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319B1 -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319B1
KR101109319B1 KR1020110100478A KR20110100478A KR101109319B1 KR 101109319 B1 KR101109319 B1 KR 101109319B1 KR 1020110100478 A KR1020110100478 A KR 1020110100478A KR 20110100478 A KR20110100478 A KR 20110100478A KR 101109319 B1 KR101109319 B1 KR 10110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e
electronic device
terminal
portable electronic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은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이성복
김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복, 김태은 filed Critical 이성복
Priority to KR102011010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는, 상기 외부 단자 내에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부 단자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 일단이 상기 단자 마개부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상기 다리부와 상기 마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1면 이상을 감싸기 위한 보호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단자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심미감과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고 불량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이는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DETACHABLE TERMINAL C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CAS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단자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심미감과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고 불량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인 착탈식의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되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이동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휴대 전자기기 내지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혹은 수만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은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은 그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해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대폭 개선되었으며,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 내지 단자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용으로도 사용함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원 가능한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서로 주고 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미국 애플사의 iphone4TM는 3.5파이 오디오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 3.5파이 스테레오 케이블로 스피커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고, 연결 단자로서 30핀 도킹 컨넥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덮는 마개가 휴대 전자기기에 자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로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를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커버가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일반 휴대전화기인 휴대 전자기기(100)는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를 포함하고, 후면 커버(120)측에는 도킹 컨넥터(121)와 음량 조절 버튼(122)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킹 컨넥터(121)에는 암수가 들어맞는 착탈식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휴대 전자기기(10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의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와 사용자 PC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도킹 컨넥터(121)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용을 위하여 필수적인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20)가 자체적으로 도킹 컨넥터(121)를 막기 위한 단자 마개(130)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킹 컨넥터(12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 단자 마개(130)를 이용하여 도킹 컨넥터(121)에 먼지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킹 컨넥터(121)를 사용하기 위해 단자 마개(130)를 열더라도 후면 커버(120) 간의 연결부(131)에 의하여 단자 마개(130)는 후면 커버(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로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예컨대 스마트폰인 휴대 전자기기(200)는 전원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단자(2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평소에 이 연결 단자(210)를 막아 두기 위한 덮개가 휴대 전자기기(200)에 구비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애플사의 iphoneTM이나 ipadTM와 같은 최신형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태플릿 컴퓨터는 디자인의 심미감을 개선하고 제품의 경량화, 슬림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심플한 외부 단자 구성을 채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도 1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0)가 자체적으로 단자 마개(13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단자 마개(130)가 분실되지 않도록 연결부(131)를 마련해야 하는데, 이 연결부(131) 설치용으로 후면 커버(120)의 일정 공간을 사용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예 단자 마개(130)를 제거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단자(220) 또한 아무런 마개 없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가 점차 사라지는 이유를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200)의 연결 단자(210) 주위에는 단자 마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충전 스탠드(250)의 도킹 단자(251)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연결 단자(210)를 막아 두기 위한 단자 마개가 휴대 전자기기(2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었다면, 그 단자 마개를 열어 젖히더라도 도킹 단자(251)와 연결 단자(210)의 접합이 방해될 가능성은 매우 높지만, 단자 마개를 휴대 전자기기(20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도 2c와 같이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시킨 다양한 악세사리(예컨대, 휴대 전자기기 화면을 세운 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스탠드(25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악세사리의 예로는 전술한 충전 스탠드(250) 외에도 스피커, 미니 오디오, 라디오, 배터리 확장팩, 착탈식 키보드, 착탈식 마우스 등 다양한 제품을 들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고가이고 고성능인 휴대 