide assembly acts between the second rotation member and the slide member,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med by compression or tensio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e member moves the guider on the first slo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to enabl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part provides a mobile terminal to move the guider according to the second trajectory and the third trajectory.
  • the hinge-slide assembly is formed in the first slot, and a first locking part for fixing the guider so that the slide state is maintained and a second locking part for fixing the guider so that the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 guider provides a mobile terminal that moves according to the second trajectory or the third trajectory as the fixing of the first locking part or the second locking part is released.
  • the hinge-slide assembly is a trigger for releasing the fixing of the first locking part when switching from the slide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nd releasing the fixing of the second locking part when switching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member.
  • the trigger member is moved on the second rotating member to selectively press the guider so that the fixing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released, and selectively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trigger member A mating structure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embers, when the trigger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on member and enters the first rotation member, the trigger member does not press the guider, but the first rotation member When not mated with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rotating member, the trigger member provides a mobile terminal for pressing the guider.
  •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trigger member is fitted in the folded state, the slide state, the unfolded state, and the first process, and is not fitted during the second process and the third process.
  • the hinge-slid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portion that forms an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second rotation member and the trigger member so that the trigger member is continuously pressed against the first rotation member. terminal is provided.
  • the mating structure includes a mobile terminal formed at any one angle between 0° and 185° to 195° to have a rotation angle of 185° to 195°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to provide.
  • the hinge-slide assembly includes a shaft constituting a part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a fastening portion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y constituting a part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t is fastened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hinge-slide assembly is provided in an area between the two display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hinge-slide assembly provides a mobile terminal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in an area between two displays.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an out-folding manner in which the two displays face outward in a folded state.
  •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provided to expose the optical lens on the back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display is provided of the second body, the camera unit is covered by the first body in the folded state, and in the slide state
  •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camera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camera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optical lens is not provided on the display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 the main camera may be used without completely opening the body.
  • a multi-task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providing a multi-display.
  • each state can be changed with a small force, and when each state is changed, a sense of distinc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o induce unnecessary force not to act.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2(a) and 2(b) are front and rear conceptual views of a mobile terminal in an unfolded stat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3(a) to 3(c) sequentially show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c).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me process of FIG. 3 .
  • FIG. 7 is a hin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embodiment of the slide assembly.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sl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hin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lide assembly.
  • FIG. 12 is a bottom side view showing two state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llustrates an unfolded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n interface unit 160 , a memory 170 , a control unit 180 ,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there i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unit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For example, a touch key, a physical key, etc.) may be included.
  •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mobile terminal 10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G-sensor gyroscope sensor
  • motion sensor RGB sensor
  • infrared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s eg, cameras (see 121)
  • microphones see 122
  •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 the mobile terminal 100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module 152 , a haptic module 153 ,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eing integrally formed.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by the controller 180 .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power supply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2(a) and 2(b) are front and rear conceptual view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form in which two bodies 200 and 300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and displays 151a and 151b ar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ntradict the features described below.
  •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mposed of two bodies 200 and 300 provided with one side adjacent to each other.
  • each side means an area in which one of the four front sides of each bar-shaped body 200 and 300 is located.
  • the one side may be either one of two relatively short sides and two longer sides among two long sides.
  • the two bodies 200 and 30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based on one adjacent side. At this time, one side may not be a rotation axis in a strict sense.
  • the two bodies 200 and 300 have displays 151a and 151b, respectively.
  • Each of the displays 151a and 151b faces the same surface when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unfold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unfolded,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display is no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bu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needed. In the unfolded state,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facing the same direction occupy most of the frontal area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to constitute a large screen.
  • the left body is defined as the first body 200 and the right body is defined as the second body 300 , and a display provided in the first body 200 is defined as a first display 151a; A display provided in the second body 300 is defined as a second display 151b.
  • Each of the bodies 200 and 300 may include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 the window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 Each of the bodies 200 and 300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rear cover.
  • an electronic component may also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 Electronic componen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include a removable battery,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 memory card.
  • a rear cover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rear cover When the rear cover is coupled to the rear case,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during the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a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unit, the light output unit, and the flash 124 to the outside.
  • Thes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nal space.
  • the mobile terminal 100 of a uni-body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back can be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part to prevent water from permeating into the terminal body.
  • the waterproof un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provid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front case,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or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rear cover, and sealing the inner space when these are combined.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module 152 , a proximity sensor 141 , an illuminance sensor 142 , a light output unit, a camera unit 121 , a user input unit 123 , and a user input unit 123 . ), a microphone 122 , an interface unit 160 ,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 e-ink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thereon.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struc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a window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or may be a metal wire patterned direct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refer to FIG. 1 ).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user input unit 123 .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that transmits a call sound to the user's ear,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52 is in the form of a loud speaker that outputs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can be implemented.
  • 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formed in the window of the display unit 151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structures (eg, a gap between a window and a front case).
  •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simplified because the hole formed independently for sound output is not visible or hidden.
  • the light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end the light output.
  • the user input unit 123 is an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it is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receiving a tactile feeling, such as touch, push, or scroll. Also,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operated in a manner in which the user is operated without a tactile feeling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a push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configured in a layered form with the fingerprint sensor.
  • the content input by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set in various ways.
  • the user input unit 123 receives commands such as menu, home key, cancel, search, etc., adjusts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nd receives commands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an be input.
  • the user input unit 123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a command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 etc.,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nd a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are input. can receive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built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 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6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earphone,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eg,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 the camera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 the camera unit 121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may be captur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images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 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unit 121 .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1 , the flash 124 illuminates the subject.
  • a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 the antenna form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refer to FIG. 1 ) may be configured to be withdrawable from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 a power supply unit 190 (refer to FIG. 1 )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battery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 the battery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harged wirelessly through a wireless charging device.
  •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 the rear cover When the battery is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terminal body, the rear cov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 FIG. 3(a) to 3(b) are sequential views of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FIG. 3(c).
  •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mutually rotatable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 a state in which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overlapped more specifically, a state in which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overlapped correspondingly is defined as a folded state (or a closed state), and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A state in which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face the same direction without overlapping are defined as an unfolded state (or an open state). More specifically, the unfolded state may be defined as a case in which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rotated by 180°, 190°, or an angle R in the vicinity thereof in the folded state.
  • a hinge structure having two or more axes of rotation is implemented in the prior art, or in the case of a single axis of rotation, large enough It had to have a hinge structure of the size, or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wo bodies 200 and 300 to rotate after the hinge structure slides the two bodies 200 and 300 away from each other,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make sure this does not happen.
  • the sliding motion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may be performed by a combination including a hinge structure.
  • This is defined as the hinge-slide assembly 400 . That is, the hinge-slide assembly 400 has both a hinge structure and a slide structure to enable both rotation and slid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2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00 , respectively.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serves to connect one side of the first body 2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00 .
