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61Y1 -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 Google Patents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61Y1
KR200363061Y1 KR20-2004-0019023U KR20040019023U KR200363061Y1 KR 200363061 Y1 KR200363061 Y1 KR 200363061Y1 KR 20040019023 U KR20040019023 U KR 20040019023U KR 200363061 Y1 KR200363061 Y1 KR 200363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endant
necklac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2004-0019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 물체가 외부로 보이게 내삽되도록 전면창이 구비되며 힌지 이음으로 접철되는 개폐판이 구비된 삽입부와,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펜던트를 목걸이에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단하게 목에 걸어 휴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침반, 시계와 같은 소형 물체를 외부로 노출되게 휴대함에 따라 펜던트 자체로서의 장식적인 기능 및 방향 확인, 시간 확인 등과 같은 실용적인 기능을 아울러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pendant necklace combining on and of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tring, capable of containing small thing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PDA, MP3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손잡이줄이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탈부착될 뿐만 아니라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 물체가 외부에서 보이게 내삽되도록 펜던트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장식적, 실용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및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 PDA, MP3,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발,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하는 기술도 더불어 개발되고 있다. 전자기기 휴대 방식 중에는 목걸이 형식으로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하는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줄(2)을 목걸이(1)에 부착하여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을 목에 걸어 휴대한다. 목걸이(1)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보다 간편하고 신속히 취급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를 손으로 휴대한다든지 기타 다른 수단으로 휴대하는 등 목걸이(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목걸이(1)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착용하기에는 디자인이 미흡한 것이어서 벗어서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어 보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시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까다로운 소비자의 욕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디자인의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휴대용 전자제품과 일체로 사용되는 종래의 목걸이(1)는 디자인의 미흡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해 온 문제점이 있었다. 디자인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과 일체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목걸이 역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세련된 디자인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잡이줄을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펜던트를 목걸이에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펜던트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실용적인 소형 물체가 외부에서 보이게 내삽할 수 있는 펜던트를 목걸이에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을 목걸이에 부착하지 않을 때에도 펜던트 그 자체로써 장식적, 실용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펜던트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걸이줄 20 : 펜던트
30 : 손잡이줄 200 : 삽입부
206 : 전면부 208 : 힌지부
210 : 개폐부 250 : 결합부
260 : 버튼부 300 : 결합코드
302 : 탄성 걸림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줄과, 목걸이줄이 고정되며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 물체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내삽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펜던트, 및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결합부에 착탈되는 결합코드가 고정 설치된 손잡이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를 제공한다.
펜던트의 삽입부는 내삽되는 소형 물체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진다. 내삽되는 소형 물체는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 시각에 의해 어떠한 정보를 전달함을 통해 고유의 실용적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외적 미관을 통해 장식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펜던트 삽입부는 소형 물체를 안정되게 내삽할 수 있고, 내삽되는 소형 물체의 정면이 잘 보이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는 목걸이줄(10)과, 목걸이줄(10)이 고정되며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 물체(미도시)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내삽되는 삽입부(200)와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결합부(250)로 구성되는 펜던트(20), 및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를 지지하며 결합부(250)에 착탈되는 결합코드(300)가 고정 설치된 손잡이줄(30)로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이다.
삽입부(20)는 내삽된 소형 물체(미도시)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전면창(202)이 구비되며 고정구(204)가 구비된 전면부(206)와, 전면부(206)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208), 및 힌지부(208)에 의해 접철되며 고정구(204)에 대응하는 고정구(204a)가 구비된 개폐부(210)로 구성된다.
결합코드(300)는 압력의 가부에 따라 압착 또는 복원되는 탄성 걸림턱(302)을 구비한다. 탄성 걸림턱(302)은 그 자체가 고무 소재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설치된 나선형 스프링 또는 스프링판에 고정됨으로써 압력의 가부에 따라 압착 또는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부(250)는 정면에 버튼공(252)이 구비되고 저면에 결합코드(300)가 관통 삽입되어 탄성 걸림턱(302)에 의해 고정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삽입홈(254)이 구비된 케이스(256)와, 케이스(256) 배면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258), 및 스프링(258)의 타단에 고정되어 버튼공(25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에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삽입홈(254)으로부터 탄성 걸림턱(302)을 가압 이탈시킴으로써 결합코드(300)를 분리시키는 버튼부(26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의 삽입부(200)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이다.
삽입부(200)는 소형 물체(미도시)가 착탈되는 중공(220)이 구비되며 내측에는 소형 물체(200)가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고무 패킹(222)이 구비된다.
고무 패킹(222)은 돌기의 형상을 가지거나 링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내삽되는 소형 물체(미도시)가 마찰력에 의해 중공(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내삽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던트(20)의 삽입부(200)에는 나침반 뿐만 아니라, 시계, 돋보기 등 소형 물체(미도시)로써 실용적인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어떤 것도 장착 가능하다. 소형 물체들을 번갈아 교체하여 펜던트(20)에 장착하면 식상함이 제거되고 장식적인 측면에서 더욱더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다. 나침반 등과 같은 실용적인 소형 물체(미도시)가 삽입부(200)에 내삽되고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가 지지되는 손잡이줄(30)이 결합부(250)에 부착된 펜던트(20)가 목걸이(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려 있다.
손잡이줄(30)에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MP3, 디지털 카메라 등 비교적 가볍고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휴대용 전자기기라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는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하도록 한다. 또한, 펜던트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을 분리한 후라도 계속해서 목걸이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목걸이를 벗어서 별도로 휴대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는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의 실용 기구가 외부에서 관찰가능하게 내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물체 자체가 가지는 실용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실용 기구 자체의 외관을 통한 장식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Claims (4)

