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56Y1 -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56Y1
KR200470556Y1 KR2020120001980U KR20120001980U KR200470556Y1 KR 200470556 Y1 KR200470556 Y1 KR 200470556Y1 KR 2020120001980 U KR2020120001980 U KR 2020120001980U KR 20120001980 U KR20120001980 U KR 20120001980U KR 200470556 Y1 KR200470556 Y1 KR 200470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upled
hole
hinge modu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44U (ko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5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은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되며 일측의 양단에 이격되어 제1 및 제2연결구가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이격된 제1 및 제2연결구 사이에 삽입되는 바디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와 직각이 되도록 연결된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연결구와 바디에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2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전면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후면커버와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수납된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또한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개방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 모바일 단말기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적정한 시야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A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가 부착된 후면커버를 뒤집어서 적정한 각도로 세워 전면커버에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고, 또한 하부에 케이블 접속단자가 형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힌지 모듈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케이블을 손쉽게 꽂을 수 있어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컴퓨터기술 및 무선네트웍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모바일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테블릿 피씨 등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들 모바일 단말기는 크기는 작지만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btop) 컴퓨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으며, 정보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스마트형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이패드(iPad), 갤럭시텝(galaxytab) 등과 같은 글로벌기업의 고사양 태블릿피씨가 출시됨에 따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특히 충격으로 인해 액정화면이 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이 핵심부품이 손상되면 수리비가 많이 드는 것은 물론 중요한 정보가 유실되어 상당한 피해를 보게 된다.
또한, 다른 물체나 사용자의 의복에 달린 버클 또는 가방에 함께 수납된 물건과 접촉하거나 부딪히는 경우에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형상의 보호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의 한 예로는 본 출원인이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10-0011351호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주로 커버를 열거나 닫는 용도로 케이스와 커버 간의 연결을 위한 힌지 모듈이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 힌지 모듈은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는 2가지 기능만 하여 왔고, 이는 커버가 너무 과도하게 개방되어 사용이 불편함이 따랐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의 개방 각도를 한정시킬 필요가 있으나 종래 힌지 모듈로는 이러한 기능을 기대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부착된 후면커버를 적정한 각도로 세워 전면커버에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고, 또한 하부에 케이블 접속단자가 형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힌지 모듈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케이블을 손쉽게 꽂을 수 있어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되며 일측의 양단에 이격되어 제1 및 제2연결구가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이격된 제1 및 제2연결구 사이에 삽입되는 바디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와 직각이 되도록 연결된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연결구와 바디에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2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전면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후면커버와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데이터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 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개구되며 타단부는 막혀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공으로 끼워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요철부가 형성된 제1회전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구의 결합되도록 제2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회전구; 제1 및 제2회전구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상기 제2회전구에 매립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1회전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평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요철부는 대칭되게 형성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진 철부와, 상기 철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대칭되게 형성된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부착된 후면커버를 적정한 각도로 세워 전면커버에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고, 또한 하부에 케이블 접속단자가 형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힌지 모듈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케이블을 손쉽게 꽂을 수 있어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축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I-I"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축 부재"의 회전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축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I-I"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회전축 부재"의 회전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A)은, 모바일 단말기(100)가 삽입되는 케이스의 전면 커버(110) 및 후면 커버(1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면 커버(110)에 결합되며 일측의 양단에 이격되어 제1 및 제2연결구(11,12)가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1); 후면 커버(120)에 결합되며 상기 이격된 제1 및 제2연결구(11,12) 사이에 삽입되는 바디(22)가 일측에 형성된 제2브라켓(2); 제2연결구(12)에 형성된 결합공(123)을 통해 바디(22)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브라켓(1) 및 제2브라켓(2)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대략 사각형의 금속 패널 또는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다.
제1브라켓(1)는 제1 및 제2연결구(11,12)가 일측 양단에 각기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및 제2연결구(11,12)의 사이에 제2브라켓(2)의 바디(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2)는 일측에 제1브라켓(1)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바디(22)가 형성되며, 바디(22)로부터 90°각도를 이루도록 일정 길이의 지지부(29)가 연결되며, 이 지지부(29)의 타단에 제2브라켓(2)이 연결된다.
지지부(29)는 제2브라켓(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판상이며, 그 중앙에는 대략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장공(292)이 형성된다.