  • each side connected by the hinge-slide assembly 400 is defined as a first adjacent edge 211 and a second adjacent edge 311 .
  • the hinge structure of the slide assembly 400 relatively rotates the two bodies 200 and 300, and the slide structure includes the two bodies 200 and 3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djacent edge 211 and the second adjacent one.
  • the edge 311 is spaced apart/closed to expand/reduce the gap.
  • Fig. 3 (a)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tate, the hinge-moving translation of the first body 200 while maintaining the overlap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0 by the slide structure of the slide assembly 400 is shown in Fig. 3 (b) may be the case. Due to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body 200, the slide stat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first adjacent edge 211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adjacent edge 311 of the second body 300 is extended. do.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djacent edge 211 and the second adjacent edge 311 is extended, the two edges 211 and 311 do not interfere in the process of rotating and unfolding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
  • the gap between the expanded first adjacent edge 211 and the second adjacent edge 311 is partially reduced, and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are shown. are all facing the front as shown in FIG. 3(c).
  • the meaning that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face the front means that the angle A of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270°.
  • the angle A of the surfaces of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in the unfolded state may be 180° or 1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nfolded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both displays 151a and 151b are brought into the user's field of view, and the two bodies 200 and 300 are sufficiently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is sufficiently close. it means.
  •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free-stop hinge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angles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can be fixed at any angle. It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changed only when it is stably fixed and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at of other rotation angle states is applied.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 out-folding manner in which both displays 151a and 151b face outward in a folded state.
  • 3(a) to 3(c)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ssume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an out-folding type.
  •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may be embodied in an in-folding manner in which they are located inside, and thus the features to be described later are also in-folding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ntradict each other. method can also be applied.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me process of FIG. 3 .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includes a first rotation member 410 , a second rotation member 420 , and a slide member 430 .
  •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 hinge structure,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430 are coupled to each other slidably to constitute a slide structure.
  •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is fixed to the first body 200
  • the slide member 430 is fixed to the second body 300 .
  •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implements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implements the relative slide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
  • both bodies ie,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the slide member 430 is dependent o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to rotate, and both bodies (that is, the rotation member 420) , whe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430) slide,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is subordinated to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slides.
  •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first body 200 , and the slide member 430 and the second body 300 may be screw-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is provided inside the electric part form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151a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case 2001 ,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430 . )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151b of the second body 300 and inside the electric part formed by the case 3001 . However, a portion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may be partially exposed as a region between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
  • the electric part formed by each case 2001 and 3001 may provide a space for mounting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or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Therefore,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electric part must be mounted to avoid space.
  •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of FIG. 7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 the first rotating member 410 ,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0 , and the slide member 430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protru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thinly configured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 and must be provided internally.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the slide member 430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should be thin. In order to satisfy this conditio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430 may take the form of an overlapping plate.
  •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may include a rail 421
  • the slide member 430 may include a slider sliding corresponding to the rail 421 .
  • the rail 42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0 along the slide direction, and the slider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slide member 430 are bent.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rail 421 to implement a slide structure. The sliders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ails 421 on both sides are not sepa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Each slider may have a 'C'-shaped cross-section, and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ide member 430 including the slider may have an opening area.
  • the slide member 430 having an opening area at one side may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from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while minimizing an increase in weight and volume.
  • a length D1 in the slide direction is sufficiently provided to perform a stable motion.
  •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does not need to secure an area in which the slide member 430 is coupled to move, so it is sufficient to have a structure to b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body 200 .
  • the first rotating member 410 has a shaft 411 constituting the rotation shaft and a fastening plate 412 connected to the shaft 411 for coupling to the first body 200, and the fastening plate 412 can be provided only over the minimum space for screw coupling.
  • the fastening plate 412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crew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torsional torque.
  • FIGS. 3 (a) to 3 (c). 8 and 9 are referred together.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has a first slot 422 and a guider 432 .
  • the first slot 422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the guider 432 is provided in the slide member 430 .
  • the guider 432 moves along the first slot 422 .
  • the movement of the slide member 430 and the guider 432 with respect to the slide direction is dependent on each other. That is, when the slide member 430 moves by D2 in the slide direction, the guider 432 also moves by D2.
  • the guider 432 is fixed to each specific point of the first slot 42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lded state, the slide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That is, by fixing the guider 432 to the first point 432a of the first slot 422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tate, the slide member 430 is fixed without moving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and the guider 432 is By being fixed to the second point 432b of the first slot 422 corresponding to the slide state, the slide member 430 is fixed without moving to maintain the slide state. In addition, since the guider 432 is fixed to the third point 432c of the first slot 422 corresponding to the unfolded state, the slide member 430 is fixed without moving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 the gap is maximally reduced in the folded state, the gap is maximized in the slide state, and the gap is partially reduced (partially expanded) in the unfolded state.
  • the first point 432a, the second point 432b, and the third point 432c are all different points based on the slide direction, and the first trajectories 4221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quentially cycle this point,
  • the second trajectory 4222 and the third trajectory 4223 as a whole form one closed-loop.
  • the first process is a sl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process and the third process.
  • the magnitude of S1 is equal to the sum of the magnitude of S2 and the magnitude of S3.
  • the guider 432 When the guider 432 sequentially moves the first trajectory 4221 , the second trajectory 4222 , and the third trajectory 4223 , it prevents an unintentional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or the second point 432b and the second trajectory 432b When it is fixed at the three points 432c, in order to prevent a case in which it deviates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out fixing, the first slot 422 may have a structure with a slope 4224 and a jaw 4225 form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first trajectory 4221 , the second trajectory 4222 , and the third trajectory 4223 have an inclination 4224 that increases in height in the moving direction based on each, and the second point at which each trajectory ends and is fixed At 432b and the third point 432c, the jaw 4225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is sharply lowered again, so that it cannot go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 the guider 432 compensates for the he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4224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to sequentially move the first trajectory 4221 to the third trajectory 4223. It may be pressed by the vertical elastic portion 433 provided.
  • the second slot 434 is provided on the slide member 430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guider 432 in the slide direction on the slide member 430 and at the same time to the direction of another component, that is,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direction. allow
  • the provided width of the second slot 434 may correspond to the maximum width in both directions of the first slot 422 .
  • the first point 432a , the second point 432b , and the third point 432c of the first slot 422 may have a locking structure for fixing the guider 432 .
  • the first point 432a, the second point 432b, and the third point 432c of the first slot 422 have a locking structure so that the guider 432 can escape the corresponding point only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part 441 .
  • the first elastic part 441 acts betwee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slide member 430 .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part 441 is supported on the sidewall 423 of one end in the slide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sidewall 435 of the other end of the slide member 430 .
  •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first elastic part 441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ative sliding of the slide member 430 with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Specifically, as the slide member 430 approaches the slide state from the folded state, the first elastic part 441 is compressed to increas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of the first elastic part 441 is changed into a restoring force and acts as a force that is converted from a slide state to an unfolded state, or a force that is converted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4222 and the third trajectory 4223.
