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868U -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868U
KR20150001868U KR2020130009204U KR20130009204U KR20150001868U KR 20150001868 U KR20150001868 U KR 20150001868U KR 2020130009204 U KR2020130009204 U KR 2020130009204U KR 20130009204 U KR20130009204 U KR 20130009204U KR 20150001868 U KR20150001868 U KR 20150001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portable terminal
groove
case
pe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효
Original Assignee
최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효 filed Critical 최상효
Priority to KR2020130009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868U/ko
Publication of KR20150001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8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터치펜이 수용 보관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결합구가 요입 형성된 수용홈;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터치펜의 일부가 삽입 장착되는 터치펜캡;을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에 터치펜캡을 설치하여 터치펜을 장착 보관함으로써, 터치펜을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보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터치펜의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며,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동 가능한 터치펜캡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CAPABLE OF EQUIPPING TOUCHPEN}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휴대단말기를 수용하여 휴대하고 다니거나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란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인터넷 검색 및 통신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정보기기로서, 그 종류로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이 있고,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면서 실내외에서 시간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휴대성과 편리함으로 인하여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는 고가이고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이물질이 내부로 쉽게 침투하거나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미려한 외관창출과 함께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하여 자신의 휴대단말기의 외관에 맞게 제작된 케이스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플라스틱, 가죽, 및 합성섬유 등의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만들어져 휴대단말기가 긴밀하게 장착되는데, 그 형태로는 파우치를 구비하여 휴대폰이 파우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파우치로 제작되거나,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휴대폰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외부에 덮개가 있는 접이식으로 제작되거나, 덮개 없이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커버로 제작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최근 휴대단말기는 터치식 사용이 증가하여 스마트폰을 비롯해 태블릿PC는 물론 노트북 컴퓨터까지도 터치의 사용이 낯설지 않게 되었고, 손가락으로 작은 크기의 자판을 누르거나 터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터치펜이 개발되었으며, 스타일러스하고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310호에는 휴대폰 케이스(1)의 내부에 휴대폰을 수용하는 휴대폰 수용부(2)가 구비되고, 덮개에 카드수납홈(3)을 형성하여 지갑을 따로 소지하지 않아도 휴대폰 케이스에 카드나 명함을 함께 수납한 채 휴대폰을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내부에 휴대폰을 수용하여 보호하거나 카드를 수납하는 단순한 기능들만 있을 뿐,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터치펜을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다만, 터치펜을 끈으로 연결하여 휴대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터치펜의 고정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터치펜의 분실 염려가 있어 보관과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에 터치펜캡을 설치하여 터치펜을 장착 보관함으로써, 터치펜을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보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터치펜의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며,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동 가능한 터치펜캡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용홈에 눈사람 형태를 갖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캡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펜 뿐만 아니라 터체볼펜과 레이저포인터 등도 장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터치펜이 수용 보관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결합구가 요입 형성된 수용홈;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터치펜의 일부가 삽입 장착되는 터치펜캡;을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결합구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연통홈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보다 하부홈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대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상기 지지판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몸체는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몸체는 일 대응면 사이의 폭이 타 대응면 사이의 폭 보다 작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펜캡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 결합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터치펜의 일부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공이 구비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임의의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터치펜캡이 일정한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를 가압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펜캡은 하단이 논슬립 부재로 이루어져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논슬립 부재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및 SBS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에 터치펜캡을 설치하여 터치펜을 장착 보관함으로써, 터치펜을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보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터치펜의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며,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동 가능한 