전자기기(200)에 있어서 연결 단자(210)나 오디오 단자(220)가 휴대 전자기기(200)의 실용성과 활용도를 개선하기 위해 중요한 구성요소인 것은 사실이지만, 연결 단자(210)나 오디오 단자(220)를 외부의 먼지나 습기 혹은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단자 마개는 휴대 전자기기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그리고 휴대 전자기기 자체의 심미감이나 악세사리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추세에 따라 사라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 단자(210)나 오디오 단자(220) 등 휴대 전자기기(200)의 외부 단자가 파손될 위험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더욱이 먼지의 침착이나 부주의에 의한 생활 침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한번 손상된 외부 단자(210, 220 등)는 교체 이외의 방법으로 수리가 어렵다는 점에서, 외부 단자(210, 220 등)를 휴대 전자기기(200)의 메이커가 제작한 상태대로 노출시켜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로 미국 애플사의 iphoneTM이나 ipadTM는 연결 단자(210) 부근에 침수 시 색이 변하는 침수 확인 라벨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침수 시에는 무상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어 고성능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외부 단자(210, 220)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은 절실한 상황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 전자기기(200)를 외부의 스크래치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는 플라스틱, 실리콘, 폴리우레탄, 금속 등을 비롯한 소재를 한 가지만 이용하거나 2 이상의 복합 소재를 사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맞게 제작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스크래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제품이다. 보호케이스의 재질은 주로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가죽, 금속 등의 단일 재질을 이용하거나 2 이상 복합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도 3a는 그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케이스(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케이스(300)가 자체적으로 휴대 전자기기(미도시)의 외부 단자(미도시)를 막아서 보호하기 위한 단자 마개(310)를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3a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단자를 보호하는 기능 자체는 달성할 수 있지만, 단자 마개(310)를 자주 여닫는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단자 마개(310)가 제자리에 복원되지 못하는 불량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마개(310)의 복원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b와 같이 보호케이스(400) 및 단자 마개(410)를 실리콘 고무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단자 마개(410)와 보호케이스(400)의 연결 부위(411)가 찌어지는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는 이 경우 보호케이스(400)를 전부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특히 단자 마개를 실리콘 재질의 보호케이스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오디오 단자를 막기 위한 실리콘 덩어리인 단자 마개(420)가 볼록하게 튀어나와 심미감까지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307호(이하 "선행문헌")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200)의 오디오 단자(220)를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보호케이스(50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다른 휴대폰 보호케이스(500)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단자 마개(510)가 보호케이스(500)에 빌트인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지만, 도 3a 및 도 3b와는 달리 평소에 휴대 전자기기(200)의 오디오 단자(220)를 막기 위한 단자 마개(5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끈의 형태로 구현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단자 마개(510)를 구성하는 경우 단자 마개(510)가 찢어지거나 제자리에 복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줄어들겠지만, 외관상으로는 물론이고 사용하기에도 거추장스러울 뿐만 아니라, 주머니나 손가락에 걸려서 단자 마개(510)가 빠져버릴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단자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심미감과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고 불량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1면 이상을 감싸기 위한 보호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착탈식 단자 마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내에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부 단자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 일단이 상기 단자 마개부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다리부와 상기 마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단자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와 동종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와 이종의 소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내에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부 단자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 일단이 상기 단자 마개부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상기 다리부와 상기 마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1면 이상을 감싸는 보호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상기 다리부의 타단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실리콘, 우레탄,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의 경우,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마개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부나 일부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ABS, 금속, 가죽, 직물,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각각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마개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마개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높이 혹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기 타단에는 하면으로 꺽이는 꺽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꺽임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그 면적을 늘리기 위한 날개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를 전부 혹은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내면과 동일한 높이의 윤곽선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단자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심미감과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고 불량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이는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로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를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커버가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로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서 외부 단자를 덮는 마개가 점차 사라지는 이유를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다른 예 및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b와 같은 보호케이스의 또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보호케이스 본체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착탈식 단자 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과 같이 보호케이스 본체에 착탈식 단자 마개를 장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케이스 본체에 넣고 이어폰 잭과 충전 잭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보호케이스 본체에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를 장착한 경우와 착탈식 단자 마개를 장착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휴대 전자기기