  • the first elastic part 441 may move the guider 432 by form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compression as described above, but may also form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tension in some cases.
  • the first slot 422 may form a structure that completely blocks the guider 432 .
  • the guider 432 should be selectively fixed or moved at the second point 432b and the third point 432c. Therefore, the first locking part 442 provided at the second point 432b and the second locking part 443 provided at the third point 432c seat the guider 432 with an appropriate force so that each state is maintained. do. That is, the first locking part 442 fixes the guider 432 so that the slide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locking part 443 fixes the guider 432 so that the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 the first locking part 442 and the second locking part 443 may be an area of the trigger member 440 to be described later.
  • the guider 432 moves along the second trajectory 4222 , and as the fixing of the second stopping part 443 is released, the guider 432 moves along the third trajectory. It moves along (4223).
  • FIG. 11 shows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slide assembly 4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also FIG. 9 together.
  • the trigger member 440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442 or the second locking part 443 .
  • the trigger member 440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442 when switching from the slide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nd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second locking part 443 when switching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 the trigger member 440 may move o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to release or maintain the fixing of the first stopping part 442 or the second stopping part 443 .
  • the guider 432 is selectively pres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igger member 440 .
  • the movement includes protrusion. For example, when the trigger member 440 protrudes, the guider 432 may be press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first locking part 442 or the second locking part 443 .
  • the trigger member 440 operates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degree of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rigger member 440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re mated at a specific angle, and when the trigger member 440 is drawn into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by the mating structure, the trigger member 440 protrudes. It does not do not press the guider (432). When the trigger member 440 is positioned at an angle that does not match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 it protrudes from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trigger member 440 presses the guider 432 .
  • the trigger member 44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
  •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411 of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protrusion ( 444) can maintain contact.
  • a depression 416 that matches the protrusion 444 of the trigger member 44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so that the protrusion 444 of the trigger member 440 can be retracted at a specific angle. there is.
  • There are two specific angles at which the protrusion 444 enters the depression 416 and these two angles correspond to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That is, when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is 190°, the relative angle of the recessed portion 416 is also 190°.
  • a second elastic part 445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 444 can continuously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
  • the second elastic part 445 allows the trigger member 440 to be continuously pressed toward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 Since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rotate only relative to each other and do not translate, the trigger member 4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on member 4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 can do. That is, the second elastic part 44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otation member 420 and the trigger member 440 to act.
  •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do not rotate the axis of the shaft 411 as the axis of rotation, but translational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possible, which may be to implement a free-stop hinge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 the trigger member 440 protrudes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process in which the guider 432 exits from the second point 432b to the third point 432c, and exits from the third point 432c to the first point. It protrudes at the beginning of the third process going to (432a). Accordingly, in the remaining processes (folded state, slide state, unfolded state, and the first process), the protrusion 444 of the trigger member 440 maintains its retraction in the depression 416 .
  • both the stable state of the slide state and the stable state of the unfolded state are released. Therefore, on the contrary, as long as an external force over a certain level does not act, the molded structure allows the rotation angles corresponding to the slide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to be maintained.
  • FIG. 12 is a bottom side view showing two stat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also FIG. 11 together.
  • a specific angle at which the trigger member 440 is retracted by the mating structure may correspond to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 That is, in the folded stat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the first rotating member 410 and the trigger member 440 are mated, and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the first rotating member 410 and The trigger member 440 is molded. This means that the angles of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the angle of the type structure.
  • a first recessed portion 416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to correspond to a point at which the relative angle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becomes 0°, and the two bodies 200 , 300) to form a second recessed portion 416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in response to the point at which the relative angle becomes 190 ° to put the two bodies 200 and 300 in a stable state.
  • the rotation angle R of the two bodies 200 and 300 is preferably between 185° and 195°. Accordingly, the relative angle of the first recessed part 416a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416b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411 rotation axis may also be between 185° and 195°.
  •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may be implemented in a free-stop manner.
  • a free-stop metho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t an arbitrary angle, the corresponding st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wo bodies 200 and 300 at a desired angle.
  • the fastening part 424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420 is directly or indirectly faste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411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410 to be rotatable. That is, the fastening part 424 is dependent on the shaft 411 to rotate.
  • the fastening part 424 obtains frictional force during rotation by direct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411 or indirectly through a memb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411 .
  • the pressing member 417 is faste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411 to press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424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411 .
  • the fastening part 424 the side of which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417, requires more force to rotate due to the increased frictional force, and the rotation angle is maintained by the frictional force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only gravity remains.
  • a cam 414 , a washer 415 , and a nut 418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shaft 411 .
  •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may be a direct member that forms a recessed region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rotation member 410 .
  • the cam 414 and the washer 415 are non-rotat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shaft 411 ,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 a portion of the fastening part 424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area of the washer 415 .
  • the nut 418 may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haft 411 .
  • the protruding jaw 411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411 traps the members fastened therein together with the nut 418 to prevent them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members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friction.
  • a thread 4112 for coupling the nut 418 is formed on the shaft 411 .
  • FIG 13 illustrates an unfold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inly by the above-described features, it can be implemented without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each body 200 and 300 .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spans the area between the two displays 151a, 151b (range 1511a or 151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ns the area (range 1512a and 1512b) of the two displays 151a, 151b in the width direction.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spans the area between the two displays 151a, 151b (range 1511a or 151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ns the area (range 1512a and 1512b) of the two displays 151a, 151b in the width direction.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is slid only when the body is rotated to temporarily extend the gap between the two bodies 200 and 300, in actual u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is kept close to the minimum viewing-area It can be used as a view-area gap (V/A gap).
  • the hinge-slide assembly 400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in the area between the two displays 151a and 151b to stably fasten the two bodies 200 and 300 so that they can slide and rotate without twisting.
  • a camera unit 121 may be provided in an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300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in a slide state. Since the camera unit 12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display 151a, a sufficiently large sensor and lens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amera unit 121,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flash 124 may be provided.
  • the camera unit 121 may have a plurality of sensors and optical lenses, and may correspond to the telephoto, general, and wide-angle cameras 1211 , 1212 , and 1213 .
  •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optical lens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direction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 the peripheral bezel of the front first display 151a of the first body 200, or the first An optical lens may not be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151a. That is, a punch-hole for providing an optical lens is not required in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151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time, and the user can use the large screen without a hidden part.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stylus 132 , and a seating part 131 for accommodating the stylus 132 is provided in an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300 exposed to the front. It might be
  • the storage of the stylus 132 may serve as a space for temporarily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100 during use, or the stylus 132 may be mounted and stored therein even in a folded state. In the latter case, the stylus 132 can be easily car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힌지 개폐되는 듀얼 디스플레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회전 각도를 보장받기 위해 힌지의 크기가 커지거나 불가피하게 디스플레이 베젤 영역을 크게 할 수 밖에 없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각 일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및 제1 바디의 일 측 및 제2 바디의 일 측과 각각 체결되고,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회전 개폐하는 힌지 구조 및 제1 바디의 일 측과 제2 바디의 일 측 사이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두 바디가 상호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대화면, 그리고 용이한 휴대를 위한 경박단소(輕薄短小)한 물리적 제원을 요구한다.