터치펜캡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홈에 눈사람 형태를 갖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캡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펜 뿐만 아니라 터체볼펜과 레이저포인터 등도 장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터치펜캡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지지대가 결합구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 (a)는 터치펜, (b)는 터치볼펜, (c)는 레이저포인트가 포함된 터치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을 세워서 사용할 때의 사용상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을 뉘여서 사용할 때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휴대단말기(S)가 장착될 수용공간(13)이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11)을 형성하고 수용홈(11)에 터치펜캡(30)을 설치하여 터치펜(T)을 장착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고, 터치펜캡(30)과 터치펜(T)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S)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습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의 상기 본체(10)는 상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3) 내에 휴대단말기(S)가 긴밀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에는 터치펜캡(30)이 설치되고, 상기 터치펜캡(30)에 장착된 터치펜(T)이 수용 보관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결합구(12)가 요입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2)는 상측에 위치한 상부홈(12a)과 하측에 위치한 하부홈(12b)이 연통홈(12c)을 통하여 서로 연통 형성되되, 상기 상부홈(12a)보다 하부홈(12b)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눈사람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대(20)는 상기 결합구(12)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 및 지지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21)는 회전축(21b)이 결합되는 축공(21a)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2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3)은 상기 상부몸체(21)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11) 상에 배치되어 회전지지대(2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부몸체(22)는 상기 지지판(23)과, 상기 결합구(12) 상에 배치되는 바닥판(24)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3)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구(12)의 돌출된 내벽에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22)는 일 대응면 사이의 폭이 타 대응면 사이의 폭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대(20)의 하부몸체(22)는 폭이 큰 장폭면(22a)과 폭이 작은 단폭면(22b)을 구비하는데, 상기 하부몸체(22)가 상기 단폭면(22b)이 상기 연통홈(12c)과 나란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로 상기 회전지지대(20)가 큰 직경을 갖는 결합구(12)의 하부홈(12b)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연통홈(12c)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하부홈(12b)보다 직경이 작은 상부홈(12a)에 이르게 되면, 상기 회전지지대(20) 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단폭면(22b)이 상기 연통홈(12c)과 직교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대(20)가 결합구(1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고, 반대의 과정을 거치면 상기 회전지지대(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이며, 이로써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캡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펜캡(30)은 상기 회전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홈(11)에 수용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33a)에 터치펜(T)의 일부가 삽입 장착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33a)는 터치펜(T) 이외에도 터치볼펜(B)이 삽입 장착될 수도 있고, 레이저포인터(L)가 포함된 터치펜(T)이나 터치볼펜(B)이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펜캡(30)은, 상단에 고리부(3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b)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21)와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고리부(31)의 하측에는 걸림부(32)가 결합되되, 상기 걸림부(32)는 임의의 상기 걸림홈(21c)에 걸림되어 상기 터치펜캡(30)이 일정한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쇠(32a)와, 상기 걸림쇠(32a)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32a)를 가압하여 상기 터치펜캡(30)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스프링(32b)과, 상기 압축스프링(32b)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펜캡(30)이 정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쇠(32c)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걸림부(32)의 하측에는 장착공(33a)이 구비된 장착부(33)가 결합되어 터치펜(T)이나 터치볼펜(B), 또는 레이저포인터(L)가 내부에 포함된 터치펜(T)이나 터치볼핀(B)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대(20)의 상부몸체(21)는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터치펜캡(30)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상부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체(22)와 연결된 회전볼이 설치되어 360도 회전 및 자유로운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터치펜캡(30)은 하단이 논슬립 부재(33b)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펜캡(30)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를 지지하여 거치대로 사용할 때에, 상기 터치펜캡(30)이 바닥면에 미끄러져 거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슬립 부재(33b)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및 SBS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되어, 바닥면과의 마찰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 후면의 삽입홈(11)에 설치된 터치펜캡(30)에 터치펜(T)을 삽입 장착하고, 터치펜(T)이 삽입홈(11) 내에 삽입된 채로 보관하거나 휴대하다가, 휴대단말기(S)를 세워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8a와 같이 터치펜(T)이 터치펜캡(30)에 삽입 장착된 채로 터치펜캡(30)을 회전시켜 휴대단말기(S)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걸림쇠(32a)가 복수 개의 걸림홈(21c) 중에 자신이 원하는 걸림홈(21c)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거치 각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도 8b와 같이 일정한 거치 각도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8c와 같이 회전지지대(20)의 상부몸체(21)는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지지대(20)에 결합된 