모바일 단말기 중 어떤 기종은 하부에 테이터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접속단자가 형성된 모델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의 모바일 단말기는 장공(292)을 통해 데이터 케이블을 접속단자에 꽂을 수 있어 케이스를 분리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9)의 일단, 즉 지지부(29)와 제2브라켓(2)이 이어지는 부위가 제1브라켓(1)과 접촉되는 부위인데, 제2브라켓(2)과 제1브라켓(1) 간의 적정한 경사각(θ)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길이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29)의 길이가 짧으면 경사각이 수직에 가까워지게 되고, 길면 수평에 가까워질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지지부(29)의 일단이 제1브라켓(1)과 접촉되었을때(도 3의 (b)에 도시된 상태)가 가장 모바일 단말기를 보기 편한 각도(θ)이어야 하며, 이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지지부(29)의 길이가 설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브라켓(2)의 경사각(θ)은 60~70°일 것이다.
한편 바디(22)는 내부에 회전축 부재(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24)이 형성된다. 수용홈(24)은 하우징(4)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이며, 하우징(4)의 평면부(44)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평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회전축 부재(3)는 제1브라켓(1)와 제2브라켓(2)를 연결하고, 회전 작동시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면서 임의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고정기능도 갖는다.
이를 위해 회전축 부재(3)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개구되며 타단부는 막혀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12)의 결합공(123)으로 끼워지는 하우징(4);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요철부(51)가 형성된 제1회전구(5); 하우징(4)의 개구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구(5)의 결합되도록 제2요철부(6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23)에 결합되는 제2회전구(6); 제1 및 제2회전구(5,6)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머리부(72)가 상기 제2회전구(6)에 매립되는 샤프트(7); 하우징(4)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7)에 끼워지고 상기 제1회전구(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4)은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막혀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태이며, 막힌 부위에는 샤프트(7)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통공(42)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4)은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기 대칭되게 평면부(44)가 형성된다.
제1회전구(5)와 제2회전구(6)는 각기 형성된 제1요철부(51)와 제2요철부(62)가 서로 암수 결합됨으로써 일체로 거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요철부(51,62)는 대칭되게 형성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진 철부(503,603)와, 상기 철부(503,603)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대칭되게 형성된 요부(501,601)로 구성되며, 철부(503,603)와 요부(501,601)를 이어주는 경사면(502,602)이 형성되어 물결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구(5)와 제2회전구(6)는 각기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4)의 평면부(44)에 대응되는 평면부(52,63)가 형성된다.
제2회전구(6)는 샤프트(7)의 머리부(72)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회전구(5)는 하우징(4)에 삽입되고, 제2회전구(6)는 제2연결구(12)의 결합공(123)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결합됨으로써 제1브라켓(1)의 회전시 제2회전구(6)만 회전될 수 있지만 제2회전구(6)의 회전시 제1회전구(5)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회전구(6)가 회전되면 제2요철부(62)가 제1회전구(5)의 제1요철부(51)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제1회전구(5)가 탄성체(8)를 압축하면서 일측으로 밀려났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동안 원 클릭 회전된다(도 4의 (a)~(b) 단계).
즉 제2요철부(62)의 철부(603)가 제1요철부(51)의 경사면(502)을 타고 회전하여 철부(503)에 맞닿아 위치되면 제1회전구(5)는 일측으로 밀려난다.
이후 제2회전구(6)가 더 회전되면 제2요철부(62)의 철부(603)가 제1요철부(51)의 요부(501)에 삽입됨으로써 원 클릭 회전이 종료된다(도 4의 (c) 단계).
따라서 원 클릭 회전은 대략 180°이므로 전면 커버(110)의 개방 및 폐쇄 각도에 해당되는 각도로 회전된다.
샤프트(7)는 일정 길이로 된 봉체이며, 일단에는 머리부(72)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 환홈(74)이 형성된 것으로, 제1 및 제2회전구(5,6)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머리부(72)가 상기 제2회전구(6)에 매립되고, 타단부가 하우징(4)의 통공(42)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환홈(74)에는 스냅링(9)이 결합된다.