다만 이 두 가지 요건은 상충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두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중 대표적인 것이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body)가 접힘 및 펼쳐짐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폴더블(fodable) 방식이다.
폴더블 방식의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형태 가변 여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바디에 걸쳐 플렉서블(flexible)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가 바디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방식 및 복수의 바디에 디스플레이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변형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이 있다.
또 폴더블 방식의 단말기는 바디를 접었을 때 대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가 서로 안쪽으로 마주보는지, 또는 바깥쪽을 향하는지에 따라 인-폴딩(in-folding) 방식,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방식의 단말기는 보통 바디의 접힘 및 펼쳐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힌지 구조의 특징을 더 갖는다. 힌지 구조는 두 바디의 인접한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작동된다.
하지만 폴더블 단말기의 바디 두께가 있는 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바디를 충분한 각도로 회전 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회전축의 힌지 직경이 충분히 커지거나, 또는 다축 회전축을 가진 힌지가 구현되어야 한다. 이렇게 큰 힌지로 단말기를 구성하는 경우 힌지가 구비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기 힘들며, 이는 곧 단말기의 베젤(bezel) 영역이 넓게 발생할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에 카메라(좀 더 정확하게는 카메라의 렌즈)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샷(self-shot) 또는 화상 채팅(video chat)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면 카메라의 구비는 해당 바디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영역에 제약을 가져와 노치(notch) 베젤, 또는 펀치-홀(punch-hole) 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 형태가 가변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또 편리하게 각 형태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특징 구현을 하지 못하거나,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부피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힌지로 인해 경박단소한 구조를 구현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힌지 공간 확보를 위한 베젤 영역이 발생하거나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가 전면 카메라 구비 및 베젤 최소화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에 전면 카메라 렌즈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시야를 가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형태 변환을 위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여야 하는 문제, 또는 각 상태에 대한 구분감이 없어 각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기에 불편한 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일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및 제1 바디의 일 측 및 제2 바디의 일 측과 각각 체결되고,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회전 개폐하는 힌지 구조 및 제1 바디의 일 측과 제2 바디의 일 측 사이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에 의해,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대응하여 포개어진 접힘 상태,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슬라이드되어 간격이 확장된 슬라이드 상태 및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회전하여 펼쳐지되, 확장된 간격이 슬라이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 축소된 펼침 상태가 순차적으로 구현되고, 간격의 확장 또는 축소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구현되고, 회전은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힌지 구조에 의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1 바디에 고정되는 제1 회전 부재, 제1 회전 부재에 체결되는 제2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 바디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는 힌지 구조를 구성하고, 제2 회전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는 슬라이드 구조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2 회전 부재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구비된 레일 및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양측 레일의 외측을 감싸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드 구조를 구현하는 'ㄷ'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2 회전 부재에 구비된 제1 슬롯 및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제1 슬롯을 따라 이동하고,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및 펼침 상태 각각에서 제1 슬롯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슬롯은, 접힘 상태에서 슬라이드 상태로 전환되는 제1 과정 동안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1 궤적, 슬라이드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제2 과정 동안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2 궤적 및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제3 과정 동안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3 궤적 각각이 상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부재 상에서 가이더로 하여금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고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슬롯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2 회전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어 형성된 탄성 복원력이 제1 슬롯 상에서 가이더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제1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은 가이더를 제2 궤적 및 제3 궤적에 따라 이동하도록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1 슬롯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더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부 및 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더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가이더는 제2 궤적 또는 제3 궤적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슬라이드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시 제1 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키고,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시 제2 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트리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트리거 부재는 제2 회전 부재 상에서 이동하여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가이더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고, 제1 회전 부재 및 트리거 부재 사이에 선택적 형합 구조가 구비되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정도에 따라 트리거 부재가 제1 회전 부재와 형합되어 제1 회전 부재에 인입되면 트리거 부재는 가이더를 가압하지 않고, 제1 회전 부재와 형합되지 않아 제1 회전 부재로부터 돌출되면 트리거 부재는 가이더를 가압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트리거 부재는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펼침 상태 및 제1 과정에서 형합되고, 제2 과정 및 제3 과정 동안 형합되지 않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트리거 부재가 지속적으로 제1 회전 부재에 가압되도록 제2 회전 부재 및 트리거 부재 사이에서 탄성 복원력을 형성하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형합 구조는, 펼침 상태부터 접힘 상태까지 185° 내지 195°의 회전각을 갖도록 0° 및 185° 내지 195° 사이의 어느 한 각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1 회전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샤프트, 제2 회전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여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샤프트 외주면에 체결되어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체결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두 디스플레이 사이 영역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두 디스플레이 사이 영역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접힘 상태에서 두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2 바디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영역 이면에 광학 렌즈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접힘 상태에서는 카메라부가 제1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슬라이드 상태에서는 카메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카메라부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광학 렌즈가 구비되지 않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힌지의 크기를 작게 구현하면서도 바디의 회전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의 회전시 바디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를 완전히 열지 않고도 메인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두 디스플레이 사이 간격(view area gap)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멀티 태스킹 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 각 상태 변경이 가능하고, 각 상태 변경시 사용자에게 구분감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펼침 상태의 정면 및 배면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개폐 과정 정면 및 하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c)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과정을 동일하게 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일 실시 예이다.
도 8은 도 7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 (a) 내지 도 3(c)의 이동 단말기 각 상태에 대응하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세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회전각에 따른 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하측면도 두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 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부(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물리키(phys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펼침 상태의 정면 및 배면 개념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 거동이 가능한 두 바디(200, 300) 및 두 바디(200, 300) 각각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특징들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각 일 측이 인접하도록 구비된 두 바디(200, 3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일 측이란 바(bar) 형상의 각 바디(200, 300)의 정면 네 변 중 한 변이 위치한 영역을 의미한다. 특히 이 한 변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두 변 및 길이가 긴 두 변 중 길이가 긴 두 변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두 바디(200, 300)는 인접한 일 측을 기준으로 회전 개폐될 수 있다. 이 때의 일 측은 엄밀한 의미의 회전축은 아닐 수 있다.
두 바디(200, 300)는 각각 디스플레이(151a, 151b)를 구비한다. 각 디스플레이(151a, 151b)는 두 바디(200, 300)가 펼쳐졌을 때 동일면을 향한다. 즉, 두 바디(200, 300)를 펼친 상태에서는 정면에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 방향을 향하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는 두 바디(200, 300)의 정면 대부분 영역을 차지하여 대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연결된 두 바디(200, 300) 중 좌측 바디를 제1 바디(200), 우측 바디를 제2 바디(300)로 정의하고, 제1 바디(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151a), 제2 바디(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제2 디스플레이(151b)로 정의한다.