터치펜캡(30)을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터치펜(T)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S)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터치펜캡(30)으로부터 터치펜(T)을 분리시킨 다음,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가 뉘여진 상태로 되도록 한 후, 터치펜캡(30)이 바닥면에 닿도록 휴대단말기(S)를 거치해 놓고, 터치펜(T)으로 휴대단말기(S)의 액정화면 창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9a와 같이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걸림쇠(32a)가 복수 개의 걸림홈(21c) 중에 자신이 원하는 걸림홈(21c)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좌우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도 9b 및 도 9c와 같이 회전지지대(20)의 상부몸체(21)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지지대(20)에 결합된 터치펜캡(30)을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에 터치펜캡을 설치하여 터치펜을 장착 보관함으로써, 터치펜을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보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터치펜의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며,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동 가능한 터치펜캡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고, 수용홈에 눈사람 형태를 갖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캡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휴대폰 케이스 2. 휴대폰 수용부 3. 카드수납홈
10. 본체 11. 수용홈
12. 결합구 12a. 상부홈
12b. 하부홈 12c. 연통홈
13. 수용공간 20. 회전지지대
21. 상부몸체 21a. 축공
21b. 회전축 21c. 걸림홈
22. 하부몸체 22a. 장폭면
22b. 단폭면 23. 지지판
24. 바닥판 30. 터치펜캡
31. 고리부 31a. 고리홀
32. 걸림부 32a. 걸림쇠
32b. 압축스프링 32c. 고정쇠
33. 장착부 33a. 장착공
33b. 논슬립 부재 B. 터치볼펜
C.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L. 레이저포인터
S. 휴대단말기 T. 터치펜

Claims (9)

  1.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터치펜이 수용 보관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결합구가 요입 형성된 수용홈;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터치펜의 일부가 삽입 장착되는 터치펜캡;을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연통홈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보다 하부홈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대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상기 지지판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일 대응면 사이의 폭이 타 대응면 사이의 폭 보다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캡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 결합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터치펜의 일부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공이 구비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임의의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터치펜캡이 일정한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를 가압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쇠를 포함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캡은 하단이 논슬립 부재로 이루어져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부재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및 SBS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20130009204U 2013-11-08 2013-11-08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01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04U KR20150001868U (ko) 2013-11-08 2013-11-08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04U KR20150001868U (ko) 2013-11-08 2013-11-08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868U true KR20150001868U (ko) 2015-05-18

Family

ID=5351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204U KR20150001868U (ko) 2013-11-08 2013-11-08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86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0411A1 (en) * 2018-01-17 2019-08-22 Elizabeth Diane Langhans Mobile phone case with epinephrine injection pen carrying feature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WO2021020842A1 (ko) * 2019-07-29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수납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4927B1 (ko)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0411A1 (en) * 2018-01-17 2019-08-22 Elizabeth Diane Langhans Mobile phone case with epinephrine injection pen carrying feature
US11764821B2 (en) * 2018-01-17 2023-09-19 Langhans Ventures Llc Mobile phone case with epinephrine injection pen carrying feature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WO2021020842A1 (ko) * 2019-07-29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수납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4927B1 (ko) 2020-12-31 2022-06-02 홍시연 휴대 단말기용 다기능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369B2 (en) Foldable stylus and pen with protective housing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8145283B2 (en) Wireless earphon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38689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US8199492B2 (en) Accessory strap fixing structure
US8300388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TW201401019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之電子裝置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20150001868U (ko)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20039662A1 (en) Stylus
US8319755B2 (en) Stylus
WO2015180279A1 (zh) 一种带有键盘的转轴式手机保护外壳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US8334856B2 (en) Stylus
US8405643B2 (en) Stylus
US8339383B2 (en) Stylus
US20110234547A1 (en) Stylus
US2012023595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3168053A (ja) 情報処理装置
US8446393B2 (en) Stylus
US8432379B2 (en) Stylus
KR200470556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CN219994162U (zh) 一种用于指环支架的转轴结构
CN216490633U (zh) 支架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