210 연결 단자
220 오디오 단자
230 마이크
240 카메라
250 이어폰 잭
260 충전 잭
300, 400, 500 보호케이스(종래기술)
600, 700 착탈식 단자 마개
610, 710 마개부
611, 711 단자 삽입부
615 접합부
620, 720, 920 다리부
621 꺽임부
622 보강부
630, 730, 930 고정부
631, 731, 931 날개부
800 보호케이스 본체
810, 820 노출홈
860, 870 수용홈
900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언하자면, 복수의 도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휴대 전자기기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외에도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적인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외부 단자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가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부언하자면, 본 명세서에서 "외력"이라 함은 대표적으로 휴대 전자기기를 떨어뜨렸을 때 낙하하는 휴대 전자기기가 지면의 돌출부에 닿아 외부 단자를 손상시키게 되는 충격을 의미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전자기기나 그 외부 단자를 손상시킬 수 있는 스크래치를 비롯한 어떠한 형태의 외부적인 힘도 "외력"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부 단자"란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DA, 태블릿 컴퓨터, 넷북, 노트북, MP3 플레이어,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캠코더 등 어떠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기기에라도 설치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3.5파이 오디오 단자, 이어폰 단자, USB 단자, 충전 단자, 데이터 통신 단자 등을 들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200)의 보호케이스는 도킹 컨넥터(210)를 보호하기 위한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와 오디오 단자(220)를 보호하기 위한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는 도킹 컨넥터(210) 내에 삽입 가능한 연결 단자 삽입부(611)가 B 방향의 하면에 형성되고 A 방향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도킹 컨넥터(210)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6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는 일단이 연결 단자 마개부(610)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620)를 구비하며, 이 다리부(620)와 연결 단자 마개부(610)는 일체형이거나 힌지 구조로 이루어진 접합부(615)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는 다리부(620)의 타단 하면에 다리부(620)의 폭 W1보다 큰 폭의 W2를 가지는 고정부(630)를 구비하며, 고정부(630)에는 도 5와 같이 날개부(631)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 역시 A 방향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오디오 단자(220)를 막아주도록 오디오 단자 삽입부(711)가 B 방향의 하면에 형성된 마개부(710)를 구비하며, 이 마개부(710)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720)의 타단 하면에는 다리부(720)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고정부(7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는 날개부(731)를 구비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는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의 소재 혹은 이들 중 둘 이상의 복합 소재를 예컨대 사출 성형하는 공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컨대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와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 자체적으로도 마개부(610), 연결 단자 삽입부(611), 접합부(615), 다리부(620), 고정부(630), 날개부(631) 각각의 재질을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리부(620)는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하여 잘 휘어지면서도 복원력이 강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부(610), 연결 단자 삽입부(611), 고정부(630) 및 날개부(631)의 전부나 일부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ABS, 금속, 가죽, 직물,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의 단일 소재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삽입부(611, 711)는 그에 대응하는 휴대 전자기기(200)의 단자(210, 220)와 암수가 들어맞는 형상과 깊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고정부(630, 730)와 날개부(631, 731)는 후술하는 도 9a 및 도 9b와 같은 상태에서도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다리부(620, 720)에 비하여 충분한 폭을 가지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본체(8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200)의 보호케이스 본체(800)는 예컨대 플라스틱, 실리콘, 폴리우레탄, 금속 등을 비롯한 소재를 한 가지만 이용하거나 2 이상의 복합 소재를 사용하여 휴대 전자기기(200)의 외형에 맞게 제작한 것으로서, 주로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가죽, 금속 등의 단일 재질을 이용하거나 2 이상 복합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호케이스 본체(800)는 전술한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와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심미감이나 기능성(특히, 다리부(620, 720)가 휘어지는 기능성)을 위하여 보호케이스 본체(800)와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상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 본체(800)에는 다리부(620)와 마개부(610)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용 수용홈(8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착탈식 단자 마개(600)의 다리부(620)를 수용하는 부분은 다리부(620)를 떠받치기 위한 지지부(8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a 및 도 9b와 같은 상태에서도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있어서 구멍 C의 면적은 고정부(630)의 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도 7b는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를 수용하기 위한 오디오 단자용 수용홈(87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오디오 단자용 수용홈(870) 또한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의 다리부(7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8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멍 D의 면적은 고정부(730)의 면적보다도 작아야 한다. 