각 바디(200, 300)는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각 바디(200, 300)는 착탈 가능한 후면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의 외측면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는 후면 커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에는 카메라부나 광출력부 및 플래시(124)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와 프론트 케이스 사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 카메라부(121), 사용자 입력부(123)사용자 입력부(123),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2)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향출력 모듈(152)은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에는 음향출력 모듈(152)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와 프론트 케이스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사용자 입력부(123)는 지문센서와 레이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거나, 음향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음향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2)은 음향출력 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는 리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과정 정면 및 하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c)의 개념 사시도이다.
두 바디(200, 300)가 상호 회전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는 회전 정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두 바디(200, 300)가 겹쳐 구비된 상태, 좀 더 구체적으로 두 바디(200, 300)가 대응하여 포개어진 상태를 접힘 상태(또는 닫힘 상태)로 정의하고, 두 바디(200, 300)가 겹치지 않고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동일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를 펼침 상태(또는 열림 상태)로 정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펼침 상태는 두 바디(200, 300)가 접힘 상태에서 180°, 190° 또는 그 부근의 각도 R만큼 회전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힌지 구조에 의해 회전하는 두 바디(200, 300)가 충분한 각도(통상 180° 이상)까지 회전하기 위해, 종래에는 2축 이상의 회전축을 갖는 힌지 구조를 구현하거나, 또는 단일 축의 회전축인 경우에는 충분히 큰 크기의 힌지 구조를 갖거나, 또는 바디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져야 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부피를 증가시키거나, 힌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베젤이 커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힌지 구조가 두 바디(200, 300)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 후 두 바디(200, 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두 바디(200, 300)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두 바디(200, 300)의 슬라이드 거동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결합체가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로 정의한다. 즉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힌지 구조와 슬라이드 구조를 모두 가져 두 바디(200, 300)의 회전 및 슬라이드를 모두 가능하게 한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바디(200)의 일 측 및 제2 바디(300)의 일 측과 각각 체결된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바디(200)의 일 측과 제2 바디(300)의 일 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에 의해 연결되는 각 일 측을 제1 인접 모서리(211) 및 제2 인접 모서리(311)로 정의한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힌지 구조는 두 바디(200, 300)를 상대 회전 시키고, 슬라이드 구조는 두 바디(200, 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인접 모서리(211) 및 제2 인접 모서리(311)를 이격/근접시켜 간격을 확장/축소 시킨다.
접힘 상태에 해당하는 도 3(a)에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제1 바디(200)가 제2 바디(300) 기준으로 겹쳐짐을 유지한 상태로 병진 이동하여 도 3(b)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바디(200)가 병진 이동 함으로 인해, 제1 바디(200)의 제1 인접 모서리(211) 및 제2 바디(300)의 제2 인접 모서리(311) 사이의 간격이 확장된 슬라이드 상태가 된다. 제1 인접 모서리(211)와 제2 인접 모서리(311) 간격이 확장됨에 따라,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회전시켜 펼치는 과정에서 두 모서리(211, 311)가 간섭하지 않게 된다. 슬라이드 상태에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펼치면, 확장된 제1 인접 모서리(211)와 제2 인접 모서리(311)가 간격이 일부 축소되고,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도 3(c)와 같이 모두 정면을 바라보게 된다.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정면을 바라본다는 의미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면의 벌어짐 각도 A가 90° 이상, 27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펼침 상태에서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면의 각도 A는 180°, 또는 170°가 될 수 있으나, 이 각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펼침 상태라 함은 사용자의 시야에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모두 들어옴과 동시에, 두 바디(200, 300)가 충분히 근접하여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운 상태를 의미한다.
후술하겠으나, 이동 단말기(100)는 어느 각도에서나 두 바디(200, 300)의 회전각이 고정될 수 있는 프리-스탑(free-stop) 힌지 구조를 갖되, 상기 펼침 상태, 즉 기 설정된 각도에서는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다른 회전각 상태보다 더 큰 외력을 가해야 회전각이 변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접힘 상태에서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모두 외측을 향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의 과정, 그리고 이후 실시 예들은 아웃-폴딩 방식의 이동 단말기(100)인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반대로 접힘 상태에서 두 디스플레이(151a, 151b)가 내측에 위치하는 인-폴딩(in-fold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따라서 후술하는 특징들 역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폴딩 방식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과정을 동일하게 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회전 부재(410),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410) 및 제2 회전 부재(420)는 상호 체결되어 힌지 구조를 구성하고,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드 구조를 구성한다. 제1 회전 부재(410)는 제1 바디(200)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부재(430)는 제2 바디(300)에 고정된다. 제1 회전 부재(410) 및 제2 회전 부재(420)의 상대 회전은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의 상대 회전을 구현하고,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의 상대 슬라이드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의 상대 슬라이드를 구현한다. 이에 따라, 양 바디(즉, 제1 회전 부재(410)와 제2 회전 부재(420))의 회전시 슬라이드 부재(430)는 제2 회전 부재(420)에 종속되어 회전하고, 양 바디(즉, 제2 회전 부재(420)와 슬라이드 부재(430))의 슬라이드시 제1 회전 부재(410)는 제2 회전 부재(420)에 종속되어 슬라이드 된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과정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회전) 제2 회전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 (슬라이드)
도 6(a) -> 도 6(b) 고정 슬라이드(간격 확장)
도 6(b) -> 도 6(c) 회전 슬라이드(간격 축소)
제1 회전 부재(410)와 제1 바디(200),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430)와 제2 바디(300)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410)는 제1 바디(200)의 제1 디스플레이(151a) 배면, 그리고 케이스(2001)가 형성하는 전장부 내부에 구비되고,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는 제2 바디(300)의 제2 디스플레이(151b) 배면, 그리고 케이스(3001)가 형성하는 전장부 내부에 구비된다. 다만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일부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 사이 영역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각 케이스(2001, 3001)가 형성하는 전장부는 제1 회전 부재(410) 또는 제2 회전 부재(420)가 실장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장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공간을 회피하여 실장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일 실시 예이고, 도 8은 도 7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제1 회전 부재(410),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는 얇게 구성된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에서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부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부재(410) 및 제2 회전 부재(420)뿐만 아니라, 제2 회전 부재(420)에 결합된 슬라이드 부재(430)도 얇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는 겹쳐진 판형의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회전 부재(420)는 레일(421)을, 슬라이드 부재(430)는 레일(421)에 대응하여 미끄러지는 슬라이더(slider)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의 부재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단순한 구조로, 레일(421)은 제2 회전 부재(420)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구비되도록 하고, 슬라이더는 슬라이드 부재(430)의 양측이 꺾인 구조를 가져 레일(421)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드 구조를 구현한다. 양측 레일(421)의 외측을 감싼 슬라이더는 전후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각 슬라이더는 'ㄷ'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부재(430)는 전후방 중 일방이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측이 개구 영역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430)는 제2 회전 부재(420)로부터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무게 및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430)는 제2 회전 부재(420) 상에서 슬라이드 될 때 안정적인 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 D1이 충분히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 부재(420)와 달리 제1 회전 부재(410)는 슬라이드 부재(430)가 결합되어 거동할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바디(200)에 단단하게 결합될 구조를 가지면 족하다. 따라서, 제1 회전 부재(410)는 회전축을 구성하는 샤프트(411) 및 샤프트(411)에 연결되어 제1 바디(20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 플레이트(412)를 가지고, 이 체결 플레이트(412)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에 걸쳐서만 구비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412)는 스크류의 회전축 단부에서 연장되어 비틀림 토크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 (a) 내지 도 3(c)의 이동 단말기(100) 각 상태에 대응하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세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한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상기 도 3(a) 내지 도 3(c) 상태, 즉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및 펼침 상태가 특정 조건에서는 서로 쉽게 전환될 수 있도록, 또는 또 다른 특정 조건에서는 서로 쉽게 전환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거동을 구현하기 위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슬롯(422) 및 가이더(432)를 갖는다. 제1 슬롯(422)은 제2 회전 부재(420)에 구비되고, 가이더(432)는 슬라이드 부재(430)에 구비된다. 슬라이더가 레일(421)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더(432)는 제1 슬롯(422)을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슬라이드 부재(430)와 가이더(432) 이동은 서로 종속된다. 즉,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430)가 D2 만큼 이동하는 경우, 가이더(432)도 D2 만큼 이동한다.
