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133B1 - 휴대기기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133B1
KR101498133B1 KR1020130070841A KR20130070841A KR101498133B1 KR 101498133 B1 KR101498133 B1 KR 101498133B1 KR 1020130070841 A KR1020130070841 A KR 1020130070841A KR 20130070841 A KR20130070841 A KR 20130070841A KR 101498133 B1 KR101498133 B1 KR 10149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erration
rotating body
coupling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86A (ko
Inventor
임소연
Original Assignee
임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소연 filed Critical 임소연
Priority to KR102013007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13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장신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면과 저면에 접착층이 개재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 돌기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된채 환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는 톱니형 결합축이 형성된 링부와;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을 감싸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내측 상,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회전체가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 상면에 위치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회전체의 연결부가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링부 외부로 노출되는 에지부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에지부에 의한 손가락의 상해 및 주머니에 넣을때 발생되는 옷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내측 상,하부에 톱니형 결합축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됨으로써 안정되게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장신구{Carrying terminal appointment ornamen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를 소정각도로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란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PDA, 전자수첩, 디지털 카메라, MP3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휴대기기의 사용은 점차 증가되어 현재는 생활 필수품이 될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휴대성의 향상을 위하여 크기도 더욱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중 특히, 가장 보편적인 휴대폰을 예로 들면, 휴대폰과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휴대폰의 메이커와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내부회로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커넥터를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시켜 상기 커넥터에 외부통신케이블이나 충전케이블 등을 삽입 접속함으로써, 외부와의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종래 휴대폰의 경우에는 데이터통신이나 충전을 위한 IF커넥터와 이어폰잭의 삽입을 위한 오디오커넥터가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폰의 충전 및 데이터통신은 IF커텍터로 수행하고 이어폰 기능은 오디오커넥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 휴대폰의 새로운 입력방식의 하나로서 터치스크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폰은, 휴대폰의 액정화면상에 나타나는 각종 아이콘을 직접 눌러 터치하기만 하면 원하는 통화나 동작,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는 점과,
키패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수단을 단말기 자체에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폰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으면서도 액정화면은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설계상의 장점 때문에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보편적인 휴대폰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 되고있다.
한편, 최근에는 터치형 스마트폰이 빠르게 휴대단말기 시장을 채우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동중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디오커넥터와 충전 및 컴퓨터기기와 연결하는 USB커넥터만 기기에 편성되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용 연결고리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부가 없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파지할때 휴대단말기의 외부를 감쌓아 휴대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서 휴대단말기가 낙하하여 지면에 떨어지며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특허출원번호 10-2011-0140833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용 장신구가 제안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 휴대단말기용 장신구는,
상면과 저면에 접착제가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면 중앙에는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연장되어 삽입홈(112)을 갖는 가이드돌기(110)가 형성된 원형플레이트(100)와; 상기 원형플레이트(100)의 가 이드돌기(110)에 외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중앙에 제1삽입홀(710)을 갖고, 외주연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결속구(720)를 구비한 제1 회전체(700)와; 상기 제1 회전체(700)의 제1 결속구(720)에 면접되어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링부(800)와; 상기 제1 회전체(700)의 상부에 면접되며, 상기 원형플레이트(100)의 가이드돌기(110)에 체결 되도록 중앙에 제2삽입홀(910)을 갖고, 외주연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결속구(920)를 구비한 제2 회전체(9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장신구는 링부를 통해 손가락을 끼워 휴대기기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휴대기기를 360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손에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즉, 제1 회전체(700)의 제1 결속구(720)와, 제2 회전체(900)의 제2 결속구(920)가 즉, 리벳(750)으로 고정시키는 부위가 링부(8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종의 에지부(edge部)를 이루기 때문에 손가락을 끼워 넣는 과정에서 피부에 상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주머니등에 보관할때에도 에지부에 의해 옷감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이외에도 링부(800)를 소정각도 경사지게 위치시켜 휴대기기를 지지할 때 경사지게 위치시킬때 그 경사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며, 장시간 반복적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킬때에는 축 결합 부위가 느슨하게 되어 경사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어셈블리에 걸쳐 에지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을 끼워 넣는 과정이나 주머니등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피부 및 옷감 손상을 방지할수 있고 장시간 반복적으로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는, 상면과 저면에 접착층이 개재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 돌기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된채 환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는 톱니형 결합축이 형성된 링부와; 상기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을 감싸며 상,하 내측면에는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마련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내측 상,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 상면에 위치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장신구는, 회전체의 연결부가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링부 외부로 노출되는 에지부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에지부에 의한 손가락의 상해 및 주머니에 넣을때 발생되는 옷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내측 상,하부에 톱니형 결합축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됨으로써 안정되게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상태의 사시도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요부 확대 단면 사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의 요부 확대 단면 사시도들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장신구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0)와 원형 플레이트(20) 그리고 링부(30)와 회전체(40) 및 커버(cover;50)로 대별된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편평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면과 저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접착층이 형성된다.
원형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심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부에 삽입홈(21a)을 갖는 결합돌기(21)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링부(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환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특히 일측에는 톱니형 결합축(31)이 마련된다.
한편, 회전체(40)는 링부(30)의 톱니형 결합축(31)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부(41)와 이 연결부(41) 내측 상,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레이트(20)의 결합돌기(21)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플레이트(42,43)로 이루어진다.
즉, 상,하 플레이트(42,43)는 결합돌기(2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술한 톱니형 결합축(31)을 감싸는 회전체(40)의 연결부(41) 상,하 내측면에는 톱니형 결합축(31)상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41a)가 일체로 마련됨이 바람직한 바, 이는 휴대기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때 걸림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은 물론이며, 경사각도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50)는 회전체(40)가 결합돌기(21)를 중심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접착을 통해 결합돌기(21)상에 위치 고정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결합돌기(21)상에 끼워 삽입되도록 삽입봉(51)을 일체로 마련하여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32)는 링부(30)의 외주면에 나란하게 돌출되어 장식 효과를 발휘하거나 휴대기기를 지지할 때 지지 장소면에 접촉되어 장식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링부(30)의 회전축 중심지점인 회전체(40)의 연결부(41)가 링부(30)의 톱니형 결합축(31)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링부(30) 외부로 돌출되는 즉, 종래와 같은 에지부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주머니등에 보관할 때 손가락의 상해나 옷감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톱니형 결합축(31)을 감싸고 있는 연결부(41)의 내측 상,하면에 걸림돌기(41a)가 마련되어 있어 휴대기기를 지지할 때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장시간 반복적인 지지 작업을 수행할때에는 그 지지력이 유지되어 장시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원형 플레이트
21 : 결합돌기
21a : 삽입홈
30 : 링부
31 : 톱니형 결합축
32 : 장식돌기
40 : 회전체
41 : 연결부
41a : 걸림돌기
42,43 : 상,하 플레이트
50 : 커버
51 : 삽입봉