지지부(871)는 구멍 D를 막지는 않는 위치에서 다리부(720)의 측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작은 폭을 가지고 대칭적으로 2열로 형성된다. 전술한 지지부(861)도 마찬가지이다.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참조번호 810 및 820은 휴대 전자기기(200)의 마이크(230, 도 9a)나 카메라(240, 도 9b)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출홈을 나타낸다. 노출홈(810, 820)은 휴대 전자기기(200)의 특정한 구성품(예컨대, 마이크, 카메라)을 외부로 의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홈이지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200)의 코너 부분에 심미감을 위하여 노출홈(820)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 본체(8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동일한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는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수용홈(860, 870)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수 있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장착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마개부(610, 710)를 젖히면 다리부(620, 720)가 휘어져서 마개부(610, 710)가 덮고 있던 외부 단자용 홈이 노출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과 같이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장착하여 휴대 전자기기(200)를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넣고 이어폰 잭(250)과 충전 잭(260)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단자용 수용홈(870)에는 오디오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700)가 장착되어 있고, 연결 단자용 수용홈(860)에는 연결 단자용 착탈식 단자 마개(6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 전자기기(200)의 마이크(230)와 카메라(240)는 노출홈(810, 820)을 통해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200)에 이어폰 잭(250)과 충전 잭(260)을 삽입하려는 경우, 손가락을 이용하여 마개부(610, 710)를 젖히면 다리부(620, 720)가 휘어져서 마개부(610, 710)가 덮고 있던 외부 단자용 홈이 노출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이어폰 잭(250)과 충전 잭(260)을 오디오 단자(220) 및 연결 단자(210)에 각각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부(611, 711)는 다리부(620, 7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이어폰 잭(250)과 충전 잭(260)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9a 및 도 9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다리부(620, 720)의 길이는 단자 삽입부(611, 711)의 깊이와 다리부(620, 720)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감안하여 적절한 길이로 설계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 및 그에 대응하는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200)의 외부 단자(210, 220)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심미감을 대폭 강화하고, 휴대 전자기기(200)의 단자를 막는 부분이 찢어지거나 복원력이 떨어지게 되는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에 구비된 고정부(630, 730)에 의하여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분실할 염려도 적다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이나 재질의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마련하여 취향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200)의 마개 부분을 교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이다.
부언하자면, 도 8 및 도 9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630, 730)는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장착했을 때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내면 윤곽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내면 윤곽을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휴대 전자기기(200)가 고정부(630, 730)와 날개부(631, 731)를 눌러서 고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631, 731)는 휴대 전자기기(200)의 표면과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내면 사이에 고정부(630, 730)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총 면적을 늘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의 다리부(620)는 "ㄱ"자로 꺽이는 꺽임부(6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부(630a)가 꺽임부(621)에 매달린 형태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단자 마개(600)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부(630a) 대신 버섯이나 오목한 접시 모양의 고정부(630b)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20)의 타단측 상면에 보강부(6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보강부(622)는 예컨대 구멍 C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착탈식 단자 마개(600)의 잦은 착탈 시에도 다리부(620)가 찢어지거나 고정부(630)가 구멍 C를 통과하여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보강부(622)의 소재는 다리부(620)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지만, 강성 플라스틱과 같이 상이한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언하자면,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수용홈(860, 870)에 수용되었을 때, 다리부(620, 720) 및 마개부(610, 71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리부(620, 720)의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수용홈(860, 870)에 수용되었을 때, 다리부(620, 720) 및 마개부(610, 710)가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높이 혹은 보호케이스 본체(80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다리부(620, 720)나 마개부(610, 710)가 손가락 등에 걸려서 의도하지 않게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끝으로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는 보호케이스 본체(800)와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예컨대 충전 단자(260)나 이어폰 단자(250)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도 11a와 같은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는 그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다리부(920) 및 다리부(920)보다 큰 폭을 가지고 다리부(920)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부(930)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정부(930)는 날개부(9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b는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를 장착한 경우와 착탈식 단자 마개(600)를 장착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 본체(800)에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를 