가이더(432)는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및 펼침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슬롯(422)의 특정 지점 각각에 고정된다. 즉, 가이더(432)가 접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슬롯(422)의 제1 지점(432a)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430)는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접힘 상태가 유지되고, 가이더(432)가 슬라이드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슬롯(422)의 제2 지점(432b)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430)는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슬라이드 상태가 유지된다. 또 가이더(432)가 펼침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슬롯(422)의 제3 지점(432c)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430)는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펼침 상태가 유지된다.
어떤 힘에 의해 가이더(432)가 제1 슬롯(422)의 제1 궤적(4221)을 따라 제1 지점(432a)에서 제2 지점(432b)으로 이동하면,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접힘 상태에서 슬라이드 상태가 되는 제1 과정(도 3(a) -> 도 3(b))이 수행된다. 또 가이더(432)가 제1 슬롯(422)의 제2 궤적(4222)을 따라 제2 지점(432b)에서 제3 지점(432c)으로 이동하면,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상태에서 펼침 상태가 되는 제2 과정(도 3(b) -> 도 3(c))이 수행된다. 나아가 가이더(432)가 제1 슬롯(422)의 제3 궤적(4223)을 따라 제3 지점(432c)에서 다시 제1 지점(432a)으로 이동하면,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가 되는 제3 과정(도 3(c) -> 도 3(a))이 수행된다.
제1 인접 모서리(211)와 제2 인접 모서리(311) 사이의 간격을 고려했을 때, 접힘 상태는 간격 최대 축소, 슬라이드 상태는 간격 최대 확장, 펼침 상태는 간격 일부 축소(일부 확장) 된다.
따라서 제1 지점(432a),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은 슬라이드 방향을 기준으로 모두 상이한 지점이 되고, 이 지점을 순차적으로 순환하기 위해서 서로 상이한 제1 궤적(4221), 제2 궤적(4222) 및 제3 궤적(4223)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게 된다.
슬라이드 부재(430)의 스트로크(stroke)를 기준으로는, 제1 과정에서는 S1 만큼 이동하고, 제2 과정에서는 S2 만큼 이동하며, 제3 과정에서는 S3 만큼 이동한다. 제1 과정은 제2 과정 및 제3 과정과 반대 방향의 슬라이드가 된다.
슬라이드 방향 성분에 대해, S1의 크기는 S2의 크기와 S3의 크기의 합과 같다.
가이더(432)가 제1 궤적(4221), 제2 궤적(4222) 및 제3 궤적(4223)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때, 의도하지 않게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또는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에 고정되었을 때, 고정없이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이탈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제1 슬롯(422)은 두께 방향에 대해 형성된 경사(4224) 및 턱(4225)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궤적(4221), 제2 궤적(4222) 및 제3 궤적(4223) 각각을 기준으로, 이동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4224)를 가지고, 각 궤적이 끝나 고정되는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에서 다시 높이 급격히 낮아지도록 턱(4225)을 형성하여 다시 역 방향으로 갈 수 없도록 한다.
이때 가이더(432)는 상기 경사(4224)에 따른 높이차를 보상하며 제1 궤적(4221) 내지 제3 궤적(4223)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부(43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1 궤적(4221), 제2 궤적(4222) 및 제3 궤적(4223)을 지날 때, 슬라이드 부재(43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나 양측방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더(432)는 슬라이드 부재(430) 상에서 양측방으로 이동하여 제1 슬롯(422)의 지점들에 위치할 수 있어야 한다. 제2 슬롯(434)은 슬라이드 부재(430)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부재(430) 상에서 가이더(432)로 하여금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다른 성분의 방향, 즉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제2 슬롯(434)의 구비폭은 제1 슬롯(422)의 양측 방향 최대폭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슬롯(422)의 제1 지점(432a),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은 가이더(432)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롯(422)의 제1 지점(432a),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은 일정한 힘이 가해져야만 가이더(432)가 해당 지점을 벗어날 수 있도록 걸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구조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펼침 상태, 슬라이드 상태 및 접힘 상태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만 해당 상태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즉 각 상태는 어느 정도의 안정 상태(stable state)를 가짐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펼쳐지거나 접히거나 슬라이드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상태라는 안정 상태를 벗어나 펼침 상태로 전환되거나, 펼침 상태라는 안정 상태를 벗어나 접힘 상태로 전환될 시, 임계치를 넘는 힘만 작용하면 이후에는 추가적인 외력의 작용 없이 상태가 전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 구현을 위해,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제1 탄성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41)는 제2 회전 부재(420) 및 슬라이드 부재(430) 사이에 작용한다. 즉, 제1 탄성부(441)의 일단은 제2 회전 부재(420)의 슬라이드 방향 일단부 측벽(423)에, 타단은 슬라이드 부재(430)의 타단부 측벽(435)에 지지된다. 이에 제1 탄성부(441)는 슬라이드 부재(430)의 제2 회전 부재(420)와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정도에 따라 압축 정도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부재(430)가 접힘 상태에서 슬라이드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제1 탄성부(441)는 압축되어 탄성 위치 에너지가 증가한다. 제1 탄성부(441)의 탄성 위치 에너지는 복원력으로 변경되어 슬라이드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힘, 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힘으로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가이더(432)는 제2 궤적(4222) 및 제3 궤적(4223)에 따라 이동한다.