Claims (2)

  1. 상면과 저면에 접착층이 개재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 돌기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된채 환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는 톱니형 결합축이 형성된 링부와;
    상기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을 감싸며 상,하 내측면에는 링부의 톱니형 결합축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마련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내측 상,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결합돌기 상면에 위치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장신구.

  2. 삭제
KR1020130070841A 2013-06-20 2013-06-20 휴대기기용 장신구 KR10149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41A KR101498133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기기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41A KR101498133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기기용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86A KR20140147486A (ko) 2014-12-30
KR101498133B1 true KR101498133B1 (ko) 2015-03-04

Family

ID=5267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841A KR101498133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기기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39B1 (ko) * 2015-07-14 2016-12-20 호후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고리 장착 타입 장식 장치
CN207218819U (zh) * 2017-08-28 2018-04-10 深圳市森锡源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以及手机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634A (ja) * 2000-09-20 2002-03-29 Kiyota Engineering:Kk 携帯電話用スタンド
KR200363061Y1 (ko) * 2004-07-05 2004-09-23 주식회사 뉴빛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101175049B1 (ko) * 2011-01-07 2012-08-17 곽동만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KR101223602B1 (ko) * 2010-12-06 2013-01-17 최재훈 휴대 단말기용 장신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634A (ja) * 2000-09-20 2002-03-29 Kiyota Engineering:Kk 携帯電話用スタンド
KR200363061Y1 (ko) * 2004-07-05 2004-09-23 주식회사 뉴빛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101223602B1 (ko) * 2010-12-06 2013-01-17 최재훈 휴대 단말기용 장신구
KR101175049B1 (ko) * 2011-01-07 2012-08-17 곽동만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86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049B1 (ko)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US9379563B2 (en) Charger
US11385601B2 (en) Watch module connector
JP5622946B2 (ja)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TWM433772U (en) Screw-free metal mobile phone cover structure
KR20130034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102371219B1 (ko)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387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part
KR102193313B1 (ko) 전자 장치
KR20120001903U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KR101498133B1 (ko) 휴대기기용 장신구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586254B1 (ko)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4972697B2 (ja) 電子装置
KR1013843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JP3186332U (ja) 携帯機器用把持具
KR10110931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착탈식 단자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KR101513782B1 (ko) 스마트 패드 거치대
WO2012093837A2 (ko)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KR20130008132A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001879U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1566442B1 (ko)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