장착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200)의 외부 단자(예컨대, 210, 220)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잦은 외부 단자(210, 220)의 사용에도 불편함을 느낄 필요가 없으며, 외관상 보기에도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가 수용홈(860, 870)의 일부를 깔끔하게 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장에서는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를 마련해 놓을 경우 하나의 보호케이스 본체(800)로도 외부 단자(210, 220)를 착탈식과 노출식으로 취향에 따라 저렴하게 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착탈식 단자 마개(600, 700)나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900)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단일 고무 소재뿐만 아니라, 이중 사출이나 부착 후공정 등의 공법을 이용하여 고무와 플라스틱 등의 이종 소재를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개조나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내에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부 단자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 일단이 상기 단자 마개부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상기 다리부와 상기 마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1면 이상을 감싸는 보호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상기 다리부의 타단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마개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부나 일부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ABS, 금속, 가죽, 직물, 실리콘, 우레탄, NBR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마개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마개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높이 혹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기 타단에는 하면으로 꺽이는 꺽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꺽임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 면적을 늘리기 위한 날개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를 전부 혹은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식 보조 단자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내면과 동일한 높이의 윤곽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13.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1면 이상을 감싸기 위한 보호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착탈식 단자 마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 내에 삽입 가능한 단자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부 단자를 덮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부;
    일단이 상기 단자 마개부로부터 연장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타단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다리부와 상기 마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단자 마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와 동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단자 마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단자 마개는 상기 보호케이스 본체와 이종의 소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단자 마개.
KR1020110100478A 2011-10-04 2011-10-04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KR10110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478A KR101109319B1 (ko) 2011-10-04 2011-10-04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478A KR101109319B1 (ko) 2011-10-04 2011-10-04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319B1 true KR101109319B1 (ko) 2012-01-31

Family

ID=4561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478A KR101109319B1 (ko) 2011-10-04 2011-10-04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23B1 (ko) * 2014-09-01 2016-0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폰 케이스
USD809507S1 (en) 2012-09-07 2018-0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N114945890A (zh) * 2020-11-25 2022-08-26 株式会社诺把特 保护壳用盖部件及包括其的保护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47B1 (ko) 2003-05-12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캡 구조
KR20110004307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47B1 (ko) 2003-05-12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캡 구조
KR20110004307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9507S1 (en) 2012-09-07 2018-0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809508S1 (en) 2012-09-07 2018-0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812049S1 (en) 2012-09-07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KR101586823B1 (ko) * 2014-09-01 2016-0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폰 케이스
CN114945890A (zh) * 2020-11-25 2022-08-26 株式会社诺把特 保护壳用盖部件及包括其的保护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US976350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thereof
US9756915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JP2016537902A (ja) 電話、他の携帯型電子装置及び他の装置用の複合保護ケース
US6926554B2 (en) Portabl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122400B1 (ko)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KR200457185Y1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US9755688B1 (en) MemEx cell phone case systems
KR10110931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US922333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KR101705084B1 (ko)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US20210135700A1 (en) Protective case
CN101896042A (zh) 便携式电子装置
KR200476664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622775B1 (ko) 이어폰 고정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50633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10011234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202872861U (zh) 带摄像头视窗的手机保护壳
US10732671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0461377Y1 (ko)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14429570U (zh) 一种用于保护套的纹路结构以及电子产品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