제1 탄성부(441)는 위와 같이 압축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형성하여 가이더(432)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인장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힘 상태에서 가이더(432)는 슬라이드 방향 반대로 이동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제1 슬롯(422)은 가이더(432)를 완전히 막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지점(432b) 및 제3 지점(432c)에서는 가이더(432)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2 지점(432b)에 구비된 제1 걸림부(442) 및 제3 지점(432c)에 구비된 제2 걸림부(443)는 가이더(432)를 적절한 힘으로 안착시켜 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제1 걸림부(442)는 슬라이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더(432)를 고정시키고, 제2 걸림부(443)는 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더(432)를 고정시킨다. 제1 걸림부(442) 및 제2 걸림부(443)는 후술하는 트리거 부재(440)의 일 영역이 될 수 있다.
제1 걸림부(442)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가이더(432)는 제2 궤적(4222)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걸림부(443)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가이더(432)는 제3 궤적(4223)을 따라 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의 회전각에 따른 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함께 참조한다.
트리거 부재(440)는 제1 걸림부(442) 또는 제2 걸림부(443)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트리거 부재(440)는 슬라이드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전환시 제1 걸림부(442)의 고정을 해제시키고,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시 제2 걸림부(443)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트리거 부재(440)는 제2 회전 부재(420) 상에서 이동하여 제1 걸림부(442) 또는 제2 걸림부(443)의 고정을 해제 또는 고정을 유지시킬 수 있다. 트리거 부재(440)의 이동에 따라 가이더(432)를 선택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이동은 돌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리거 부재(440)가 돌출되면 가이더(432)가 가압되어 제1 걸림부(442) 또는 제2 걸림부(443)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440)는 제1 회전 부재(410)와 제2 회전 부재(420)의 상대 회전 정도에 따라 작동한다. 특정 각도에서 트리거 부재(440)와 제1 회전 부재(410)가 형합되는 구조를 가져, 트리거 부재(440)가 형합 구조에 의해 제1 회전 부재(410)에 인입되면 트리거 부재(440)는 돌출되지 않아 가이더(432)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트리거 부재(440)가 제1 회전 부재(410)와 형합되지 않는 각도에 위치하면 제1 회전 부재(410)로부터 돌출되어 트리거 부재(440)는 가이더(432)를 가압하게 된다.
트리거 부재(440)는 제1 회전 부재(410)와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부재(410)의 샤프트(411) 외주면에 캠(414) 및 와셔(415)가 결합하고, 캠(414) 및 와셔(415)의 외주면에 트리거 부재(440)의 돌기(444)가 맞닿음을 유지할 수 있다. 캠(414) 및 와셔(415)의 외주면에는 트리거 부재(440)의 돌기(444)와 형합하는 함몰부(416)가 형성되어 트리거 부재(440)의 돌기(444)가 특정 각도에서 인입될 수 있다. 돌기(444)가 함몰부(416)에 인입되는 특정 각도는 두 개이고, 이 두 개의 각도는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에 대응한다. 즉,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 간의 회전각이 190°인 경우, 함몰부(416)의 상대 각도도 190°가 된다.
캠(414) 및 와셔(415)의 외주면에 돌기(444)가 지속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제2 탄성부(44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부(445)는 트리거 부재(440)가 지속적으로 제1 회전 부재(410)를 향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회전 부재(410)와 제2 회전 부재(420)는 상대 회전할 뿐 병진운동하지 않으므로 트리거 부재(440)는 제2 회전 부재(420)에 지지된 채로 제1 회전 부재(410)에 밀착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445)는 제2 회전 부재(420) 및 트리거 부재(440) 사이에 구비되어 작용할 수 있다.
캠(414) 및 와셔(415)는 샤프트(411)의 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지는 않지만, 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은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프리-스탑 힌지 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일 수 있다.
트리거 부재(440)는 가이더(432)가 제2 지점(432b)으로부터 빠져나와 제3 지점(432c)으로 가는 제2 과정의 시작시 돌출되고, 또 제3 지점(432c)으로부터 빠져나와 제1 지점(432a)으로 가는 제3 과정의 시작시 돌출된다. 따라서 나머지 과정(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펼침 상태 및 제1 과정)에서 트리거 부재(440)의 돌기(444)는 함몰부(416)에 인입을 유지한다.
트리거 부재(440)가 돌출되면 슬라이드 상태의 안정 상태 및 펼침 상태의 안정 상태가 모두 해제된다. 따라서 이는 반대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형합 구조는 슬라이드 상태 및 펼침 상태에 해당하는 회전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면도 두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함께 참조한다.
형합 구조에 의해 트리거 부재(440)가 인입되는 특정 각도는 두 바디(200, 300)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두 바디(200, 300)의 접힘 상태에서 제1 회전 부재(410)와 트리거 부재(440)는 형합되고, 또 두 바디(200, 300)의 펼침 상태에서 제1 회전 부재(410)와 트리거 부재(440)는 형합된다. 이는 형합 구조의 각도 설정을 통해 두 바디(200, 300)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바디(200, 300)의 상대각이 0°가 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캠(414) 및 와셔(415)의 외주면에 제1 함몰부(416a)를 형성시키고, 두 바디(200, 300)의 상대각이 190°가 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캠(414) 및 와셔(415)의 외주면에 제2 함몰부(416b)를 형성시켜 두 바디(200, 300)를 안정 상태에 두도록 할 수 있다.
도 12(c)와 같이 두 바디(200, 300)의 상대각이 190°가 되면, 두 디스플레이(151a, 151b)의 출력면이 상호 170° 상태가 되어 사용자 시야에 적절히 들어올 수 있다. 범위를 기준으로는, 두 바디(200, 300)의 회전각 R은 185° 내지 19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샤프트(411) 회전축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함몰부(416a)와 제2 함몰부(416b)의 상대각 또한 185° 내지 195° 사이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회전은 프리-스탑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리-스탑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임의의 각도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해당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두 바디(200, 300)를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회전 부재(420)의 체결부(424)는 제1 회전 부재(410)의 샤프트(411)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직접 또는 간적적으로 체결된다. 즉 체결부(424)는 샤프트(411)에 종속되어 회전 거동한다. 체결부(424)는 샤프트(411)의 외주면에 직접, 또는 샤프트(411)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맞닿음으로써 회전시 마찰력을 얻는다.