스냅링(9)은 샤프트(7)가 하우징(4) 및 제1 및 제2회전구(5,6)와 결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샤프트(7)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8)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이며, 하우징(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샤프트(7)에 끼워지고 상기 제1회전구(5)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축 부재(3)의 결합을 살펴보면, 하우징(4)의 내부에 탄성체(8)를 삽입하고, 제1회전구(5)와 제2회전구(6)를 삽입한 후 샤프트(7)를 끼워 머리부(72)가 제2회전구(6)에 매립되도록 하고, 하우징(4)의 통공(42)을 통해 돌출된 타단부의 환홈(74)에 스냅링(9)을 결합시켜 회전축 부재(3)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제1브라켓(1)의 제1 및 제2연결구(1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제2브라켓(2)의 바디(22)를 삽입하고, 제2연결구(12)의 결합공(123)을 통해 회전축 부재(3)의 하우징(4)부터 삽입하여 제2회전구(6)가 결합공(123)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후 제2연결구(12)의 결합홈(122)에 캡(13)을 결합시켜 힌지 모듈(A)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제1브라켓(1)는 전면 커버(110)에 접착되고, 제2브라켓(2)는 후면 커버(120)에 접착시킨다.
이후 전면 커버(110)를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구(5,6)의 마찰 접촉 회전과, 탄성체(8)의 가압 탄성에 의해 전면 커버(110)가 180도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반대로 전면 커버(110)를 회전시키면 180도 역회전 되면서 닫히므로 모바일 단말기(10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전면 커버(110)를 후방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2회전구(6)의 철부(603)가 더 회전되면서 경사면(502,602)을 타고 회전하여 제1회전구(5)의 철부(503)와 맞닿게 되고, 이 상태가 되면 탄성체(8)가 수축되면서 반발력에 의해 제1회전구(5)는 제2회전구(6)를 강하게 밀게 된다.
이 상태는 전면 커버(110)가 개방되었던 180도 각도에서 대략 40~50도 정도 더 회전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위에 올려두면 스탠드의 역할을 하게 되고, 모바일 단말기(100)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어 사용하기 좋은 시야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부착된 후면 커버(120)를 뒤집어서 회전시켜 지지부(29)의 일단이 전면 커버(110)의 내면에 닿도록 하면, 모바일 단말기(100)가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어 가장 보기 편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데이터 케이블을 꽂아야 할 경우 지지부(29)의 장공(292)을 통해 데이터 케이블을 삽입하여 접속단자에 꽂아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브라켓 2 : 제2브라켓
3 : 회전축 부재 4 : 하우징
5 : 제1회전구 6 : 제2회전구
7 : 샤프트 8 : 탄성체
11 : 제1연결구 12 : 제2연결구
22 : 바디 44 : 평면부
51 : 제1요철부 62 : 제2요철부

Claims (6)

  1.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되며 일측의 양단에 이격되어 제1 및 제2연결구가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이격된 제1 및 제2연결구 사이에 삽입되는 바디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와 직각이 되도록 연결된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연결구와 바디에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2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전면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후면커버와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데이터 케이블이 통과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상기 결합될 수 있어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바디는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평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개구되며 타단부는 막혀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공으로 끼워지고 외주면에 평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요철부가 형성된 제1회전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구의 결합되도록 제2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회전구;
    상기 제1 및 제2회전구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상기 제2회전구에 매립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제1회전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요철부는
    대칭되게 형성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진 철부와, 상기 철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대칭되게 형성된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KR2020120001980U 2012-03-13 2012-03-1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KR200470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980U KR200470556Y1 (ko) 2012-03-13 2012-03-1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980U KR200470556Y1 (ko) 2012-03-13 2012-03-1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44U KR20130005544U (ko) 2013-09-25
KR200470556Y1 true KR200470556Y1 (ko) 2013-12-27

Family

ID=5243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980U KR200470556Y1 (ko) 2012-03-13 2012-03-1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5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06Y1 (ko) * 2003-08-30 2003-11-22 한장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06Y1 (ko) * 2003-08-30 2003-11-22 한장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44U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7702B2 (en)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10067532B2 (en) Electronic device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WO2014163233A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TWI399000B (zh) 可變換插頭方向之電子裝置及其插頭結構
TW201401019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之電子裝置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US9519316B2 (en) Flash drive with attached cover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150001868U (ko)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0556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힌지모듈
CN206533648U (zh) 电子装置保护壳
KR10110931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KR102317025B1 (ko) 핸드폰 케이스
KR101498133B1 (ko) 휴대기기용 장신구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KR10147107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TWI429369B (zh) 具有翻蓋裝置的電子設備
KR20090000418U (ko) 회전형 유에스비 젠더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N105762566B (zh) 一种连接结构、卡连接器保护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