  1. 목걸이줄;
    상기 목걸이줄이 고정되며 나침반, 시계, 돋보기 등과 같은 소형 물체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내삽되는 삽입부, 및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펜던트;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결합코드가 고정 설치된 손잡이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내삽된 상기 소형 물체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전면창이 구비되며 고정구가 구비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접철되며 상기 고정구에 대응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개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소형 물체가 착탈되는 중공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소형 물체가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고무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코드는 압력의 가부에 따라 압착 또는 복원되는 탄성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정면에 버튼공이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결합코드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탄성 걸림턱에 의해 고정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삽입홈이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배면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에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탄성 걸림턱을 가압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결합코드를 분리시키는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20-2004-0019023U 2004-07-05 2004-07-05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200363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23U KR200363061Y1 (ko) 2004-07-05 2004-07-05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23U KR200363061Y1 (ko) 2004-07-05 2004-07-05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61Y1 true KR200363061Y1 (ko) 2004-09-23

Family

ID=4935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023U KR200363061Y1 (ko) 2004-07-05 2004-07-05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0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58B1 (ko) 2009-08-19 2012-05-11 김현정 목걸이형 시계
KR101498133B1 (ko) * 2013-06-20 2015-03-04 임소연 휴대기기용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58B1 (ko) 2009-08-19 2012-05-11 김현정 목걸이형 시계
KR101498133B1 (ko) * 2013-06-20 2015-03-04 임소연 휴대기기용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814B2 (en) Gasket for smartwatch cover
US10575602B2 (en) Consumer product attachment systems having a locking assembly
AU2016102071A4 (en) Attach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EP1721237B1 (en)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CN106200777B (zh) 可穿戴智能装置
US9081212B1 (en) Componentized eyewea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61547B1 (en) Smart device concealment pendant system
HK1062715A1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a bezel and a watch case
KR200363061Y1 (ko)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JP2006217189A (ja) 携帯型電子機器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カバー部材、携帯型電子機器及びカバー部材装着方法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363085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200447071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 액세서리
KR200202202Y1 (ko) 이동전화단말기
KR200340218Y1 (ko) 클립형 장신구 시계
KR200320322Y1 (ko) 사진이나 소원 등을 담은 기원문, 기도문, 부적 수납용손목 시계
KR20044754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 액세서리
KR200293968Y1 (ko) 거울 폴더 휴대폰
KR200239369Y1 (ko) 안경 케이스
KR200319705Y1 (ko) 다용도 손목 시계
KR200321521Y1 (ko) 손목시계
JP2007046935A (ja) 時計ケース
JP2004061475A (ja) 携帯用装飾時計
JP2006157799A (ja) 化粧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