가압 부재(417)는 샤프트(411) 외주면에 체결되어 샤프트(411)의 축방향을 따라 체결부(424)의 측면을 가압한다. 가압 부재(417)에 의해 측면이 가압된 체결부(424)는 증가된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시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고 중력만이 남은 경우에도 마찰력에 의해 회전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샤프트(411)에는 캠(414), 와셔(415) 및 너트(418)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캠(414) 및 와셔(415)는 상술한 제1 회전 부재(410)에 구비된 함몰 영역을 형성하는 직접 부재가 될 수 있다. 캠(414) 및 와셔(415)는 샤프트(411)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되,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424)의 일부는 와셔(415)의 일 영역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너트(418)는 샤프트(411)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샤프트(411) 타측에 구비된 돌출턱(4111)은 너트(418)와 함께 내부에 체결된 부재들을 가두어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고, 동시에 부재들이 맞닿도록 하여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411)에는 너트(418) 결합을 위한 나사선(4112)이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상술한 특징들에 의해 얇게 구현 가능하므로 각 바디(200, 300)의 전면 및 배면에 돌출됨이 없이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사이 영역(1511a 또는 1511b 범위), 그리고 폭 방향에 대해서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영역(1512a 및 1512b 범위)에 걸쳐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측에 힌지 모듈을 두기 위한 베젤이 있는 폴더블 단말기와 큰 차이점을 가져온다. 즉,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베젤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바, 각 바디(200, 300)의 일면 전체를 디스플레이로 하는 풀-비전 디스플레이(full-vision display)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바디의 회전시에만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를 슬라이드 시켜 일시적으로 두 바디(200, 30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키므로 실 사용시에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간격을 가까이 두어 최소의 시야-영역 갭(view-area gap; V/A gap)으로 사용할 수 있다.
힌지-슬라이드 결합체(400)는 두 디스플레이(151a, 151b) 사이 영역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두 바디(200, 30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여 비틀림 없이 슬라이드 및 회전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드 상태가 되면 제2 바디(300)의 배면, 즉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면의 일부가 제1 바디(20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면과 함께 정면에 노출된다. 제2 바디(300)의 배면 중 슬라이드 상태에 정면에 노출되는 영역에는 카메라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51a)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충분히 큰 센서 및 렌즈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1) 외에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플래시(124)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카메라부(121)는 복수의 센서 및 광학 렌즈를 가져, 망원, 일반 및 광각 카메라(1211, 1212, 1213)에 대응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 및 광학 렌즈가 구비되는 경우 이 복수의 센서 및 광학 렌즈는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슬라이드 상태만으로 카메라부(121)가 제1 바디(200)의 디스플레이(151a)와 함께 정면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1 바디(200)의 정면 제1 디스플레이(151a)의 주변 베젤, 또는 제1 디스플레이(151a) 영역에는 광학 렌즈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51a) 영역에는 광학 렌즈 구비를 위한 펀치-홀(punch-hole))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시간의 감소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가려지는 부분 없이 대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특징에 더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스타일러스(132)를 포함하고, 정면으로 노출되는 제2 바디(300)의 배면 일 영역에 스타일러스(132) 수납을 위한 안착부(131)가 마련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132) 수납은 이동 단말기(100) 사용중 일시적인 거치를 위한 공간으로 역할할 수도 있고, 또는 접힘 상태에서도 스타일러스(132)가 내부에 거치되어 보관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스타일러스(132)의 휴대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특징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이동 단말기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각 일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 측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과 각각 체결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회전 개폐하는 힌지 구조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 측과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 사이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에 의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대응하여 포개어진 접힘 상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간격이 확장된 슬라이드 상태;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회전하여 펼쳐지되, 상기 확장된 간격이 슬라이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 축소된 펼침 상태가 순차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간격의 확장 또는 축소는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회전은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의 힌지 구조에 의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체결되는 제2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는 힌지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구조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구비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레일의 외측을 감싸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조를 구현하는 'ㄷ'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구비된 제1 슬롯;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롯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및 펼침 상태 각각에서 상기 제1 슬롯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상태로 전환되는 제1 과정 동안 상기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1 궤적, 상기 슬라이드 상태에서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제2 과정 동안 상기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2 궤적 및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제3 과정 동안 상기 가이더가 이동하는 제3 궤적 각각이 상이한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 상에서 상기 가이더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기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슬롯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2 회전 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어 형성된 탄성 복원력이 상기 제1 슬롯 상에서 상기 가이더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가이더를 상기 제2 궤적 및 제3 궤적에 따라 이동하도록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1 슬롯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더를 고정시키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펼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더를 고정시키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2 궤적 또는 제3 궤적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슬라이드 상태에서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키고,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2 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트리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이더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트리거 부재 사이에 선택적 형합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트리거 부재가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형합되어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인입되면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가이더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형합되지 않아 상기 제1 회전 부재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가이더를 가압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접힘 상태, 슬라이드 상태, 펼침 상태 및 제1 과정에서 형합되고, 상기 제2 과정 및 제3 과정 동안 형합되지 않는 이동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트리거 부재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2 회전 부재 및 트리거 부재 사이에서 탄성 복원력을 형성하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 구조는, 상기 펼침 상태부터 상기 접힘 상태까지 185° 내지 195°의 회전각을 갖도록 0° 및 185° 내지 195° 사이의 어느 한 각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샤프트;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샤프트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두 디스플레이 사이 영역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슬라이드 결합체는 상기 두 디스플레이 사이 영역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두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인 이동 단말기.
  1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영역 이면에 광학 렌즈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1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슬라이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광학 렌즈가 구비되지 않는 이동 단말기.
PCT/KR2020/012230 2020-09-10 2020-09-10 이동 단말기 WO20220549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230 WO2022054986A1 (ko) 2020-09-10 2020-09-10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230 WO2022054986A1 (ko) 2020-09-10 2020-09-1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4986A1 true WO2022054986A1 (ko) 2022-03-17

Family

ID=8063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230 WO2022054986A1 (ko) 2020-09-10 2020-09-1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54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1555A (zh) * 2022-08-18 2022-11-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30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53620B1 (ko) * 2006-05-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13711B1 (ko) * 2010-12-21 2012-02-2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KR20150104407A (ko) * 2014-03-05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117245A1 (en) * 2018-10-12 2020-04-16 Google Llc Hinge mechanism by gear set with slide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30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53620B1 (ko) * 2006-05-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13711B1 (ko) * 2010-12-21 2012-02-2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
KR20150104407A (ko) * 2014-03-05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117245A1 (en) * 2018-10-12 2020-04-16 Google Llc Hinge mechanism by gear set with slide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1555A (zh) * 2022-08-18 2022-11-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5331555B (zh) * 2022-08-18 2023-10-3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6766A1 (ko) 이동 단말기
WO2021132742A1 (ko) 이동 단말기
WO2021112291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07076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03036A1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WO2020054883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52015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67437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4527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89843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45272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17094972A1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WO2021025181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15329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19358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81856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54986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58622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54970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54977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54997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2673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9064A1 (ko) 이동 단말기
WO2023277372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14908A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33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33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